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왜관역은 1905년 영업을 시작한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2024년 대경선 개통이 예정되어 있다. 과거에는 그룹 대표역이었으나 보통역으로 강등되었으며, 2010년 새마을호가 무정차 통과하고 2015년부터 ITX-새마을이 정차한다. 역 주변에는 학교, 공공기관, 문화재 등이 위치해 있으며, 역명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군량미 집적소였던 왜관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경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경선의 역 - 경산역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경부선 경산역은 1905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2011년 선상역사로 재건축되었고, 2면 4선의 승강장과 광역전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KTX와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다. - 경상북도의 철도역 - 용궁역
용궁역은 1928년 개업하여 1944년 폐역되었다가 1966년 재개업한 경북선 지상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주변에 용궁면 행정복지센터, 용궁초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 경상북도의 철도역 - 남성현역
남성현역은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에 위치한 경부선 지상역으로, 신호소에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역사를 이전 및 신축했으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와 독특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대한민국 최초의 스위치백 흔적이 남아있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무궁화호 정차역이다.
왜관역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왜관역 |
한자 표기 | 倭館驛 |
로마자 표기 | Waegwannyeok |
주소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8길 10 (왜관리 216-1)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KORAIL) |
역 등급 | 2급 |
노선 정보 | |
노선 | 경부선 |
영업 거리 | 서울역 기점 296.0 km |
이전 역 | 약목 |
이전 역 간 거리 | 6.5 km |
다음 역 | 연화 |
다음 역 간 거리 | 6.2 km |
대경선 | (2024년 12월 14일 개통 예정) |
역사 정보 |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4선 |
통계 정보 | |
2010년 승차 인원 | 2,012명 |
2010년 승강 인원 | 4,192명 |
기타 |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역 |
![]() |
2. 연혁
- 1905년 1월 1일: 영업 개시[2]
- 1962년 1월 1일: 미군기지창 전용선 개설[2]
- 1972년 1월 1일: 5급역으로 승격[2]
- 2006년 7월: 그룹 대표역이 됨.
- 2009년 9월: 보통역으로 강등됨.
- 2010년 11월 1일: 새마을호 정차 종료[2]
- 2013년 7월 1일: 대합실 리모델링 공사 시작
- 2013년 9월 1일: 대합실 리모델링 공사 완료
- 2014년 5월 1일: 충북종단열차 운행 개시
- 2015년 8월 1일: ITX-새마을 하루 4회(상행, 하행 각 2회) 정차 개시
- 2017년 12월 18일: 화물 취급 중지[3]
-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개통[4]
3. 역 구조
왜관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역사와 각 승강장은 지하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3. 1. 승강장
왜관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3. 1. 1. 경부선
대경선 광역전철 승강장에는 이미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5]
3. 1. 2. 대경선
대구권 광역철도 승강장에는 이미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5]
4. 이용 현황
5. 역 주변
왜관역 주변에는 여러 학교와 공공기관, 문화 유적지가 있다.
6. 인접한 역
동해선
경전선
경부선▪충북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