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칠원 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원 제씨는 중국 진나라 갈영을 시조로 하며, 고려 시대 제문유를 중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충숙왕 때 벽상일등공신에 오른 제문유는 구산부원군에 봉해졌고, 칠원 제씨는 칠원(현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을 본관으로 삼는다. 조선 시대에는 여러 분파로 나뉘었으며, 임진왜란 때 많은 의병을 배출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제정구, 제종길, 제윤경 등이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2015년 인구 조사에서 2만 명 이상이 칠원 제씨 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원 제씨 - 제성호
    제성호는 학계, 법조계, 정치 및 사회 활동에서 활동한 인물로,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법원행정처 및 대법원 위원, 외교통상부 인권대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등을 지냈으나, 특정 역사적 사건 및 친일파에 대한 견해에서 논란이 있다.
  • 칠원 제씨 - 제윤경
    제윤경은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채무자 권익 보호 활동과 금융 관련 제도 개선에 기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이사를 거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칠원 제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함안군
창시자제갈영
관련 인물제종길
웹사이트칠원 제씨 대종회 웹사이트
씨족 정보
한자 표기漆原 諸氏
로마자 표기Chirwon Je ssi
시조제갈영
중시조제문유(諸文儒)
관향경상남도 함안군 칠원
집성촌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경상남도 고성군
전라남도 보성군 율어면
주요 인물제말
제홍록
제만춘
제경욱
제정구
제정부
제해만
제종길
제윤경
제춘모
년도2015년
인구20,095명

2. 기원 및 역사

칠원 제씨는 중국 진나라 갈영(葛嬰) 장군을 시조로 한다.[1] 갈영의 18세손 제갈량(諸葛亮)이 촉나라 승상을 지냈다.[1]

제갈량의 증손 제갈충(諸葛忠)은 촉나라가 망하고 아버지와 형이 순절하자 신라 미추왕 때 13세의 나이로 신라로 망명하여 지리산 아래에서 살았다고 한다.[1] 고려 고종 때 갈영의 34세손인 제갈홍(諸葛泓)과 제갈형(諸葛瀅) 형제는 제씨(諸氏)와 갈씨(葛氏)로 분성하였다.[1]

칠원 제씨(漆原諸氏)는 고려시대 제문유를 중시조로 삼고 있다. 제문유충숙왕충선왕을 호종한 공으로 벽상일등공신(壁上一等功臣)이 되고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구산부원군(龜山府院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구산은 칠원(漆原)의 옛 지명이다.

2. 1. 기원

중국 진나라 갈영(葛嬰) 장군을 시조로 한다.[1] 갈영의 18세손 제갈량(諸葛亮)이 촉나라 승상을 지냈다.[1]

제갈량의 증손 '''제갈충'''(諸葛忠)은 촉나라가 망하고 아버지와 형이 순절하자 신라 미추왕 때 13세의 나이로 신라로 망명하여 지리산 아래에서 살았다고 한다.[1] 고려 고종 때 갈영의 34세손인 제갈홍(諸葛泓)과 제갈형(諸葛瀅) 형제 중 형인 제갈홍은 제씨(諸氏)로 하여 남양군(南陽君)에 봉해지고, 아우 제갈형은 갈씨(葛氏)로 하여 낭야군에 봉해지면서 성이 나뉘었다.[1]

2. 2. 분성과 분관

시조는 중국 진나라 '''갈영'''(葛嬰) 장군이다. 갈영(葛嬰)의 18세손 제갈량(諸葛亮)이 촉나라 승상을 지냈다.

제갈량의 증손 '''제갈충'''(諸葛忠)이 촉나라가 망하고 아버지와 형이 순절하자 신라 미추왕 때 13세의 나이로 신라로 망명하여 지리산 아래에서 살았다고 한다. 고려 고종 때 갈영(葛嬰)의 34세손인 제갈홍(諸葛泓)과 제갈형(諸葛瀅) 형제 중 형인 제갈홍은 제씨(諸氏)로 하여 남양군(南陽君)에 봉해지고, 아우 제갈형은 갈씨(葛氏)로 하여 낭야군에 봉해지면서 성이 나뉘었다.

분성은 다음과 같다.

  • 고성 제씨(固城 諸氏): 입고성조는 제철손이며, 칠원 제씨에 통합되었다.
  • 거제 제씨(巨濟 諸氏): 입거제조는 제미조이다.
  • 의성 제씨(義成 諸氏)
  • 남양 제씨(南陽 諸氏)
  • 보성 제씨(補成 諸氏)
  • 진해 제씨(鎭海 諸氏)
  • 함양 제씨(喊陽 諸氏)

2. 3. 칠원 제씨의 역사

진나라 갈영 장군을 시조로 한다. 갈영의 18세손 제갈량이 촉나라 승상을 지냈다.

제갈량의 증손 '''제갈충'''은 촉나라가 망하고 아버지와 형이 순절하자 신라 미추왕 때 13세의 나이로 신라로 망명하여 지리산 아래에서 살았다고 한다. 고려 고종 때 갈영의 34세손인 제갈홍과 제갈형 형제 중 형인 제갈홍은 제씨(諸氏)로 하여 남양군(南陽君)에 봉해지고, 아우 제갈형은 갈씨(葛氏)로 하여 낭야군에 봉해지면서 성이 나뉘었다.

칠원 제씨(漆原諸氏)는 고려시대 제문유를 중시조로 삼아 기세(起世)하고 있다. 제문유의 자는 공화(公和), 호는 삼성(三省)이다. 고려 충숙왕 7년 상왕인 충선왕토번(티베트)으로 귀향갈 때 호종(扈從)했다. 상왕이 환국한 뒤인 충숙왕 17년에 그 공으로 벽상일등공신(壁上一等功臣)이 되고 평장사(平章事)를 배(排)하였으며, 구산부원군(龜山府院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구산은 칠원(漆原)의 옛 지명이다. 시조 묘는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우두산에 있으며, 매년 음력 9월 9일 숙청사(潚淸詞)에서 석채례를 제향한다.

3. 분파

분파
판서공파(判書公派)
참봉공파(參奉公派)
훈도공파(訓度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찰방공파(察訪公派)
별좌공파(別座公派)
충의공봉사손장령파(忠毅公奉祀孫掌令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학포공파(學圃公派)
참의공파(參議公派)
판관공파(判官公派)
진사공파(府使公派)
선교랑파(宣敎郞派)
정헌공파(靜軒公派)
만성공파(晩惺公派)
절충장공휘억파(折衝將公諱億派)


4. 주요 인물

칠원 제씨는 조선시대와 근현대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다.
고려고려 충숙왕제문유(諸文儒)는 충선왕이 토번(티베트)으로 귀향 갈 때 호종(扈從)한 공으로 벽상일등공신(壁上一等功臣)이 되고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구산부원군(龜山府院君)에 봉해졌다. 구산은 칠원의 옛 지명이다. 제문유는 1295년(충렬왕 2) 문과(文科)에 등과(登科)하여 1311년(충숙왕 3) 예문관 제학(提學)에 제수(除授)되고 1320년(충숙왕 7) 동지사(冬至使)로 원나라에 다녀왔고 1327년(충숙왕 14)에 문하시중(門下侍中) 평장사(平章事)가 된 후 1330년(충숙왕 17) 벽상도형1등공신(壁上圖形1等功臣)으로 책록(策錄)되어 사전(賜田) 200결, 노비(奴婢) 20명을 하사(下賜)받고 자손(子孫)에게 음직(蔭職)이 내려졌다.
조선고려시대 제문유(諸文儒)를 중시조로 하는 칠원 제씨는 조선시대에도 제철손, 제말, 제만춘, 제홍록, 제경욱 등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시기에 활약한 칠원 제씨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생몰년자(字)호(號)주요 활동 및 공적
제말(諸沫)? ~ 1592임진왜란 의병장, 성주목사, 병조판서 추증
제낙(諸洛)1541 ~ ?청숙(淸淑)죽림(竹林)임진왜란 의병, 배둔역 전투, 당항포 해전 승리, 한성부 서윤 추증
제만춘(諸萬春)임진왜란 참전, 포로 탈출 후 이순신 막하에서 활약
제홍록(諸弘祿)1558 ~ 1597경행(景行)고봉(高峰)임진왜란 의병, 이순신 막하에서 활약, 정유재란 전사, 병조참판 추증
제억보(諸億輔)1556 ~ 1598소훈(素訓)기당(杞塘)임진왜란 의병, 곤양 하동전투 참전, 원종1등공신
제광해(諸光海)임진왜란 공, 선무원종1등공신
제응립(諸應立)1550 ~ 1597도훈(度訓)약당(藥塘)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2등공신
제득호(諸得浩)1550 ~ 1592광습(廣習)중당(重塘)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2등공신
제득인(諸得仁)1553 ~ 1597획계(獲契)약강(約江)임진왜란, 정유재란 전사
제여물(諸餘勿)1554 ~ 1597임추(林秋)시헌(始軒)임진왜란, 정유재란 전사, 선무원종2등공신
제순복(諸順福)1554 ~ 1597송대(松垈)백강(百岡)임진왜란, 정유재란 전사, 원종2등공신
제순수(諸順壽)1555 ~ 1593구범(久凡)치강(治岡)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2등공신, 훈련부장 추증
제세봉(諸世鳳)1556 ~ 1593계소(界昭)우정(羽亭)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3등공신, 훈련원 보인 추증
제억춘(諸億春)1559 ~ 1597도준(度濬)수헌(首軒)임진왜란, 정유재란 전사, 선무원종2등공신, 훈련원 첨정 추증
제수영(諸秀英)1559 ~ 1592지경(智境)화강(華岡)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3등공신, 훈련원 사복 추증
제만호(諸晩浩)1559 ~ 1593모성(暮性)대정(大貞)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3등공신, 수문장 추증
제영인(諸令仁)1562 ~ 1597사성(使聲)덕제(德齊)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3등공신, 오위도총부 부장 추증
제광금(諸廣金)1564 ~ 1597심철(深哲)귀강(貴岡)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3등공신, 훈련원 판관 추증
제한국(諸漢國)1566 ~ 1636성극(成克)거성(巨星)임진왜란, 정유재란 참전, 당항포 해전 승리 기여
제인국(諸仁國)임진왜란 참전, 선무원종2등공신, 훈련원 부장
제억(諸億)임진왜란 참전, 선무원종2등공신
제진(諸璡)임진왜란 참전, 선무2등공신



이 외에도 제조겸(諸祖謙, 절충장군), 제호(諸灝, 공조참판), 제여량(諸汝亮, 군자감 정), 제익주(諸翊周, 유곡 찰방), 제여상(諸汝尙, 자지도 찰방), 제여회(諸汝恢, 주부), 제여근(諸汝謹, 상의원 별좌), 제여원(諸汝元, 성리학 연구), 제경창(諸慶昌, 병자호란 의병 활동), 제명황(諸明璜, 예학·경학 연구), 제명철(諸明喆, 효행), 제하욱(諸夏郁, 효행) 등의 인물이 있다.
현대제정구(1944년 ~ 1999년, 국회의원), 제종길(1955년 ~ , 국회의원, 안산시장), 제성호(1958년 ~ , 국제법학자), 제윤경(1971년 ~ , 국회의원), 제타룡(1938년 ~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사장), 제정부(1956년 ~ , 법제처장), 제춘모(1982년 ~ , 야구선수), 제해성(1953년 ~ , 국가건축정책위원장) 등이 있다.

4. 1. 고려

고려 충숙왕제문유(諸文儒)는 상왕인 충선왕이 토번(티베트)으로 귀향 갈 때 호종(扈從)한 공으로 벽상일등공신(壁上一等功臣)이 되고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구산부원군(龜山府院君)에 봉해졌다. 구산은 칠원의 옛 지명이다. 제문유는 1295년(충렬왕 2) 문과(文科)에 등과(登科)하여 1311년(충숙왕 3) 예문관 제학(提學)에 제수(除授)되고 1320년(충숙왕 7) 동지사(冬至使)로 원나라에 다녀왔고 1327년(충숙왕 14)에 문하시중(門下侍中) 평장사(平章事)가 된 후 1330년(충숙왕 17) 벽상도형1등공신(壁上圖形1等功臣)으로 책록(策錄)되어 사전(賜田) 200결, 노비(奴婢) 20명을 하사(下賜)받고 자손(子孫)에게 음직(蔭職)이 내려졌다.

4. 2. 조선

고려시대 제문유(諸文儒)를 중시조로 하는 칠원 제씨는 조선시대에도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 제철손(諸哲孫, 1489년 ~ ?) : 자는 언숙(彦叔), 호는 동고(東皐). 어모장군(禦侮將軍) 충무위(忠武衛) 부사과(副司果) 겸 성균관(成均館) 사예(司藝)를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낙향했다. 「기묘명현록(己卯名賢錄)」에 사적이 등재되어 있으며, 운곡서원(雲谷書院)에 제향되었다.
  • 제말(諸沫, ? ∼ 1592년) :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웅천(熊川), 김해, 정암(鼎巖) 등지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성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전사했다. 정조 때 병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 제만춘(諸萬春) : 임진왜란 때 경상우수영군교(慶尙右水營軍校)로 참전했다가 포로가 되었으나, 탈출하여 이순신을 도와 적정 탐지에 공을 세웠다.
  • 제홍록(諸弘祿, 1558년 ∼ 1597년) : 자는 경행(景行), 호는 고봉(高峰). 임진왜란 때 숙부 제말을 따라 의병을 일으켰고, 이순신의 막하에서 큰 전공을 세웠다. 정유재란 때 전사하였고, 정조 때 병조참판에 추증되었다.
  • 제경욱(諸景彧, 1761년 1월 5일 (1760년 11월 30일) ∼ 1812년 2월 27일 (음력 1월 15일)) : 제말의 6세손. 홍경래의 난 때 관서절도영(關西節度營) 청북소모장(淸北召募將)으로 참전했으나 전사했다. 삼도수군통제사에 추증되었고, 칠의사사(七義士祠)와 표절사(表節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양(忠襄)이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시기에 활약한 칠원 제씨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생몰년자(字)호(號)주요 활동 및 공적
제말(諸沫)? ~ 1592임진왜란 의병장, 성주목사, 병조판서 추증
제낙(諸洛)1541 ~ ?청숙(淸淑)죽림(竹林)임진왜란 의병, 배둔역 전투, 당항포 해전 승리, 한성부 서윤 추증
제만춘(諸萬春)임진왜란 참전, 포로 탈출 후 이순신 막하에서 활약
제홍록(諸弘祿)1558 ~ 1597경행(景行)고봉(高峰)임진왜란 의병, 이순신 막하에서 활약, 정유재란 전사, 병조참판 추증
제억보(諸億輔)1556 ~ 1598소훈(素訓)기당(杞塘)임진왜란 의병, 곤양 하동전투 참전, 원종1등공신
제광해(諸光海)임진왜란 공, 선무원종1등공신
제응립(諸應立)1550 ~ 1597도훈(度訓)약당(藥塘)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2등공신
제득호(諸得浩)1550 ~ 1592광습(廣習)중당(重塘)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2등공신
제득인(諸得仁)1553 ~ 1597획계(獲契)약강(約江)임진왜란, 정유재란 전사
제여물(諸餘勿)1554 ~ 1597임추(林秋)시헌(始軒)임진왜란, 정유재란 전사, 선무원종2등공신
제순복(諸順福)1554 ~ 1597송대(松垈)백강(百岡)임진왜란, 정유재란 전사, 원종2등공신
제순수(諸順壽)1555 ~ 1593구범(久凡)치강(治岡)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2등공신, 훈련부장 추증
제세봉(諸世鳳)1556 ~ 1593계소(界昭)우정(羽亭)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3등공신, 훈련원 보인 추증
제억춘(諸億春)1559 ~ 1597도준(度濬)수헌(首軒)임진왜란, 정유재란 전사, 선무원종2등공신, 훈련원 첨정 추증
제수영(諸秀英)1559 ~ 1592지경(智境)화강(華岡)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3등공신, 훈련원 사복 추증
제만호(諸晩浩)1559 ~ 1593모성(暮性)대정(大貞)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3등공신, 수문장 추증
제영인(諸令仁)1562 ~ 1597사성(使聲)덕제(德齊)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3등공신, 오위도총부 부장 추증
제광금(諸廣金)1564 ~ 1597심철(深哲)귀강(貴岡)임진왜란 전사, 선무원종3등공신, 훈련원 판관 추증
제한국(諸漢國)1566 ~ 1636성극(成克)거성(巨星)임진왜란, 정유재란 참전, 당항포 해전 승리 기여
제인국(諸仁國)임진왜란 참전, 선무원종2등공신, 훈련원 부장
제억(諸億)임진왜란 참전, 선무원종2등공신
제진(諸璡)임진왜란 참전, 선무2등공신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


  • 제조겸(諸祖謙) : 자는 광서(光緖). 절충장군(折衝將軍) 역임.
  • 제호(諸灝) : 자는 청원(淸源). 절충장군 조겸(祖謙)의 아들. 공조(工曹) 참판(參判) 역임.
  • 제여량(諸汝亮, 1614 ~ ?) : 자는 충정(忠貞). 군자감(軍資監) 정(正) 역임.
  • 제익주(諸翊周, 1619 ~ ?) : 자는 숙헌(淑獻). 유곡(幽谷) 찰방(察訪) 역임.
  • 제여상(諸汝尙) : 자는 숙진(淑眞), 호는 운암(雲巖). 자지도(自知道) 찰방(察訪) 역임.
  • 제여회(諸汝恢) : 주부(主簿) 역임.
  • 제여근(諸汝謹) : 자는 계진(季眞). 상의원 별좌(尙衣院別坐) 역임.
  • 제여원(諸汝元) : 호는 만회당(晩悔堂). 임진왜란 때 의병 활동, 이후 성리학 연구.
  • 제경창(諸慶昌) : 자는 선겸(善謙), 호는 대은(大隱). 병자호란 때 의병 활동.
  • 제명황(諸明璜, 1564 ~ ?) : 자는 서경(瑞卿), 호는 낙요당(樂要堂). 예학(禮學), 경학(經學) 연구.
  • 제명철(諸明喆, 1672) : 자는 군보(君保), 호는 읍취헌(挹翠軒). 효행으로 사헌부 장령 추증.
  • 제하욱(諸夏郁, 1700) : 자는 자익(自益), 호는 성암(誠庵). 효행으로 도지(道誌)에 기록.

4. 3. 현대


  • 제정구(1944년 ~ 1999년): 제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제종길(1955년 ~ ): 제17대 국회의원, 제13대 안산시장을 역임했다.
  • 제성호(1958년 ~ ): 국제법학자이다.
  • 제윤경(1971년 ~ ): 제20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제타룡(1938년 ~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제4대 사장을 역임했다.
  • 제정부(1956년 ~ ): 제28대 법제처장을 역임했다.
  • 제춘모(1982년 ~ ): 야구선수이다.
  • 제해성(1953년 ~ ): 대통령직속 제4대 국가건축정책위원장을 역임했다.

5. 집성촌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칠원제씨 漆原諸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5
[3] 웹사이트 제씨(諸氏) 본관(本貫) 칠원(漆原)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