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침묵하는 주인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침묵하는 주인공은 비디오 게임에서 대사 없이 행동이나 소리, 텍스트 등을 통해 의사소통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를 의미한다. 1980년대 초기의 마리오, 사무스 아란, 링크와 같은 캐릭터들이 대표적이며, 초기 롤플레잉 게임에서도 흔히 사용되었다. 이러한 기법은 기술적, 시간적, 예산적 제약, 혹은 몰입도 향상이나 서사적 장치로서의 유용성 때문에 활용되었다. 침묵하는 주인공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는데, 몰입도를 높인다는 긍정적 평가와 스토리 전개에 방해가 된다는 부정적 평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디오 게임 용어 - 오픈 월드
    오픈 월드는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탐험하고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비선형적인 게임 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디자인이다.
  • 비디오 게임 용어 - 비디오 게임 콘솔
    비디오 게임 콘솔은 게임을 즐기도록 설계된 전자 장치로, 기술 발전과 시장 변화에 따라 여러 세대로 구분되며, 다양한 게임 미디어와 종류를 통해 발전해 왔고, 게임 개발 및 시장 경쟁에 중요한 영향을 받는다.
침묵하는 주인공
개요
유형플롯 장치
정의대사가 없는 등장인물
예시고든 프리먼 (하프라이프 시리즈)
링크 (젤다의 전설 시리즈)
클라우드 스트라이프 (파이널 판타지 VII)
크로노 (크로노 트리거)
사이렌 헤드
특성
목적플레이어 몰입도 증가
기능플레이어의 아바타 역할
이야기 전달의 도구
장점플레이어의 상상력 자극
몰입도 향상
단점개성 부족으로 인한 공감대 형성의 어려움
스토리 전달의 제약
활용
비디오 게임비디오 게임에서 플레이어 캐릭터로 자주 사용됨
기타 매체영화
만화
소설
애니메이션
관련 개념
무언의 영화 시대무언극 배우들의 영향
시각적 표현의 중요성
플레이어 아바타플레이어가 감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캐릭터
자기 삽입플레이어가 자신을 투영할 수 있는 캐릭터
참고 자료
참고"Silent Protagonists: Why Developers Mute Our Heroes"
"The Silent Protagonist: A History"
외부 링크
TV TropesSilent Protagonist - TV Tropes

2. 기원

1980년대 비디오 게임의 초기 플레이어 캐릭터는 대부분 침묵하는 주인공이었다. 이들은 때때로 텍스트나 들을 수 있는 단어를 통해 말했지만, 그 외에는 몸짓을 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소음을 내거나 완전히 침묵했다.

초기 롤플레잉 게임도 마찬가지였다. 던전 & 드래곤과 같은 펜 및 종이 게임에서 시작된 롤플레잉 게임은 줄거리와 메커니즘이 모두 그림과 동작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할 때 음성 대화가 필요하지 않았다. 플레이어는 침묵하는 영웅의 역할을 맡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게임에서 말을 하지 않으므로 화면상의 아바타도 마찬가지였다.[1][2][9][10]

2. 1. 초기 비디오 게임

마리오, 메트로이드사무스 아란, 젤다의 전설링크 등은 1980년대 비디오 게임의 대표적인 침묵하는 주인공의 예시이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때때로 텍스트나 소리로 의사소통을 했지만, 대부분의 경우 몸짓을 하거나,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를 내거나, 완전히 침묵하는 것으로 제한되었다.[1]

초기 롤플레잉 게임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게임들은 던전 & 드래곤과 같은 펜 및 종이 게임에서 시작되었으며, 게임의 줄거리와 메커니즘이 모두 그림과 동작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할 때 음성 대화가 필요하지 않았다.[9] 플레이어는 침묵하는 영웅의 역할을 스스로 맡는 것을 기대했기 때문에, 게임에서 말을 하지 않았고 화면 속 아바타도 마찬가지였다.[2][10]

2. 2. 롤플레잉 게임의 영향

초기 롤플레잉 게임던전 & 드래곤과 같은 펜 앤 페이퍼 게임에서 유래했으며, 게임의 줄거리와 메커니즘이 그림과 움직임에 기반했기 때문에 음성 대화가 필요하지 않았다.[1] 플레이어는 침묵하는 영웅의 역할을 스스로 맡는 것을 기대했으며, 화면 속 아바타도 마찬가지로 대사가 없었다.[2]

3. 활용

침묵하는 주인공은 비디오 게임에서 여러 이유로 활용된다. 플레이어가 주인공 자신이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이미 설정된 캐릭터를 조종하는 것인지, 그리고 게임이 발화된 서사로 정당화하기 어려운 선택의 자유를 플레이어에게 허용하는지에 따라 이러한 결정이 달라진다.

비주얼 노벨과 같이 일부 게임에서는 주인공이 대화를 하지만, 다른 모든 논플레이어 캐릭터처럼 더빙이 없는 경우도 있다. 무언의 주인공은 게임 플레이에 미스터리함이나 정체성의 불확실성을 부여하거나, 플레이어가 더 몰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모든 주인공이 반드시 다른 캐릭터에게 침묵을 지키거나 말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플레이어에게 들리지 않는 대화를 할 수도 있다.

하프라이프』와 『포탈』에 밸브(Valve)와 함께 참여한 게임 작가 마크 레이들로는 개발 중 어려움이 생겨 주인공을 계속 침묵하게 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지만, 침묵하는 주인공으로 자신을 제한하는 것이 더 나은 창의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언급했다.[13] 저널리스트 CJ Miozzi는 아직도 그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작품을 형편없는 스토리 전개를 위한 "지주"라고 부르며, "내레이션이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형편없는 영화의 특징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침묵하는 주인공은 게임의 약한 스토리 전개의 상징이 된다"고 말했다.[14]

3. 1. 기술적 제약

초기 비디오 게임들은 기술, 시간 또는 예산 제약, 혹은 서사적 장치로서 유용했기 때문에 침묵하는 주인공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3] 1993년 게임 미스트는 주인공이 플레이어의 선택을 위한 아바타일 뿐이며 대화가 필요하거나 도움이 되지 않는 1인칭 어드벤처 게임의 예로 언급되었다.[3] 2001년 게임 그랜드 테프트 오토 III의 주인공인 클로드는 대사가 없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배경과 개성을 가진 플레이어들이 게임의 오픈 월드 환경에서 자신이 조종하는 캐릭터와 동일시할 수 있게 하였다.[4] 초기 플레이어 캐릭터는 마리오나 링크와 같이 말을 하지 않는 주인공이 많았으며, 텍스트를 통해서만 대화했다.[9]

3. 2. 몰입도 향상

침묵하는 주인공은 플레이어가 주인공과 자신을 동일시하고 게임에 몰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미스트[3], 그랜드 테프트 오토 III[4]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3. 3. 서사적 장치

침묵하는 주인공은 때때로 서사적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하프라이프 (시리즈)고든 프리맨은 플레이어와 구별되는 침묵하는 주인공의 예시이다.[5] 게임 작가 마크 레이들로는 침묵하는 주인공이 개발 과정에서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지만, 더 많은 창의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언급했다.[5]

4. 비판적 평가

침묵하는 주인공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하프라이프 2, 마리오, 젤다의 전설 등은 플레이어 몰입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6][15] 반면, Grand Theft Auto III 평론이나 Crash Bandicoot 프랜차이즈 언급처럼, 주인공의 소통 부재가 플롯 전개에 방해가 된다는 부정적 평가도 있다.[6][7]

어떤 사람들은 진정한 게임 몰입을 위해서는 캐릭터가 말해야 하며, 플레이어가 자연스럽게 소리를 낼 상황에서 주인공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몰입을 방해한다고 주장한다.[7][16] CJ 미오찌는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는 프랜차이즈를 형편없는 스토리텔링의 "보조 장치"라고 비판했다.[8]

파이어 엠블렘 각성》의 경우, 마이 유닛(루플레)의 말투 선택지에 일본판에서는 과묵함(無口)이 있었지만, 해외판에서는 구현되지 않았다. TheGamer의 맥스 힐은 목소리 없는 마이 유닛은 상상하기 어렵고, 과묵하지만 믿음직한 유형 묘사는 무리이기에 해외판에서 구현되지 않았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17]

4. 1. 긍정적 평가

침묵하는 주인공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플레이어를 게임에 몰입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하프라이프 2, 마리오, 젤다의 전설 시리즈 등이 자주 언급된다.[6][15] 반면, 주인공의 소통 부재는 때때로 플롯 전개에 방해가 된다는 지적도 있다.[6] 어떤 사람들은 진정한 게임 몰입을 위해서는 캐릭터가 말해야 하며, 플레이어가 자연스럽게 소리를 낼 상황에서 주인공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몰입을 방해한다고 주장한다.[7][16]

4. 2. 부정적 평가

주인공의 소통 부재는 플롯 전개에 방해가 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Grand Theft Auto III에 대한 평론[6]이나, Crash Bandicoot 프랜차이즈에 대한 언급[7]이 그 예시이다. 어떤 사람들은 진정한 게임 몰입을 위해서는 캐릭터가 말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플레이어는 자연스럽게 소리를 낼 것이고 주인공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7]

CJ 미오찌는 이 기법을 여전히 사용하는 프랜차이즈를 형편없는 스토리텔링의 "보조 장치"라고 부르며 "내레이션이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형편없는 영화의 특징이 된 것처럼, 침묵하는 주인공은 게임의 허약한 스토리라인의 특징이 되었다"고 말했다.[8]

4. 3. 스토리텔링 문제

CJ 미오찌는 침묵하는 주인공을 사용하는 게임을 형편없는 스토리텔링의 "보조 장치"라고 비판하며, "내레이션이 부적절하게 사용되어 형편없는 영화의 특징이 된 것처럼, 침묵하는 주인공은 게임의 허약한 스토리라인의 특징이 되었다"고 말했다.[8]

5. 한국의 관점

한국 게임 산업은 침묵하는 주인공을 포함한 다양한 캐릭터 표현 방식을 통해 발전해 왔다. 더불어민주당은 게임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게임 콘텐츠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존중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pinion: Shut Up And Save The World: The Silent Protagonist http://www.gamasutra[...] 2012-09-11
[2] 웹사이트 The Missing Link: Voice Acting in Video Games http://www.ign.com/a[...] 2012-09-11
[3] 웹사이트 On Silent Protagonists http://www.escapistm[...] 2012-09-11
[4] 웹사이트 Why Grand Theft Auto 3 has a silent protagonist http://www.eurogamer[...] 2012-09-11
[5] 웹사이트 GDC Online: Valve Writers' Candid Thoughts On Creative Process http://www.gamasutra[...] 2012-09-11
[6] 웹사이트 Good Idea, Bad Idea: The silent protagonist https://www.destruct[...] 2019-08-17
[7] 웹사이트 Silent Protagonists http://www.screwatta[...] 2012-09-11
[8] 뉴스 Silent Protagonists: Why Games Like Skyrim Would Be Better without Them https://www.gamefron[...] DBolical 2019-08-17
[9] 웹사이트 Opinion: Shut Up And Save The World: The Silent Protagonist http://www.gamasutra[...] 2012-09-11
[10] 웹사이트 The Missing Link: Voice Acting in Video Games http://www.ign.com/a[...] 2012-09-11
[11] 웹사이트 On Silent Protagonists http://www.escapistm[...] 2012-09-11
[12] 웹사이트 Why Grand Theft Auto 3 has a silent protagonist http://www.eurogamer[...] 2012-09-11
[13] 웹사이트 GDC Online: Valve Writers' Candid Thoughts On Creative Process http://www.gamasutra[...] 2012-09-11
[14] 웹사이트 Silent Protagonists: Why Games Like Skyrim Would Be Better without Them http://www.gamefront[...] 2012-09-11
[15] 웹사이트 Good Idea, Bad Idea: The silent protagonist http://www.destructo[...] 2012-09-11
[16] 웹사이트 Silent Protagonists http://www.screwatta[...] 2012-09-11
[17] 웹사이트 10 Things You Never Knew About Fire Emblem's Robin https://www.thegamer[...] 2019-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