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수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아 수복은 손상된 치아를 원래의 기능과 심미성으로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다. 아스팔트와 밀랍을 사용한 고대 치아 수복의 역사부터 시작하여, 실리케이트 시멘트, 아크릴레진, 복합레진, 글래스 아이오노머, 콤포머, 도재, 아말감 등 다양한 수복 재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치아 수복 과정은 치아 준비와 수복재 충전의 두 단계로 이루어지며, 와동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분류된다. 수복 재료는 직접 수복과 간접 수복에 사용되며, 임플란트를 이용한 수복도 가능하다. 치아 수복 후에는 신경 자극, 치아 파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과보존학 - 충치
충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락토바실러스 등의 원인균과 식이 습관, 구강 위생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치아 법랑질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올바른 칫솔질과 식습관 조절,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통해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 치과보존학 - 근관 치료
근관 치료는 감염된 치수 조직을 제거하고 근관을 밀폐하여 치아 기능을 보존하는 치과 시술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무균 환경 유지가 중요하며, 마취부터 최종 수복까지의 단계로 진행된다. - 치과재료학 - 알긴산
알긴산은 해조류에서 추출되는 선형 공중합체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증점제, 겔화제 등으로 사용되며 방사성 스트론튬 배출에도 효과가 있다. - 치과재료학 - 덴탈임플란트
덴탈임플란트는 티타늄 재질의 인공 치아 뿌리를 턱뼈에 심어 치아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하는 치료 방법으로, 자연 치아와 유사한 안정성과 저작력을 제공하며 주변 치아에 부담을 주지 않지만, 외과 수술 위험, 시술 후 관리, 비용, 임플란트 주위염과 같은 합병증 예방을 위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치아 수복 | |
---|---|
치과 수복 | |
ICD-9 | 23.2-23.4 |
설명 | 치아의 기능, 무결성 및 형태를 복원하는 치료법 |
2. 심미수복의 역사
심미수복은 자연 치아의 색과 조화되는 심미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치아를 수복함으로써 기능과 심미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수복이다. 심미수복학은 심미치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학문으로, 현재 치의학 영역 중 가장 놀라운 발전을 가져왔으며, 이는 재료의 혁신적인 개발과 접착수복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졌다.[25]
과거에는 치아를 수복하는 방법으로 아말감을 많이 이용했지만, 최근에는 수은의 위험성과 심미성의 문제로 인하여 자연 치아와 유사한 색조를 이용하는 심미수복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28]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이탈리아에서 약 13,000년 전 구석기 시대 유물에서 치아를 메우는 데 사용된 아스팔트 증거가 발견되었고,[2] 6,500년 전 슬로베니아 신석기 시대에는 치아 골절을 메우는 데 밀랍이 사용되었다.[3]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서기 23–79년)와 같은 그리스 로마 문헌에는 썩은 치아를 채우는 재료에 대한 언급이 있다.[4]2. 2. 근대
1873년 최초의 심미수복재인 실리케이트 시멘트가 개발되었다.[28] 1930년대~1940년대 후반, 화학중합형(자가중합형) 아크릴레진이 개발되었으나, 중합수축과 열팽창계수가 너무 커서 미세누출이 발생하고 기계적 성질과 마모저항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1955년 필러(Filler) 입자가 첨가되면서 열팽창계수가 감소되어 이러한 문제가 개선되었다. 1962년 Bowen R.L.에 의해 Bis-GMA 단량체에 충전재(필러)를 배합하여 레진 기질의 물성을 향상시키고 열팽창계수를 감소시킨 복합레진이 개발되었다. 1963년에는 화학중합형 복합레진(Addent, 3M Dental products)이 도입되었다.[29]2. 3. 현대
1962년, Bowen R.L에 의해 Bis-GMA 단량체에 충전재(필러)를 배합한 복합레진이 개발되어 레진 기질의 물성이 향상되고 열팽창계수가 감소되었다.[25] 1963년에는 화학중합형 복합레진(Addent, 3M Dental products)이 도입되었다.[29] 현재는 Bis-GMA를 기질로 사용하는 복합레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는 수은의 위험성과 아말감의 심미성 문제로 인해 자연치아와 유사한 색조를 이용하는 심미수복재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를 반영한다.[28]3. 심미수복재의 종류
심미수복재는 복합레진, 글래스 아이오노머, 도재(Dental porcelain; 동의어: Dental ceramic), 실리케이트 시멘트, 아크릴레진 등이 있다.[26] 각 재료는 고유한 특성과 장단점을 가진다.
- 도재(Dental porcelain; 동의어: Dental ceramic): 인레이, 온레이, 라미네이트 등에 사용된다.
- 실리케이트 시멘트(Silicate cement):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옛날 재료이다.
- 아크릴레진: 주로 임시치아 제작, 의치상용 레진으로 이용된다.
- 복합레진: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심미수복 재료이다.
-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치질과 화학적 접착을 하고 불소를 유리하는 재료로, 타입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27]
3. 1. 복합레진 (Composite resin)

복합레진은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심미수복재이다.[26] 환자들에게는 일반적으로 "치아색 충전재"로 설명되며, 치아 우식증과 외상으로 생긴 와동을 채우고, 치아 마모(비우식성 치아 표면 손실)를 수복하며, 치아 사이의 작은 틈을 메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크라운과 인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간접 수복으로도 사용된다.
복합 레진은 강도와 내구성이 도자기나 금속 수복물만큼 높지 않으며 마모와 변색에 더 취약하다. 일반적으로 비스페놀 A-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BISMA)와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MA)를 포함하는 레진 기반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TEGMA는 점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공중합체이다.[12] 실리카, 석영 또는 다양한 유리와 같은 무기 충전재는 부피를 차지하여 중합 수축을 줄이고, 투과성으로 인해 제품의 방사선 불투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된다. 충전재 입자는 복합 레진에 마모 저항성도 제공한다. 실란과 같은 커플링제가 레진 매트릭스와 충전재 입자 사이의 결합을 강화하는 데 사용된다. 캠퍼퀴논과 같은 개시제는 외부 에너지(빛/열 등)가 가해지면 레진의 중합 반응을 시작한다.
치아 준비 후, 얇은 프라이머 또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현대의 광중합 복합 레진은 불투명도에 따라 결정되는 비교적 얇은 층으로 적용되고 경화된다.[13] 일부 경화 후, 최종 표면은 모양을 잡고 연마된다.
3. 2. 글래스 아이오노머 (Glass ionomer)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GIC)는 치과에서 직접 충전재 및/또는 간접 보철물 접착제로 흔히 사용되는 재료이다. 글래스 아이오노머는 추가적인 보호를 위해 일부 수복물에서 라이닝 재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치아 색상의 재료는 1972년에 전치(특히 침식된 부위)의 수복 재료로 도입되었다.[12]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는 액체와 분말의 두 가지 주요 성분으로 구성된다. 액체는 폴리아크릴산과 주석산(응고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첨가됨)을 함유한 산성 성분이다. 분말은 알루미노 규산염 유리인 염기성 성분이다.[14]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는 매끄러운 표면과 소아 치아의 작은 전치 인접 와동과 같이 스트레스가 적은 부위의 우식 병변 수복에 유용한 재료이다.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사용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12]
- 주석산 첨가로 응고 시간이 단축되어 다루기 쉽다.
- 별도의 결합 과정 없이 법랑질과 상아질에 결합할 수 있다.
- 기존 글래스 아이오노머는 우수한 밀봉 능력을 가져 수복 마진 주변 누출 및 이차 우식 위험을 줄인다.
- 시술 후 불소를 함유하고 방출하여 우식 예방에 도움이 된다.
- 자극에 따른 팽창이 상아질과 유사하여 열적 특성이 좋다.
- 응고 시 수축하지 않아 수축 및 미세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 복합 레진보다 착색 및 색상 변화에 덜 취약하다.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사용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12]
- 마모 저항성이 좋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응고 후 약하다. 물에서 안정적이지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된다.
- 낮은 강도로 인해 교합 부하 또는 마모가 증가하는 부위의 와동에는 적합하지 않다.
- 처음 시술 시 습기에 취약하다.
- 반투명도가 달라 전치에 시술할 경우 심미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는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특성과 복합 기술을 결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분말-액체 형태로 제공되며, 분말에는 불소-알루미노-규산염 유리, 바륨 유리(방사선 불투과성 제공), 과황산칼륨(어둠 속에서 레진 경화를 제공하는 산화 환원 촉매) 및 기타 색소 등이 포함되어 있다. 액체는 HEMA(수용성 레진), 폴리아크릴산(펜던트 메타크릴레이트 그룹 포함) 및 주석산으로 구성된다. 산-염기 반응과 중합 반응을 모두 거칠 수 있으며, 광 경화를 가능하게 하는 광 개시제도 포함되어 있다.[14]
아이오노머는 열구 전색제, 근관 치료 접근 와동에 임시 충전재, 접착제 등 치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소아 및 영구 치아 모두의 병변을 수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하기 쉬워 매우 인기 있는 재료이다.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사용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12]
- 법랑질과 상아질에 우수한 결합력을 제공한다.
- 일반 글래스 아이오노머보다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다.
- 습기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소를 방출한다.
- 일반 글래스 아이오노머에 비해 향상된 반투명도와 심미성을 제공한다.
- 취급성이 향상되어 사용하기 더 쉽다.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사용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12]
- 중합 수축은 수복 마진 주변에 미세 누출을 유발할 수 있다.
- 발열성 응고 반응으로 치아 조직에 잠재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 HEMA가 매우 친수성이므로 재료가 물을 흡수하여 부어오른다.
- 모노머 용출: HEMA는 치수에 독성이 있으므로 완전히 중합되어야 한다.
- 재료의 강도는 광중합되지 않으면 감소한다.
글래스 아이오노머와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는 모두 치과에서 사용되며, 임상 상황에 따라 더 적합한 재료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사용 편의성이 결정적인 요소이다.
3. 3. 콤포머 (Compomer)
콤포머는 치과용 복합 레진의 심미성과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불소 방출 능력을 결합하기 위해 개발된 재료이다.[15][16][17] 콤포머는 복합 레진을 폴리산으로 변형시켜 만든다.콤포머는 복합 레진보다 내마모성, 압축 강도, 굴곡 강도, 인장 강도가 낮지만, 레진 변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및 기존의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보다는 내마모성이 높다.[15][16] 콤포머는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처럼 치아 조직에 직접 붙일 수 없고, 복합 레진과 같은 접착제가 필요하다.[15][16][17]
콤포머는 와동(cavity) 라이닝 재료 및 비하중 와동의 수복 재료, 소아 치과의 열구(작은 틈) 실란트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15][16][17]
콤포머의 합착 버전은 주조 합금 및 세라믹-금속 수복물을 붙이거나 소아 환자의 교정 밴드를 붙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16][17] 그러나 콤포머 합착 시멘트는 전체 세라믹 크라운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15][16]
3. 4. 도재 (Dental porcelain; Dental ceramic)

도재(Dental porcelain, Dental ceramic)는 인레이, 온레이, 라미네이트, 크라운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26] 전체 도재 수복물은 색상과 반투명도가 자연 치아 법랑질을 모방하기 때문에 특히 선호된다.
금속-도재는 크라운 또는 브릿지의 강도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며, 도재와 금속의 조합으로 인해 매우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마모에 강하다.[18]
전산화 치과(CAD/CAM 기술)에서는 부분적으로 소결된 상태로 판매되는 가공 가능한 세라믹을 사용하며, 가공 후 다시 소성하여 단단한 세라믹을 형성한다.[18] 사용되는 재료로는 유리 결합 도재, 디실리케이트 리튬 유리-세라믹, 상 안정화 지르코니아 등이 있다. 소결 지르코늄 산화물은 높은 강도와 파괴 인성으로 인해 구치부 크라운 및 브릿지,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근관 핀에 사용 가능하다. 디실리케이트 리튬은 구치에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파절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19]
3. 5. 아크릴레진 (Acrylic resin)
아크릴레진은 주로 임시치아 제작이나 의치상용 레진으로 사용된다.[26] 심미성이 떨어지고 강도가 약해 영구 수복재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4. 치아 수복 과정
치아 수복 과정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수복 재료를 넣을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치아를 준비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는 준비된 공간에 수복 재료를 채워 넣는 단계이다.
4. 1. 치아 준비
치아를 좋은 형태와 기능으로 복원하려면 먼저 수복 재료를 넣을 공간을 만들고, 구조적으로 약해진 썩은 부위나 일부분을 제거해야 한다. 이 과정을 치아 준비라고 한다. 보통 치과용 핸드피스와 버를 사용하거나, 치과용 레이저 또는 공기 연마로 치아를 다듬는다. 무외상 수복 치료의 경우 수기구를 사용하기도 한다.[5] 치아 준비 후 바로 영구 수복을 할 수 없을 때는 임시 수복을 하여 치아를 보호한다.준비된 치아는 금, 아말감, 치과용 복합 레진,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도자기 등의 수복 재료로 채운다.
치아 준비는 치관 내부 또는 외부로 나눌 수 있다. 치관 내 준비는 치아의 치관 안에 수복 재료를 유지하는 방식이다. 복합 레진이나 아말감 와동(cavity) 준비, 금, 도자기 인레이가 여기에 속한다. 가철성 부분 의치를 끼우기 위한 유지 장치를 만들기도 한다. 치관 외 준비는 치아를 기능적, 심미적으로 되돌리기 위해 수복 재료를 붙일 바탕을 만드는 것이다. 크라운, 온레이, 비니어가 여기에 해당한다.
수복을 위한 치아를 준비할 때는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충치의 범위이다. 충치 범위에 따라 준비 범위가 결정되고, 수복 방법과 재료도 달라진다.
지지받지 못하는 치아 구조도 고려해야 한다. 수복 후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지지받지 못하는 에나멜은 제거한다. 에나멜은 인체에서 가장 단단하지만, 깨지기 쉬워 지지대가 없으면 쉽게 부서진다.
체계적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썩은 유치는 충전재를 넣기 전 기성품 금속 크라운을 씌우거나(홀 기법), 충치를 부분적으로만 제거하는("선택적 제거") 방법이 기존 치료보다 나을 수 있다.[6] 썩은 영구치도 충치를 부분적으로 제거하거나, 몇 달 뒤 추가로 제거하는 2단계 치료가 기존 치료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7]
4. 2. 수복재 충전
직접 수복은 부드럽거나 변형 가능한 충전재를 치아에 넣고 재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재료를 굳혀 치아를 복원한다. 치아 벽이 없어 재건해야 하는 경우에는 재료를 넣기 전에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치아의 모양을 재현해야 한다.[8] 이렇게 하면 치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치아가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콤퍼짓 수복물을 사용할 때는 접촉점 형성을 돕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환상 매트릭스보다 부분 매트릭스를 선호한다. 이는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는 환자의 불편함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 그러나 부분 매트릭스는 사용하기에 기술적으로 더 민감할 수 있으므로 최종 수복물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와 기술이 필요하다.[8] 직접 수복물의 장점은 일반적으로 빠르게 굳어지고 한 번의 시술로 완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치과의사는 다양한 충전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관련 와동의 위치와 심각성을 기준으로 결정을 내린다. 재료는 치아와 접촉한 상태에서 굳어야 하므로, 굳는 과정에서 치아에 제한적인 에너지(열)가 전달된다.
간접 수복 기법은 치아를 준비한 후의 치과 인상을 사용하여 구강 외부에서 수복물을 제작한다. 일반적인 간접 수복물에는 인레이와 온레이, 크라운, 브릿지, 라미네이트 비니어가 있다. 보통 치과 기공사가 치과의사가 제공한 기록을 바탕으로 간접 수복물을 제작한다. 완성된 수복물은 보통 치과용 시멘트로 영구적으로 접착된다. 보통 치과에 두 번 방문하여 시술한다. 일반적인 간접 수복물은 금이나 세라믹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간접 수복물을 준비하는 동안, 주변 치아 조직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준비된 치아를 덮기 위해 임시 수복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가철성 치과 보철물(주로 틀니)은 때때로 치아가 없는 부위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간접 치과 수복물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 자석, 클립, 후크 및 임플란트를 포함하여 가철성 보철물을 치아에 부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많은 유형의 정밀 부착물(결합 수복물이라고도 함)이 있으며, 이는 치과 수복물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CEREC 방법은 체어사이드 CAD/CAM 수복 절차이다. 카메라를 사용하여 준비된 치아의 광학 인상을 채득한다. 다음으로, 특정 소프트웨어가 디지털 사진을 가져와 컴퓨터 화면에서 3D 가상 모델로 변환한다. 치아 색상과 일치하는 세라믹 블록을 밀링 머신에 넣는다. 올 세라믹, 치아 색상의 수복물이 완성되어 접착할 준비가 된다.
또 다른 제작 방법은 STL 및 네이티브 치과 CAD 파일을 CAD/CAM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가져와 사용자가 제조 과정을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티타늄 및 지르코늄과 같은 특정 유형의 재료와 코핑 및 브리지와 같은 특정 보철물을 위해 최적화된 도구, 가공 시퀀스 및 절삭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일부 임플란트의 복잡한 특성 때문에 작업의 모든 부분에 도달하기 위해 5축 가공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9]
5. 와동 분류
와동 분류는 치아우식증(충치)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5. 1. G.V. Black 분류
'''그린 바디먼 블랙 분류:'''
G.V. 블랙은 치아우식증 위치에 따라 치아우식증을 분류했다.[10]
- 1급 와동: 어금니와 작은 어금니의 교합면, 협면, 설면, 그리고 상악 중절치의 설면에 발생하는 우식증.
- 2급 와동: 어금니와 작은 어금니의 인접면에 발생하는 우식증.
- 3급 와동: 중절치, 측절치, 견치의 인접면에 발생하는 우식증.
- 4급 와동: 전치(앞니)의 절단면을 포함한 인접면에 발생하는 우식증.
- 5급 와동: 전치 또는 구치의 치은 1/3에 발생하는 우식증.
- 6급 와동: 어금니, 작은 어금니, 견치의 교두 팁에 발생하는 우식증.
5. 2. Graham J. Mount 분류
마운트는 와동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와동을 분류했다.[11] 제안된 분류는 병소를 식별하고 확대됨에 따라 복잡성을 정의하도록 설계되었다.위치 | 설명 |
---|---|
1 | 소와/열구 |
2 | 인접면 |
3 | 치경부 |
크기 | 설명 |
---|---|
1 | 최소 |
2 | 보통 |
3 | 확대 |
4 | 광범위 |
6. 수복 재료
다양한 치과 수복 재료들이 개발되어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 '''합금''': 주로 크라운, 브릿지, 틀니 제작에 사용되며, 임플란트 지지대로는 생체 적합성이 있는 티타늄이 사용된다. 귀금속 합금에는 금, 금 합금, 금-백금 합금, 은-팔라듐 합금 등이 있고, 비귀금속 합금에는 코발트-크롬 합금, 니켈-크롬 합금 등이 있다.
- '''아말감''': 수은을 포함한 금속 합금으로, 경도가 높고 은회색을 띤다. 내구성이 좋고 시술이 간편하며 비용이 저렴하지만, 심미성이 떨어지고 치아에 잘 접착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수은의 잠재적 유해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복합 레진''': 비스페놀 A-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BIS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TEGMA) 등을 포함하는 레진 기반 재료이다. 치아색과 유사하며, 직접 수복 및 간접 수복에 모두 사용된다. 실란과 같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결합을 강화한다.
-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폴리아크릴산과 알루미노 규산염 유리로 구성된 재료이다. 치아와 화학적으로 결합하며 불소를 방출하여 우식 예방 효과가 있다.
- '''콤포머''': 복합 레진과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장점을 결합한 재료이다. 심미성이 우수하고 불소를 방출하지만, 기계적 성질이 좋지 않아 사용이 제한된다.
- '''도재''': 치과용 도재를 포함한 세라믹 재료로, 자연 치아와 유사한 색상과 반투명도를 가진다. 주로 인레이, 온레이, 비니어, 크라운 등에 사용된다. 금속-도재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금속과 함께 사용된다.
6. 1. 합금
다음 주조 합금은 주로 크라운, 브릿지, 틀니 제작에 사용된다. 생체 적합성이 있고 뼈에 통합될 수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의 지지대로 티타늄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순수한 티타늄이나 90% 티타늄 합금이 사용된다.;귀금속 합금
- 금 (고순도: 99.7%)
- 금 합금 (금 함량이 높음)
- 금-백금 합금
- 은-팔라듐 합금
;비귀금속 합금
- 코발트-크롬 합금
- 니켈-크롬 합금
6. 2. 아말감 (Amalgam)
아말감은 수은을 포함한 둘 이상의 금속 합금이다. 경도가 높고 은회색을 띠어 치과용 수복 재료로 쓰인다. 치과용 아말감은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다른 수복 재료의 개발, 심미성에 대한 요구 증가, 수은의 잠재적 유해성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기가 감소하고 있다.치과용 아말감의 조성은 ISO 1559 표준에 의해 관리된다.[12] 주요 성분은 은, 주석, 구리이며,[12] 아연, 수은, 팔라듐, 백금, 인듐 등도 소량 포함될 수 있다.[12] 초기 아말감('기존' 아말감)은 최소 65wt%의 은, 29wt%의 주석, 6wt% 미만의 구리로 구성되었다.[12] 1986년 이후에는 구리 함량이 12~30wt%이고 은 함량이 최소 40wt%인 구리 강화 아말감이 개발되어 내식성과 초기 강도가 향상되었다.[12]
아말감은 주로 어금니의 중간 크기 이상 와동, 하중을 받는 부위, 크라운/브릿지 유지 장치 등의 간접 수복물 제작 시 코어 빌드업에 사용된다. 심미성이 중요하거나 수은 등 아말감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경우, 또는 유지 와동 형성을 위해 건강한 치아 조직을 과도하게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아말감의 장점은 내구성이 좋고, 시술 시간이 짧으며, 한 번의 진료로 수복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복합 레진에 비해 술식이 덜 까다롭고, 방사선 불투과성이 있어 이차 우식증 진단에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하다.
단점으로는 심미성이 떨어지고, 치아에 잘 접착되지 않아 기계적 유지 형태(언더컷, 슬롯/홈, 근관 포스트 등)에 의존해야 하므로 건강한 치아 구조를 많이 제거해야 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작은 와동에는 수지 기반 또는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기반 재료가 더 적합하다. 또한 변연 파절, 크리프(응력 하에서의 느린 내부 변형), 부식으로 인한 디칭(ditch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크리프는 구리 첨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환자는 아말감에 대한 국소 과민 반응을 보일 수 있다.
경화된 아말감 속 수은은 자유 수은 형태가 아니지만, 독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에서는 아말감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되어 있다. 치과용 아말감 논쟁 참고.
6. 3. 복합레진 (Composite resin)
치과용 복합 레진은 일반적으로 "치아색 충전재"라고 불리며, 치과에서 사용되는 수복 재료의 한 종류이다. 직접 수복 시 치아 우식증과 외상으로 생긴 와동을 채우고, 치아 마모(비우식성 치아 표면 손실)를 수복하며, 치아 사이의 작은 틈을 메우는 데(순면 비니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크라운과 인레이를 제작하기 위해 간접 수복으로도 사용된다.이 재료는 강도와 내구성이 도자기나 금속 수복물만큼 높지 않으며 마모와 변색에 더 취약하다. 다른 복합 재료와 마찬가지로, 치과용 복합 레진은 일반적으로 비스페놀 A-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BISMA)와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TEGMA)를 포함하는 레진 기반 매트릭스로 구성된다.[12] TEGMA는 점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공중합체이다. 실리카, 석영 또는 다양한 유리와 같은 무기 충전재는 부피를 차지하여 중합 수축을 줄이고, 투과성으로 인해 제품의 방사선 불투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된다. 충전재 입자는 복합 레진에 마모 저항성도 제공한다. 실란과 같은 커플링제가 레진 매트릭스와 충전재 입자 사이의 결합을 강화하는 데 사용된다.
치아 준비 후, 얇은 프라이머 또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현대의 광중합 복합 레진은 불투명도에 따라 결정되는 비교적 얇은 층으로 적용되고 경화된다.[13] 일부 경화 후, 최종 표면은 모양을 잡고 연마된다.
6. 4.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Glass ionomer cement)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GIC)는 치과에서 직접 충전재 및/또는 간접 보철물 접착제로 흔히 사용되는 재료이다. 글래스 아이오노머는 추가적인 보호를 위해 일부 수복물에서 라이닝 재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치아 색상의 재료는 1972년에 전치(특히 침식된 부위)의 수복 재료로 도입되었다.[12]이 재료는 액체와 분말의 두 가지 주요 성분으로 구성된다. 액체는 폴리아크릴산과 주석산(응고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첨가됨)을 함유한 산성 성분이다. 분말은 알루미노 규산염 유리인 염기성 성분이다.[14]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는 바람직한 특성으로 인해 매끄러운 표면과 소아 치아의 작은 전치 인접 와동과 같이 스트레스가 적은 부위의 우식 병변 수복에 유용한 재료이다.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사용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12]
- GIC에 주석산을 첨가하면 응고 시간이 단축되어 다루기 쉽다.
- GIC는 결합이 필요하지 않으며, 중간 재료를 사용할 필요 없이 법랑질과 상아질에 결합할 수 있다. 기존 GIC는 또한 우수한 밀봉 능력을 가지고 있어 수복 마진 주변의 누출이 적고 이차 우식의 위험을 줄인다.
- GIC는 시술 후 불소를 함유하고 방출하여 치아의 우식 병변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자극에 따른 팽창이 상아질과 유사하여 열적 특성이 좋다.
- 재료는 응고 시 수축하지 않아 수축 및 미세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 GIC는 복합레진보다 착색 및 색상 변화에 덜 취약하다.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사용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12]
- GIC는 마모 저항성이 좋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응고 후 약하며 물에서 안정적이지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 반응이 일어나면서 개선된다. 낮은 강도로 인해 GIC는 교합 부하 또는 마모가 증가하는 부위의 와동에 시술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 재료는 처음 시술 시 습기에 취약하다.
- GIC는 반투명도가 다르므로 특히 전치에 시술할 경우 심미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6. 5. 콤포머 (Compomer)
콤포머는 치과용 복합 레진의 심미성과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불소 방출 능력을 결합하기 위해 개발된 재료이다.[15][16][17] 콤포머는 복합 레진을 폴리산으로 변형시켜 만든다. 콤포머는 심미성이 우수하고 불소를 방출하여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지만, 기계적 성질이 좋지 않아 사용이 제한된다.[15][16][17]콤포머는 치과용 복합 레진보다 내마모성, 압축 강도, 굴곡 강도, 인장 강도가 낮다. 하지만 레진 변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및 기존의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보다는 내마모성이 높다.[15][16] 콤포머는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처럼 치아 조직에 직접 부착될 수 없고, 치과용 복합 레진과 같은 접착제가 필요하다.[15][16][17]
콤포머는 와동(cavity)의 라이닝 재료나 비하중 와동(non-stress bearing cavity)을 수복하는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15][16] 소아 치과에서는 열구(fissure)를 메우는 실란트 재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17]
콤포머의 합착(luting) 버전은 주조 합금 및 세라믹-금속 수복물을 접착하거나 소아 환자의 교정 밴드를 접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6][17] 그러나 콤포머 합착 시멘트는 전체 세라믹 크라운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15][16]
6. 6. 도재 (Porcelain, ceramics)
전체 도재 치과 재료에는 치과용 도재(도재는 고온 소성 세라믹을 의미), 기타 세라믹, 소결 유리 재료, 그리고 간접 충전재, 크라운 또는 금속이 없는 "재킷 크라운"으로 사용되는 유리-세라믹이 포함된다. 또한 인레이, 온레이 및 미용 비니어로도 사용된다. 비니어는 치아의 법랑질 일부를 대체하거나 덮을 수 있는 매우 얇은 도재 껍질이다. 전체 도재 수복물은 색상과 반투명도가 자연 치아 법랑질을 모방하기 때문에 특히 선호된다.[18]
다른 유형은 ''금속-도재''로 알려져 있으며, 크라운 또는 브릿지의 강도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수복물은 도재와 금속의 조합이 도재만 사용하는 것보다 더 강한 수복물을 만들기 때문에 매우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마모에 강하다.
전산화 치과 (CAD/CAM 기술)의 장점 중 하나는 부분적으로 소결된 상태로 판매되는 가공 가능한 세라믹의 사용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가공 후 다시 소성되어 단단한 세라믹을 형성한다. 사용되는 재료 중 일부는 유리 결합 도재(Vitablock), 디실리케이트 리튬 유리-세라믹(특수 열 처리에 의해 유리로부터 결정화되는 세라믹) 및 상 안정화 지르코니아(이산화지르코늄, ZrO2)이다. 산화지르코늄과 같은 고성능 세라믹을 활용하려는 이전 시도는 치과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이 재료를 가공할 수 없다는 사실에 의해 좌절되었다. 소결 지르코늄 산화물은 높은 강도와 비교적 훨씬 높은 파괴 인성으로 인해 구치부 크라운 및 브릿지,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근관 핀에 사용할 수 있다. 디실리케이트 리튬(최신 Chairside Economical Restoration of Esthetic Ceramics CEREC 제품에 사용됨)은 또한 구치에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파절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19] 알루미나 용융 도재와 같은 일부 올 세라믹 수복물은 강하고 색상과 반투명도가 자연 치아 법랑질을 모방하기 때문에 치과에서 높은 심미성의 기준을 설정한다.
주조 금속과 금속-도재는 오랫동안 크라운과 브릿지의 표준 재료였다. 전체 도재 수복물은 현재 환자들의 주요 선택이며 치과의사들이 일반적으로 적용한다.
7. 임플란트를 이용한 수복
임플란트는 뼈에 삽입되는 고정 장치로, 일반적으로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이는 치아가 없는 부분을 대체하는 치과 수복물을 지지할 수 있으며, 크라운, 브릿지 또는 틀니 등이 있다.
8. 합병증
깊은 충치를 치료한 경우, 신경이 자극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차갑거나 뜨거운 것에 대한 단기적인 민감성 및 해당 치아로 음식을 씹을 때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자연적으로 치유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치아를 보존하면서 통증을 해결하기 위해 신경 치료와 같은 다른 치료법을 고려할 수 있다.
치아 구조의 비교적 많은 양이 손실되거나 충전재로 대체된 경우, 치아의 전반적인 강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외상이나 밤에 이를 가는 행위와 같이 치아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때 치아가 향후 파절될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며, 치아 균열 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다.
참조
[1]
뉴스
Your Teeth and Cavities
http://www.webmd.com[...]
2017-05-04
[2]
논문
The dawn of dentistry in the late upper Paleolithic: An early case of pathological intervention at Riparo Fredian
https://onlinelibrar[...]
2017
[3]
논문
Beeswax as Dental Filling on a Neolithic Human Tooth
2012-09-19
[4]
논문
A Roman-period Dental Filling Made of a Hard Tissue Compound? Bioarchaeological and Medical-historical Investigations Carried out on a Roman-period Burial from Oberleuken-Perl (Lkr. Merzig-Wadern / D)
https://journals.ub.[...]
2019
[5]
논문
Managing Carious Lesions: Consensus Recommendations on Terminology
http://journals.sage[...]
2016
[6]
논문
Managing Carious Lesions: Consensus Recommendations on Carious Tissue Removal
http://journals.sage[...]
2016
[7]
논문
Interventions for treating cavitated or dentine carious lesions
https://doi.org/10.1[...]
2021-07-19
[8]
논문
Sectional matrix solutions: The distorted truth
2021
[9]
간행물
WorkNC Dental at the "CAD/CAM and Rapid Prototyping in Dental Technology" conference
http://www.time-comp[...]
TCT magazine
[10]
웹사이트
G. V. Black Classification of Carious Lesions
http://www.usc.edu/h[...]
2007-12-19
[11]
논문
A new cavity classification
1998
[12]
서적
Applied Dental Materials
Blackwell Publishing Ltd
[13]
간행물
Tooth-coloured fillings
http://www.cda-adc.c[...]
Canadian Dental Association
[14]
논문
A clinical guide to applied dental materials 1st edn.A Clinical Guide to Applied Dental Materials 1st edn. By Stephen J Bonsor and Gavin Pearson. Oxford: Churchill Livingstone, 2012 (464pp; £44.99). ISBN 978-0-7020-3158-8.
2013-06-02
[15]
서적
Introduction to dental materials
Mosby Elsevier
2013
[16]
서적
Dental materials :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2016-01-25
[17]
논문
COMPOMERS
2008-02
[18]
논문
Machinability and properties of zirconia ceramics prepared by gelcasting method
https://doi.org/10.1[...]
2020-08-17
[19]
논문
Fracture resistance of different partial-coverage ceramic molar restorations: An in vitro investigation
2006
[20]
논문
Long-term evaluation of extensive restorations in permanent teeth
[21]
논문
Clinical evaluation of ceramic inlays compared to composite restorations.
2009
[22]
논문
Composite resin fillings and inlays. An 11-year evaluation.
2003
[23]
논문
Biomimetic Mineralization: Effects on Human Enamel in Vivo
[24]
웹사이트
Fillings that heal your teeth – how regenerative medicine could change your visit to the dentist -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https://www.nottingh[...]
[25]
서적
치과보존학
고문사 p.108
2017
[26]
서적
치과보존학의 원리와 임상
대한나래출판사 p.118
2013
[27]
서적
치과보존학의 원리와 임상
대한나래출판사 p.118
2013
[28]
서적
임상치과재료학
군자출판사 p.39
2011
[29]
서적
치과재료학
대한나래출판사 p.44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