신성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성모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경상남도 의령 출신으로, 고려대학교(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항일 운동에 참여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해방 후 초대 내무부 장관과 제2대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다. 국방부 장관 재임 중 한국 전쟁 발발, 거창 양민 학살 사건, 국민방위군 사건 등에 연루되어 비판을 받았다. 이후 해양대학교 교장을 지냈으며, 2009년 해기사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선장 - 이준석 (선장)
1985년생 이준석은 부경대학교 항해학과 졸업 후 외항선 선원과 여객선 선장으로 일했으며, 오하마나 호 표류 사건과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근무하면서 세월호 침몰 사고에서 승객 대피 지시 없이 먼저 탈출하여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징역 36년형을 선고받았다. - 대한민국의 선장 - 윤정구 (1927년)
윤정구는 1927년 윤치호의 손자로 태어나 대한민국 최초의 원양어선 지남호 선장으로 인도양 참치 조업에 성공하여 한국 원양어업을 개척하고, 제동산업, 동화, 고려원양 등에서 원양어업 및 기업 경영 활동을 하다가 오양수산 사장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대 해군 장교 - 최재형 (독립운동가)
최재형은 러시아로 이주하여 재산을 축적한 후 연해주 동포의 자립과 교육을 지원하고 동의회를 조직하여 항일 투쟁을 지원했으며,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지원하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재무총장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이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대 해군 장교 - 정긍모
일제강점기 해기사 출신으로 해군 창설에 기여한 정긍모(1914년 ~ 1980년)는 해군 교육사령관, 진해통제부 사령관,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한 군인이자, 중장 예편 후 제5대 참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 대한청년단 - 장택상
장택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임시정부 활동, 수도경찰청장, 초대 외무부 장관, 국무총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지지 후 야당 정치인으로 반독재 투쟁을 전개했다. - 대한청년단 - 유진산
유진산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농민운동에 참여하고 광복 후 우익 청년 단체를 이끌며 반공주의 활동을 전개했으며, 7선 국회의원을 지내고 민주당 구파 지도자로서 신민당 총재를 역임하며 유신 체제에 반대하는 투쟁을 벌인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다.
신성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신성모 |
한자 | 申性模 |
로마자 표기 | Sin Seong-mo |
별칭 | 소창 |
한자 (별칭) | 小滄 |
로마자 표기 (별칭) | Sochang |
출생일 | 1891년 10월 20일 |
출생지 | 조선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현재 대한민국 경상남도 의령군) |
사망일 | 1960년 5월 29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사망 원인 | 뇌출혈 |
묘지 | 대전현충원 |
국적 | 대한민국 |
민족 | 한국인 |
종교 | 대종교 |
직책 | |
직책 |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
임기 시작 | 1950년 4월 21일 |
임기 종료 | 1950년 11월 23일 |
대통령 | 이승만 |
전임 총리 | 이범석 |
후임 총리 | 장면 |
국방부 장관 | 제2대 국방부 장관 |
국방부 장관 임기 시작 | 1949년 3월 21일 |
국방부 장관 임기 종료 | 1951년 5월 5일 |
차관 | 최용덕 (국방부 차관) 장경근 (국방부 차관) |
내무부 장관 | 내무부 장관 |
학력 | |
학력 | 중화민국 상하이 오송상선학교 항해학과 영국 런던 킹에드워드7세 항해대학 1956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과 1기 |
기타 | |
정당 | 무소속 |
관련 인물 | 이학림 |
2. 생애
1891년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태어나, 1910년 고려대학교(당시 보성법률전문학교)를 졸업했다. 같은 해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자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신채호, 안희제 등 고향 선배들의 지도 아래 항일 독립운동에 투신했다.[7]
1913년 상하이로 건너가 오송상선학교 항해과를 졸업하고, 한때 중국 해군 본부에서 근무했다. 1919년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위원회에서 일했으나, 같은 해 미국에 있던 이승만이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에게 조선에 대한 미국의 위임통치 청원을 서면으로 제출한 것에 분개하여, 박용만, 신숙과 함께 이승만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1923년 임시정부의 비밀 연락처였던 백산상회에 독립 자금을 전달하는 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본국으로 이송되었다. 1925년 석방된 후 영국으로 건너가 런던의 해양대학교에서 1등 항해사 자격을 취득했다. 1930년부터는 런던과 인도를 오가는 정기 여객선의 선장이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인도의 상선 회사 고문으로 뭄바이에 체류했다.
광복 후, 1948년 대한민국으로 돌아와 대한청년단 단장과 교통부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1948년 12월 제2대 내무부 장관에 취임했고, 1949년 3월에는 김석원, 임영신 등의 추천으로 제2대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었다.[7] 국방부 장관 취임 후, 전임 이범석이 신설한 기구들을 폐지하고 호국군을 해체했으며, 지청천의 대동청년단 등을 해산시키고 대한청년방위대를 창설하여 직접 단장을 맡았다. 그러나 징병제 시행은 1950년 6월 1일까지 효과적으로 시행되지 못했고, 대한청년방위대는 곧 와해되었다.[7]
1950년 4월 이범석이 총리직을 사임하면서 신성모가 총리 권한대행을 맡아 국방 업무는 소홀해졌다.[7] 국방부 장관 재직 중이던 1949년 7월, "명령만 내리면 하루 만에 평양과 원산을 점령할 수 있다"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한국 전쟁 발발 직후 군사 경력자 회의에서는 "북진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고, 국무회의에서는 전황에 대해 모른다고 발언하는 등 국방 장관으로서 부적절한 대응을 보였다.[8]
1951년 거창 양민 학살 사건 당시 계엄사령관 김종원과 함께 사건을 무마하려 했다는 비난을 받았고, 국민방위군 사건까지 발생하면서 국방부 장관직에서 해임되었다. 이후 1956년 11월 28일부터 1960년 5월 29일 사망할 때까지 한국해양대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2. 1. 생애 초기
1891년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신재록의 아들로 태어났다. 1907년 보성전문학교 법학과 야간반에 입학하였고, 1910년 보성법률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같은 해 8월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신채호와 고향 선배인 안희제의 지도 아래 항일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7]2. 2. 독립 운동
1910년 8월, 신성모는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신채호와 고향 어른 안희제의 지도 아래 대한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1912년 동제사에 가입하고, 신규식 등이 개설한 박달학원에서 수학하였다.[11] 1913년 상하이로 가서 오송상선학교 항해과에 입학, 1년간 배운 뒤 학교장의 추천으로 남경해군사관학교에 편입하였다. 졸업 후 중국군 해군 소위로 임명되어 중국해군본부에서 살진빙 사령관의 전속부관으로 근무하였다.1915년 오송 등지 군사시설인 무선전신국에서 활동하였고, 신한청년당에 가담하였다. 1919년 북경에서 김복희와 결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위원회에서 일하였다. 같은 해 미국에 있던 이승만이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에게 조선에 대한 미국의 위임통치 청원을 서면 제출한 데 분개하여, 박용만, 신숙과 함께 이승만 성토문을 발송하였다. 이후 신채호 등과 함께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을 탄핵하는 운동에 가담하였다.
2.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8년 한국으로 돌아온 신성모는 1949년 12월 19일 한국청년단 최고회의에 초청받았다.[3] 이후 한국청년단장과 교통부 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1949년 제2대 내무부 장관을 지냈다. 1949년 3월 21일 제2대 국방부 장관에 취임하여 1951년 5월 5일까지 재직했다. 이승만은 영어를 잘 하는 사람을 선호했고, 신성모는 런던 유학 시절 영어에 능숙했던 것으로 알려졌다.귀국 후 신성모는 해군 중장 직함을 받았다. 영국 상선 선장, 인도 상선 고문 겸 이사를 역임했지만, 중국에서 군사 훈련을 받았고 중국 해군 사령관 살진빙의 부관이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 광복군 군인이었던 경력을 인정받아 해군 중장 계급을 받았고, 해군대장 신성모라고 불렸다.
1950년 4월 21일 이범석이 국무총리직에서 사퇴하자 국무총리 권한대행으로 취임하여 11월 22일까지 직무를 수행했다.
1948년 12월 제2대 내무부 장관에 취임했다. 1949년 3월 "파벌이 없고, 청렴결백하며, 군사 지식은 보좌관으로 보충할 수 있다"는 이유로 김석원과 임영신에게 추천되어 제2대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었다.[7] 전임 이범석이 신설한 기구들을 잇달아 폐지했다.[7] 제4국(특수작전국)을 폐지하고, 징병제 채택을 이유로 호국군을 해체했다.[7] 이범석의 민족청년단, 지청천의 대동청년단을 해산시키고 대한청년방위대를 창설하여 직접 단장에 취임했다.[7] 그러나 징병제 시행은 예산 및 사무상의 사정으로 1950년 6월 1일 "군사원조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69호)이 공포될 때까지 효과적으로 시행되지 못했고, 대한청년방위대는 곧 와해되어 예비군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7]
1950년 4월 이범석이 총리를 사임하자, 신성모가 대리로서 거의 총리직에 전념하여 국방은 소홀해졌다.[7]
1951년 거창 양민 학살 사건 당시 계엄사령관이었던 김종원과 함께 사건을 무마하려고 했다는 비난을 받았고, 국민방위군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국방부 장관에서 해임되었다.
2. 3. 1. 한국 전쟁과 논란
1949년 7월 17일 국방부 장관 재직 당시 대한청년단 훈련장에서 "국군은 대통령으로부터 명령을 기다리고 있으며, 명령만 있으면 하루 안에 평양이나 원산을 완전히 점령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14] 그 발언이 문제가 되자 자신의 발언이 오해되었다고 해명했지만, 그 해 9월 초에도 "때 오기만 기다릴 뿐이고 밀고 갈 준비는 이미 됐다"고 주장했다.[14]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신성모는 국방부 장관으로서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6월 27일 새벽 4시에 열린 국무회의에서 그는 전황에 대해 아는 바 없다고 발언했다.[16] 그는 임시정부 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있었지만 이범석, 지청천, 김홍일 등과 달리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전투를 한 실전경험이 없었다.[17]

1951년에는 거창 양민 학살 사건을 둘러싸고 당시 계엄사령관이던 김종원과 함께 사건을 합리화시키고 있다는 국회의 비난을 받았다. 또한 국민방위군 사건 조사 결과 착복금 중 일부가 이승만의 정치자금으로 사용된 것으로 밝혀지자, 신성모는 이를 무마하려다가 국방부 장관직을 사임하였다.
2. 4. 생애 후반
1956년 11월 28일부터 해양대학장을 역임하다가[18] 병을 얻어 와병하던 중, 1960년 5월 29일에 의령에서 뇌출혈로 죽었다. 경상남도 의령군 용덕면 선영에 묻혔다가 뒤에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 2009년 한국해양학회에서 해기사 명예의 전당에 헌정하고[19][20] 흉상을 제막했다.[20]3. 평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단계에서 결과물이 없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4. 기타
신성모를 연기한 배우들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 자세히 나와있다.
4. 1. 신성모를 연기한 배우들
참조
[1]
뉴스
New evidence of Korean war killings
http://news.bbc.co.u[...]
2000-04-21
[2]
웹사이트
Shin Sung-mo
http://kr.dictionary[...]
2009-04-11
[3]
백과사전
대한청년단
http://100.nate.com/[...]
[4]
서적
한국전쟁사 3권
행림출판
[5]
웹사이트
6·25 남침전쟁 10대 미스터리의 실체
http://allinkorea.ne[...]
2018-06-20
[6]
웹사이트
榮譽로운 海運人들(52)/申性模에 대한 딸 신내원의 思父曲(2)
http://www.maritimep[...]
2008-07-10
[7]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8]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中巻
[9]
논문
6 · 25 전쟁 아나바시스 : 장군들의 회고록에 관한 연구
https://www.imhc.mil[...]
한국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
뉴스
申性模氏別世
http://gonews.kinds.[...]
1960-05-30
[11]
뉴스
창간89특집/임정 수립 90주년 1917년 상하이, 독립운동가 14인 "한민족 정부 세우자" 전격선언
http://news.chosun.c[...]
2009-03-05
[12]
논문
소창 신성모의 영국생활: 런던 '항해대학'의 실체를 밝히다
[13]
백과사전
대한청년단
http://100.nate.com/[...]
[14]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인물과사상사
[15]
서적
한국의 국무총리 연구
나남
[16]
서적
한국전쟁사 3권
행림출판
[17]
웹사이트
6·25 남침전쟁 10대 미스터리의 실체
http://allinkorea.ne[...]
2018-06-20
[18]
논문
해양대학 신성모 학장
[19]
뉴스
http://www.fnnews.co[...]
[20]
뉴스
고 신성모 전 국무총리 서리 흉상, 해기사 명예전당에 헌정
http://www.hankyung.[...]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