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카탈루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카탈루냐는 스페인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 지역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한 유적을 가지고 있다. 로마 제국, 서고트 왕국,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162년 바르셀로나 백작의 카탈루냐 군주국이 성립되어 18세기까지 존속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카스티야 왕국에 편입되었으며, 1931년 스페인 제2공화국 수립과 함께 자치권을 얻었으나, 스페인 내전으로 프랑코 정권의 탄압을 받았다. 1975년 프랑코 사망 후 자치권을 회복했으며, 2006년 자치헌장이 제정되었으나 2010년 위헌 판결로 독립 지지 운동이 고조되었다. 2017년 독립 주민 투표와 독립 선언을 했지만, 스페인 중앙 정부의 직접 통치를 받았다. 카탈루냐는 풍부한 자연환경과 다양한 기후를 보이며, 바르셀로나를 중심으로 경제, 문화, 관광이 발달했다. 언어는 카탈루냐어와 스페인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인간의 탑과 사르다나 춤이 대표적인 문화적 상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탈루냐 - 카탈루냐의 상징
    카탈루냐의 상징은 카탈루냐를 대표하는 공식, 비공식적 상징들을 총칭하며, 카탈루냐기, 국경일, 국가, 자치정부 문장 등 공식 상징과 헌법, 성 조지의 십자가, 팔라우 데 라 제네랄리타트 등 역사적 상징을 포함하여 민속, 종교, 지리, 음식, 동식물 등 다양한 분야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 카탈루냐어권 - 안도라
    안도라는 피레네 산맥 동부에 위치한 산악 국가로, 프랑스와 스페인 사이에 있으며, 1993년 헌법 제정 이후 우르젤 주교와 프랑스 대통령을 공동 군주로 하는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 카탈루냐어권 - 발레아레스 제도
    발레아레스 제도는 스페인에 속한 지중해 서부의 군도로, 마요르카, 메노르카, 이비자, 포르멘테라 등의 섬으로 구성되어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산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쳐 지중해성 기후와 카탈루냐어,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관광지이다.
  • 스페인어권 - 멕시코
    멕시코는 북아메리카 남부에 위치한 연방 공화국으로, 아즈텍 문명에서 유래된 국명을 가지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바탕으로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으로 발전했다.
  • 스페인어권 - 필리핀
    필리핀은 7,641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동남아시아의 섬나라 공화국으로,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 지배를 거쳐 1946년 독립하였으며,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카탈루냐
지도 정보
스페인 내 카탈루냐 위치 (카나리아 제도 포함)
스페인 내 카탈루냐 위치 (카나리아 제도 포함)
스페인 및 유럽 내 카탈루냐 위치
스페인 및 유럽 내 카탈루냐 위치
기본 정보
이름카탈루냐


공식 명칭

지위자치주
카탈루냐의 기
카탈루냐의 기 사니에라
카탈루냐 자치정부의 문장
카탈루냐 자치정부의 문장
표어(없음)
국가스페인
州都바르셀로나
최대 도시바르셀로나
면적32,114 km²
면적 순위6위 (스페인 내)
인구8,067,454명 (2024년 추정)
인구 순위2위 (스페인 내)
인구 밀도234.1 명/km² (2011년 기준)
인구 밀도235.3 명/km² (2017년 추정)
주민 호칭카탈루냐인
GDP2551억 5400만 유로 (2022년)
GDP 순위2위 (스페인 내)
1인당 GDP32,550 유로 (2022년)
1인당 GDP 순위4위 (스페인 내)
인간 개발 지수 (HDI)0.916 (2021년)
HDI 순위4위 (스페인 내)
정치
정치 체제자치 정부 형태의 입헌 군주국
정부카탈루냐 자치 정부
입법부카탈루냐 의회
총리살바도르 일랴
하원 의석48석
상원 의석24석
자치법1932년 (첫 번째 자치 헌장)
1979년 (두 번째 자치 헌장)
2006년 (세 번째 자치 헌장 - 현재 시행 중)
공용어카탈루냐어
스페인어
오크어 (아란어)
카탈루냐 수화
행정 구역바르셀로나 주
지로나 주
예이다 주
타라고나 주
역사
형성801년 (바르셀로나 백국)
1137년 (아라곤 왕국과의 동군연합)
1173년 (카탈루냐 법적 정의)
1516년 (카스티야와의 동군연합, 카를 1세 통치)
1716년 (누에바 플란타 법령)
기타
국가스페인
지역 번호+34 93 (바르셀로나 주)
+34 97 (카탈루냐 나머지 지역)
ISO 3166-2ES-CT
통화유로 (€)
시간대중앙 유럽 표준시 (UTC+1)
서머타임중앙 유럽 서머타임 (UTC+2)
우편번호08XXX (바르셀로나 주)
17XXX (지로나 주)
25XXX (예이다 주)
43XXX (타라고나 주)
수호 성인성 게오르기우스
몬세라트의 성모
공휴일9월 11일
국가스페인
국가스페인
국가스페인
국가스페인
공식 홈페이지카탈루냐 자치 정부 웹사이트
국가스페인
국가스페인
국가스페인
국가스페인
국가스페인
국가스페인
국가스페인
국가스페인

2. 역사

카탈루냐는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던 지역으로, 로마 제국, 서고트 왕국,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1162년 바르셀로나 백작 가문의 카탈루냐 군주국이 성립되어 18세기까지 존속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이던 1714년 바르셀로나 공방전에서 패배하면서 카스티야 왕국에 병합되었다.

1931년 스페인 제2공화국 수립으로 카탈루냐는 자치권을 얻었으나, 1936년 스페인 내전 발발 후 프란시스코 프랑코 군대에 점령당했다. 1939년 프랑코 정권 수립 이후 카탈루냐 자치 정부와 헌장은 폐지되었고, 공화정 지지 인사들은 투옥되거나 처형되었다. 카탈루냐어를 비롯한 카탈루냐의 상징, 전통 문화, 지명 등은 탄압받았다.[60]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 카탈루냐는 경제 성장을 이루었고 외국 자본 투자와 관광객이 증가했다. 1975년 프랑코 사후 스페인에 민주주의 체제가 회복되면서 카탈루냐는 다시 자치권을 회복했다.

카탈루냐는 스페인의 일부이지만, 오랜 기간 스페인 중심부인 카스티야 지역과 다른 문화와 가치관을 유지하며 갈등을 겪었고, 20세기 초부터 카탈루냐 독립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2014년 카탈루냐는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 투표를 실시하여 81%의 찬성표를 얻었으나, 스페인 정부는 이를 불법 선거로 규정했다. 2017년 카탈루냐 독립 국민투표에서는 찬성률이 91.96%에 달했고, 카탈루냐 정부는 카탈루냐 독립선언을 통해 카탈루냐 공화국을 선포했으나, 스페인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무효화했다.

2. 1. 고대

카탈루냐 지방에는 구석기 시대 때부터 인류가 살았던 유적이 있다. 모로스의 바위에는 이베리아 지중해 분지의 암각화로 세계유산으로 보호되고 있는 그림이 있다.

모로스의 바위 암각화


바뇨레스에서는 하악골이 발견되었는데, 일부에서는 네안데르탈인 이전 시대인 약 20만 년 전의 것으로 보기도 하고, 다른 자료에서는 그보다 훨씬 후대의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26] 후기 구석기 시대 또는 중석기 시대의 중요한 유적들은 기원전 8000년에서 5000년 사이에 만들어졌으며, 산트 그레고리와 엘 필라도르 등의 유적이 있다. 모이아네스 지역에서는 발마 델 가이(후기 구석기 시대)와 발마 드 레스플루가(후기 구석기 시대 말기 및 초기 신석기 시대) 등 중요한 유적들이 발굴되었다.[27]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5000년경 카탈루냐에서 시작되었지만, 풍부한 삼림 덕분에 수렵 채집 문화가 계속 유지되면서 정착 생활은 다른 지역에 비해 느리게 발전했다. 바뇨레스의 라 드라가는 "기원전 6천년기 말에 해당하는 초기 신석기 시대 마을"의 예이다.[28]

구석기 시대는 기원전 2500년에서 1800년 사이에 카탈루냐에서 발전했으며, 구리 제품 제작이 시작되었다.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1800년에서 700년 사이에 해당하며, 세그레 강 하류 지역에 일부 정착지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동기 시대는 인도유럽어족이 우른필드 문화를 통해 기원전 1200년경부터 여러 차례 이주해 오면서 시작되었으며, 이들은 최초의 원시 도시 정착지를 건설했다.[29] 기원전 7세기 중엽경에는 철기 시대가 카탈루냐에 도래했다.

2. 2. 중세

서고트 왕국,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1162년에 바르셀로나 백작의 카탈루냐 군주국이 성립하여 18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휘말려, 1714년 바르셀로나 공방전에서 패배한 카탈루냐는 카스티야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바르셀로나 백국의 문장 기원'', 클라우디 로렌잘레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이 지역은 서고트족에 의해 정복되었고, 약 2세기 반 동안 서고트 왕국의 일부로 통치되었다. 718년에는 이슬람 세력의 지배하에 들어가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속주인 알-안달루스의 일부가 되었다. 760년 루시옹 정복에서부터 801년 바르셀로나 점령까지 프랑크 왕국은 세프티마니아와 료브레가트 강 사이의 지역을 이슬람 세력으로부터 장악하고, 강력한 군사력을 갖춘 자치적인 백국들을 설립하였다. 이 백국들은 역사적으로 고트 및 히스파닉 변경령의 일부를 형성했는데, 이는 알-안달루스로부터의 이슬람 세력의 추가 침입에 대한 프랑크 왕국의 방어벽 역할을 하는, 프랑크 왕국 남부의 옛 세프티마니아와 이베리아 반도 북동부의 완충지대였다.[30]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4세(왼쪽), 아라곤의 페트로닐라(오른쪽) 그리고 그들의 아들 알폰소 2세(아라곤 국왕이자 바르셀로나 국왕), 아라곤 연합왕국의 왕조 결합


이 백국들은 프랑크 황제가 임명한 프랑크의 봉신이자, 그들에게 봉토를 갖고 있던 바르셀로나 백작들의 지배를 받았다 (801–988). 이 백국들에 대해 "카탈루냐"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된 것은 111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9세기 말, 바르셀로나 백작 털복숭이 빌프레드 (878–897)는 자신의 작위를 세습으로 만들어 바르셀로나 가문의 왕조를 세웠고, 이 왕조는 1410년까지 카탈루냐를 통치했다.

엠푸리아스 백작 위그 4세와 마요르카 정복 당시 페로 마사(1229)


15세기 카탈루냐 의회 미니어처


988년 보렐 2세 바르셀로나 백작은 새로운 프랑크 국왕 위그 카페를 자신의 국왕으로 인정하지 않았는데, 이는 프랑크 지배로부터의 종속 관계 상실을 보여주고, 그의 후계자들(라몬 보렐 1세 이후)이 카롤링거 프랑크 왕국의 권력을 찬탈자로 여긴 카페 왕가로부터 독립적임을 확인하는 것이다.[31] 11세기 초 카탈루냐 백국들은 중요한 봉건화 과정을 겪었지만, 교회가 후원한 평화와 휴전 집회의 노력과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1세 (1035–1076)가 반란을 일으킨 귀족들과의 협상에 개입함으로써 새로운 봉건 질서하에서 백작의 권위가 부분적으로 회복되었다. 이를 위해 라몬 베렝게르는 성문화된 바르셀로나 관습법에서 법률을 수정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유럽 최초의 봉건법 편찬 중 하나였다.

1137년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4세는 아라곤 국왕 라미로 2세의 제안을 받아들여 아라곤 왕국을 받고 그의 딸 페트로닐라와 결혼하여, 바르셀로나 백국과 아라곤의 왕조적 결합을 이루고, 나중에 아라곤 연합왕국으로 알려지게 된 복합 군주국을 만들었으며, 바르셀로나 백국과 봉신 관계를 맺거나 합병된 카탈루냐 백국들을 아라곤 왕관의 공국으로 만들었다. 그의 아들 알폰소 치세인 1173년, 카탈루냐는 최초로 법적 실체로 간주되었고, 바르셀로나 관습법이 카탈루냐의 법과 관습 (''Consuetudinem Cathalonie'')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편찬되었으며, 이는 "카탈루냐 정치 정체성의 이정표" 중 하나로 여겨진다.[32]

1258년 코르베유 조약에 따라, 아라곤 국왕이자 바르셀로나 백작, 마요르카 국왕이자 발렌시아 국왕이었던 아라곤의 하이메 1세는 오크시타니아에 대한 자신의 가족의 권리와 영토를 포기한 반면, 프랑크 국왕 루이 9세는 푸아 백국을 제외하고 카탈루냐 백국에 대한 역사적 봉건적 영주권 주장을 공식적으로 포기했다(하이메 국왕의 반대에도 불구하고).[33] 이 조약은 프랑스의 관점에서 볼 때, 지난 3세기 동안 수립되고 행사되어 온 카탈루냐 백국의 독립을 확인했지만, 카탈루냐와 랑그도크 지역의 불가피한 분리를 의미하기도 했다.

해안 지역인 카탈루냐는 아라곤 왕관의 해군 기지를 형성하여 지중해에서 왕관의 권력을 확장했고, 바르셀로나는 강력하고 부유한 도시가 되었다. 1164년부터 1410년까지 발렌시아 왕국, 마요르카 왕국, 사르데냐 왕국, 시칠리아 왕국, 그리고 잠시 공국아테네와 네오파트라가 아라곤 가문의 왕조 영토에 편입되었다. 이러한 확장은 카탈루냐 무역의 큰 발전을 수반하여 지중해 전역에 걸쳐 광범위한 무역망을 구축했고, 제노바베네치아의 해양 공화국들과 경쟁했다.

동시에 카탈루냐 공국은 왕국과 삼부회 간의 계약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복잡한 제도적, 정치적 시스템을 발전시켰다. 카탈루냐의 법률은 유럽 최초의 의회 기구 중 하나인 카탈루냐 의회 (''Corts Catalanes'')를 통과해야 했는데, 1283년 이후로 군주와 함께 입법권을 얻었다.[34] 의회는 "무기"(braços)로 조직된 3개의 삼부회로 구성되어 군주가 의장을 맡았고, 공국의 주민들을 위한 권리의 편찬을 설정한 카탈루냐 헌법을 승인했다. 일반 세금을 징수하기 위해 1359년 카탈루냐 의회는 "총대표단" 또는 총독부로 알려진 상설 대표 기구를 설립했는데, 이는 다음 세기에 상당한 정치적 권력을 얻었다.[35]

아라곤 연합왕국의 시대별 지도. 카탈루냐 공국은 연한 녹색으로 표시됨


아라곤 왕관의 영토는 흑사병 전염병과 그 이후의 페스트 발생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1347년부터 1497년까지 카탈루냐는 인구의 37%를 잃었다.[36] 1410년, 바르셀로나 가문의 마지막 재위 군주인 마르틴 1세 국왕이 생존하는 후손 없이 사망했다. 카스페 협정 (1412)에 따라 아라곤, 발렌시아 왕국과 카탈루냐 공국의 대표들은 카스티야 트라스타마라 가문 출신인 페르난도를 아라곤 연합왕국의 국왕으로 임명했다.[37] 그의 아들 후안 2세 치세 동안, 공국의 지속적인 경제 위기와 사회적, 정치적 긴장은 카탈루냐 내전 (1462–1472)과 레멘사 전쟁 (1462–1486)으로 이어져 카탈루냐를 쇠약하게 만들었다. 과달루페 중재 판결 (1486)은 레멘사 농민들을 봉건적 악습으로부터 해방시켰다.

후기 중세 시대, 카탈루냐와 마요르카, 발렌시아 왕국에서 카탈루냐 문학이 번영하여 철학자 라몬 유유, 발렌시아 시인 아우시아스 마르크, 1490년에 소설 ''티랑트 로 블랑크''를 출판한 호아노트 마르토렐과 같은 저명한 작가들이 등장했다.

카탈루냐 공국에는 봉건제가 자리 잡았고, 다른 기독교 세력들과 함께 레콩키스타(국토 회복 운동)에 참여했다. 1153년에는 카탈루냐 공국의 경계가 에브로 강까지 남하했다. 1137년에는 아라곤-카탈루냐 연합 왕국이라 불리는 동군 연합이 성립되었지만, “카탈루냐”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하는 것은 이 시대이다. 1147년에는 알리칸테까지의 지중해 연안이 카탈루냐의 땅이 되었고, 라몬 베랑게 4세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진 군주가 되었다.

아라곤-카탈루냐 연합 왕국의 최대 영토(1443년)


이후 바르셀로나 백작은 피레네 산맥 이북으로의 진출도 시도했다. 하이메 1세(자우메 1세)(정복왕)는 이슬람교도로부터 마요르카 섬, 발렌시아, 무르시아를 탈환했다. 하이메 1세는 코르츠라 불리는 신분제 의회(성직자·귀족·왕령)를 도입하여 재정·사법·입법 등에 권한을 행사했다. 1258년에는 코르베유 조약에 의해 프랑스가 공식적으로 카탈루냐 공국의 독립을 승인했다. 1282년 시칠리아 만종 이후에는 아라곤 왕 페드로 2세가 시칠리아 왕에 즉위했다. 카탈루냐가 “공국”(principat)이라 불리게 된 것은 페드로 3세의 치세이다. 1354년에는 자나랄리타트(의회의 결정 집행 기관)가 상설되었고, 군주의 부재시나 긴급시에는 자나랄리타트가 국가를 통치했다.

하이메 1세가 카탈루냐의 지중해 진출의 기반을 마련하고, 그 후계자들이 “카탈루냐 제국”이라고도 불리는 지중해 제국을 건설했다. 카탈루냐 상인들은 북아프리카의 마그레브 지역, 그리스의 로도스 섬, 키프로스 섬, 서아시아의 다마스쿠스 등에도 세력을 확장했고, 지중해 중앙부에서는 시칠리아 섬이 정치적 거점이 되었다. 수도 바르셀로나에는 지중해 전체에 권한이 미치는 상업 조직이 생겼고, 15세기 초 바르셀로나에는 상품 거래소가 존재했다. 1410년에는 아라곤, 카탈루냐, 발렌시아 3왕국이 투표하는 카스페의 타협으로 후계자를 선출하여, 카스티야 트라스타마라 가문 출신인 페르난도 데 안테케라(페르난도 1세)가 카탈루냐 공국의 새로운 군주로 선출되었다. 알폰소 5세의 치세에는 이베리아 반도, 이탈리아 반도(나폴리 왕국), 알바니아, 슬로베니아, 몰타, 에게 해의 여러 섬이 지배하에 있었고, 아라곤-카탈루냐 연합 왕국의 영토는 최대가 되었다.

1461년, 왕위 계승 분쟁으로 폭동이 발생했다.

2. 3. 근세

카탈루냐 공국(1608)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 여왕은 1469년 결혼하여 가톨릭 군주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이후 역사가들은 이 사건을 통일된 스페인의 시작으로 보았다. 당시 결혼으로 통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카스티야와 아라곤 왕관은 각각의 전통적인 제도, 의회, 법률 및 통화를 유지하며 별개의 영토를 유지했다.[38] 카스티야는 아메리카로 탐험대를 파견하여 아메리카 스페인 식민지화를 통해 얻은 부를 누렸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통합된 스페인 왕국의 군사 비용의 주요 부담을 떠안았다. 이사벨의 사망 후, 페르디난드 2세는 두 왕관을 직접 통치했다.

외조부모인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로부터 계승권을 얻은 스페인의 샤를 1세는 1516년 자신의 권리로 카스티야와 아라곤 왕관을 동시에 통치한 최초의 국왕이 되었다. 그의 부계(합스부르크가) 조부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사망 후, 그는 151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로 선출되었다.[39]

''Corpus de Sang''(1640년 6월 7일), 수확자 전쟁의 주요 사건 중 하나. 1910년에 그려짐


다음 몇 세기 동안 카탈루냐 공국은 스페인에서 권력의 중앙 집중화를 꾸준히 가져온 일련의 전쟁에서 일반적으로 패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6세기와 18세기 사이에 지역 및 일반 카탈루냐 정부에 대한 정치 공동체의 참여가 증가하여(따라서 헌법 시스템이 강화됨) 국왕들은 총독에 의해 대표되는 동안 부재했다. 카탈루냐 제도와 군주제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프랑스-스페인 전쟁으로 인해 공국에 스페인 왕실 군대가 대규모로 주둔하게 되면서 농민들이 봉기하여 수확자 전쟁(1640-1652)이 발생했다. 이 전쟁에서 카탈루냐는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30년 전쟁 중에 카탈루냐의 권리를 침해한 스페인 왕관에 맞서 (공화국으로 잠시 동안, 총독부 의장 파우 클라리스의 지휘하에) 반란을 일으켰다.[40] 짧은 기간 동안 프랑스가 카탈루냐를 완전히 장악했다. 카탈루냐의 대부분은 스페인 군주국에 의해 재정복되었지만 카탈루냐의 권리는 대부분 인정되었다. 루시옹과 세르다냐의 절반은 피레네 조약(1659)에 따라 프랑스에 넘어갔다.[41]

군주제 통치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갈등은 1700년 마지막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이었던 자녀가 없는 스페인의 샤를 2세가 상속인 없이 사망하면서 시작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1701-1715)이었다. 샤를 2세는 프랑스 합스부르크가 출신인 스페인의 필리페 5세를 선택했다. 아라곤 왕관을 구성했던 다른 영토들과 마찬가지로 카탈루냐는 스페인 왕위를 놓고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위 계승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6세를 지지하며 일어섰다. 합스부르크가와 부르봉가 사이의 스페인 왕관을 위한 싸움은 스페인과 유럽을 분열시켰다.

1714년 9월 11일 바르셀로나 함락은 부르봉 국왕 필리페 5세에게 스페인 왕관에 대한 합스부르크가의 주장을 군사적으로 종식시켰고, 이는 유트레흐트 조약에서 법적 사실이 되었다. 필리페는 카탈루냐 법원에 배신당했다고 느꼈다. 왜냐하면 1701년 그가 카탈루냐 법원을 주재했을 때 처음에 그에게 충성을 맹세했기 때문이다. 배신에 대한 보복으로, 그리고 프랑스 모델에 영감을 받아, 첫 번째 부르봉 국왕은 1707년, 1715년, 1716년 누에바 플란타 법령을 제정하여 아라곤 왕관의 영토(1716년 카탈루냐 공국 포함)를 카스티야 왕관의 속주로 편입하여, 의회, 제도 및 공법 및 행정법과 프랑스식 중앙 집중화된 절대주의 스페인 왕국 내의 정치를 종식시켰다.[42] 17세기 후반과 18세기(왕위 계승 전쟁과 전후 불안정 제외)에 카탈루냐는 성공적인 경제 성장과 전산업화 과정을 거쳤으며, 카스티야의 아메리카 식민지와의 무역 독점이 종식된 세기 후반에 강화되었다.

카탈루냐 공국에는 봉건제가 자리 잡았고, 다른 기독교 세력들과 함께 레콩키스타(국토 회복 운동)에 참여했다. 1153년에는 카탈루냐 공국의 경계가 에브로 강까지 남하했다. 1137년에는 아라곤-카탈루냐 연합 왕국이라 불리는 동군 연합이 성립되었지만, “카탈루냐”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하는 것은 이 시대이다. 1147년에는 알리칸테까지의 지중해 연안이 카탈루냐의 땅이 되었고, 라몬 베란게 4세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진 군주가 되었다.

이후 바르셀로나 백작은 피레네 산맥 이북으로의 진출도 시도했다. 하이메 1세(자우메 1세)(정복왕)는 이슬람교도로부터 마요르카 섬, 발렌시아, 무르시아를 탈환했다. 하이메 1세는 코르츠라 불리는 신분제 의회(성직자·귀족·왕령)를 도입하여 재정·사법·입법 등에 권한을 행사했다. 1258년에는 코르베유 조약에 의해 프랑스가 공식적으로 카탈루냐 공국의 독립을 승인했다. 1282년 시칠리아 만종 이후에는 아라곤 왕 페드로 2세가 시칠리아 왕에 즉위했다. 카탈루냐가 “공국”(principat)이라 불리게 된 것은 페드로 3세의 치세이다. 1354년에는 자나랄리타트(의회의 결정 집행 기관)가 상설되었고, 군주의 부재 시나 긴급 시에는 자나랄리타트가 국가를 통치했다.

하이메 1세가 카탈루냐의 지중해 진출의 기반을 마련하고, 그 후계자들이 “카탈루냐 제국”이라고도 불리는 지중해 제국을 건설했다. 카탈루냐 상인들은 북아프리카의 마그레브 지역, 그리스의 로도스 섬, 키프로스 섬, 서아시아의 다마스쿠스 등에도 세력을 확장했고, 지중해 중앙부에서는 시칠리아 섬이 정치적 거점이 되었다. 수도 바르셀로나에는 지중해 전체에 권한이 미치는 상업 조직이 생겼고, 15세기 초 바르셀로나에는 상품 거래소가 존재했다. 1410년에는 아라곤, 카탈루냐, 발렌시아 3왕국이 투표하는 카스페의 타협으로 후계자를 선출하여, 카스티야 트라스타마라 가문 출신인 페르난도 데 안테케라(페르난도 1세)가 카탈루냐 공국의 새로운 군주로 선출되었다. 알폰소 5세의 치세에는 이베리아 반도, 이탈리아 반도(나폴리 왕국), 알바니아, 슬로베니아, 몰타, 에게 해의 여러 섬이 지배하에 있었고, 아라곤-카탈루냐 연합 왕국의 영토는 최대가 되었다.

1461년, 왕위 계승 분쟁으로 폭동이 발생했다. 이것을 계기로 카탈루냐의 기세는 쇠퇴해갔다.

2. 4. 근대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 여왕은 1469년 결혼하여 가톨릭 군주라는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후 역사가들은 이 사건을 통일된 스페인의 시작으로 보았다. 당시 결혼으로 통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카스티야와 아라곤의 왕관은 각각의 전통적인 제도, 의회, 법률 및 통화를 유지하며 별개의 영토를 유지했다.[38] 카스티야는 아메리카로 탐험대를 파견하여 아메리카 스페인 식민지화를 통해 얻은 부유함으로 이익을 얻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통합된 스페인 왕국의 군사비용의 주요 부담을 떠안았다. 이사벨의 사망 후, 페르디난드 2세는 두 왕관을 직접 통치했다.

외조부모인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로부터 계승권을 얻은 스페인의 샤를 1세는 1516년 자신의 권리로 카스티야와 아라곤 왕관을 동시에 통치한 최초의 국왕이 되었다. 그의 부계(합스부르크가) 조부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사망 후, 그는 151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로 선출되었다.[39]

다음 몇 세기 동안 카탈루냐 공국은 스페인에서 권력의 중앙 집중화를 꾸준히 가져온 일련의 전쟁에서 일반적으로 패배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16세기와 18세기 사이에 지역 및 일반 카탈루냐 정부에 대한 정치 공동체의 참여가 증가하여(따라서 헌법 시스템이 강화됨) 국왕들은 총독에 의해 대표되는 동안 부재했다. 카탈루냐 제도와 군주제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프랑스-스페인 전쟁으로 인해 공국에 스페인 왕실 군대가 대규모로 주둔하게 되면서 농민들이 봉기하여 수확자 전쟁(1640-1652)이 발생했다. 이 전쟁에서 카탈루냐는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30년 전쟁 중에 카탈루냐의 권리를 침해한 스페인 왕관에 맞서 (공화국으로 잠시 동안, 총독부 의장 파우 클라리스의 지휘하에) 반란을 일으켰다.[40] 짧은 기간 동안 프랑스가 카탈루냐를 완전히 장악했다. 카탈루냐의 대부분은 스페인 군주국에 의해 재정복되었지만 카탈루냐의 권리는 대부분 인정되었다. 루시옹과 세르다냐의 절반은 피레네 조약(1659)에 따라 프랑스에 넘어갔다.[41]

군주제 통치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갈등은 1700년 마지막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이었던 자녀가 없는 스페인의 샤를 2세가 상속인 없이 사망하면서 시작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1701-1715)이었다. 샤를 2세는 프랑스 합스부르크가 출신인 스페인의 필리페 5세를 선택했다. 아라곤 왕관을 구성했던 다른 영토들과 마찬가지로 카탈루냐는 스페인 왕위를 놓고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위 계승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6세를 지지하며 일어섰다. 합스부르크가와 부르봉가 사이의 스페인 왕관을 위한 싸움은 스페인과 유럽을 분열시켰다.

1714년 9월 11일 바르셀로나 함락은 부르봉 국왕 필리페 5세에게 스페인 왕관에 대한 합스부르크가의 주장을 군사적으로 종식시켰고, 이는 유트레흐트 조약에서 법적 사실이 되었다. 필리페는 카탈루냐 법원에 배신당했다고 느꼈는데, 1701년 그가 카탈루냐 법원을 주재했을 때 처음에 그에게 충성을 맹세했기 때문이다. 배신에 대한 보복으로, 그리고 프랑스 모델에 영감을 받아, 첫 번째 부르봉 국왕은 1707년, 1715년, 1716년 누에바 플란타 법령을 제정하여 아라곤 왕관의 영토(1716년 카탈루냐 공국 포함)를 카스티야 왕관의 속주로 편입하고, 의회, 제도 및 공법 및 행정법과 프랑스식 중앙 집중화된 절대주의 스페인 왕국 내의 정치를 종식시켰다.[42] 17세기 후반과 18세기(왕위 계승 전쟁과 전후 불안정 제외)에 카탈루냐는 성공적인 경제 성장과 전산업화 과정을 거쳤으며, 카스티야의 아메리카 식민지와의 무역 독점이 종식된 세기 후반에 강화되었다.

지로나 제3차 포위전 (1809), 나폴레옹 전쟁


19세기 초, 카탈루냐는 나폴레옹 전쟁의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1808년, 기욤 필리베르 뒤에스므 장군이 바르셀로나를 정복한 후 프랑스군에 점령되었고, 점령에 대한 저항은 결국 반도 전쟁으로 발전했다. 프랑스 지배에 대한 거부는 기존 제도의 소멸로 인해 부르봉 왕가에 충성을 유지하며 영토의 주권과 대표권을 행사한 "훈타"(협의회)의 창설로 제도화되었다. 나폴레옹은 질서를 재확립하기 위해 카탈루냐를 직접 통제하고, 오제로 원수의 통치 하에 카탈루냐 정부를 수립하여 카탈루냐어를 잠시 공식 언어로 부활시켰다. 1812년부터 1814년까지 카탈루냐는 프랑스에 합병되어 네 개의 행정구역으로 편성되었다.[51] 프랑스군은 1814년 말 카탈루냐 영토에서 철수했다. 스페인에서 부르봉 왕정 복고와 절대주의 군주 페르디난드 7세(1833년)의 사망 후, 새로 수립된 자유주의 이사벨라 2세의 국가에 반대하여 카를리스트 전쟁이 발발했다. 카탈루냐는 해안 지역과 가장 산업화된 지역이 자유주의를 지지한 반면, 대부분의 시골 지역은 카를리스트 세력의 손에 있었고, 후자는 아라곤 왕관의 고대 영토에서 누에바 플란타 법령에 의해 억압된 제도 시스템을 재건할 것을 제안했다. 자유주의 국가의 통합은 카탈루냐를 포함한 스페인의 새로운 지방 분할을 보았는데, 카탈루냐는 바르셀로나, 지로나, 르이다, 타라고나의 네 개 주로 나뉘었다.

민간경찰이 1909년 비극의 한 주 동안 체포한 용의자들


19세기 중후반, 카탈루냐는 특히 섬유에 중점을 둔 중요한 산업 중심지가 되었다. 이 과정은 앞선 두 세기의 섬유 생산의 원시 산업화 조건, 포도주와 브랜디 수출로 인한 자본 증가[52]의 결과였으며, 이후 정부의 국내 제조 지원으로 촉진되었다. 1832년 바르셀로나의 보나플라타 공장은 증기기관을 사용한 국내 최초의 공장이 되었다.[53] 이베리아 반도의 최초 철도는 1848년 바르셀로나와 마타로 사이에 건설되었다. 기업도시를 장려하는 정책은 1860년대와 1870년대에 시골 지역의 섬유 산업이 번창하는 것을 보았다. 스페인 정부의 정책이 자유 무역과 보호 무역 사이에서 변동했다. 오늘날까지 카탈루냐는 스페인에서 가장 산업화된 지역 중 하나로 남아 있다.

같은 시기에 바르셀로나는 "불랑게스"로 알려진 산업 갈등과 혁명적 봉기의 중심이었다. 카탈루냐에서는 진보주의자들 사이에서 공화주의 사조가 발전하기 시작하여 스페인의 연방화를 선호하는 많은 카탈루냐인들을 끌어들였다. 한편, 카탈루냐어는 19세기 중후반부터 노동계급과 부르주아지 모두 사이에서 낭만주의 문화 부흥인 ''르네상스''를 경험했다. 제1차 스페인 공화국(1873-1874)의 몰락과 그 이후 부르봉 왕조의 복고(1874) 직후, 카탈루냐 민족주의는 공화주의 연방주의자 발렌티 알미랄의 지도력 하에 정치적으로 조직되기 시작했다.

2. 5. 현대

1162년에 바르셀로나 백작의 카탈루냐 군주국이 성립하여 18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휘말려 1714년 바르셀로나 공방전에서 패배한 카탈루냐는 카스티야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1931년 스페인 제2공화국 수립과 함께 자치 헌장이 채택되면서 카탈루냐는 자치권을 부여받았다. 하지만 1936년 발발한 스페인 내전에서 카탈루냐는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이끄는 반란군에게 장악되고 만다.

1939년 프랑코 정권이 수립된 이후 카탈루냐 자치 정부, 자치 헌장이 폐지되면서 스페인 내전에서 공화정을 지지했던 세력들은 투옥, 처형 당하고 만다. 카탈루냐어, 또한 카탈루냐와 관련된 상징, 카탈루냐의 전통 문화, 기, 카탈루냐어 지명을 딴 거리 이름은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에 일어난 카탈루냐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외국 자본 투자, 관광객이 증가했다. 1975년 프랑코의 사망과 함께 스페인의 민주주의 체제가 회복되면서 카탈루냐는 자치권을 회복하게 된다.

카탈루냐는 스페인령이나, 오랜 기간 스페인의 중심지이자 수도 마드리드가 있는 카스티야 지역과는 다른 문화와 가치관 등으로 갈등을 겪어 왔으며, 20세기 초부터 분리주의가 떠올라 카탈루냐 독립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2014년 독립 여부를 결정하는 주민 투표를 하였다. 투표 결과 81% 찬성을 이끌어냈으나, 스페인 정부는 이를 승인 받지 않은 불법 선거라 하였다. 2017년 카탈루냐 독립 국민투표에서는 찬성율이 91.96%에 이르렀고, 2017년 10월 27일 카탈루냐 정부는 카탈루냐 독립선언을 통해 카탈루냐 공화국을 선포하였다. 스페인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독립 선언을 무효화했다.

3. 지리

카탈루냐 지방은 이베리아 반도와 스페인의 북동부, 지중해 분지의 북서쪽 해안에 자리 잡고 있다.[243] 면적은 스페인 전체의 6.4%에 해당하는 약 32,000km2로,[244] 스페인의 17개 자치주 중 6번째로 크며, 일본의 관동 지방과 거의 같다.[246] 위도는 북위 42도 부근으로, 일본의 홋카이도 남부와 비슷하다.[245]

카탈루냐 지방의 위성 사진


인구는 스페인 전체의 16%인 약 750만 명이며,[245] 유럽의 덴마크보다 약간 많고,[247] 일본 규슈 지방의 절반 정도이다. 인구 밀도는 마드리드 자치주와 바스크 지방에 이어 17개 자치주 중 3번째로 높다.[245] 바르셀로나를 중심으로 한 도시권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바르셀로나 시의 인구는 약 160만 명, 도시권 인구는 약 210만 명이다.[245]

남쪽으로는 발렌시아 지방, 서쪽으로는 아라곤 지방과 접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프랑스(옥시타니 지역), 안도라 공국과 국경을 접한다.[243] 지중해를 사이에 두고 바르셀로나 남쪽 200km에는 발레아레스 제도(발레아레스 제도 자치주)가 있다.[245] 바르셀로나에서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까지의 거리는 약 600km로, 일본의 도쿄도에서 고베시까지의 거리와 거의 같다.[245] 지중해 연안, 피레네 산맥, 에브로 강 유역을 각 변으로 하는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249]

카탈루냐의 지리 구분
피레네 산맥
프레피레네
카탈루냐 중앙 저지대
카탈루냐 해안 산맥


피레네 산맥


몬세라트는 검은 성모상으로 유명한 수도원이 있는 산악 지대


카탈루냐 지방의 지형은 기복이 심하며, 크게 세 가지 지리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프랑스 국경과 맞닿은 북쪽의 피레네 산맥, 지중해 연안의 카탈루냐 해안 산맥과 평지로 둘러싸인 부분, 그리고 중앙부의 카탈루냐 중앙 저지대이다. 평지는 지중해 연안과 에브로 강 유역에 아주 적게 존재한다.[249] 지중해에 면한 해안선의 길이는 580km에 달한다.[245]

북부에서 중앙부까지는 피레네 산맥의 동부와 프레피레네가 이어진다.[250] 카탈루냐 지방의 최고봉은 피레네 산맥의 피카 다스타츠(3,143m)이다. 프랑스령 카탈루냐에 정상이 있는 카니구 산(2,785m)은 18세기까지 카탈루냐 최고봉으로 여겨졌다. 카탈루냐 지방의 대부분은 해발 수백 미터의 고원이며, 피레네 산맥의 높은 봉우리를 제외하면 험준한 산악 지형은 드물다.[249]

카탈루냐 지방의 주요 하천으로는 에브로 강, 류브라가트 강, 테르 강이 있으며, 모두 지중해로 흘러든다.[243] 에브로 강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가장 큰 유역 면적을 가진 하천이며, 카탈루냐 지방 최남단에서 지중해로 흘러든다.[249] 에브로 강의 지류인 세그라 강은 피레네 산맥에서 남서쪽으로 흘러 리다 주에 카탈루냐 중앙 저지대를 형성한다. 류브라가트 강 하구에는 바르셀로나를 중심으로 한 바르셀로나 도시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로나(테르 강)와 리다(세그라 강)에도 각각 하천 연안에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249]

카탈루냐 지방 중앙부의 몬세라트 일대는 “중앙 카탈루냐 유네스코 세계 지오파크”로 지정되어 있다.[248]

3. 1. 기후

카탈루냐 지방의 기후는 다양하며, 대체로 지중해성 기후이지만 지역에 따라 다르다. 타라고나주 (Tarragona), 바르셀로나주 (Barcelona), 지로나주 (Girona)의 해안 지방은 지중해성 기후이지만, 리에이다주 (Lleida)와 바르셀로나주 등의 내륙 지방은 대륙성 지중해성 기후의 양상을 보인다. 피레네 산맥 (Pirineos)의 산지는 산악 기후이거나, 높은 봉우리에서는 고산 기후이다.

지중해에 면한 휴양지인 카다케스 (Cadaqués)


지중해 연안의 여름은 덥고 강수량이 적으며, 최고 기온은 30°C 전후이지만 해풍은 습기를 포함하고 있다. 반면 피레네 산맥 지방에서는 여름 강수량이 많고, 폭풍이 자주 발생한다. 겨울의 피레네 산맥은 춥고, 자주 눈이 내린다. 눈은 해안 지방 등 저지대에서도 종종 관측된다. 봄과 가을에는 전역에서 강수량이 많다. 피레네 산맥에 가까운 산간 지방을 제외하고는 카탈루냐 지방의 대부분은 눈이 쌓이거나 혹독한 추위가 되는 일이 없으며, 지중해 연안에는 겨울에도 난방 없이 지낼 수 있는 곳도 있다.

여름의 내륙 지방은 해안 지방보다 덥고 건조하다. 기온은 최고 35°C를 넘고, 드물게 40°C에 달하기도 한다. 해안에서는 밤이 되면 14°C에서 16°C로 서늘해진다. 계곡과 평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안개는 관측되지 않지만, 세구라 강 유역 등에서는 착빙이 겨울철의 풍물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베리아 반도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여름 기온은 온화하며, 대체로 이베리아 반도의 다른 지역보다 강수량이 많다.

유럽의 지중해 연안 지역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많으며, 바르셀로나의 평균 강수량은 800mm에 달한다. 강수량 600mm의 등우선은 거의 류브라가트 강을 따라 있으며, 류브라가트 강보다 북동쪽은 “습윤 카탈루냐”, 남서쪽은 “건조 카탈루냐”라고 불린다. 이 등우선은 생태계의 경계가 되기도 하며, 북동쪽은 삼림이, 남서쪽은 관목이 우세하다. 기후적인 측면 외에도, 역사적인 측면에서도 류브라가트 강은 북동쪽의 구 카탈루냐와 남서쪽의 신 카탈루냐를 구분하는 경계이다.

바르셀로나의 기후 데이터[249][25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13.4°C14.6°C15.9°C17.6°C20.5°C24.2°C27.5°C28°C25.5°C21.5°C17°C14.3°C20°C
평균 기온 (°C)8.9°C10°C11.3°C13.1°C16.3°C20°C23.1°C23.7°C21.1°C17.1°C12.6°C10°C15.6°C
평균 최저 기온 (°C)4.4°C5.3°C6.7°C8.5°C12°C15.7°C18.6°C19.3°C16.7°C12.6°C8.1°C5.7°C11.1°C
평균 강수량 (mm)41mm39mm42mm49mm59mm42mm20mm61mm85mm91mm58mm51mm640mm
평균 강수일수 (≥ 1 mm)54555424565555
평균 일조시간1491632002202442623102822191801461382524


3. 2. 지형

카탈루냐 지방은 이베리아 반도와 스페인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지중해 분지의 북서쪽 해안에 자리 잡고 있다.[243] 면적은 스페인 전체의 6.4%에 해당하는 약 32,000km2이며,[244] 스페인의 17개 자치주 중 6번째로 크다.[245] 면적은 일본의 관동 지방과 거의 같다.[246] 위도는 북위 42도 부근이며, 일본의 같은 위도 지역은 홋카이도 남부이다.[245]

남쪽으로는 발렌시아 지방, 서쪽으로는 아라곤 지방과 접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프랑스(옥시타니 지역), 안도라 공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243] 지중해를 사이에 두고 바르셀로나 남쪽 200km에는 발레아레스 제도(발레아레스 제도 자치주)가 있다.[245] 바르셀로나에서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까지의 거리는 약 600km이며, 일본에서는 도쿄도에서 고베시까지의 거리와 거의 같다.[245] 지중해 연안, 피레네 산맥, 에브로 강 유역을 각 변으로 하는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249]

카탈루냐 지방의 지형은 기복이 심하며, 세 가지 지리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프랑스 국경과 맞닿은 북쪽의 피레네 산맥, 지중해 연안에 있는 카탈루냐 해안 산맥과 평지로 둘러싸인 부분, 그리고 중앙부의 Depresión Central Catalana|카탈루냐 중앙 저지대es이다. 평지는 지중해 연안과 에브로 강 유역에 아주 적게만 존재한다.[249] 지중해에 면한 해안선의 길이는 580km에 달한다.[245]

북부에서 중앙부까지는 피레네 산맥의 동부와 프레피레네가 이어져 있다.[250] 카탈루냐 지방의 최고봉은 피레네 산맥의 Pica d'Estats|피카 다스타츠es(3,143m)이다. 프랑스령 카탈루냐에 정상이 있는 카니구 산(2,785m)은 18세기까지 카탈루냐 최고봉으로 여겨졌다. 카탈루냐 지방의 대부분은 해발 수백 미터의 고원이며, 피레네 산맥의 높은 봉우리를 제외하면 험준한 산악 지형은 존재하지 않는다.[249]

카탈루냐 지방의 주요 하천으로는 에브로 강, 류브라가트 강, 테르 강이 있으며, 모두 지중해로 흘러든다.[243] 에브로 강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가장 큰 유역 면적을 가진 하천이며, 카탈루냐 지방 최남단에서 지중해로 흘러든다.[249] 에브로 강의 지류인 세그라 강은 피레네 산맥에서 남서쪽으로 흘러 리다(Lleida) 주에 카탈루냐 중앙 저지대를 형성한다. 류브라가트 강 하구에는 바르셀로나를 중심으로 한 바르셀로나 도시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로나(테르 강)와 리다(세그라 강)에도 각각 하천 연안에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249]

카탈루냐 지방 중앙부의 몬세라트 일대 지역은 “중앙 카탈루냐 유네스코 세계 지오파크”로 지정되어 있다.[248]

4. 행정 구역

카탈루냐는 바르셀로나 주, 예이다 주, 지로나 주, 타라고나 주의 4개 주로 나뉜다.[251][252] 각 주의 주도는 주 이름과 같은 바르셀로나, 지로나, 레이다, 타라고나이다. 41개의 코마르카(군)와 947개의 무니시피오(기초자치단체)가 있다. 군의 경계는 주의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주도면적(km2)인구
(2010년)
인구밀도
(명/km2)
지방자치단체 수단일 거주 지역 수
바르셀로나 주바르셀로나7726.4km25,526,536713.33111,312
지로나 주지로나5905km2756,293127.52211,091
레이다 주레이다12168.4km2441,85836.12311,020
타라고나 주타라고나6308.2km2810,564128.2184475
카탈루냐32108km27,535,251234.09473,898


5. 경제

카탈루냐는 고도로 산업화된 지역으로, 2018년 명목 GDP는 2,280억 유로(마드리드 자치주(2,300억 유로) 다음으로 2위)였으며, 1인당 GDP는 30,426유로(32,888달러)로, 마드리드(35,041유로), 바스크 지방(33,223유로), 나바라(31,389유로)에 이어 뒤를 이었다.[142] 같은 해 GDP 성장률은 2.3%였다.[143]

카탈루냐의 장기 신용등급은 스탠다드앤푸어스에 따르면 BB(투자등급 이하), 무디스에 따르면 Ba2(투자등급 이하), 피치 레이팅스에 따르면 BBB-(투자등급 하위)이다.[144][145][146] 신용평가기관에 따라 카탈루냐의 등급은 스페인의 다른 1~5개 자치주와 동일하다.[146]

바르셀로나는 레조넌스 컨설팅의 "2021년 세계 최고 도시" 보고서에서 세계 8위, Eu-Starts-Up의 2020년 연구에서 스타트업을 위한 유럽 5위 도시로 선정되었다.[147][148]

2007년-2008년 금융 위기 당시 카탈루냐는 2009년 GDP가 약 2% 감소하는 경기침체를 겪었으나,[149] 2015년에는 3.3% 성장했다.[152] 2012년 카탈루냐의 부채는 스페인 자치주 중 가장 높았으며(134억 7,600만 유로),[150][151] GDP 1,000억 달러 이상 국가 하위 지역 목록에 포함되며 유럽 4대 엔진 기구의 회원이다.

카스텔비스발의 산업단지


공장, 라 폴블라 데 마푸메트, 타라고나


부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153]

  • 1차 산업: 3% (농업용지 비율 33%)
  • 2차 산업: 37% (스페인 29%)
  • 3차 산업: 60% (스페인 67%)


주요 관광지는 바르셀로나시, 지로나의 코스타 브라바 해변, 말그라트 드 마르에서 비야노바 이 라 젤트루까지의 코스타 델 마레스메와 코스타 델 가라프 해변, 타라고나의 코스타 다우라다이다. 피레네 산맥에는 예이다 근처에 여러 스키 리조트가 있다. 2012년 11월 1일부터 관광세가 부과되고 있다.[154]

사바델의 엑스 마시아


2017년 카탈루냐 독립 투표 이후 라 카이사(팔마 데 마요르카로 이전), 반크 사바델(알리칸테로 이전) 등 많은 은행들이 본사를 카탈루냐에서 스페인 다른 지역으로 이전했다.[155][156][157] 2017년부터 2018년 말까지 카탈루냐는 5,454개의 기업을 잃고 467개의 새로운 기업을 유치했다.[158][159] 스페인 정부와 펠리페 6세 국왕이 일부 카탈루냐 기업에 본사 이전을 압박했다는 보도가 있다.[160][161]

바르셀로나 증권거래소는 스페인에서 두 번째로 크며(2016년 거래량 약 1,520억 유로), 피라 데 바르셀로나는 국제 전시회와 회의를 개최한다.[162] 카탈루냐 가정의 주요 경제적 부담은 주택 구매이며, 카탈루냐는 스페인에서 주택 가격이 두 번째로 비싼 지역이다. (평균 3,397유로/㎡, 스페인 부동산 버블 참조). 2019년 실업률은 10.5%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163]

실업률 (12월 기준, %)
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6.6%6.5%11.8%16.9%17.9%20.4%23.8%21.9%19.9%17.7%14.9%12.6%11.8%10.5%


5. 1. 산업

카탈루냐 지방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전반에 걸쳐 섬유 산업을 계기로 기계·금속·화학 공업 등이 발전하면서 산업 혁명이 일어난 스페인의 유일한 지역이다. 근현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카탈루냐는 바스크 지방과 함께 스페인 경제를 견인해 온 지역이다.

2010년대 카탈루냐 지방의 역내 총생산은 스페인 전체의 약 20%(2013년 18.8%)를 차지하고, 스페인의 17개 자치 지방 중에서 가장 경제 규모가 큰 자치 지방이다. 2010년대 역내 총생산은 아일랜드, 핀란드, 포르투갈을 제치고 덴마크에 필적한다.

5. 2. 관광

카탈루냐는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다양한 풍경을 보여주는 지역이다. 30000km2가 조금 넘는 면적에 다양한 기질, 토양, 기후, 방향, 고도 및 바다와의 거리가 존재하여 생태적으로 매우 다양하고 경관, 서식지 및 종이 풍부하다.

카탈루냐는 집약적인 농업, 축산업, 산업 활동과 함께 연간 2천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곳이다.

6. 사회

1975년 프랑코 사망과 1978년 스페인 민주 헌법 채택 이후, 카탈루냐는 자치 헌장에서 얻었지만 스페인 제2공화국[97]의 몰락과 1939년 스페인 내전 종식으로 상실했던 권한을 회복하고 확장했다.[96] 카탈루냐는 1978년 스페인 헌법 승인 이후 점진적으로 더 많은 자치를 달성해 왔다.

류이스 꼼파니스, 1933년부터 1940년까지 카탈루냐 지방 정부의 두 번째 대통령으로 프랑코 정권에 의해 처형됨


카탈루냐 민족주의에 대한 지지는 더 많은 자치와 스페인의 연방화 요구에서부터 카탈루냐 독립을 주장하는 독립주의자들의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 욕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100] 스페인 헌법재판소가 2006년 자치 헌장의 일부 조항을 축소한 이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는 카탈루냐 유권자의 46%가 독립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1] 2011년부터 카탈루냐 독립에 대한 지지율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107] 2016년 여론조사에서는 카탈루냐인의 47.7%가 독립을 지지하고 42.4%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8]

카탈루냐 독립을 지지하는 정당들은 1980년 이후 모든 카탈루냐 정부에 존재해 왔다. 2012년 카탈루냐 의회 선거에서는 독립을 지지하는 정당들이 59.01%의 득표율과 카탈루냐 의회 135석 중 87석을 차지했다.[115]

카탈루냐는 자체 경찰력인 모소스 데스쿠아드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1980년부터 카탈루냐 자치정부의 지휘를 받고 있다.

카탈루냐의 역사적인 영토에서 유래한 카탈루냐어는 1979년 자치 헌장 승인 이후 "카탈루냐의 고유 언어"[183]로서 특별한 지위를 누려왔다. 스페인어오크어의 아라네스 방언도 카탈루냐의 공용어이다.

ca


역사적으로 카탈루냐인들은 기독교, 특히 가톨릭 신자였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기독교의 감소 추세가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카탈루냐인의 62.3%가 기독교인이며, 그중 53.0%는 가톨릭 신자, 7.0%는 개신교 신자, 1.3%는 정교회 신자, 1.0%는 여호와의 증인이다. 인구의 18.6%는 무신론자, 8.8%는 불가지론자, 4.3%는 이슬람교도, 3.4%는 기타 종교 신자이다.[180]

6. 1. 인구

14세기 말 카탈루냐 지방의 인구는 약 45만 명으로 추정되며, 18세기 초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18세기 이후 크게 변화했다. 1787년에는 87만 명, 1857년에는 165만 명으로 증가하여 스페인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7.8%에서 10.7%로 증가했다. 19세기 전반에는 산업 혁명의 영향으로 인구가 자연 증가했지만, 스페인 내부 이주자는 많지 않았다.

카탈루냐 인구 변화[167]
연도인구연도인구
19001,966,38219705,122,567
19102,084,86819815,949,829
19202,344,71919906,062,273
19302,791,29220006,174,547
19402,890,97420107,462,044
19503,240,31320217,749,896
19603,925,77920248,067,454



2024년 기준 카탈루냐의 공식 인구는 8,067,454명이다.[167] 이 중 스페인 국적이 없는 거주자는 1,194,947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16%를 차지한다.[168] 바르셀로나 도시권에는 5,217,864명이 거주하며, 면적은 2268km2이다. 이 도시권에는 로스피탈레트데요브레가트, 사바델, 테라사, 바달로나 등 여러 도시가 포함된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초, 스페인의 인구 급증[169]과 함께 경제적으로 어려운 농촌 지역에서 산업 도시로의 대규모 국내 이주가 발생했다. 특히 안달루시아, 무르시아[170], 엑스트레마두라[171] 등 스페인 여러 지역에서 카탈루냐로 이주가 이루어졌다. 1999년 기준으로 카탈루냐 주민의 60% 이상이 20세기 스페인 다른 지역에서 온 이주민의 후손으로 추정된다.[172]

1990년대부터는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동유럽 등 다른 국가 출신의 이민자들이 카탈루냐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73] 이들은 주로 바르셀로나와 같은 도시 중심부나 산업 지역에 거주한다.[174] 2017년 기준, 스페인 시민권을 취득한 사람을 제외하고 스페인 신분증이 없는 외국인 거주자는 940,497명(전체 인구의 11.9%)이었다.[175]

'''국적별 외국인 인구'''(2018)[176]
국적인구
România|루마니아ro119,177
المغرب|모로코ar111,192
中国|중국중국어59,380
Italia|이탈리아it55,823
پاکستان|파키스탄ur45,125
Honduras|온두라스es33,728
France|프랑스프랑스어33,184
Bolivia|볼리비아es30,095
Colombia|콜롬비아es29,853
Ecuador|에콰도르es25,749
Россия|러시아ru24,224
भारत|인도hi23,103
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22,305
Sénégal|세네갈프랑스어20,828
Perú|페루es20,127
United Kingdom|영국영어19,445
Argentina|아르헨티나es19,192
Brasil|브라질pt18,917
República Dominicana|도미니카 공화국es18,620
Deutschland|독일de18,002
Venezuela|베네수엘라es16,933
The Gambia|감비아영어14,209
Paraguay|파라과이es13,847
Portugal|포르투갈pt12,491
България|불가리아bg11,288
الجزائر|알제리ar11,273
Pilipinas|필리핀tl11,061



'''대륙별 외국인 인구'''(2022)[177]
대륙인구비중(%)
총계1,271,810
유럽401,605
유럽 연합295,896
기타 유럽105,709
아프리카324,260
남아메리카247,821
중앙아메리카368,461
북아메리카18,332
아시아184,846
오세아니아1,015


6. 2. 언어

2018 인구조사에 따른 가장 먼저 사용하는 언어[181]
언어신분증 언어일상 언어
스페인어2,978,000명 (46.6%)3,104,000명 (48.6%)
카탈루냐어2,320,000명 (36.3%)2,305,000명 (36.1%)
두 언어 모두440,000명 (6.9%)474,000명 (7.4%)
기타 언어651,000명 (10.2%)504,000명 (7.9%)
아랍어114,000명 (1.8%)61,000명 (0.9%)
루마니아어58,000명 (0.9%)24,000명 (0.4%)
영어29,000명 (0.5%)26,000명 (0.4%)
프랑스어26,000명 (0.4%)16,000명 (0.2%)
베르베르어25,000명 (0.4%)20,000명 (0.3%)
중국어20,000명 (0.3%)18,000명 (0.3%)
기타 언어281,000명 (4.4%)153,000명 (2.4%)
기타 조합96,000명 (1.5%)193,000명 (3.0%)
15세 이상 총 인구6,386,000명 (100.0%)6,386,000명 (100.0%)



카탈루냐어 사용 지역


카탈루냐의 공용어는 카탈루냐어스페인어이다. 아란 계곡에서는 오크어 역시 공용어로 사용된다. 공식 문서에서의 지명 등 명칭들은 카탈루냐어로 쓰인다. 카탈루냐어는 스페인어보다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에 가까운 언어이다.

1979년 자치 헌장 이후, 아라네스어(가스콩 방언의 오크어)는 발다란에서도 공식 언어이며 특별한 보호를 받고 있다. 7,000명의 주민으로 구성된 이 작은 지역은 오크어 방언이 완전한 공식 지위를 부여받은 유일한 곳이었다. 그 후 2006년 8월 9일 새로운 헌장이 발효되면서 오크어는 카탈루냐 전역에서 공식 언어가 되었다. 카탈루냐 수화도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다.[13]

2013년 카탈루냐 지방 정부의 언어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페인어가 카탈루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46.53%가 스페인어를 "자신의 언어"로 주장), 그 뒤를 카탈루냐어가 따릅니다(37.26%가 카탈루냐어를 "자신의 언어"로 주장). 일상적인 사용 측면에서, 11.95%의 인구는 두 언어를 동등하게 사용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45.92%는 주로 스페인어를, 35.54%는 주로 카탈루냐어를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스페인어가 카탈루냐어보다 더 많이 사용되는 바르셀로나 대도시권(그리고 다소 덜하지만 타라고나 지역도 마찬가지)과 카탈루냐어가 스페인어보다 확실히 우세한 농촌 지역 및 소도시 지역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182]

카탈루냐의 역사적인 영토에서 유래한 카탈루냐어는 1979년 자치 헌장 승인 이후 "카탈루냐의 고유 언어"[183]로서 특별한 지위를 누려왔다.

오늘날 카탈루냐어는 카탈루냐 자치 정부와 그 관할 하에 있는 다른 공공 기관의 주요 언어이다. 기본 공공 교육은 주로 카탈루냐어로 이루어지지만, 일주일에 몇 시간 정도 스페인어 중간 교육도 있다. 사업체는 법에 따라 모든 정보(예: 메뉴, 포스터)를 최소한 카탈루냐어로 표시해야 하지만, 이는 체계적으로 시행되지 않는다.

카탈루냐에서는 스페인어 사용자와 다른 언어 사용자를 포함하여 카탈루냐어를 선호하는 언어 정책에 대한 높은 사회적 및 정치적 합의가 있다.[207][208][209][210]

6. 3. 종교

역사적으로 카탈루냐 사람들은 모두 기독교, 특히 가톨릭 신자였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기독교가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카탈루냐 정부가 후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카탈루냐인의 62.3%가 기독교인으로 확인되었으며 (2016년 61.9%[178], 2014년 56.5%[179] 에서 증가), 그중 53.0%는 가톨릭 신자, 7.0%는 프로테스탄트 및 복음주의자, 1.3%는 정교회 신자, 1.0%는 여호와의 증인이다. 동시에 인구의 18.6%는 무신론자, 8.8%는 불가지론자, 4.3%는 이슬람교도, 그리고 3.4%는 기타 종교 신자로 확인되었다.[180] 카탈루냐 공국에는 봉건제가 자리 잡았고, 다른 기독교 세력들과 함께 레콩키스타(국토 회복 운동)에 참여했다.

7. 문화

카탈루냐는 다양한 예술, 문학, 전통, 음악, 스포츠 문화를 가지고 있다.

예술 분야에서는 살바도르 달리, 후안 미로, 안토니 타피에스 등 세계적인 화가들을 배출했다. 파블로 피카소 역시 젊은 시절 바르셀로나에서 활동하며 큐비즘 운동을 창시했다. 건축에서는 로마네스크 건축, 고딕 양식, 카탈루냐 고딕 양식 등 다양한 양식이 발전했으며, 안토니 가우디, 루이스 도메네크 이 몬타네르 등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모더니즘 건축을 이끌었다.

문학에서는 13~15세기와 19세기에 두 번의 황금기를 맞이했다. 라몬 류이는 "카탈루냐어의 아버지"로 불리며, 19세기에는 르네상스 운동을 통해 자신트 베르다거, 빅토르 카탈라 등 많은 작가들이 등장했다. 20세기에는 누센티스모 (Noucentisme) 운동과 전위 예술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스페인 내전과 프랑코 시대에도 카탈루냐 문학은 명맥을 유지했다.

카스텔(Castell)은 카탈루냐의 대표적인 전통 문화로, 여러 팀이 경쟁하며 인간 탑을 쌓는 활동이다. 사르다나는 카탈루냐의 민속 무용이며, 코블라라는 악단의 연주에 맞춰 원을 그리며 춘다. 크리스마스(Christmas)에는 티오 데 나달이라는 독특한 풍습이 있으며, 카가네르 인형을 구유 장면에 놓는 전통도 있다.

음악 분야에서는 몬세라트 소년 합창단이 유명하며, 파우 카잘스, 몬세라트 카바예, 호세 카레라스 등 세계적인 음악가들을 배출했다.

스포츠에서는 축구, 농구, 핸드볼, 롤러 하키, 테니스, 모터스포츠 등이 인기가 있다. FC 바르셀로나는 세계적인 축구 클럽이며, 카탈루냐 서킷에서는 카탈루냐 모터사이클 그랑프리, 스페인 F1 그랑프리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대회가 개최된다. 2010년에는 카탈루냐 투우 금지(Ban on bullfighting in Catalonia)에 따라 투우가 금지되었다.[221]

7. 1. 예술과 건축

카탈루냐는 살바도르 달리, 후안 미로, 안토니 타피에스 등 세계적으로 중요한 예술 인물들을 배출했다. 파블로 피카소는 젊은 시절 바르셀로나에서 예술가로서의 기량을 연마하고 큐비즘 운동을 창시했다. 이외에도 클라우디 로렌잘레, 마리아 포르투니, 라몬 카사스, 산티아고 루시뇰, 호세프 마리아 세르트, 호세프 마리아 수비라흐스 등 다양한 예술가들이 카탈루냐에서 활동했다.[216]

카탈루냐에서 가장 중요한 미술관은 피게레스의 달리 극장 박물관, 카탈루냐 국립미술관(MNAC), 바르셀로나 피카소 미술관, 안토니 타피에스 재단, 후안 미로 재단, 바르셀로나 현대미술관(MACBA), 바르셀로나 현대문화센터(CCCB), 카이샤포룸 바르셀로나 등이다.

건축 분야에서는 유럽에서 유행했던 다양한 예술 양식이 카탈루냐에 도입되고 발전하여 많은 교회, 수도원, 대성당에 로마네스크 건축과 고딕 양식의 흔적을 남겼다.[216] 특히 바르셀로나 산타 마리아 델 마르 성당은 카탈루냐 고딕 양식의 대표적인 예이다. 중세 시대에는 많은 귀족들이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요새화된 성을 건설했다.

솔소나 대성당의 장미창


르네상스 건축(예: 제네랄리타트 궁전), 바로크 양식, 신고전주의 건축의 사례도 있다. 19세기 후반에는 모더니즘(아르누보)가 국민 예술로 등장했다. 안토니 가우디, 루이스 도메네크 이 몬타네르, 호세프 푸이그 이 카다팔치는 이러한 양식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카탈루냐 건축가이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바르셀로나의 도시 확장 덕분에 에샴플라 지역의 많은 건물들이 모더니즘 양식을 보입니다. 건축 합리주의 분야에서는 특히 카탈루냐 공화국 시대(1931~1939)에 호세프 루이스 세르트와 호세프 토레스 이 클라베(GATCPAC 회원)가 두드러졌으며, 현대 건축에서는 리카르도 보필과 엔릭 미랄레스가 주목할 만하다.

모더니즘 시기에 가우디가 설계한 구엘 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는 카탈루냐 지방에서 5곳이 등재되어 있다.

  • 안토니 가우디의 작품군(1984년 등재, 2005년 확장)
  • 포블레 수도원(1991년 등재)
  • 바르셀로나의 카탈루냐 음악당과 산 파우 병원(1997년 등재)
  • 타라고나의 고고학 유적(2000년 등재)
  • 발 데 보이의 카탈루냐 로마네스크 양식 교회군(2000년 등재)


사그라다 파밀리아

7. 2. 문학

“카탈루냐어의 아버지” 류이


카탈루냐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물은 11세기 후반 또는 12세기 초에 쓰여진 종교 문헌인 오르가냐 설교문 (Homilies d'Organyà)으로 여겨진다.

카탈루냐 문학에는 두 차례의 황금기가 있었다. 첫 번째는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아라곤 왕관의 군주와 주요 인물들의 업적을 기록한 역사 편년사와, 14세기와 15세기의 황금기이다. 12세기 카탈루냐 시인들은 카탈루냐어가 아닌 주로 오크어로 시를 썼다.[258] 13세기에 활동한 라몬 류이는 “카탈루냐어의 아버지”라고 불리며,[270] 풍부한 내용과 높은 언어적 창조성으로 보편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258] 14세기 카탈루냐 지방에서는 산문이 우세해지면서, 프란세스크 에이시메니스와 비센테 페레르 등이 등장했다.[259] 15세기는 “카탈루냐 문학의 황금기”로 여겨진다.[260] 발렌시아에서는 시인 아우지아스 마르크와 기사도 소설 『티란 르 블랑』을 쓴 주아노트 마르토렐 등이 활동했다.[260]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는 낭만주의적 역사서술에서 Decadènciaca (쇠퇴기)로 정의되는데, 이는 문화적 맥락에서 카탈루냐어의 일반적인 사용 중단과 귀족들의 후원 부족으로 인해 카탈루냐 문학의 "쇠퇴기"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1479년 스페인 왕국 성립의 영향으로, 평민이 아닌 궁정이나 지식인 사이에서는 스페인어화가 진행되었다.[261] 카탈루냐 지방이 정치적·경제적으로 침체된 16세기 이후 카탈루냐 문학도 침체되었고, 16세기부터 18세기는 “카탈루냐 문학의 쇠퇴기”라고 불린다.[261]

메르세 로도레다 (Mercè Rodoreda)


두 번째 황금기는 19세기에 자신트 베르다거, 빅토르 카탈라 (카테리나 알베르트 이 파라디스의 필명), 나르시스 올레르, 조안 마라갈, 앙헬 기메라 등의 작가와 시인들이 대표하는 문화적, 정치적 Renaixençaca (르네상스)와 함께 시작되었다. 19세기 중반에는 카탈루냐어와 카탈루냐 문화 부흥 운동인 르네상스 운동이 일어났고,[262][263] “카탈루냐의 국민 시인” 자신 발다게와 극작가 앙잘 기마라 등이 활약했다.[270] 19세기 말에는 카탈루냐 민족주의가 세력을 확대했고,[264]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는 무달니즈마(근대주의) 운동이 일어났다.[270]

20세기에는 카탈루냐에서 누센티스모 (Noucentisme)라고 불리는 14년 세대(Generation of '14)가 우제니오 도르스, 조안 살바트-파파세이트, 조셉 카르네르, 카를레스 리바, J.V. 포이 등을 대표하여 전위 예술 운동이 전개되었다. 1930년대에는 스페인 제2공화정의 교육 및 언어 정책의 도움을 받아 카탈루냐 문학은 특히 시 분야에서 활황을 보였다.[265]

아나 마리아 마투테 (Ana María Matute)


프리모 데 리베라 독재 시대, 스페인 내전 (36년 세대), 그리고 프랑코 시대 동안 카탈루냐어에 대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카탈루냐 문학은 유지되었고, 종종 망명 중에 제작되었다. 스페인 내전 후 프랑코 독재 체제에서는 카탈루냐어가 탄압되었고, 카탈루냐어 작가는 스페인어 작가로 전향하거나 다른 나라로 망명했다.[271]

이 시대의 가장 뛰어난 작가들로는 살바도르 에스프리우, 조셉 플라, 조셉 마리아 데 사가라 (카탈루냐 산문의 쇄신에 주로 기여), 메르세 로도레다, 조안 올리버 살라레스, 페레 칼더스, 가브리엘 페라테르, 마누엘 데 페드롤로, 아구스티 바르트라, 미켈 마르티 이 폴 등이 있다. 1960년대가 되어서야 카탈루냐어 문학 출판이 가능해졌고, 마누엘 데 페드롤로의 『제2창세기의 타이프 원고』는 카탈루냐 문학 역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272] 국제여단이나 다른 군사 부대에서 싸운 조지 오웰(''카탈루냐 찬가'', 1938), 클로드 시몽(''Le Palace'', 1962; ''Les Géorgiques'', 1981) 등 여러 외국 작가들은 그들의 경험을 역사적이거나 허구적인 작품에서 회고하기도 했다.

민주주의로의 이행(1975-1978)과 카탈루냐 지방 정부(Generalitat) 복원(1977) 이후, 문학 활동과 출판 시장은 정상으로 돌아왔고, 카탈루냐 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언어 정책으로 카탈루냐어로 된 문학 작품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1970년대 말 민주화 이후 카탈루냐에서는 시 분야에서 뛰어난 작가가 많다고 여겨진다.[266] 프랑코 시대와 민주주의 시대의 주요 작가로는 조안 브로사, 아구스티 바르트라, 마누엘 데 페드롤로, 페레 칼더스, 킴 몬조 등이 있다.

아나 마리아 마투테, 하이메 질 데 비에드마, 마누엘 바스케스 몬탈반, 후안 고이티솔로는 스페인의 민주화 이후 스페인어로 작품 활동을 한 가장 저명한 카탈루냐 작가들이다.

7. 3. 축제와 공휴일

카탈루냐의 대표적인 문화 행사로는 카스텔(Castell)이 있다. 카스텔(Castell)은 여러 팀(코예스 카스텔레레스(colles castelleres)ca)이 경쟁하며 인간 탑을 쌓는 활동이다. 18세기 타라고나 지방 발스(Valls)에서 시작되어[217] 20세기 후반에 카탈루냐 전역으로 퍼졌다. 2010년 유네스코(UNESCO)는 엘스 카스텔스 이 엘스 카스텔레르스(els Castells i els Castellers) 전통을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지정했다.

콜라 베야 데 발스(Colla Vella de Valls)의 카스텔(Castell) 4 de 9 amb folre i pilar


타라고나(Tarragona)의 ''카스텔러 기념비''(Monument als castellers)


주요 축제에서는 카탈루냐의 다른 대중문화 요소들도 볼 수 있다.[218] 거인(자이언츠(gegants)ca)과 큰 머리 인형, 막대기 춤꾼과 음악가들이 퍼레이드를 벌이고, 악마와 괴물들이 춤추며 폭죽으로 불꽃을 뿌리는 코레포크(correfoc)ca도 열린다. 2005년 11월 25일 유네스코(UNESCO)는

세우 드 우르젤(La Seu d'Urgell)의 페스타 마조르(festa major) 기간 중
]]카탈루냐의 크리스마스(Christmas)는 크리스마스 이브(Christmas Eve)를 포함하여 이틀 동안 이어진다. 25일은 크리스마스를 기념하고, 26일은 산트 에스테브(Sant Esteve, 성 스테판의 날) 축제가 열린다.

크리스마스 전통(Christmas traditions) 중에는 티오 데 나달(Tió de Nadal)]ca이라는 독특한 풍습이 있다. 얼굴이 그려진 통나무 인형인 티오 데 나달에게

7. 4. 음악과 무용

사르다나는 카탈루냐의 가장 대표적인 민속 무용으로, 코블라라는 악단의 연주에 맞춰 원을 그리며 추는 춤이다.[253] 코블라는 탐보리, 티블레, 테노라(오보에 계열), 트럼펫, 트롬보(트롬본), 피스콘(나팔 계열), 그리고 세 개의 현으로 연주되는 콘트라베이스로 구성된다. 사르다나는 리듬과 스텝이 독특하며, 남녀가 번갈아 손을 높이 들고 연결하여 원을 그리며 춤을 춘다.[253] 프랑코 독재 시대에는 사르다나가 금지되었으나, 민주화 이후 카탈루냐 정신의 상징으로 여겨지게 되었다.[253]

사르다나


전통 음악과 춤으로는 콘트라파스, 막대 춤, 모이시강가, 고이그스(대중가요), 갈로프 등이 있으며, 남부 지역에는 호타도 있다. 코스타 브라바의 일부 해안 지역에서는 하바네라가 불려지는데, 특히 여름철 야외에서 럼주를 태워 만든 크레마트ca와 함께 불려진다.

예술 음악은 19세기까지 주로 예배 환경에서 발전했으며, 특히 몬세라트 소년 합창단이 유명하다. 올리바 수도원장의 작품이나 몬세라트의 붉은 책 등이 대표적이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페레 알베르트 빌라, 호안 브루디우 등의 작곡가들이 있었고, 바로크 시대에는 호안 세레롤스 등이 있었다. 낭만주의 음악은 페르난도 소르, 호세프 안셀름 클라베, 필립 페드렐 등이 대표한다.

19세기 말, 이삭 알베니스와 엔리크 그라나도스는 민속 음악과 후기 낭만주의적 영향을 혼합한 모더니즘 음악을 선보였다.[253] 카탈루냐 오르페오 합창단과 루이스 도메네크 이 몬타네르가 건설한 카탈루냐 음악궁전은 이러한 아방가르드 정신을 이어갔다. 바르셀로나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1944년에 창설되었으며, 로베르트 게르하르트, 에두아르 톨드라, 파우 카잘스 등은 프랑코 독재에 맞서 싸운 음악가들이다.

리세우 극장 내부


18세기부터 오페라 공연이 시작되었고, 도메네크 테라델라스, 카를레스 바게르 등 카탈루냐 오페라도 작곡되었다. 리세우 극장은 1847년에 개장하여 스페인에서 가장 중요한 극장 중 하나가 되었으며, 리세우 음악원을 운영하고 있다.[253] 빅토리아 드 로스 안헬레스, 몬세라트 카바예, 자코모 아라갈, 호세 카레라스 등은 이 기관에서 교육받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성악가들이다.[253]

첼리스트 파우 카잘스는 뛰어난 연주자로 존경받는다.[253] 스페인 내전 발발 후 망명하여 프랑스령 카탈루냐의 프라드에서 오랫동안 살았으며, 프라드 음악제를 개최했다.[253] 1971년 유엔 총회에서는 카탈루냐 민요 El cant dels ocellsca를 연주하고 자신을 "카탈루냐인"이라고 밝혔다.[253] 고음악 연주 분야에서는 조르디 사발이 유명하다.

세계적인 오페라 가수 몬세라트 카바예와 호세 카레라스는 카탈루냐 출신이다.[253] 카바예는 1965년 미국에서 명성을 얻은 후 세계적인 스타 가수가 되었고,[253] 카레라스는 카바예에게 발탁되어 1987년에 발병한 백혈병을 극복하고 활동하고 있다.[253]

20세기 후반에는 루이스 랴크와 엘스 세체 쥬제스 그룹의 누에바 칸손, 페레트의 카탈루냐 룸바, 라 반다 트라페라 델 리오와 데시벨리오스의 펑크 록, 사우, 엘스 펫스, 소파 데 카브라, 락스앤버스토의 팝 록, 상트라이트의 하드 록, OBK의 일렉트로팝, 인디 팝 등 다양한 대중 음악 스타일이 등장했다.

7. 5. 스포츠

스포츠는 20세기 초부터 카탈루냐의 삶과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 왔으며, 그 결과 이 지역에는 잘 발달된 스포츠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다. 주요 스포츠로는 축구, 농구, 핸드볼, 롤러 하키, 테니스, 모터스포츠가 있다.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스페인 국가대표팀이 국제 대회에 참가하지만, 카탈루냐는 코프볼, 풋살, 럭비 리그와 같이 일부 스포츠에서는 자체 대표팀을 운영한다.[225] 여러 카탈루냐 스포츠 연맹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국제 스포츠 연맹 설립에 참여했다. 예를 들어 카탈루냐 럭비 연맹은 1934년 국제 아마추어 럭비 연맹(FIRA)의 창립 회원 중 하나였다.[226] 대부분의 카탈루냐 스포츠 연맹은 1933년에 설립된 카탈루냐 스포츠 연맹 연합(카탈루냐어: Unió de Federacions Esportives de Catalunyaca)에 속해 있다. 별도의 카탈루냐 팀의 존재는 롤러 하키가 프레스노 사건(2004)에서 겪었던 것처럼 스페인 스포츠 기관과의 분쟁을 야기했다.[227]

카탈루냐 축구 연맹은 또한 정기적으로 국제적인 상대팀과의 친선 경기를 통해 국가대표팀을 운영한다. 최근에는 불가리아, 아르헨티나, 브라질, 바스크 지방, 콜롬비아, 나이지리아, 카보베르데, 튀니지와 경기를 치렀다. 가장 큰 축구 클럽은 유러피안컵(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5회 우승한 바르셀로나(또는 ''바르사''로 알려짐)와 UEFA컵(현 UEFA 유로파리그)에서 두 번 준우승을 차지한 에스파뇰이 있다. 2024년 12월 기준으로 바르셀로나, 에스파뇰, 지로나 FC는 스페인 최고 리그인 라리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카탈루냐의 수구는 이베리아 반도의 주요 강국 중 하나이다. 카탈루냐는 클럽(바르셀로나는 1981/82년 유럽 챔피언, 카탈루냐는 1994/95년 우승) 및 국가대표팀(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으로 유럽 및 세계 수준의 수구 대회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또한 많은 국제적인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챔피언들을 배출했다.

모터스포츠는 20세기 초부터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 온 카탈루냐의 오랜 전통이다. 세계 챔피언들과 여러 대회가 개최되어 왔다. 1991년에 건설된 카탈루냐 서킷은 카탈루냐 모터사이클 그랑프리, 스페인 F1 그랑프리, DTM 레이스 및 기타 여러 레이스를 개최하는 주요 모터스포츠 경기장 중 하나이다.

카탈루냐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1992년 하계 올림픽을 비롯하여 1955년 지중해 경기 대회, 2013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18년 지중해 경기 대회와 같은 많은 국제 스포츠 행사를 개최했다. 또한 세계에서 네 번째로 오래된 기존 사이클링 스테이지 레이스인 볼타 아 카탈루냐(카탈루냐 투어)를 매년 개최한다.[228]

올림픽 공원, 바르셀로나. 중앙에는 루이스 꼼파니스 올림픽 경기장이 있다.


카탈루냐 자치주 정부는 20세기 초부터 스포츠 진흥에 힘써 왔으며, 각 종목의 카탈루냐 대표를 국제 대회에 참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롤러 하키 카탈루냐 대표는 임시적으로 국제 대회 참가가 허용되었지만, 다른 종목에서는 국제 대회 참가가 실현되지 않았다.

1931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는 1936년 하계올림픽 개최지가 결정되었는데, 당시 유력 후보는 바르셀로나였으나 독일의 베를린에 밀렸다. 나치 독일아돌프 히틀러 총통이 베를린 올림픽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했기에, 이에 맞서 거의 동시에 바르셀로나에서 인민 올림픽 개최가 기획되었다. 카탈루냐 자치정부뿐만 아니라 스페인 공화국 정부도 지원했으며, 23개국에서 약 6,000명의 선수가 인민 올림픽 참가를 신청했다. 그러나 개회식 당일인 7월 19일에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면서 인민 올림픽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56년 후, 카탈루냐 출신의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가 IOC 위원장을 역임하던 1992년에 카탈루냐의 색채가 강하게 드러난 바르셀로나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FC 바르셀로나(FC Barcelona)는 축구와 농구 등 다양한 종목의 팀을 보유한 종합 스포츠 클럽이며, 축구 부문은 세계적인 전략을 구사하는 강호 클럽이다. 마드리드에 연고지를 둔 레알 마드리드(Real Madrid)와 라이벌 관계에 있으며, 두 팀의 경기는 엘 클라시코(El Clásico)라고 불린다. 카탈루냐인들에게 FC 바르셀로나는 단순한 스포츠 클럽 그 이상의 존재이며, 클럽의 역사는 카탈루냐의 역사와 깊게 연결되어 있다. 홈구장인 캄프 누(Camp Nou)는 프랑코 독재 시대에 카탈루냐어 사용이 허용된 유일한 장소였으며, 엘 클라시코는 카탈루냐와 중앙 정부의 대리 전쟁 성격을 띠었다. FC 바르셀로나는 소시오(socio)라 불리는 회원들에 의해 운영되는 것이 특징이다.

바르셀로나에는 FC 바르셀로나 외에도 RCD 에스파뇰(RCD Espanyol)이라는 축구 클럽이 있으며, 1930년대 초 미겔 프리모 데 리베라 독재 시대에는 독재 체제를 지지한 역사가 FC 바르셀로나와 다르다. 바르셀로나의 두 클럽 외에도 지로나 FC(Girona FC), 짐나스틱 타라고나(Gimnàstic de Tarragona), CE 사바델(CE Sabadell), CF 바달로나(CF Badalona), UE 랴고스테라(UE Llagostera), 례이다 CF(Lleida Esportiu) 등의 클럽이 있다.[296] 카탈루냐 축구 연맹은 카탈루냐 축구 대표팀을 조직하고 있으며, 매년 크리스마스 휴가에는 해외 대표팀 등을 초청하여 친선 경기를 하고 있다.

몬주만탈 투우장


카탈루냐의 투우가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한 것은 1387년이며, 1834년에는 바르셀로나에 알 트린 투우장이, 19세기 말에는 더 큰 규모의 아레나스 투우장(Plaza de toros de las Arenas)이, 1914년에는 알 스포르트 투우장(후의 몬주만탈 투우장)이 건설되었다. 20세기 초 바르셀로나는 세 개의 투우장을 갖춘 대규모 투우 도시였으며, 그 후 스페인 내전과 프랑코 체제를 거친 1970년대까지 몬주만탈 투우장은 세계 최고의 투우장이었다. 바르셀로나 외에도 피게라스, 타라고나, 지로나, 우로트, 산 파리우 다 기쇼르스, 뤼예트, 비크 등에 투우장이 있었지만, 한편 카탈루냐 지방 남부에서는 투우 대신 코레보스(Correbous) (소몰이)가 인기였다.

여가의 다양화, 스페인 문화의 상징인 투우가 아닌 카탈루냐 문화의 재검토 등의 요인에 의해, 1970년대 중반부터 카탈루냐 지방에서 투우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어린이의 관람과 투우장 신설이 금지된 데다, 1989년 이후에는 반투우 도시 선언을 하는 자치체가 증가했다. 2009년에는 카탈루냐 공화주의 좌익(ERC)을 중심으로 투우 금지 법안이 카탈루냐 주 의회에 제출되어, 2010년에 이 법안이 가결되었다. ERC, 카탈루냐 녹색 이니셔티브가 이 법안에 찬성표를 던졌고, 카탈루냐 국민당(Partido Popular de Cataluña)과 시우다다노스가 반대표를 던졌으며, 집중과 통합과 카탈루냐 사회당은 당내에서도 의견이 분열되었다.

2011년에는 아레나스 투우장이 쇼핑센터로 바뀌었다. 카탈루냐 주의 투우 금지법은 2012년 1월 1일에 시행되었으며,[297] 금지법과 관련하여 타라고나 주에서 성행하던 토로 엠볼라도(Toro embolado) (소의 뿔에 횃불을 붙이는 축제)와 소몰이의 당부에 대한 논의도 일어났다.[298]

참조

[1] 웹사이트 The Spanish Constitution https://www.boe.es/l[...] BOE 2016-07-26
[2] 웹사이트 Statute of Autonomy of Catalonia https://web.archive.[...] Gencat.cat 2013-09-13
[3] 웹사이트 Llei de la llengua de signes catalana https://www.parlamen[...] 2022-10-09
[4] 웹사이트 Indicadors geogràfics. Superfície, densitat i entitats de població: Catalunya https://www.idescat.[...] Statistical Institute of Catalonia 2015-11-23
[5] 웹사이트 Idescat. Annual indicators. Population on 1 January 2024. By sex https://www.idescat.[...] 2024-07-12
[6] 웹사이트 PIB de las Comunidades Autónomas 2020 http://www.datosmacr[...] 2015-08-13
[7]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3-06-24
[8] 간행물 Vocabulari fonetic basic der aranés http://www.institute[...] Institut D'Estudis Aranesi 2018
[9] 뉴스 Court to reject 'nation' in Catalonia statute http://www.expatica.[...] 2009-11-22
[10] 웹사이트 Statute of Autonomy of Catalonia, article 1 https://web.archive.[...] Gencat.cat 2013-09-13
[11] 웹사이트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http://www.demograph[...] Demographia 2018-04-00
[12] 웹사이트 Welcome to Catalonia https://exteriors.ge[...] Ministry for Foreign Action and European Union 2024-03-27
[13] 웹사이트 Statute of Autonomy of Catalonia (2006), Articles 6, 50 – BOPC 224 https://web.archive.[...] 2014-01-31
[14] 서적 Catalunya a la fi del primer mil·leni Pagès Editors 2004
[15] 웹사이트 EU court reinstates MEP immunity of Catalonia's Carles Puigdemont https://www.euronews[...] euronews 2022-05-24
[16] 웹사이트 Enciclopèdia Catalana online: Catalunya http://www.enciclope[...]
[17] 서적 A history of Spain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death of Ferdinand the Catholic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18] 서적 The Sarmatians: 600 BC-AD 450 2002-08-19
[19] 서적 Historia del nacionalismo catalán: 2a edición https://books.google[...] Ed. Nacional 2006-07-07
[20] 웹사이트 La formació de Catalunya https://web.archive.[...] Gencat.cat
[21] 논문 Le nom de la "Catalogne" https://www.persee.f[...] 1948
[22]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4-01-31
[23] 웹사이트 La Catalogne: son nom et ses limites historiques, Histoire de Roussillon http://www.mediterra[...] Mediterranees.net 2008-03-22
[24] 서적 Gramàtica històrica catalana https://www.academia[...] Barcelona 1981
[25] 서적 Anàlisi històrica de la identitat catalana Institut d ́Estudis Catalans 2015
[26] 논문 ESR and U-series analyses of enamel and dentine fragments of the Banyoles mandible https://archive.toda[...]
[27] 논문 Prehistoric Human Adaptations in Catalonia (Spain)
[28] 논문 La Draga (Banyoles, Catalonia), an Early Neolithic Lakeside Village in Mediterranean Europe
[29] 웹사이트 J. Maluquer de Motes: "Late Bronze and Early Iron in the valley of the Ebro" http://www.raco.cat/[...]
[30] 서적 Las Invasiones Bárbaras en Hispania y la Creación del Reino Visigodo Ariel 2002
[31] 서적 Catalunya a la fi del primer mil·leni Pagès Editors 2004
[32] 논문 Seguir les Vestígies dels Antecessors. Llinatge, Reialesa i Historiografia a Catalunya des de Ramon Berenguer IV a Pere II (1131–1285)
[33] 서적 The Feudal Monarchy in France and Englan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34] 웹사이트 Las Cortes Catalanas y la primera Generalidad medieval (s. XIII–XIV) https://web.archive.[...]
[3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Generalitat https://web.gencat.c[...]
[36] 서적 The revolt of the Catalans: a study in the decline of Spain (1598–164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1-09
[37] 서적 The Medieval Sp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Imperial Spain 1469–1716 Penguin 2002
[39] 웹사이트 Charles V https://www.britanni[...] 2012-10-03
[40] 서적 Republicanism: Volume 1, Republicanism and Constitutionalism in Early Modern Europe: A Shared European Herit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서적 Europe in the Seventeenth Century Macmillan
[42] 서적 Felip V i Catalunya
[43] 웹사이트 Els orígens històrics de l’anticatalanisme http://roderic.uv.es[...] L'Espill, Universitat de València
[44] 서적 La persecució política de la llengua catalana Edicions 62
[45] 서적 L'intent franquista de genocidi cultural contra Catalunya Publicacions de l'Abadia de Montserrat 1995
[46] 서적 Recopilació d'accions genocides contra la nació catalana Base
[47] 서적 Racisme i supremacisme polítics a l'Espanya contemporània Parcir 2021
[48] 웹사이트 Novetats legislatives en matèria lingüística aprovades el 2018 que afecten els territoris de parla catalana https://www.platafor[...] 2022-05-22
[49] 웹사이트 Novetats legislatives en matèria lingüística aprovades el 2019 que afecten els territoris de parla catalana https://plataforma-l[...] 2022-05-22
[50] 웹사이트 Comportament lingüístic davant dels cossos policials espanyols https://www.platafor[...] 2022-05-22
[51] 웹사이트 Les modifications intérieures de la France http://www.histoire-[...] 2019-01-24
[52] 서적 La Catalunya atlàntica: aiguardent i teixits a l'arrencada industrial catalana Eumo
[53] 서적 A distinctive industrialisation. Cotton in Barcelona 1728–183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7-14
[54] 서적 The Revolutionary Left in Spain, 1914–1923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4
[55] 서적 Exposiciones internacionales y urbanismo: el proyecto Expo Zaragoza 2008 https://books.google[...] Univ. Politèc. de Catalunya 2019-01-24
[56] 서적 14 d'abril: la Catalunya republicana (1931–1939) Cossetània Edicions
[57] 학술지 Entre la revolució i l'estelada
[58]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59] 서적 Fascism in Spain, 1923–1977 Univ. of Wisconsin Press
[60] 서적 The Spanish Holocaust Harper Press
[61] 서적 Cultural Contestation in Ethnic Conflic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1-09
[62] 학술지 The Resurgence of Catalan 1962-03
[63] 학술지 A Double Life Cycle in Tourism Arrivals to Spain: Unit Root Tests with Gradual Change Analysis
[6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ossos d'Esquadra https://mossos.genca[...]
[65] 웹사이트 History of Televisió de Catalunya http://www.ccma.cat/[...]
[66] 웹사이트 Barcelona 1992: a city turning towards the sea and winning the hearts of the world https://olympics.com[...] IOC 2024-02-18
[67] 웹사이트 Anàlisi de les retallades a l'estatut de Catalunya https://web.archive.[...] 2016-09-13
[68] 웹사이트 Un milió i mig de manifestants per la independència de Catalunya https://web.archive.[...] 2016-09-13
[69] 웹사이트 Did the referendum comply with basic voting regulations? https://elpais.com/e[...] 2017-10-05
[70] 뉴스 What happened with Catalonia's vote for independence – and what's next http://www.pbs.org/n[...] 2017-10-04
[71] 웹사이트 Recurso de inconstitucionalidad n.º 4334-2017, contra la Ley del Parlamento de Cataluña 19/2017, de 6 de septiembre, del Referéndum de Autodeterminación. https://www.boe.es/b[...] Agencia Estatal Boletín Oficial del Estado 2017-09-06
[72] 뉴스 Catalan Separatists Plot Show of Force in Battle With Madrid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7-09-11
[73] 뉴스 Protests in Barcelona against suspension of Catalan autonomy – in pictures https://www.theguard[...] 2017-10-22
[74] 뉴스 Catalans declare independence from Spain https://www.bbc.co.u[...] 2017-10-27
[75] 뉴스 Spain dissolves Catalan parliament and calls fresh elections https://www.theguard[...] 2017-10-28
[76] 웹사이트 Directo: El Senado aprueba la aplicación del 155 http://www.huffingto[...] 2017-10-27
[77] 웹사이트 En vivo – Rajoy disuelve el Parlament y convoca elecciones catalanas el 21 de diciembre http://www.elmundo.e[...] 2017-10-27
[78] 뉴스 Rajoy cesa a Puigdemont y su Govern y convoca elecciones para el 21 de diciembre http://www.eldiario.[...] 2017-10-27
[79] 뉴스 Catalonia's longest week https://www.bbc.com/[...] 2017-11-04
[80] 뉴스 Catalonia Independence: nine former ministers jailed http://www.theweek.c[...] 2017-11-03
[81] 웹사이트 Quim Torra pren possessió com a 131è president de la Generalitat https://web.gencat.c[...] 2018-05-17
[82] 뉴스 Spanish judge jails proposed Catalan leader hours ahead of planned inauguration https://www.telegrap[...] 2018-03-23
[83] 웹사이트 UNPO: UNPO Welcomes the Assemblea Nacional Catalana as its Newest Member https://unpo.org/art[...] 2019-01-10
[84] 뉴스 Spanish Supreme Court sentences Catalan separatists to prison, sparking protests https://www.washingt[...]
[85] 뉴스 El Gobierno concede el indulto a los presos del 'procés' https://www.newtral.[...] 2021-06-22
[86] 뉴스 Los presos del 'procés' abandonan la cárcel tras el indulto del Gobierno https://cincodias.el[...] 2021-06-23
[87] 웹사이트 Baròmetre d'Opinió Política https://upceo.ceo.ge[...]
[88] 뉴스 Separatist parties set to lose power in Catalan regional election, polls show https://www.theguard[...] 2024-05-12
[89] 뉴스 Polls Show Support for Catalonia Independence Declining https://www.voanews.[...] 2022-09-15
[90] 뉴스 Support for Catalan independence falls to historic low, poll reveals https://www.euractiv[...] 2024-07-19
[91] 웹사이트 Geological map of Catalonia http://www.icgc.cat/[...] Institut Cartogràfic i Geològic de Catalunya 2016
[92] 웹사이트 EDMAKTUB I Estudio de cetáceos http://www.edmaktub.[...]
[93] 논문 The Cetaceans of the Spanish Coasts: A Survey https://www.degruyte[...] 2009
[94] 웹사이트 Catalunya: El clima i la hidrografia http://www.enciclope[...]
[95] 간행물 Biodiversitat a Catalunya http://www.gencat.ca[...] Generalitat de Catalunya
[96] 웹사이트 Beginnings of the autonomous regime, 1918–1932 http://www.gencat.ne[...] Gencat.net
[97] 웹사이트 The republican Government of Catalonia, 1931–1939 http://www.gencat.ne[...] Gencat.net
[98] 웹사이트 Title IV. Powers (articles 110–173) of the 2006 Statute http://www.gencat.ca[...] Gencat.cat
[99] 뉴스 Centrifugal Spain: Umbrage in Catalonia http://economist.com[...] 2012-11-24
[100] 웹사이트 CEO Public Opinion Poll covering, among others, nationalist opinions http://premsa.gencat[...] ceo.gencat.cat
[101] 웹사이트 La Vanguardia poll http://www.lavanguar[...]
[102] 웹사이트 Diagnóstic de Percepcions Catalunya – Espanya http://www.uoc.edu/p[...] Universitat Oberta de Catalunya
[103] 웹사이트 El 42% de los catalanes dice que quiere que Cataluña sea independiente http://www.cadenaser[...] Cadenaser.com 2010-11-15
[104] 웹사이트 Racalacarta.com http://www.racalacar[...]
[105] 웹사이트 El apoyo a la independencia remite y cae al 40% http://www.lavanguar[...] Lavanguardia.es
[106] 웹사이트 MAPA | ¿Cómo se distribuye el voto independentista en Catalunya? https://www.eldiario[...] 2015-09-28
[107] 웹사이트 Referèndum per la independència de Catalunya – Centre d'Estudis d'Opinió http://www.einesceo.[...] Einesceo.cat 2013-10-15
[108] 웹사이트 Baròmetre d'Opinió http://premsa.gencat[...] Center for Public Opinion Studies 2016-09-09
[109] 웹사이트 Baròmetre d'Opinió http://ceo.gencat.ca[...] Center for Public Opinion Studies 2016-04-15
[110] 웹사이트 El "no" a la independencia gana más apoyos, según el CIS catalán https://www.antena3.[...] 2017-11-12
[111] 뉴스 Spain's Catalonia region in symbolic independence vote http://news.bbc.co.u[...] 2009-12-14
[112] 웹사이트 "Unas 600.000 personas en la manifestación independentista". La Vanguardia de Catalunya http://www.lavanguar[...] Lavanguardia.com 2012-09-14
[113] 뉴스 Masiva manifestación por la independencia de Catalunya http://www.lavanguar[...] 2012-09-11
[114] 간행물 Spain Barcelona Warns Madrid: Pay Up, or Catalonia Leaves Spain https://world.time.c[...] 2012-09-11
[115] 웹사이트 Resultats provisionals 27S http://resultats.par[...] Generalitat de Catalunya
[116] 웹사이트 First article of the Statute of Autonomy of Catalunya http://www.gencat.ne[...] Gencat.net
[117] 웹사이트 Constitución Española, Titulo Preliminar https://web.archive.[...] 2007-10-13
[118] 웹사이트 Admitidos los recursos de Aragón, Valencia y Baleares contra el Estatuto catalán. http://www.hoy.es/pr[...] Hoy.es 1997-12-01
[119] 뉴스 Cuatro años de encarnizada batalla política. https://elpais.com/e[...] 2010-06-29
[120] 뉴스 Ni un retoque en 74 artículos recurridos https://elpais.com/d[...]
[121] 뉴스 Catalonia 'is not a nation' 10 July 2010 http://news.scotsman[...] News.scotsman.com 2010-07-10
[122] 웹사이트 Is Catalonia a nation or a nationality, or is Spain the only nation in Spain? http://www.matthewbe[...] Matthewbennett.es
[123] 뉴스 Catalonia can call itself a 'nation', rules Spain's top court 29 Jun 2010 https://www.telegrap[...] 2010-06-29
[124] 뉴스 A nationality, not a nation Jul 1st 2010 http://www.economist[...] 2010-07-01
[125] 웹사이트 Catalan government broken: Junts leaves coalition cabinet, Esquerra stays alone https://english.vila[...]
[126] 웹사이트 Legislació civil catalana http://civil.udg.es/[...] Civil.udg.es 2006-07-20
[127] 웹사이트 Padró municipal d'habitants. Xifres Oficials. Recomptes. Any 2010 http://www.idescat.c[...] idescat
[128] 웹사이트 El cas singular de Gósol, que vol deixar de dependre de quatre administracions: "Cal un debat" https://www.ccma.cat[...] 2023-11-28
[129] 웹사이트 vegueria {{!}} enciclopedia.cat https://www.enciclop[...]
[130] 웹사이트 Traient l'entrellat a les vegueries – 12 març 2010 https://www.elpuntav[...]
[131] 웹사이트 La Catalunya de 9 vegueries (en 4 províncies) – femVallès https://www.femvalle[...] 2020-04-28
[132] 웹사이트 Se impide crear veguerías alterando los límites provinciales {{!}} Barcelona {{!}} elmundo.es https://www.elmundo.[...]
[133] 웹사이트 El Constitucional només admet les vegueries si es conserven les províncies https://www.ccma.cat[...] 2010-07-09
[134] 웹사이트 Pla territorial general de Catalunya http://www10.gencat.[...] Generalitat de Catalunya
[135] 웹사이트 Aprovació del Pla territorial parcial de l'Alt Pirineu i Aran https://web.archive.[...] 2008-05-13
[136] 웹사이트 Mapa de Vegueries a Catalunya (2021): On és el teu municipi? https://beteve.cat/m[...] 2021-04-21
[137] 웹사이트 Catalunya ja té vuit vegueries: El Parlament aprova la creació de la vegueria del Penedès https://www.ara.cat/[...] 2017-02-08
[138] 웹사이트 Idescat. Statistical Yearbook of Catalonia. County councils. Councillors. Counties. https://www.idescat.[...]
[139] 웹사이트 Festivals in southern Terres de l'Ebre counties form new group to increase visibility https://www.catalann[...] 2023-05-06
[140] 웹사이트 Coronavirus: Spain puts 200,000 people in Catalonia back into lockdown as cases rise https://news.sky.com[...]
[141] 웹사이트 Ley 16/1990, de 13 de julio, sobre el régimen especial del Valle de Arán. http://noticias.juri[...] Noticias Jurídicas 2010-07-20
[142] 웹사이트 Comparar Comunidades Autónomas Madrid vs Cataluña 2020 https://datosmacro.e[...] 2020-05-15
[143] 웹사이트 Catalunya mantiene el papel de locomotora de España en el 2018 https://www.lavangua[...] 2019-04-29
[144] 뉴스 S&P mantiene la deuda de Cataluña en "bono basura" http://www.expansion[...] Unidad Editorial 2015-04-17
[145] 뉴스 Standard & Poor's degrada la calificación de Catalunya a 'bono basura' http://www.lavanguar[...] Javier Godó 2012-08-31
[146] 뉴스 Rating: Calificación de la deuda de las Comunidades Autónomas http://www.datosmacr[...]
[147] 웹사이트 Barcelona, la octava mejor ciudad del mundo para vivir y trabajar https://www.lavangua[...] 2021-01-03
[148] 웹사이트 Barcelona, considerada la octava mejor ciudad del mundo Barcelona International Welcome Barcelona https://web.archive.[...] 2021
[149] 뉴스 BBVA no descarta que la economía catalana caiga un 2% https://elpais.com/e[...] Elpais.com 2009-01-14
[150] 뉴스 Spanish Region of Catalonia: Using Debt to Get Rich https://www.cnbc.com[...] 2013-10-14
[151] 뉴스 Catalonia calls for help from central government to pay debts https://www.telegrap[...] 2012-05-25
[152] 뉴스 Catalunya va créixer un 3,3% el 2015, una dècima més que Espanya http://www.ara.cat/e[...]
[153] 웹사이트 Structural Funds programmes in Catalonia – (2000–2006) https://web.archive.[...]
[154] 웹사이트 Catalonia Tourist Tax http://costabravatou[...] Costa Brava Tourist Guide
[155] 웹사이트 CaixaBank traslada su sede a Valencia y La Fundación Bancaria La Caixa y Criteria a Palma https://www.expansio[...] 2017-10-05
[156] 웹사이트 Banco Sabadell traslada su domicilio social a Alicante https://www.europapr[...] Europa Press 2017-10-05
[157] 웹사이트 El Govern espanyol aprova un decret per facilitar la fugida d'empreses de Catalunya https://beteve.cat/e[...] 2017-10-06
[158] 웹사이트 Más de 5.400 empresas trasladaron su sede desde Catalunya tras la consulta del 1-O https://www.elperiod[...] 2019-10-12
[159] 웹사이트 Más de 5.600 empresas han huido de Cataluña en dos años https://www.libremer[...] 2019-10-14
[160] 웹사이트 L'Estat va treure milers de milions de dipòsits dels bancs catalans el 2-O https://www.ara.cat/[...] 2018-10-05
[161] 웹사이트 Així va fer l'Estat la guerra econòmica contra Catalunya https://emprenem.ara[...] 2018-10-06
[162] 웹사이트 Fact Sheet 2016 http://www.borsabcn.[...] Barcelona Stock Exchange
[163] 웹사이트 Regional Unemployment by NUTS2 Region https://ec.europa.eu[...]
[164] 뉴스 Spain completes Iberia's high-speed link to Europe http://www.railjourn[...]
[165] 뉴스 High speed services between France and Spain launched http://www.railwayga[...]
[166] 웹사이트 Barcelona to Paris from €35 in 6h29m Times, Tickets & Info https://www.thetrain[...]
[167] 웹사이트 Idescat. Anuari estadístic de Catalunya. Població. Províncies https://www.idescat.[...]
[168] 웹사이트 Extranjeros con certificado de registro o tarjeta de residencia en vigor. Por país de nacionalidad. https://www.idescat.[...] idescat.cat
[169] 서적 Atlas des migrations dans le monde, Réfugiés ou migrants volontaires, Alternatives Economiques Autrement 2009
[170] 뉴스 Catalans woo immigrants in quest to split from Spain https://www.reuters.[...] 2017-06-16
[171] 논문 Immigration in Catalonia: In Search of a Public Philosophy 2012
[172] 뉴스 Más del 60% de la población de Cataluña es fruto de los flujos inmigratorios de este siglo https://elpais.com/d[...] 1999-10-01
[173] 논문 Despite the crisis: The resilience of intercultural nationalism in Catalonia 2017
[174] 서적 Migr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in Spain Vervuert 2009
[175] 웹사이트 Idescat. Anuario estadístico de Cataluña. Extranjeros con tarjeta de residencia. Por país de nacionalidad. Provincias https://www.idescat.[...]
[176] 웹사이트 Población extranjera por Nacionalidad, comunidades, Sexo y Año. https://www.ine.es/j[...]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Spain) 2019-04-05
[177] 웹사이트 Población extranjera por Nacionalidad, comunidades, Sexo y Año. https://www.ine.es/j[...] 2023-07-14
[178] 간행물 Baròmetre sobre la religiositat i sobre la gestió de la seva diversitat 2016 http://premsa.gencat[...] Institut Opiniòmetre, Generalitat de Catalunya 2016
[179] 간행물 Baròmetre sobre la religiositat i sobre la gestió de la seva diversitat http://governacio.ge[...] Institut Opiniòmetre, Generalitat de Catalunya 2014
[180] 웹사이트 Baròmetre sobre la religiositat i sobre la gestió de la seva diversitat 2020 http://justicia.genc[...] Institut Opiniòmetre, Generalitat de Catalunya 2021-05-19
[181] 웹사이트 Idescat. Demographic Survey. Població de 15 anys i més segons llengua inicial, d'identificació i habitual. Catalunya https://www.idescat.[...] 2021-02-21
[182] 웹사이트 Idescat. Dades demogràfiques i de qualitat de vida http://www.idescat.c[...] Idescat.cat 2010-04-25
[183] 웹사이트 Statute of Autonomy of Catalonia (Article 6) http://www.gencat.ca[...] Gencat.cat 2010-04-25
[184] 간행물 Enquesta d'usos lingüístics de la població 2008 http://www20.gencat.[...]
[185] 웹사이트 Catalan Sign Language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1999-02-19
[186] 서적 Entorn de la histáoria de la llengua L'Abadia de Montserrat
[187] 서적 Franquisme i repressió: la repressió franquista als països catalans 1939–1975 https://books.google[...] Universitat de València 2011-01-06
[188] 서적 Franquisme i repressió: la repressió franquista als països catalans (1939–1975) https://books.google[...] Universitat de València 2020-11-09
[189] 서적 Multilingualism in Spain: Sociolinguistic and Psycholinguistic Aspects of Linguistic Minority Groups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10-04-25
[190] 뉴스 Diario El Mundo, Spanish Only http://medios.mugak.[...] Medios.mugak.eu 2008-06-05
[191] 뉴스 Diario El Imparcial, Spanish Only http://www.elimparci[...] Elimparcial.es 2008-07-26
[192] 뉴스 Diario Periodista Digital, Spanish Only http://blogs.periodi[...] Blogs.periodistadigital.com
[193] 뉴스 Diario Periodista Digital, Spanish Only http://blogs.periodi[...] Blogs.periodistadigital.com
[194] 간행물 Catalan Deputy of Education Ernest Maragall declares respect from the Catalan Government to Spanish language and to everyone's rights http://www.parlament[...]
[195] 웹사이트 Catalan, Basque and Galician get EU language boost https://euobserver.c[...] EUobserver 2006-07-04
[196] 뉴스 Buscador online de noticias http://www.abcdesevi[...] abcdesevilla.es 2006-11-23
[197] 웹사이트 High Level Group on Multilingualism – Final Report: from the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in which Catalan immersion is taken as an example which "should be disseminated throughout the Union" (p. 18). http://ec.europa.eu/[...]
[198] 서적 Homenatge a Arthur Terry Publicacions de l'Abadia de Montserrat 2022-07-26
[199] 서적 Estudis d'història de la llengua catalana https://books.google[...] Publicacions de l'Abadia de Montserrat 2022-07-26
[200] 웹사이트 Catalonia's linguistic law http://llengua.genca[...] gencat.cat 2017-08-16
[201] 웹사이트 Second article of Catalonia's linguistic law http://llengua.genca[...] gencat.cat 2017-08-16
[202] 웹사이트 Ninth article of Catalonia's Linguistic Law http://llengua.genca[...] gencat.cat 2017-08-16
[203] 웹사이트 DESCOBRIR LES LLENGÜES DE LA IMMIGRACIÓ http://www.ub.edu/cu[...] University of Barcelona 2012-10-06
[204] 웹사이트 Usos lingüístics. Llengua inicial, d'identificació i habitual http://www.idescat.c[...] Institut d'Estadística de Catalunya
[205] 뉴스 Árabe y urdu aparecen entre las lenguas habituales de Catalunya, creando peligro de guetos. http://www.europapre[...] Europapress.es 2009-06-29
[206] 뉴스 Presència http://www.presencia[...] Presencia.cat 2014-01-26
[207] 웹사이트 El Blog de Antonio Sabadell – Blog Personal http://www.asabadell[...]
[208] 웹사이트 normalitzacio.cat http://www.normalitz[...] normalitzacio.cat 2014-01-31
[209] 서적 Debat sobre la normalització lingüística: Ple de l'Institut d'Estudis Catalans (18 d'abril de 1990) https://books.google[...] Institut d'Estudis Catalans 2020-11-09
[210] 웹사이트 Cinema law: rude case to not dub and subtitle all films in Catalan http://www.cafebabel[...] Cafebabel.co.uk 2010-03-25
[211] 뉴스 La nova llei del cinema elimina les quotes de doblatge en català https://web.archive.[...] 2014-07-23
[212] 웹사이트 La Plataforma per la Llengua denuncia en un informe 40 casos greus de discriminació lingüística a les administracions públiques ocorreguts els darrers anys https://www.platafor[...] 2013-06-12
[213] 웹사이트 Alicia Sánchez-Camacho responde en 'Tengo una pregunta para usted' https://www.youtube.[...] YouTube 2010-11-11
[214] 웹사이트 El PPC va votar a favor d'un reglament sobre el català – Regió7. El Diari de la Catalunya Central http://www.regio7.ca[...] Regio7.cat 2010-10-28
[215] 웹사이트 Sánchez-Camacho rebutja la postura inicial de Bauzá de derogar la llei de Normalització Lingüística a les Illes Balears http://www.3cat24.ca[...] 3cat24.cat 2010-10-09
[216] 서적 El Romànic català
[217] 웹사이트 Tarragona, City of Human Towers – Tarragona Turisme https://www.tarragon[...]
[218] 서적 Conèixer Catalunya. Les Festes Populars Editorial Dopesa 1979
[219] 웹사이트 Patum de Berga http://www.bergueda.[...]
[220] 뉴스 A traditional Nativity scene, Catalan-style https://www.bbc.co.u[...] 2010-12-23
[221] 뉴스 Catalonia votes to ban bullfighting https://www.theguard[...] 2010-07-28
[222] 뉴스 TV3 lidera l'audiència per 9è any consecutiu i té el millor resultat dels últims 6 anys https://web.archive.[...] 2019-01-01
[223] 뉴스 TV3 estableix un nou rècord: nou anys de liderat consecutius https://web.archive.[...] 2018-12-31
[224] 웹사이트 ABC (Madrid) – 24/04/1974, p. 49 – ABC.es Hemeroteca http://hemeroteca.ab[...]
[225] 웹사이트 Esports reconeguts http://www.seleccion[...]
[226] 웹사이트 FIRA-AER website – History https://web.archive.[...]
[227] 웹사이트 SENTENCE ARBITRALE rendue par le TRIBUNAL ARBITRAL DU SPORT https://web.archive.[...]
[228] 웹사이트 100 Anys d'Historia https://web.archive.[...]
[229] 웹사이트 Statute of Catalonia (Article 8) https://web.archive.[...] Gencat.net
[230] 웹사이트 Law 1/1980 where the Parlamient of Catalonia declares that 11th of September is the National Day of Catalonia http://noticias.juri[...] Noticias.juridicas.com
[231] 웹사이트 Law 1/1993 National Anthem of Catalonia http://noticias.juri[...] Noticias.juridicas.com
[232] 간행물 Law 1/1993 in the BOE http://search.boe.es[...]
[233] 웹사이트 Cava & Co ! https://cava-and-co.[...] 2011-10-24
[234] 뉴스 Spain's El Bulli named best restaurant in world https://web.archive.[...] 2009-04-21
[235] 웹사이트 « Meilleur restaurant du monde » grand prix de la tourista internationale http://www.marianne.[...] 2013-04-30
[236] 웹사이트 Catalonia 2016 https://www.european[...] International Institute of Gastronomy, Culture, Arts and Tourism
[237] 웹사이트 Firman acuerdo de colaboración gobierno de NL y Cataluña, España | Info7 | Nuevo León http://www.info7.com[...] Info7
[238] 웹사이트 Firman NL y Cataluña intercambio estratégico | Info7 | Nuevo León http://info7.mx/a/no[...] Info7.mx
[239] 웹사이트 VIDEO: Nuevo León y Cataluña, ¿tierras hermanas? – Publimetro https://web.archive.[...] Publimetro.com.mx
[240] 웹사이트 Senate Concurrent Resolution No. 71 {{!}} Senate Office of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oir.senate.c[...]
[241] 웹사이트 Catalonia https://web.archive.[...]
[242] 웹사이트 Spain: Autonomous Communities and Major Citie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17-12-29
[243] 웹사이트 Catalonia http://global.britan[...] Global Britannica.com 2015-10-11
[244] 뉴스 カタルーニャ州議会「独立宣言」 https://jp.reuters.c[...] 로이터 2017-10-27
[245] 서적 A History of Spain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Death of Ferdinand the Catholic Longman, Greens and Co 1900
[246] 웹사이트 La Catalogne : son nom et ses limites historiques http://www.mediterra[...] Histoire de Rousillon 2016-01-06
[247] 웹사이트 カタルーニャ州、スペインから独立めざす理由は? 住民投票めぐり綱引き https://www.huffingt[...] ハフィントン・ポスト 2014-09-17
[248] 웹사이트 CENTRAL CATALONIA UNESCO GLOBAL GEOPARK (Spain) https://en.unesco.or[...] 2021-07-28
[249] 웹사이트 Weather Information for Barcelona http://www.worldweat[...] 세계기상기관 2011-03-09
[250] 웹사이트 Meteorología http://www.aemet.es/[...] 스페인기상청(AEMet) 2011-03-09
[251] 웹사이트 카탈루냐 통계국(IEC) http://www.idescat.c[...]
[252] 기타
[253] 서적 세계전쟁사전 개정 제2판 카와데쇼보신샤 2014-09-29
[254] 서적 스페인 건축사 (건축 각국사 - 1) 사가미 서점 1979-11-25
[255] 서적 스페인 건축사 (건축 각국사 - 1) 사가미 서점 1979-11-25
[256] 서적 스페인 건축사 (건축 각국사 - 1) 사가미 서점 1979-11-25
[257] 서적 스페인 건축사 (건축 각국사 - 1) 사가미 서점 1979-11-25
[258] 간행물 스페인 「역사적 기억법」과 카탈루냐 소카대학 출판회 2011-03
[259] 웹사이트 스페인의 바스크 자치주, 독립 기운이 시들해져 카탈루냐와 대조적 http://jp.wsj.com/ar[...] 월스트리트 저널 2014-04-24
[260] 간행물 유럽 통합 속의 「국가 만들기」 카탈루냐 「독립 문제」의 배경에 있는 것 아오키 서점 2015-06
[261] 뉴스 카탈루냐의 독립 기운을 부추기는 경제적 불만, 스페인 https://www.afpbb.co[...] 2013-09-14
[262] 간행물 카탈루냐에서의 독립 지향의 고조와 그 요인 2015
[263] 웹사이트 The 9N2014 Vote http://www.catalonia[...] 카탈루냐주 선거관리위원회
[264] 웹사이트 The The 27S2015 Vote http://www.catalonia[...] 카탈루냐주 선거관리위원회
[265] 뉴스 카탈루냐주, 스페인으로부터 분리 독립 프로세스 시작 https://jp.reuters.c[...] 로이터 2015-11-10
[266] 뉴스 카탈루냐주 의회,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프로세스 시작 결의안 가결 http://www.bloomberg[...] 블룸버그 2015-11-10
[267] 뉴스 카탈루냐 지도자들, 독립 선언에 서명 시행은 연기 http://www.bbc.com/j[...] BBC 2017-10-11
[268] 뉴스 카탈루냐 자치권을 제한 http://jp.reuters.co[...] 로이터 2017-10-22
[269] 뉴스 Catalan ex-leader Carles Puigdemont vows to resist takeover http://www.bbc.com/n[...] BBC 2017-10-28
[270] 웹사이트 「카탈루냐 독립 문제」를 해독하는 5가지 포인트를 미 신문이 철저 해설! 마드리드에서 독립파 지도자의 재판이 스타트 https://courrier.jp/[...] 2019-02-20
[271] 뉴스 카탈루냐 신정부 승인=스페인 https://web.archive.[...] 2018-06-02
[272] 뉴스 스페인 정부, 법의 힘으로 카탈루냐의 자치권 정지도=법무상 https://jp.reuters.c[...] 로이터 2017-10-02
[273] 뉴스 카탈루냐, 독립 선언을 보류 주총리, 스페인 정부와의 대화 제안 https://www.afpbb.co[...] 프랑스 통신사 2017-10-11
[274] 웹사이트 Catalonia’s nude lawyer steals voters from PM http://www.thetimes.[...] 2015-03-04
[275] 기타
[276] 서적 유럽Ⅰ 아사쿠라 서점 1979
[277] 웹사이트 European Structural Funds in Spain (2000-2006) http://ec.europa.eu/[...]
[278] 웹사이트 Ranking of Savings Banks https://web.archive.[...] 2010-04-25
[279] 웹사이트 Profile of "Banc Sabadell" in Euroinvestor http://www.euroinves[...] Euroinvestor.es 2011-01-06
[280] 웹사이트 Relocation of companies http://www.expansion[...] 엑스판시온 2015-05-04
[281] 뉴스 カタルーニャ州、投資不適格=米S&Pが2段階下げ―スペイン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2-09-01
[282] 뉴스 S&P mantiene la deuda de Cataluña en "bono basura" http://www.expansion[...] エスパンシオン 2015-04-17
[283] 뉴스 Standard & Poor's degrada la calificación de Catalunya a 'bono basura' http://www.lavanguar[...] ラ・バングアルディア 2012-08-31
[284] 뉴스 Rating: Calificación de la deuda de las Comunidades Autónomas http://www.datosmacr[...]
[285] 웹사이트 Espana Comunidades Autonomas http://www.datosmacr[...] Datos Macro 2016-01-06
[286] 웹사이트 Producto Interior Bruto regional. Año 2014 Cuentas de renta del sector hogares. Serie 2010-2012 http://www.ine.es/pr[...] 스페인 국립 통계청 (INE) 2016-01-06
[287] 서적 ヨーロッパⅠ 朝倉書店
[288] 웹사이트 Catalonia Tourist Tax http://costabravatou[...] Costa Brava Tourist Guide
[289] 서적 ヨーロッパⅠ 朝倉書店
[290] 웹사이트 Catalunya arriba a set milions d'habitants http://www.vilaweb.c[...] 디아리 알 푼트
[291] 웹사이트 Catalans grapple with migrant influx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1-03
[292] 웹사이트 El aranés se convierte en la tercera lengua oficial de Cataluña http://www.abc.es/ag[...] ABC (신문) 2010-09-22
[293] 웹사이트 Onze de Setembre http://www.enciclope[...] Gran Enciclopèdia Catalana
[294] 웹사이트 Law 1/1993 National Anthem of Catalonia http://noticias.juri[...] Noticias Juridicas
[295] 웹사이트 Law 1/1993 http://search.boe.es[...] 스페인 관보(BOE)
[296] 웹사이트 Problems facing football in an independent Catalonia http://www.worldsocc[...] World Soccer 2013-05-25
[297] 웹사이트 Las provincias. Cataluña prohíbe las corridas de toros http://www.lasprovin[...] Las Provincias 2010-07-28
[298] 웹사이트 El Parlament blinda los 'correbous' dos meses después de prohibir los toros http://www.elmundo.e[...] 엘 문도 2010-09-23
[299] 서적 スペイン・ワイン 早川書房
[300] 서적 The Sotheby's Wine Encyclopedia Dorling Kindersley
[301] 웹인용 Statute of Autonomy of Catalonia http://www.gencat.ca[...] Gencat.cat 2013-09-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