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1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 13세는 스웨덴 국왕이자 노르웨이 국왕이며, 스웨덴의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의 마지막 국왕이다. 그는 형 구스타브 3세 치하에서 정치적 입지를 다졌으며, 구스타브 3세 암살 이후 섭정으로 스웨덴을 통치했다. 1809년 구스타브 4세 아돌프가 폐위되자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했으며, 1814년에는 스웨덴-노르웨이 동군연합을 수립하여 노르웨이 국왕으로 즉위했다. 후사가 없었던 그는 프랑스 출신 장바티스트 베르나도트를 양자로 삼아 왕세자로 책봉했고, 1818년 사망하면서 베르나도테 왕조가 시작되었다. 칼 13세는 프리메이슨 단원으로 활동했으며, 칼 13세 훈장을 제정하고 초자연 현상과 신비주의에 관심을 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홀슈타인고토르프가 - 아돌프 프레드리크
아돌프 프레드리크는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이자 1751년부터 1771년까지 스웨덴 국왕으로, 하타르나당과 뫼소르나당의 당파 싸움 속에서 왕권이 약화된 시기를 통치했으며, 정치적 무능력으로 평가받지만 과학과 예술에 관심을 가졌다. - 홀슈타인고토르프가 - 카를 프리드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카를 프리드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은 스웨덴에서 태어나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위를 계승했고, 러시아 여대공과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으며, 그의 아들은 훗날 러시아 차르가 되었다. - 1748년 출생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1748년 출생 - 올랭프 드 구주
프랑스 혁명 시대 작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인 올랭프 드 구주는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 선언'을 통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촉구하고 노예제 폐지 등을 주장했으나, 반혁명 혐의로 처형당했다. - 1818년 사망 - 요한 고틀리브 간
요한 고틀리브 간은 1745년에 태어나 광물학을 배우고 망가니즈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으며, 광산 대학교 감독관으로 활동하며 화학 공장을 설립하고 신분제 의회 의원을 역임하다 1818년에 사망했다. - 1818년 사망 - 워런 헤이스팅스
워런 헤이스팅스는 1732년 영국에서 태어나 영국 동인도 회사에 입사하여 인도 총독을 역임하며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횡령 혐의로 탄핵 재판을 받았고, 말년에 파산하여 사망했다.
칼 1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군주 칭호 | 스웨덴 국왕 노르웨이 국왕 |
스웨덴 국왕 재위 기간 | 1809년 6월 6일 – 1818년 2월 5일 |
노르웨이 국왕 재위 기간 | 1814년 11월 4일 – 1818년 2월 5일 |
스웨덴 섭정 재위 기간 | 1792년 3월 29일 – 1796년 11월 1일 |
섭정 대상 | 구스타브 4세 아돌프 |
이름 | 카를 13세 |
출생일 | 1748년 10월 7일 |
출생지 | 스톡홀름, 스웨덴 |
사망일 | 1818년 2월 5일 |
사망지 | 스톡홀름, 스웨덴-노르웨이 |
매장일 | 1818년 3월 20일 |
매장지 | 리다르홀름 교회 |
종교 | 루터교 |
서명 | Signature of Charles XIII of Sweden.svg |
통치 | |
스웨덴 국왕 계승 | 구스타브 4세 아돌프 |
스웨덴 국왕 후임 | 칼 14세 요한 |
노르웨이 국왕 계승 |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
노르웨이 국왕 후임 | 칼 3세 요한 |
이전 칭호 | 세데르만란드 공작 |
가족 | |
배우자 | 헤드비히 엘리자베트 샬롯테 폰 홀스타인-고토르프 (1774년 결혼) |
자녀 | 카를 뢰벤히엘름(사생아) |
가문 | 홀스타인-고토르프 가문 (스웨덴 계열) |
아버지 | 아돌프 프레드리크 |
어머니 | 루이사 울리카 폰 프로이센 |
친척 | 구스타브 3세(형) |
2. 생애
아돌프 프레드리크 국왕과 그의 아내인 프로이센의 로비사 울리카( Lovisa Ulrikasv, Luise Ulrikede )의 둘째 아들로, 구스타브 3세 국왕의 동생이다.[25] 1772년 형 구스타브 3세가 일으킨 쿠데타에 협력한 공로로 쇠데르만란드 공작 칭호를 받았다.[25] 1788년 러시아-스웨덴 전쟁에서는 스웨덴 해군 제독으로서 호글란드 해전과 외란드 해전 등에서 전공을 세웠다.[25]
1792년 구스타브 3세가 암살되자 조카인 구스타브 4세 아돌프를 대신해 섭정이 되었으나, 실권은 구스타프 아돌프 레이터홀름이 장악했다.[25] 1796년 구스타브 4세 아돌프가 친정을 시작하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잃었다.[25]
나폴레옹 전쟁 중이던 1809년 3월, 스웨덴 귀족들이 일으킨 쿠데타로 구스타브 4세 아돌프가 폐위되자 섭정으로 추대되었고, 같은 해 6월 6일 새 헌법에 따라 스웨덴의 칼 13세 국왕으로 즉위했다.[25] 그러나 즉위 당시 이미 쇠약한 상태였으며, 1810년 프랑스 출신의 장군 장바티스트 쥘 베르나도트( Jean-Baptiste Jules Bernadotte프랑스어 )를 왕세자로 맞이한 이후에는 그가 실질적으로 스웨덴을 통치했다.[25] 같은 해, 군사력 회복을 위한 의학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카롤린스카 연구소 설립을 주도했다.[26]
1814년 스웨덴-노르웨이 동군연합이 수립되면서 노르웨이의 국왕(칼 2세)으로도 즉위했으나, 명목상의 군주에 머물렀다.[25] 1818년 2월 5일 후사 없이 사망하자[25] 왕세자 베르나도트가 스웨덴의 칼 14세 요한 국왕(노르웨이의 칼 3세 요한 국왕)으로 즉위했다. 이로써 스웨덴의 홀슈타인고트로프 왕조 시대는 끝나고 베르나도테 왕조 시대가 시작되었다.[25]
2. 1. 초기 생애

스웨덴 국왕 아돌프 프레드리크와 그의 아내인 프로이센의 로비사 울리카( Lovisa Ulrikasv, Luise Ulrikede )의 둘째 아들로 1748년 10월 7일 스톡홀름에서 태어났다.[25] 그는 구스타브 3세 국왕의 동생이다.
칼은 헤드비그 엘리사베트 스트룀펠트와 울리카 쇤스트룀에게 교육을 받았다. 태어난 지 며칠 만에 스웨덴 해군의 대제독으로 임명되었으며, 왕실 아마추어 극장에서 춤을 잘 추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버지 아돌프 프레드리크의 총애를 받았고 성격도 아버지를 닮았다고 한다.[4] 반면 어머니 로비사 울리카와는 그다지 가깝지 않았는데, 여왕은 막내 자녀인 소피아 알베르티나 공주와 프레드리크 아돌프 왕자를 더 좋아했기 때문이다.[3] 어린 시절 형인 구스타브와는 가까운 사이였다.[3]

형 구스타브의 뒤를 잇는 왕위 계승자였기 때문에, 일찍부터 형에 대한 반대 세력에게 이용될 가능성이 있었다. 1760년대 모자당은 칼이 당시 사랑했던 브리타 호른 백작 부인(모자당 정치인 아담 호른의 딸)을 통해 그를 왕세자인 형에게 대항하도록 이용하려 했다.[4] 그러나 구스타브는 칼이 반대 세력에게 이용당하는 것을 항상 경계했으며, 이는 12월 위기 (1768년) 때 처음 시험대에 올랐으나 칼은 결국 모자당에게 이용당하지 않았다.[4]
1770년에는 혼자 독일과 프랑스를 여행했다.
2. 2. 구스타브 3세 치하


1771년 아버지 아돌프 프레드리크 국왕이 사망한 후, 형인 왕세자 구스타브 3세가 해외에 나가 있는 동안 모자당은 다시 한번 칼을 형과 대립시키려 시도했다. 그의 어머니 루이세 울리카 또한 이를 이용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려 했다.[4] 그러나 어머니가 프로이센으로 떠나고 형이 귀국하자, 구스타브 3세는 칼을 자신의 편으로 만들었다.
1772년, 칼은 형 구스타브 3세가 일으킨 1772년 쿠데타에 협력했다. 그는 모자당 내 인맥을 활용하여 당을 무력화하고, 군대를 동원해 남부 지방을 확보하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4] 이 공로를 인정받아 국왕으로부터 쇠데르만란드 공작 칭호를 받았다.[25]
초기에는 어머니의 계획에 따라 1770년에 조카이자 사촌인 브란덴부르크-슈베트의 필리피네와 결혼할 예정이었으나, 정부가 비용 문제로 반대하여 무산되었다.[3] 구스타브 3세가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후, 그는 왕위 계승자를 얻기 위해 동생의 결혼을 직접 추진했다. 1773년 8월 칼은 형의 제안에 동의했고, 이듬해인 1774년 7월 7일 사촌인 홀슈타인-고토르프의 헤드비히 엘리자베트 샤를로테와 결혼했다.[3] 하지만 부부는 각자 불륜을 저지르며 별도의 사생활을 유지했다.[3] 1778년, 루이세 울리카 대비가 구스타프 3세의 아들의 친자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며 왕위 계승 스캔들이 일어났을 때, 칼은 어머니가 아닌 형의 편을 들었다. 이는 그가 어머니에게 관련 소문을 전한 장본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취한 행동이었다.[4]
칼은 의존적이고 주변의 영향을 받기 쉬운 성격으로 묘사된다.[5] 수많은 불륜으로 인해 방탕하다는 평판을 얻었으며,[3] 아우구스타 폰 페르센, 샤를로테 에커만, 프랑수아즈-엘레오노르 빌렌(Françoise-Éléonore Villain프랑스어), 마리아나 코스쿨, 샤를로테 슬로츠베르 등이 그의 연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마지막 연인인 슬로츠베르는 정치적인 영향력까지 행사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마그달레나 루덴셸드에게 구애했으나 거절당했는데, 훗날 아름펠트 음모 사건 당시 섭정으로서 그녀에게 가혹하게 대한 원인 중 하나로 이 일이 거론되기도 한다. 1790년대 후반, 건강이 악화되면서 아내와의 관계가 개선되었고 아내의 영향력이 커졌다.[6]
공작 시절 칼은 여러 정치적 임무를 수행했다. 1777년과 1780년에는 형 구스타브 3세가 해외에 체류하는 동안 섭정을 맡았다.[4] 1780년에는 구스타브 3세가 자신의 아들이 미성년일 경우를 대비해 칼을 섭정으로 지명하기도 했다.[4] 그러나 국왕의 정적인 구스타프 아돌프 로이테르홀름과 가까워지면서 점차 국왕의 신임을 잃었고, 1783년부터 1784년까지 국왕이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여행하는 동안에는 섭정으로 임명되지 못했다.[4] 1785년에는 쿠를란트 공국의 귀족들로부터 공작위를 제안받았으나, 구스타브 3세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실현되지는 않았다.[10]
1788년 러시아-스웨덴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스웨덴 해군 제독으로서 함대를 지휘했다. 특히 호글란드 해전 (1788년 6월 7일)과 욀란드 해전 (1789년 7월 26일)에서 전공을 세우며 두각을 나타냈다.[25] 다만 욀란드 해전에서는 부사령관이었던 릴리에호른 제독의 태만 때문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다.
1789년 가을, 그의 아내 헤드비히 엘리자베트 샤를로테는 연합 및 안보법에 반대하며 구스타브 3세를 폐위시키고 남편 칼을 왕위에 올리려는 쿠데타를 계획했다.[11] 그녀는 스웨덴의 프레데릭 아돌프 왕자 및 구스타프 아돌프 로이테르홀름과 협력하여 칼이 반대 세력의 상징으로 나서도록 설득하려 했다.[11] 그러나 결정적인 순간에 칼이 행동하기를 거부하면서 쿠데타 계획은 무산되었다.[11]
칼은 구스타브 3세에 대한 반대 세력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1792년 구스타브 3세 암살 사건 당시 그가 암살 계획을 미리 알고 있었거나 이를 지지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2] 그는 또한 초자연 현상과 신비주의에 깊은 관심을 보여 여러 비밀 결사에 참여했으며, 프리메이슨의 일원이기도 했다. 점쟁이 울리카 아르프비드손이나 강령술사 헨리크 구스타프 울프벤클루 등을 가까이했다.
2. 3. 구스타브 4세 아돌프 치하
1792년 형 구스타브 3세가 암살되자, 칼은 당시 미성년자였던 조카 구스타브 4세 아돌프 국왕을 대신하여 섭정으로 임명되었다.[4][25] 구스타브 3세는 임종 시 유언을 수정하여 칼을 섭정으로 임명하되, 자신의 지지자들로 구성된 정부의 견제를 받도록 했으나, 칼은 국왕 사후 유언에 이의를 제기하여 단독 섭정으로서 절대적인 권력을 확보했다.[4]
그러나 칼은 국정 운영에 대한 의지나 능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4] 실제 권력은 그의 총애를 받던 조언가 구스타프 아돌프 로이테르홀름에게 위임되었다. 로이테르홀름은 칼의 다른 영향력이나 개인적인 의사에 거의 구애받지 않고 사실상 섭정으로 군림했다.[4][25] 로이테르홀름이 실권을 장악한 4년(1792-1796)은 스웨덴 역사상 가장 비참하고 퇴폐적인 시기 중 하나로 평가되며, 이전 시대의 황금기와 대비되어 납의 시대로 불리기도 한다. 이 시기는 환상적인 자코뱅주의와 무자비한 전제주의가 번갈아 나타나는 혼란스러운 양상을 보였다. 구스타브 3세 암살 연루자들에 대한 처벌이 예상외로 가벼웠던 점도 주목받았다.[4] 1794년에는 구스타비안당의 반대를 드러낸 아르펠트 음모 사건이 발각되었고, 젊은 국왕의 결혼 협상 과정에서 러시아와의 관계가 악화되었으며, 혁명 프랑스와의 동맹은 다른 열강들의 반감을 샀다.[4]
1796년 11월, 구스타브 4세 아돌프가 성년이 되어 친정을 시작하면서 칼의 섭정 시대는 막을 내렸고 그의 정치적 영향력도 크게 줄어들었다.[4][25] 구스타브 4세 아돌프와의 관계는 표면적으로 우호적이었으나 깊은 신뢰 관계는 아니었으며, 조카의 통치 기간 동안 칼에게 많은 책임이 주어지지 않았다.[4] 1797년과 1798년 사이 부인과의 사이에서 두 아이를 가졌으나 모두 일찍 사망했다. 이후 1798년부터 1799년까지 부부와 함께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여행했다.[4]
1803년에는 보헤만 사건으로 인해 구스타브 4세 아돌프와 칼 부부 사이에 심각한 갈등이 불거졌다. 신비주의자 칼 아돌프 보헤만(1764–1831)은 1793년 마그누스 스텐보크 백작을 통해 칼 부부에게 소개되었고, 비밀스러운 지식을 미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1801년 칼 부부를 비밀 결사 노란 장미에 가입시켰는데, 이 단체에는 루트와 브라헤 백작 부인, 왕비의 어머니인 헤센-다름슈타트의 아말리에 란트그라비네 등도 연루되어 있었다. 보헤만이 국왕까지 포섭하려 하자 국왕은 그를 혁명적인 의도를 가진 인물로 간주하여 체포하고 추방했다. 이 과정에서 칼 부부의 연루 사실이 드러났고, 특히 칼의 부인은 왕실 의회에서 심문을 받기도 했다.[13]
1808년, 구스타브 4세 아돌프가 핀란드에 머무는 동안 칼은 다시 최고 사령관 직책을 맡았다.[4] 1809년 구스타브 4세 아돌프를 폐위시키려는 쿠데타 계획을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쿠데타 당시에는 수동적인 태도를 취했다.[4]
2. 4. 스웨덴 국왕 즉위
1809년 3월 13일, 구스타브 4세 아돌프를 폐위시킨 1809년 쿠데타 세력은 칼 공작을 스웨덴의 섭정으로 임명했다.[4] 칼은 쿠데타 동안 수동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폐위된 국왕의 안전을 확인한 후에야 섭정직을 수락했다.[4] 그는 처음에는 폐위된 구스타브 4세 아돌프의 아들을 왕위 계승자로 고려하여 왕위 자체를 받아들이는 것을 주저하기도 했다.[4]결국 칼 공작은 신분 의회에 의해 국왕으로 선출되었고, 귀족들이 주도한 임시 정부가 제정한 1809년 스웨덴 헌법에 따라 1809년 6월 6일 스웨덴의 칼 13세 국왕으로 즉위했다. 즉위 당시 그는 이미 60세였고 건강이 좋지 않아 조기에 쇠약해진 상태였다. 같은 해 11월에는 심장마비를 겪어 정부 운영에 제대로 참여하기 어려웠으며, 새 헌법 역시 그의 정치적 역할을 제약했다.[4] 1809년에서 1810년 사이 왕권을 강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칼 13세의 우유부단함과 건강 문제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4]

칼 13세의 국정 운영 능력 부족과 건강 악화는 후계자 문제를 시급하게 만들었다. 처음에는 덴마크의 왕자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를 양자로 입적하여 칼 아우구스트로 삼았으나, 그가 스웨덴에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망하면서 후계자 문제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2. 5. 스웨덴-노르웨이 동군연합 수립
1814년 스웨덴-노르웨이 동군연합이 수립되면서 칼 13세는 노르웨이의 국왕으로도 즉위했다.[25] 노르웨이에서는 '''칼 2세'''라는 이름으로 불렸다.[14] 그러나 그는 이미 1809년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할 당시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고, 1810년 이후에는 왕세자로 책봉된 프랑스 출신의 장군 장바티스트 베르나도트(Jean-Baptiste Jules Bernadotte|장바티스트 쥘 베르나도트프랑스어)가 실질적으로 스웨덴을 통치하고 있었다.[4][25] 칼 13세의 건강은 계속 악화되어 1812년 이후에는 기억력을 잃고 소통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다.[4] 따라서 노르웨이 국왕으로 즉위한 후에도 그는 명목상의 군주였으며, 실권은 왕세자 베르나도트가 행사했다. 그는 노르웨이 국왕으로 약 4년간 명목상 재위한 후, 1818년 2월 5일 후사 없이 사망했다.[14][25] 그의 뒤를 이어 베르나도트가 스웨덴의 칼 14세 요한 국왕(노르웨이의 칼 3세 요한 국왕)으로 즉위하며 베르나도테 왕조가 시작되었다.[14][25]2. 6. 베르나도테 왕조 개창
칼 13세는 국왕으로 즉위했을 때 이미 60세였고 건강이 좋지 않았다.[4] 1809년 11월에는 심장마비를 겪은 후 사실상 정부 운영에 참여하기 어려워졌다.[4] 새롭게 제정된 헌법 역시 국왕의 정치적 역할을 제한했다.[4]칼 13세에게는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후계자를 찾아야 했다.[4] 처음에는 덴마크의 왕자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를 양자로 입양하여 칼 아우구스트라는 이름으로 왕세자로 삼았으나, 그는 스웨덴에 온 지 불과 몇 달 만에 사망했다.[4] 이후 프랑스의 나폴레옹 휘하 장군이었던 장바티스트 베르나도트Jean-Baptiste Jules Bernadotte프랑스어가 새로운 후계자로 선택되었다.[4][25]
1810년 베르나도트가 스웨덴에 도착하자마자 왕세자로서 실질적으로 정부를 이끌었다.[4][25] 칼 13세의 건강은 계속 나빠져 1812년 이후에는 기억력마저 잃고 주변과 소통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4]
1818년 2월 5일, 칼 13세가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나자[14][25], 왕세자였던 베르나도트가 칼 14세 요한으로 즉위했다.[14] 이를 계기로 스웨덴의 홀슈타인고트로프 왕조 시대는 막을 내리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베르나도테 왕조가 시작되었다.[14]
3. 자녀
1774년 7월 7일 스톡홀름에서 사촌인 헤트비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홀슈타인고토르프의 헤드비그 엘리자베스 샬롯)와 결혼했다. 왕비와의 사이에서는 두 자녀를 두었으나 모두 어려서 사망했다.
- 로비사 헤드비그 (Lovisa Hedvig): 1797년 7월 2일 스톡홀름에서 태어났으나 사산했다.
- 베름란드 공작 칼 아돌프 (Carl Adolf): 1798년 7월 4일 스톡홀름에서 태어나 6일 뒤인 7월 10일에 사망했다. 리다르홀름 교회에 묻혔다.
결혼 전, 스웨덴 왕실의 시녀이자 백작부인인 아우구스타 폰 페르센(아우구스타 뢰벤히엘름)과의 사이에서 혼외 아들 하나를 두었다.
적자가 없어 다음 두 사람을 양자로 입양하여 후계자로 삼았다.
- 스웨덴 왕세자 칼 아우구스트 (Karl August, 1768년 7월 9일 ~ 1810년 5월 28일)[16]
- 칼 14세 요한 (Karl XIV Johan, 1763년 1월 26일 ~ 1844년 3월 8일)[17]
4. 기타
칼 13세는 프리메이슨 단원이었다.[27] 그는 초자연 현상과 신비주의에 관심이 많아 여러 비밀 결사에 참여하기도 했다. 점쟁이 울리카 아르프비드손이나 강령술사 헨리크 구스타프 울프벤클루와 같은 인물들을 신뢰했다.
또한, 1810년에는 군사력 회복을 위한 의학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카롤린스카 연구소 설립을 지원했다.[26] 1811년에는 루터교 신앙을 가진 프리메이슨 단원에게만 수여되는 스웨덴의 기사단인 칼 13세 훈장을 제정했다.[7][27] 이 훈장은 최대 33명의 기사에게만 수여되었다.[7]
5. 평가
칼 13세는 개인적으로 정치적 영향력이 크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형 구스타브 3세 사후 조카 구스타브 4세 아돌프의 섭정을 맡았으나 실권은 구스타브 아돌프 레이터홀름에게 있었고, 조카가 친정을 시작하면서 영향력을 잃었다.[25] 1809년 구스타브 4세 아돌프가 폐위된 후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이미 건강이 쇠약해진 상태였으며, 이듬해 왕세자로 책봉된 장바티스트 쥘 베르나도트가 실질적인 통치자 역할을 수행했다.[25]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은 스웨덴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나폴레옹 전쟁의 혼란 속에서 구스타브 4세 아돌프가 폐위되고 칼 13세가 즉위하는 과정은 스웨덴 정치사의 큰 변화였다.[25] 또한, 그의 왕위 계승자로 프랑스 출신의 장군 베르나도트가 선택되면서 현재까지 이어지는 베르나도테 왕조가 시작되었다.[25] 비록 실권은 부족했지만, 그의 치세 하에 스웨덴은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을 형성하여 노르웨이 국왕을 겸임하기도 했으며[25], 군사력 회복과 의학 연구 발전을 위해 1810년 카롤린스카 연구소를 설립하는 등[26] 미래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Karl 2.
http://nbl.snl.no/Ka[...]
2022-06-29
[2]
간행물
Karl
https://runeberg.org[...]
[3]
서적
Gustav III:s syskon
Albert Bonniers Förlag
[4]
문서
Karl XIII
urn:sbl:12358
2015-02-09
[5]
서적
Gustav III:s syskon
Albert Bonniers Förlag
[6]
서적
Gustav III:s syskon
Albert Bonniers Förlag
[7]
서적
Encyklopedie řádů a vyznamenání
Libri
[8]
웹사이트
Svenska Frimurare Orden
https://www.frimurar[...]
2018-12-03
[9]
웹사이트
Svenska Frimurare Orden
https://www.frimurar[...]
2018-12-03
[10]
서적
Hedvig Elisabeth Charlottas dagbok II 1783–1788 (The diaries of Hedvig Elizabeth Charlotte II)
P. A. Norstedt & Söners förlag
[11]
서적
Hovpolitik. Hedvig Elisabeth Charlotte som politisk aktör vid det gustavianska hovet (Court Politics. Hedvig Elisabeth Charlotte as a political actor at the Gustavian court)
Örebro universitet
[12]
문서
Karl XIII
2007-01-02
[13]
서적
Hedvig Elisabeth Charlottas dagbok VII 1800–1806 (The diaries of Hedvig Elizabeth Charlotte VIII 1800–1806)
P. A. Norstedt & Söners förlag Stockholm
[14]
간행물
biografi (Karl XIII)
[15]
백과사전
Carl A Löwenhielm
https://sok.riksarki[...]
2018-10-05
[16]
백과사전
Christian August
http://www.snl.no/.n[...]
Kunnskapsforlaget
2009-06-24
[17]
백과사전
Charles XIV.
[18]
서적
Svenska Sjöhjältar
[19]
서적
Riddare af Konung Carl XIII:s orden: 1811–1900: biografiska anteckningar
http://www.archive.o[...]
Eksjö, Eksjö tryckeri-aktiebolag
[20]
간행물
Liste der Ritter des Königlich Preußischen Hohen Ordens vom Schwarzen Adler
https://www.digitale[...]
[21]
서적
Almanach de la cour: pour l'année ... 1817
l'Académie Imp. des Sciences
[22]
서적
Der Elephanten-Orden und seine Ritter
https://archive.org/[...]
Berling
[23]
간행물
Caballeros Existentes en la Insignie Orden del Toyson de Oro
https://babel.hathit[...]
1816
[24]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2019-01-22
[25]
백과사전
Charles XIII.
[26]
웹사이트
創立200周年を迎えた世界一流の研究機関、カロリンスカ研究所
http://www.isatokyo.[...]
[27]
서적
Encyklopedie řádů a vyznamenání
Libri
[28]
서적
Gustav III:s syskon
Albert Bonniers Förlag
[29]
서적
Gustav III:s syskon
Albert Bonniers Fö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