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탈루냐의 상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탈루냐의 상징은 카탈루냐를 대표하는 공식적, 비공식적 상징들을 총칭한다. 공식 상징으로는 카탈루냐기, 카탈루냐 국경일, 카탈루냐의 국가, 카탈루냐 자치정부 문장 등이 있으며, 역사적 상징으로는 카탈루냐 헌법, 성 조지의 십자가, 팔라우 데 라 제네랄리타트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민속, 종교, 지리, 음식, 동식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카탈루냐를 상징하는 요소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카탈루냐의 상징 | |
---|---|
개요 | |
![]() | |
세녜라 설명 | 카탈루냐의 깃발 |
![]() | |
문장 설명 | 카탈루냐의 공식 문장 |
국가 | 엘스 세가도르 |
엘스 세가도르 설명 | 카탈루냐의 국가 |
주요 상징 | |
국기 | 세녜라 |
문장 | 카탈루냐의 문장 |
국가 | 엘스 세가도르 |
수호 성인 | 성 조지 |
상징색 | 빨간색 노란색 (금색) |
기타 상징 | |
꽃 | 양귀비 |
동물 | 카탈루냐 당나귀 |
거인 | 카탈루냐의 거인 |
배 | 바르셀로나의 산타 마리아 |
전통춤 | 사르다나 |
2. 공식 상징
카탈루냐의 공식 상징은 다음과 같다.
그림 | 명칭 | 설명 | 지정일 |
---|---|---|---|
카탈루냐기 | 카탈루냐 문장을 기반으로 제작된 기로 카탈루냐 공식 상징물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이다. 금색 바탕에 네 개의 붉은 줄이 그어진 모습으로, 12세기에 처음 등장했다. | 1933년 5월 25일 | |
![]() | 카탈루냐 국경일 | 라 디아다 (La Diada)[23]는 매년 9월 11일이다. 1714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당시 바르셀로나 포위전에서 패배한 것을 기념한다. | 1980년 6월 12일 |
Els Segadors | 〈Els Segadors〉 (추수꾼)은 카탈루냐의 공식 국가이다. 19세기 후반부터 카탈루냐인의 비공식가로 불리기 시작하였으며 1993년 법령 제정을 통해 공식 지정되었다. | 1993년 1월 19일 | |
카탈루냐 자치정부 문장 | 카탈루냐 문장을 변형해 만든 카탈루냐 자치정부의 공식 상징물이다. 1932년 스페인 제2공화국 시절에 채택되었다. | 1932년 | |
![]() | 카탈루냐 자치정부 금메달 | 카탈루냐 최고의 수훈장으로 인정받는다. | 1978년 5월 17일 |
성 요한 십자상 | 카탈루냐의 역사적 상징인 성 요한 십자가를 기반으로 한 카탈루냐 최고의 상징물이다. 1981년 12월 18일 카탈루냐 자치정부의 법령 제정으로 도입되었다. | 1981년 12월 18일 |
2. 1. 공식 국가 상징
그림 | 명칭 | 설명 | 지정일 |
---|---|---|---|
카탈루냐기 | 카탈루냐기(세녜라, Senyera)는 카탈루냐 문장을 기반으로 제작된 기로 카탈루냐 공식 상징물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이다. 금색 바탕에 네 개의 붉은 줄이 그어진 모습으로, 12세기에 처음 등장했다. 기의 비율은 2:3이다. | 1933년 5월 25일 | |
카탈루냐 국경일 | 카탈루냐 국경일, 일명 라 디아다(La Diada)[23]는 매년 9월 11일이다. 1714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당시 바르셀로나 포위전에서 패배한 것을 기념한다. | 1980년 6월 12일 | |
Els Segadors | 〈Els Segadors〉(추수꾼)은 카탈루냐의 공식 국가이다. 19세기 후반부터 카탈루냐인의 비공식가로 불리기 시작하였으며 1993년 법령 제정을 통해 공식 지정되었다. | 1993년 1월 19일 |
2. 2. 기타 공식 상징
그림 | 명칭 | 설명 | 지정일 |
---|---|---|---|
카탈루냐 자치정부 문장 | 카탈루냐 문장을 변형해 만든 카탈루냐 자치정부의 공식 상징물이다. 1932년 스페인 제2공화국 시절에 채택되었다. 공화국 시절에 만들어져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남아있는 몇 안되는 상징물이기도 하다. | 1932년 | |
카탈루냐 자치정부 금메달 | 카탈루냐 최고의 수훈장으로 인정받는다. | 1978년 5월 17일 | |
성 요한 십자상 | 카탈루냐의 역사적 상징인 성 요한 십자가를 기반으로 한 카탈루냐 최고의 상징물이다. 1981년 12월 18일 카탈루냐 자치정부의 법령 457/1981호 제정으로 도입되었다. 메달 디자인은 카탈루냐 금세공인 호아킴 카페데빌라가 맡았다. | 1981년 12월 18일 |
카탈루냐 헌법(''Constitucions catalanes'')은 바르셀로나 백작으로서 군주가 반포하고 카탈루냐 코르테스에서 승인한 카탈루냐 공국의 법률이었다. 최초의 헌법은 1283년에 반포되었고, 마지막 헌법은 1706년에 반포되었다. 이 헌법들은 다른 법률보다 우선하며 코르테스 자체에서만 폐지할 수 있었다.[7]
3. 역사적 상징
과거 카탈루냐 공국의 카탈루냐 헌법, ''우사제스(Usages)'', 콩셀 데 센트, 카탈루냐 코르테스, 제네랄리타트와 같은 특정 기관들은 카탈루냐인들에게 고대 지방 자치 정부 형태의 역사적 상징으로 여겨진다.
공통의 역사와 공유된 경험, 그리고 수 세기 동안 다양한 수준에서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많은 전통적인 카탈루냐 상징은 아라곤, 발렌시아 공동체, 발레아레스 제도의 상징과 중첩된다. 이는 종종 아라곤 왕관과 문화적으로 카탈루냐 지역이었던 지역을 둘러싼 문화, 역사 및 언어 문제에 대한 상이한 인식에 관한 갈등을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논란의 원인이 된다. 고대 왕들이 묻힌 포블레 수도원과 같은 장소는 특히 12세기에 카탈루냐를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된 공통 상징으로 존경받고 있다.[7]이미지 설명 카탈루냐 헌법 성 조지의 십자가 팔라우 데 라 제네랄리타트 포블레 수도원
3. 1. 군사적 성격의 역사적 상징
과거 카탈루냐의 존속과 생존은 사라센과의 끊임없는 전투에서 승리하는 것에 달려 있었다. 따라서 많은 고대 카탈루냐 상징은 군사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파레 데 라 파트리아'''("국가의 아버지")로도 알려져 있는 오트제르 카탈로와 노우 바론스 데 라 파마, 정복왕 하이메, 알모가바르스, 베르나트 데 로카포르트, 콩데 탈라페로가 대표적이다. 현재의 "모로스 이 크리스티안스" 민속 축제는 카탈루냐인들이 침략을 견딜 수 있게 해준 무어인(또는 무슬림)과의 전투를 기념한다.[8]
낫과 함께 엘스 세가도르스 국가는 수확자 전쟁(1640 - 1659)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팀발레르 델 브루크''(엘 브루크의 드러머)는 반도 전쟁(1808 - 1814) 동안 카탈루냐에서 나폴레옹 1세의 군대에 맞선 저항을 기념한다.
4. 민속 및 대중적 상징
역사적, 정치적, 종교적 성격을 지닌 상징 외에도 경우와 맥락에 따라 다소 심각한 다른 대중적인 카탈루냐 상징들이 있다.
이러한 상징들 중 다수는 민속에서 유래한다. 예를 들어 사르다나 춤, 카스텔러와 헤간츠 이 카프그로소스, 그리고 드래곤과 그 파생물인 쿠카페라, 비브리아, 박쥐 등이 있다. 여름 축제에서 "푸빌라"를 선출하는 것은 카탈루냐 시골에서 세습 재산의 전달을 기반으로 한 오래된 전통에서 유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투펫, 생 조르디 축일의 붉은 장미, 니트 데 산트 호안의 불꽃, 코레포크, 전통 모자 바레티나, 포론, 티오 데 나달, 그리고 카가네르와 같은 특정한 전통적이고 "전형적인" 상징들이 언급할 가치가 있다.
카탈루냐를 대표하는 가장 유명한 국제적인 상징 중 하나는 FC 바르셀로나이다. 이 지역의 축구 팀은 팬들인 ''쿨레스''의 열정적인 지지를 받는다. 매 시즌 ''바르사''는 오랜 라이벌인 레알 마드리드와의 ''엘 클라시코''에서 라 리가에서 가장 유명한 라이벌 관계 중 하나를 펼친다. 정도는 덜하지만, USAP 페르피냥 럭비 팀 역시 일부 카탈루냐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카탈루냐의 비공식 국가대표팀으로 간주된다.
5. 종교적 상징
몬세라트의 검은 성모, 성 게오르기우스, 다른 성모 마리아와 성인, ''페세브르'', ''니트 데 레이스'' 및 크리스마스 축제와 같은 조상들의 상징은 기독교 교리에서 유래되었다. 이러한 상징은 교회나 성당이 카탈루냐 마을의 중심에 있었고 사제에 대한 존경심에 의문이 없던 시대의 산물이었다. 기독교 십자가와 그리스도의 희생을 상징하는 색깔인 "몸과 피"를 뜻하는 흰색과 빨간색은 카탈루냐 전통 문장의 많은 부분에 영감을 주었다. 일부 오래된 기독교 상징은 현재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10] 현재 카탈루냐 사회는 전통적인 조상보다 더 세속적이라고 여기는 탈기독교 사회의 상태에 있다.
카탈루냐 전역의 많은 마을, 도시 및 산의 이름(예: ''산타 수사나'', ''산 사두르니 다노이아'', ''산 요렌스 델 문트'')과 영토 전역에 널리 퍼져 있는 수많은 예배당과 은둔소는 카탈루냐 사람들의 조상들의 신앙의 증거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상징의 의미가 크게 축소되었다. 19세기까지 모든 카탈루냐 사람들이 기독교 상징에 의해 대표된다고 느꼈지만, 오늘날에는 소수만이 이를 중요하다고 여긴다.[11]
1905년에 작가이자 주교인 호세프 토라스 이 바제스(1846–1916)는 카탈루냐 민족이 미래에 지속적이고 의미있는 존재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기독교인이 되어야 한다고 확신하며, 엔릭 프라트 데 라 리바(1870–1917)의 "강경한 민족주의"가 보여주는 정교분리주의를 강하게 비판했다.
토라스 이 바제스에 따르면, 또 다른 카탈루냐 상징인 세니 (일종의 상식과 지혜)는 고대 카탈루냐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12] 이 논쟁을 분석한 가이에타 솔레르 이 페레호안(1863–1914)은 "카탈루냐에는 두 개의 '상반된 비전'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한편으로는 "세니"와 전통에 기반하여 호의적인 사회 복원을 촉진하려는 가톨릭적 비전, 즉 카탈루냐의 신앙, 사회적, 법적 관습을 목표로 하는 비전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 개선보다는 정치적 권위를 달성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편리한 것에 기반한 무관심한 비전이 있다."[13]
6. 지리적 상징
![]() | 몬세라트 |
![]() | 카니구 |
![]() | 페드라포르카 |
카니구, 몬세라트와 인상적인 쌍봉의 페드라포르카와 같은 산들은 지역 민속에 따라 신화적 속성을 부여받은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상징이다.
카탈루냐 문화권의 특정 도시들은 카탈루냐어 또는 그 변종이 사용되는 가장 극단적인 지리적 지점으로서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최북단인 살세스, 최남단인 과르다마르(발렌시아어), 최동단인 마오(메노르카어), 최서단인 프라가가 있다.
7. 음식
![]() | 빵과 토마토(`pa amb tomàquet`)는 카탈루냐의 대표적인 요리이다. 빵에 토마토를 문지르고 올리브 오일과 소금으로 간을 한 음식이다. |
칼솟은 쪽파 또는 파의 일종이다. "칼솟타다"는 타라고나에서 칼솟 수확을 기념하는 연례 행사이다. 센 불에 구워 껍질을 벗긴 후 맨손으로 하나씩 로메스코 소스에 찍어 먹으며, 레드 와인과 빵을 곁들인다. | |
![]() | 보티파라는 돼지의 큰 창자로 만든 소시지로, 다진 양념된 돼지고기를 채우고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한다. "보티파라 암 몽게테스"("콩을 곁들인 보티파라")는 가장 대표적인 카탈루냐 요리 중 하나이다. |
![]() | 에스쿠델라 이 카르 드 올라는 전통적인 고기 및 채소 스튜이자 수프이다. 마늘과 파슬리로 양념한 큰 미트볼인 "필로타"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샐러리, 양배추, 당근 등과 같은 채소와 뼈, 보티파라 및 기타 종류의 고기도 들어간다. 크리스마스에는 "갈레트"라고 알려진 달팽이 모양의 파스타가 포함된다. |
![]() | 크레마 카탈라나("카탈루냐 크림")는 프랑스의 크렘 브륄레와 비슷한 디저트이다. 달걀 노른자, 우유, 설탕, 옥수수 가루(현대식 조리법), 그리고 레몬 껍질, 계피 또는 바닐라와 같은 향료를 사용하여 바삭한 캐러멜 껍질을 만든다.[14] |
![]() | 카바는 주로 페네데스 지역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스파클링 와인이다. 흰색(`블랑`) 또는 로제(`로사트`)일 수 있다. |
8. 동식물
이미지 | 설명 |
---|---|
![]() | "ruc català" 또는 "burro català"(카탈루냐 당나귀)는 카탈루냐와 루시용에서 온 대형 가축 당나귀 품종이다. 이는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국가 상징으로, 많은 카탈루냐인들이 중앙 집권적인 상징으로 인식하는 스페인 중앙 정부의 오스본 황소에 대항하기 위해 카탈루냐적인 것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을 느껴 만들어졌다.[15] |
Víbria(와이번)는 두 다리와 박쥐 날개를 가진 신화 속 용으로, 때로는 여성적인 특징(두드러진 가슴 등)을 가지며, 독수리의 부리와 발톱, 날개처럼 조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라곤 왕국의 왕들은 개인적인 문장으로 사용했다. 오늘날에는 카탈루냐의 전통적인 지역 축제에서 자주 묘사된다. | |
![]() | 노란색 싸리(카탈루냐어: ginesta)는 특히 붉은 개양귀비와 함께 카탈루냐의 국가 꽃으로 여겨져 왔다.[16] |
![]() | Pi de les Tres Branques는 Castellar del Riu 시에 위치한 개별적인 소나무이다. 19세기 말부터 세 개의 "카탈루냐 국가"의 단결을 상징하는 곳으로 여겨졌으며, 정치적, 문화적 모임의 장소였다. |
![]() | 카탈루냐 양치기 개(카탈루냐어: 'Gos datura català'')는 카탈루냐 피레네 산맥의 개 품종으로, 양치기 개로 사용된다. |
![]() | 불사조는 19세기 낭만주의 부흥 운동인 카탈루냐어와 문화의 부흥 운동인 Renaixença와 특히 관련이 있는 신화 속 생물이다.[17] |
참조
[1]
서적
" Léon Jéquier. Actes du II Colloque international d'héraldique"
Académie internationale d'héraldique
1981
[2]
간행물
"L'heraldique catalane au moyen age"
Hidalguia
1957-05-06
[3]
서적
"Heràldica catalana: des l'any 1150 al 1550"
Quaderns Crema
1982
[4]
간행물
L'origine des armoiries de la Catalogne"
II Simposi numismàtic de Barcelona
1980
[5]
웹사이트
Statute of Catalonia (Article 8)
http://web.gencat.ca[...]
Gencat.cat
2018-07-11
[6]
웹사이트
Law 1/1980 where the Parliament of Catalonia declares that 11th of September is the National Day of Catalonia
http://noticias.juri[...]
[7]
서적
Història de la restauració de Poblet: destrucció i reconstrucció de Poblet
Abadia de Poblet
1983
[8]
웹사이트
Ramon Cuéllar i Sorribes ''Auca de N'Otger Catalò''
http://www.rodolins.[...]
2009-02-05
[9]
서적
'Traditional Festivals'
2005
[10]
뉴스
"Paisatges d'hivern (La barbaritat de fer un pessebre sense pessebre o una truita sense ou)."
AVUI
2005-01-02
[11]
웹사이트
El Barça tolera un escut sense la creu en un acte al Marroc
http://esports.e-not[...]
[12]
서적
La tradició catalana
1892
[13]
서적
"Església i societat a la Catalunya contemporània"
https://books.google[...]
[14]
웹사이트
Los 10 errores que cometes al hacer crema catalana y natillas
https://www.lavangua[...]
2020-03-20
[15]
웹사이트
Ruc català - (Catalan donkey)
http://www.fuives.co[...]
[16]
웹사이트
La ginesta, flor nacional de Catalunya
http://www.festes.or[...]
[17]
서적
Barcelona and Modernity, Picasso Gaudí Miró Dalí
2006
[18]
서적
" Léon Jéquier. Actes du II Colloque international d'héraldique"
Académie internationale d'héraldique
1981
[19]
간행물
"L'heraldique catalane au moyen age"
Hidalguia
1957-05-06
[20]
서적
"Heràldica catalana: des l'any 1150 al 1550"
Quaderns Crema
1982
[21]
간행물
L'origine des armoiries de la Catalogne"
II Simposi numismàtic de Barcelona
1980
[22]
웹인용
Statute of Catalonia (Article 8)
http://www.gencat.ne[...]
Gencat.net
[23]
웹사이트
Law 1/1980 where the Parliament of Catalonia declares that 11th of September is the National Day of Catalonia
http://noticias.ju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