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닌은 크로아티아에 위치한 도시로, 일리리아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이름과 슬라브어 어근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어원을 가지고 있다.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으며,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의 수도이기도 했다. 10세기부터 중요한 요새로 발전했으며, 달마티아 지방에서 가장 큰 크닌 요새가 존재한다. 19세기에는 합스부르크 지배 하의 중요한 상업, 도로, 철도 중심지로 성장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고, 유고슬라비아의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중에는 이탈리아 점령 지역에 속했다. 1991년에는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으며,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크로아티아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이며, 육상과 태권도 등 스포츠가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옛 수도 - 시베니크
시베니크는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해안에 위치한 크로아티아인들이 건설한 가장 오래된 도시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시베니크 대성당과 성 니콜라스 요새가 있으며,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만 제국 등의 지배를 거쳐 1991년 크로아티아에 속하게 되었다. - 크로아티아의 옛 수도 - 바라주딘
크로아티아 북부의 도시 바라주딘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자유 왕립 도시로 선언된 후 북부 크로아티아의 중심지 역할을 했고, 현재는 인구 46,946명의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 크로아티아의 도시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 크로아티아의 도시 - 리예카
크로아티아 서부 아드리아해 북부 연안에 위치한 리예카는 고대부터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2020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된 풍부한 역사와 문화 유적을 지닌 곳이다.
크닌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Grad Knin (크닌 시) |
국가 | 크로아티아 |
역사적 지역 | 달마티아 |
군 | 시베니크=크닌 주 |
시장 | 마리오 차치치 |
면적 | 355.0 제곱킬로미터 |
도시 지역 면적 | 6.5 제곱킬로미터 |
인구 (2021년) | 11,633명 |
도시 인구 | 8,262명 |
시간대 | CET |
여름 시간대 | CEST |
우편 번호 | 22300 |
지역 번호 | 022 |
기후 | Cfa |
웹사이트 | 크닌 공식 웹사이트 |
지리 | |
좌표 | 44°02′29″N 16°11′55″E |
해발 고도 | 214 미터 |
역사 | |
옛 이름 | 티닌 (라틴어, 헝가리어) 테닌 (이탈리아어) 크닌 (세르비아어) |
정치 | |
정부 형태 | 시장-시의회 정부 |
기타 | |
언어 | 크로아티아어 라틴어 이탈리아어 세르비아어 헝가리어 |
2. 어원
이 이름은 일리리아어의 ''Ninia''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 프란츠 미클로시치와 페타르 스코크가 제시한 또 다른 설명에 따르면, 이 이름은 슬라브어 어근 ''*tьn-'' ("자르다", "베다")에서 유래되었으며, "개간된 숲"을 의미한다. 크닌의 중세 시대 이름으로는 Tinin|티닌hu, Tenin|테닌it, Tinum|티눔la 등이 있다. 라틴어 이름은 여전히 명목 주교좌인 티눔 교구로 사용된다.
크닌은 10세기에 콘스탄티누스 7세 시대에 처음 문헌에 등장하며, 교구의 중심지로 기록되었다. 1040년에는 크로아티아인의 교구가 설치되었고, "크로아티아 주교"가 그 수장이었다. 1080년경부터 크닌은 중세 크로아티아 국가의 수도였으며, "크로아티아 왕들의 도시" 또는 "즈보니미르의 도시"로 불렸다.[77] 10세기부터 13세기까지 크닌은 중요한 군사적 요새였으며, 18세기에 현재의 모습을 갖춘 요새는 달마티아 지방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3. 역사
크닌은 전략적 위치 때문에 많은 전쟁과 지배 세력 변화를 겪었다. 크로아티아 왕국, 헝가리 왕국,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프랑스 등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
1522년5월 29일, 크닌은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고, 크로아티아 문화는 크게 쇠퇴했다. 이후 세르비아인들이 이주해 왔으며, 17세기 후반에는 크로아티아인 주민이 일부 돌아왔고 프란체스코회가 수도원과 교회를 세웠다.
1797년 캄포 포르미오 조약으로 크닌은 합스부르크가에 넘어갔고, 1805년 프레스부르크 조약으로 프랑스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1813년 오스트리아가 다시 지배권을 되찾았다. 19세기 말, 크닌은 무역과 교통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867년, 크닌은 오스트리아의 치스라이타니아의 일부인 달마티아의 일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년에는 슬로베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국의 일부가 되었다가 세르비아와 합병하여 세르비아인·크로아트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이 되었고, 1929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칭되었다.
1990년 10월부터[78] 크닌은 세르비아인의 지배가 강화되었고, 1991년에는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79] 밀란 마르티치와 밀란 바비치[80] 등 세르비아인 분리주의 세력은 1995년8월 5일 폭풍 작전까지 크닌을 지배했다.[81] 이 날은 크로아티아의 "승리와 조국에 대한 감사의 날"(en)로 기념된다.
폭풍 작전 이후 크로아티아군 지휘관들은 전쟁 범죄 혐의로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ICTY)에 기소되었고,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 지도자들도 기소되었다. 바비치는 사법 거래를 통해 전쟁 범죄 혐의를 인정했다.[83][84] 분쟁 후, 크닌의 인구 구성은 크게 변동하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온 크로아티아인 난민 등이 유입되었고, 폭풍 작전으로 세르비아인들은 거의 탈출했다.[85]
3. 1. 고대
오늘날의 크닌, 더 구체적으로는 스파스 언덕 지역은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 현재 크닌 근처에는 기원전 1세기에 일리리아인과 로마 제국의 군사 거점으로 기능했던 '''브루눔'''(Burnum)이라는 도시가 있었다.
크닌이 처음 문헌에 등장하는 것은 10세기 콘스탄티누스 7세 시대이며, 교구의 중심지로 기록되어 있다. 1040년 크로아티아인의 교구가 설치되었으며, 그 지배권은 드라바 강까지 미쳤고, "크로아티아 주교"가 그 수장이었다.
1080년경부터 드미타르 즈보니미르(Dmitar Zvonimir)의 통치 하에 있던 크닌은 중세 크로아티아 국가의 수도였다. 크닌에 남아있는 많은 유산 때문에 크닌은 종종 "크로아티아 왕들의 도시" 또는 "즈보니미르의 도시"로 알려져 왔다[77]。
10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크닌은 중요한 군사적 요새가 되었다. 10세기에는 스파스산(Spas)에 요새가 건설되었고, 18세기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 요새는 달마티아 지방에서도 최대 규모이며, 상부, 중부, 하부가 각각 도개교로 연결되어 있다.
크닌에서 키스타네 방면으로 18km 떨어진 곳에는 크닌 근처에 있었다고 여겨지는 로마 도시 부르눔(Burnum)이 발견되었다. 그곳에는 달마티아 지방에서 가장 큰 원형 극장이 있는데, 서기 77년 베스파시아누스 시대에 지어졌으며, 8천 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92]。
근처 마을 비스쿠피야(Biskupija) 및 카피툴(Kapitul)에는 10세기의 유구가 있다. 성당, 묘지, 장식, 비문 등, 많은 중세 크로아티아 문화와 관련된 유물이 발견되었다[93]。
3. 2. 중세
크닌은 10세기 작품인 ''제국 통치에 관하여''에 크닌 카운티(주파니야)의 중심지이자 크로아티아의 인구 밀집 도시 중 하나로 처음 언급되었다. 1040년경, 크로아티아 왕들의 요청에 따라 성 마리아 교회에 있는 왕실 마을 비스쿠피야(코소보)에 왕실 주교의 자리가 마련되었다. 첫 번째 "크로아티아 주교"는 ''마르코 기우디체''였으며, 그와 그의 후계자들은 1102년까지 설교자이자 왕의 "특별 주교"로서 왕실에 속해 있었다.[7]
크닌은 1080년경 크로아티아의 드미트리예스 즈보니미르 왕의 영구적인 왕실 거처가 되었다. 이 때문에 크닌은 "크로아티아 왕의 도시" 또는 "즈보니미르의 도시"(''즈보니미로프 그라드'')로 알려지게 되었다.[8] 그 다음 10년 동안 계승 위기 동안, 이 도시는 1096년 헝가리의 콜로만 왕에게 패배할 때까지 크로아티아 왕위를 다툰 지역 영주 페타르 스나치치의 영구적인 거처였다. 그 시점에서 헝가리 아르파드 왕조의 소유가 되었고, 이후 영구적인 왕실 거처는 아니었지만 왕국의 정치적, 행정적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
1178년에는 동시대 지역 자료에 "도시"(civitates)로 처음 언급되었다. 지역 지배 왕조가 멸망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 주교는 그의 자리를 크닌 자체로 옮겼고, 그 후 스스로를 크닌의 주교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1203년 크닌 공작의 아들인 도브로슬라프에 의해 카피툴에 새로운 대성당 건설이 시작되었다.
1261년 비잔틴 제국 황제의 딸이자 헝가리의 벨라 4세 왕의 아내인 마리아 라스카리나 여왕이 귀족 수행원과 많은 병사들과 함께 방문하여 그녀의 아들을 크로아티아 귀족에게 소개하고 그를 지정된 공작(헤르체그)으로 인정하는 서약을 협상했다. 1264년에는 도시에서 사법 기능의 첫 번째 사례가 언급되었고, 이 기간 동안 크닌은 왕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그의 재상이 크닌 주교였던, 반독립적 통치자 역할을 한 크로아티아 반과 공작의 자리였다. 1270년에서 1272년 사이에 크닌 주교 니콜라스의 명령에 따라 새로운 대성당이 봉헌되었다. 대성당은 후속 문서에 의해 "웅장하고" "엄숙하다"고 묘사되었다. 이 시점에서 이미 성 단지 외부에 새로운 도시가 개발되었다. 시장 광장(포럼)은 13세기 후반에 처음 언급되었다.[11]
13세기에서 14세기로의 전환은 슈비치 귀족 가문의 부상으로 특징지어졌으며, 그 구성원들은 아마도 크닌을 그들의 영토 내의 자리 중 하나로 만들었다. 19세기 프란체스코회 수사 겸 역사가인 도나토 파비아니치에 따르면, 성 카타리나 수도원은 이 시기에 크닌 귀족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들은 믈라덴 슈비치에 의해 처음 정착되었다.[12] 크닌에 대한 그들의 통치는 1322년 블리스카 전투에서 끝났고, 그 후 앙주 왕 헝가리의 찰스 1세가 도시에 도착하여 전 영주 믈라덴 2세 슈비치 오브 브리비르를 투옥했다. 왕이 헝가리로 떠난 후, 귀족 이반 넬리피치는 재빨리 크닌을 점령하고 그곳에서 왕의 사람들을 크로아티아에서 추방했다. 따라서, 이러한 영토는 ''사실상'' 군주국 외부에 남아 있었고, 넬리피치 귀족 가문은 크닌을 그들의 영구적인 거처로 삼아 "크닌의 공작"으로서 그들의 영토를 통치했다.
달마티아 도시 국가와 유라이 2세 슈비치 오브 브리비르 아래의 귀족들(그는 성의 지하 감옥에 갇혔다) 뿐만 아니라 슬라보니아 반 미카크 프로다니치가 지휘하는 왕실 군대에 대항하여 성공적으로 전쟁을 벌인 후,[13] 그들의 통치는 헝가리의 루이 1세가 1345년에 직접 군대를 이끌고 크닌에 왕실 권력을 재건했을 때 끝났다. 이 기간 동안 성은 두 개의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어 두 명의 성주가 관리하고, 주택과 목욕탕이 있으며, 넬리피치가 베네치아 공화국과 동맹을 맺고 도시로의 수입에 대한 관세를 시행하는 데 사용했던 본당이 있는 궁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적어도 1360년대부터 성 바르톨로뮤의 날에 아래 정착지에서 연례 무역 박람회가 열렸고, 달마티아 도시에서 온 상인들이 정기적으로 참석했다.[14][15] 크닌의 부르크에도 이러한 도시에서 온 상당수의 상인들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이는 그 상업적 중요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16] 크로아티아 전체를 위한 최고 사법 기관이 형성되었고, 크로아티아 귀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성 부지에 위치해 있었다. 성당 안에 위치한 성 바르톨로뮤에게 헌정된 예배당은 크닌 교구의 공증인의 장소였다. 그곳에서 귀족 이반 넬리피치(블라디슬라바의 아들)는 도시에 머무는 동안 체티나의 부동산과 토지에 대한 자신의 권리를 재확인했다.
인접 지역의 왕조적 불안정을 이용하여, 1388년에 이 도시는 보스니아 왕 보스니아의 트르트코 1세의 손에 들어갔다. 이전 주교는 추방된 것으로 보이며, 라구사 공화국의 미하이로가 그의 자리를 대신했으며, 또한 왕의 재상 직을 받았다. 이러한 행동은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 왕의 보복을 유발했으며, 그의 군대는 1390년 9월에 크닌을 포위했다. 이 도시는 다른 영토와 함께 1393년에 지기스문트에게 반환되었다. 1396년 비참한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돌아온 후, 왕은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의 소유와 국사를 통합하기 위해 크닌에서 한 달을 보냈으며, 그의 반 니콜라 고르얀스키와 함께 다양한 칙령을 발표했다. 1401년, 이 도시는 보스니아 왕 스테판 오스토야에게 포위되었고, 인접한 크닌 평원(크닌스코 폴레)에 진을 치고 다음 해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새로 즉위한 나폴리의 라디슬라우스 왕은 크닌의 성주로부터 지원을 받아 1403년에 그곳에서 첫 번째 칙령을 발표했다.
잦은 괴롭힘으로 인해 크닌의 시민들은 공작 흐르보예 복치치 흐르바티니치에게 조공을 바쳐야 했고, 잠시 동안 이 도시는 그의 직접적인 통치를 받은 것으로 보였다. 프란체스코회의 존재는 15세기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도시의 오래된 성 마리아 교회와 수도원에 위치해 있었다. 그들 외에도 성령 교회와 같은 다른 종교 건물도 언급되어 있다.[9]
그 전략적 위치는 많은 전쟁과 권력 변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베네치아 공화국은 15세기에 획득하려고 시도했던 달마티아의 주요 성이자 주요 입구로서의 중요성을 종종 반영했다. 이 시기에 도시, 반, 그리고 그의 고위 관리들은 베네치아와 해안 도시를 지배하기 위한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430년 크닌과 카피툴의 성 바르톨로메오 교회는 "크로아티아인들의 연합과 형제애"(unio et fraternitas Croatorumla)의 중심지였으며, 12개의 크로아티아 카운티로 구성된 크로아티아 귀족의 회중은 "크로아티아 왕국의 명성과 오래된 관습을 보존"하기 위해 결성되었다.[17][18]
1420년에 이바니시 넬리피치의 출현으로 넬리피치 귀족 가문은 크로아티아에서 이전의 역할을 다시 되찾았으며, 이로 인해 이 영토는 왕관에서 다시 멀어졌다. 이러한 소유물은 나중에 1435년 이바니시의 죽음 이후 이반 안즈 프랑코판에 의해 획득되었으며, 프랑코판 가문의 안즈는 넬리피치 귀족과의 결혼을 통해 얻었다. 크닌과 주변 소유물은 1437년 안즈의 죽음으로 왕관에 복원되었다. 1454년에는 보스니아 왕과 베네치아인 사이의 도시 획득 시도가 있었으며, 그들은 서한에서 "크로아티아의 수도이자 가장 중요한 곳"이라고 언급했다.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왕의 통치 기간 동안, 크닌의 주교는 침략하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필요한 도움을 수집하기 위해 국외에서 왕의 주요 웅변가로 선택되었다. 따라서 주교는 처음에 마티아스의 군사 작전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교황과 은밀하게 관여했다. 도시의 먼 주변부는 오스만 침략의 표적이 되었다. 침략이 더 빈번해지면서 그 중 하나가 크닌에 도달했고, 1469년에 프란체스코회 수도원이 파괴된 것으로 기록되었다.
1493년, 오스만족의 첫 번째 직접 포위 시도가 수행되었으며, 그 후 반 존 코르비누스와 그의 대리인들이 도시에서 오스만 영토를 침략하고 약탈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은 달마티아에서의 소유물을 두려워하여 도시의 방어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 1501년, 세 명의 오스만 스파이가 부반에게 붙잡혀 투옥되었다. 그들은 보스니아 산자크의 산자크-베이에 의해 보내졌으며, 시장에 성직자 의복을 팔기 위해 가는 수사로 위장하여 크닌에 침투했다. 그들은 자다르 주변의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휴전 전 크닌 주변의 마지막 주요 분쟁은 1502년 9월에 2,000명의 오스만 기병대가 그 지역을 약탈했을 때였다. 1503년 8월 20일 헝가리의 블라디슬라우스 2세 왕은 술탄 바예지드 2세와 7년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휴전은 일반적으로 모든 당사자들에 의해 존중되었으며,[19] 그 동안 크닌의 방어 태세는 1504년에 강화되었다. 1505년에는 달마티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기근이 시작되었다. 1510년에는 전염병으로 인해 크닌의 인구가 절반으로 줄었다.
1510년경, 약 1,000명의 오스만 아크닌지가 크닌의 시골을 습격했다. 그 사건으로 크로아티아의 부반이 붙잡혔다는 소문이 있었다. 슬라보니아의 부반인 발타자르 바찬은 자그레브 주교령의 병력과 함께 1513년 1월에 크닌 포위를 풀었다. 이듬해 2월 오스만족은 보스니아 산자크에서 온 10,000명의 병력으로 크닌을 포위했지만 도시를 점령할 수 없었고 500명의 병력을 잃었다. 이 사건으로 크닌의 부르크와 교외가 불탔다.[20] 이러한 충돌로 크닌은 황폐해졌고, 5년 동안 도시에 대한 소식이 없었다. 지역 인구는 전쟁, 기근, 전염병, 그리고 더 안전한 곳으로의 이주로 인해 줄어들었고, 작물과 가축의 압류로 인해 경제가 어려움을 겪었다. 크닌의 전략적 가치로 인해 헝가리의 루이 2세 왕은 크닌, 스크라딘, 오스트로비차의 지휘관들의 요청에 응답하여 1,000명의 보병과 1,000명의 기병의 증원을 약속했다. 그러나 이러한 병력이 위기에 처한 도시에 도착했을 가능성은 낮다.
1522년 5월 29일 최종 포위 후, 크닌 성은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고, 크로아티아인들은 대거 도시를 떠났다. 오스만족은 보스니아에서 온 새로운 주민들로 도시를 재정착시켰다.
3. 3. 오스만 및 베네치아 시대
1522년 오스만 제국이 크닌을 함락한 후, 크닌 주교들은 더 이상 그곳에 거주하지 않았다. 크닌은 처음에는 킬리스 산자크의 일부였다가, 나중에는 1574년에 설립된 크르카 산자크의 중심지가 되었다.[3] 1540년까지 오스만 제국은 스크라딘과 크닌 사이 지역에 블라흐족을 대거 이주시켰다.[21]
크레타 전쟁 중인 1648년 베네치아가 잠시 점령했다. 1688년 베네치아가 이 지역을 점령한 후, 시베니크의 주교가 교구를 관리하도록 임명되었고, 1828년 시베니크에 통합되었다.[22] 이 주교구는 오늘날 티눔의 명목 주교좌이다.[23]
1688년 9월 11일, 베네치아 공화국이 크닌을 점령했다. 그 후, 크로아티아인들이 부분적으로 돌아왔고, 프란체스코회는 1708년에 수도원과 교회를 건설했다.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동안 크닌을 탈환하려 했지만, 1715년에 포위 공격을 격퇴당했다.
3. 4. 합스부르크 시대
1797년 캄포 포르미오 조약에 따라 크닌은 달마티아와 함께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805년 프레스부르크 조약 이후 프랑스 제국이 크닌을 점령하여 1809년 일리리아 지방에 편입시켰다. 1813년 오스트리아가 크닌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았다. 19세기 말, 크닌은 합스부르크 지배 하의 달마티아의 일부로서 꾸준히 성장하여 중요한 상업, 도로 및 철도 중심지가 되었다. 1867년 크닌은 치슬라이타니아 내 영토인 달마티아의 일부가 되었다.[77]
3. 5. 유고슬라비아 시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크닌은 1918년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세르비아인 국가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아드리아해 문제에 대한 이탈리아 군사 점령을 거쳐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1929년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명칭 변경)에 속하게 되었다.[24] 1925년 리카 철도가 크닌을 자그레브와 북부 지역과 연결하면서, 크닌은 점차 붐비는 철도 허브가 되었다.[24]
유고슬라비아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크닌은 두 번째 이탈리아 점령 지역에 속했으며, 파시스트 우스타셰 정권의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의해 관리되었지만, 이탈리아 군대의 강력한 주둔 하에 있었다. 이탈리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저항을 억압하기 위해 현지 세르비아인 민병대 (체트니크)에 크게 의존했다. 1943년 4월, 모무실로 주지치의 체트니크는 크닌 근처 비스쿠피야 (현재) 마을인 코소보에 감옥과 처형장을 설치했다.[25] 수천 명의 민간인과 포로로 잡힌 파르티잔이 이 감옥에 갇혀 학대를 받았으며, 수백 명의 죄수가 고문을 받고 살해되었다.[27]
1943년 9월 이탈리아 항복 이후 독일군이 이 지역의 주요 세력이 되었다. 1944년 12월 초, 크닌 전투에서 제8 달마티아 군단은 나치 독일, 우스타셰 및 체트니크 부대를 파괴하려 했다. 약 50,000명의 군인이 참여하고 7,0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파르티잔은 12월 9일 크닌을 해방했다.[28][29]
1945년에서 1990년 사이, 크닌은 급격한 산업화와 현대화를 겪으며 더 넓은 지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우나 철도는 1948년에, 크닌-자다르 철도는 1967년에 개통되어 크닌 기차역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중요하고 붐비는 교통 요충지 중 하나가 되었다.
1991년6월 25일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기 8개월 전인 1990년 10월부터,[78] 크닌에서는 세르비아인에 의한 지배가 강화되었고, 곧 1991년에는 국제적으로 미승인된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79]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의 지도자는 크닌 출신의 세르비아인 경찰서장 밀란 마르티치, 치과의사 밀란 바비치 등이었다.[80]
이들 세르비아인 분리주의 세력에 의한 크닌 지배는 1995년8월 5일 폭풍 작전까지 이어졌다.[81] 크로아티아군이 마을을 제압했을 당시, 이미 지역 인구의 대다수는 크닌을 탈출했다.[88][89][82]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의 지도자들은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ICTY)로부터 기소되었다. 마르티치는 1995년에, 바비치는 2004년에 기소되었다. 바비치는 사법 거래에 응하여 전쟁 범죄 혐의를 인정했다.[83][84] 분쟁이 끝났을 때, 크라이나의 인구 구성은 대폭 변동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부터의 크로아티아인 난민과 무장 세력의 전 구성원들이 유입된 반면, 폭풍 작전으로 거의 모든 세르비아인이 이 지역을 탈출했다.[85]
3. 6.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1989년 7월 8일, 크닌에서 대규모 세르비아 민족주의 집회가 열렸는데, 이 집회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크로아티아 개입을 위협하는 현수막과 체트니크 상징물이 전시되었다.[30] 1990년 10월부터[31]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1991년 6월 25일 8개월 전, 크닌은 크닌 지역의 세르비아인들의 주요 거점이 되었고, 1991년에는 인정받지 못한 자칭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32] 밀란 마르티치와 밀란 바비치는 크라이나의 지도자였으며, 이들은 모두 ICTY에서 크로아티아인 및 크라이나에서 거주하던 세르비아인이 아닌 다른 민족들에 대한 인종 청소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33] 1992년부터 1995년까지 RSK 지역 전역에서 살인, 폭력, 구금, 위협 행위가 만연했다.[33] 그 기간 동안 크닌 시와 자치구에서 크로아티아인의 93.9%가 추방되었다.[34] 크닌 수용소는 크라이나 세르비아군이 운영하는 구금 수용소로,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인 1991년부터 1992년까지 크로아티아인 구금자, 군인, 민간인을 수용했다.[35] 전 수감자들은 세르비아 준군사조직에 체포되어 크닌 수용소로 이송되었다고 증언했으며, 구금자들은 구타를 당하고 학대와 모욕을 받았다.[36] 세르비아군은 1995년 8월 5일 크로아티아군이 폭풍 작전 중 크닌을 점령할 때까지 이 도시를 점령했다.[37] 이 날짜는 오늘날 크로아티아에서 승전 기념일로 기념된다.[38]
2015년 2월, 크로아티아-세르비아 집단 학살 사건에서 국제 사법 재판소(ICJ)는 폭풍 작전이 집단 학살에 해당한다는 세르비아의 소송을 기각했으며, 크로아티아가 세르비아 소수 민족을 몰살하려는 구체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고 판결했지만, 세르비아 민간인에 대한 심각한 범죄가 발생했음을 재확인했다.[40] 피난민과 유엔 보호 구역에 남아 있는 사람들은 군사 공격 및 크로아티아 민간인의 행위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괴롭힘을 당했다. 8월 8일, 난민 행렬이 포격을 받았다.[41] 휴먼 라이츠 워치는 1996년에 폭력 행위의 대부분이 크로아티아군에 의해 저질러졌다고 보고했다. 폭풍 작전 이후에도 몇 달 동안 지속된 이러한 학대 행위에는 뒤에 남겨진 노령 및 병약한 세르비아인에 대한 즉결 처형과 세르비아 마을과 재산에 대한 전면적인 방화 및 파괴가 포함되었다.[42] 민간인 처형은 크닌 시와 그 주변에서 일어났다.[43]
크로아티아군이 크닌을 장악할 때쯤에는 인구 대다수가 이미 도망친 상태였다.[55][56][44] 전쟁이 끝날 무렵, 크닌의 인구 구성은 보스니아에서 온 크로아티아 난민과 전 크로아티아 민병대원의 유입으로 크게 변화했다. 그들은 폭풍 작전 중 도망간 세르비아인들을 상당 부분 대체했다.[45] 2015년, 국제 앰네스티는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인들이 공공 부문 고용에서 차별을 받고, 전쟁 중 비어 있던 사회 주택에 대한 임차권을 반환받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했다.[46]
4. 인구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닌 시의 인구는 11,755명이었고, 도시 자체의 인구는 8,317명이었다. 인구의 29.8%가 60세 이상, 18.6%가 20세 이하였다. 크로아티아 통계청은 2020년 12월 31일 크닌 시의 인구를 11,286명으로 추산했다.[50] 이는 10년 전인 2011년 크로아티아 인구 조사 당시 크닌 시 인구 15,388명, 크닌(도시 자체) 인구 10,493명에 비해 크게 감소한 수치이다.[51] 2001년 인구 조사에서 크닌의 인구는 15,190명(시 전체), 도시 자체는 11,128명이었다. 민족적으로는 크로아티아인이 76.45%로 다수를 차지했고 세르비아인의 인구 점유율은 20.8%였다.[52]
크닌은 최근 급격한 인구 감소를 겪고 있는데, 특히 2013년 크로아티아가 EU에 가입한 이후 이민율이 높아져 시민들이 일자리와 이민 제한에 거의 또는 전혀 직면하지 않게 되었다. 크닌의 초등학생 인구(6세~14세)는 2013년에서 2019년 사이에 29% 급감했다.[53]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이전에는 시와 자치구 인구의 87%가 세르비아인이었고, 시 인구의 79%가 세르비아인이었다.[54] 전쟁 동안 크닌에서 세르비아인이 아닌 대부분의 인구가 추방되었고, 전쟁 말기에는 크로아티아군 진입을 두려워한 대부분의 세르비아인이 크닌을 떠났다.[55][56][57] 2015년 2월 크로아티아-세르비아 집단 학살 사건 중, 국제사법재판소의 판결은 세르비아 인구의 상당 부분이 군사 작전의 직접적인 결과로 해당 지역을 떠났다는 사실에 대해 이견이 없다고 밝혔다. 크로아티아 당국은 작전이 대규모 탈출을 유발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심지어 그러한 탈출을 예상하여 군사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그들은 이러한 탈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다고 여겼다.[58]
크닌 시 자체 외에도, 오늘날 크닌 자치시는 골루비치, 크닌스코 폴예, 코바치치, 류바치, 오체스토보, 플라브노, 폴라차, 포트코네, 라들레바츠, 스트르미차, 브르폴예 및 자그로비치 정착지로 구성되어 있다.
크닌 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주변 지역에 비해 인구가 적었다. 시 인구의 단 15%만이 크닌 시에 거주했으며, 인접한 플라브노, 오체스토보(Oćestovo) 및 폴라차는 기본적으로 크닌과 동일하거나 더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주의 시대(1945-1991)의 도시화와 산업화가 증가하면서 크닌 도시 인구는 2,600명에서 12,300명으로 급증했다. 1991년 이후, 전쟁과 인구 이동, 전환 충격과 탈산업화로 인해 인구가 꾸준히 감소했다.
1857년 데이터에 따르면 시 인구의 75.55%가 로마 가톨릭교도였다.[61][62] 1900년에 실시된 오스트리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닌 시에는 1,302명의 주민이 있었다.[63] 1910년에는 1,270명의 시민이 있었다.[64] 1945년 이후 도시화와 현대화로 인해 크닌은 압도적으로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인 시골 인구를 많이 끌어들였다. 그 결과 시의 민족/종교 구성도 변경되었다.
연도 | 총계 | 세르비아인 | 크로아티아인 | 유고슬라비아인 | 기타 |
---|---|---|---|---|---|
2011 | 10,633 | 1,429 (13.44%) | 9,001 (84.65%) | 0 (0%) | 203 (1.91%) |
2001 | 11,128 | 1,269 (11.40%) | 9,546 (85.78%) | 0 (0%) | 188 (1.68%) |
1991 | 12,331 | 9,867 (80.01%) | 1,660 (13.46%) | 381 (3.08%) | 423 (3.43%) |
1981 | 10,933 | 6,516 (59.59%) | 1,701 (15.55%) | 2,421 (22.14%) | 295 (2.69%) |
1971 | 7,300 | 4,972 (68.10%) | 1,686 (23.09%) | 343 (4.69%) | 299 (4.09%) |
1961 | 5,116 | 3,064 (59.89%) | 1,671 (32.66%) | 81 (1.58%) | 247 (4.82%) |
1953 | 3,542 | 2,015 (56.89%) | 1,297 (36.6%) | 0 (0%) | 230 (6.5%) |
1948 | 2,683 | 1,360 (50.69%) | 1,210 (45.10%) | 0 (0%) | 113 (4.21%) |
연도 | 총계 | 가톨릭 | 정교회 | 세르보크로아트어 | 이탈리아인 | 독일인 | 기타 |
---|---|---|---|---|---|---|---|
1910[64] | 1,270 | 833 (65.60%) | 433 (34.09%) | 1,108 | 91 | 13 | 21 |
1900[63] | 1,302 | 835 (64.13%) | 467 (35.87%) | 1,107 | 114 | 6 | 15 |
1857[61] | 1,039 | 785 (75.55%) | 254 (24.44%) | N/A | N/A | N/A | N/A |
1830[65] | 644 | 518 (80.43%) | 126 (19.57%) | N/A | N/A | N/A | N/A |
5. 스포츠
최근 크닌에서 가장 성공적인 스포츠는 육상과 격투기이다. 격투기는 2개의 태권도 클럽이 활동하면서 특히 인기가 많다. 마테아 옐리치(1997년 출생)는 크닌 출신으로, 크닌에서 태권도를 시작하여[68] 이후 2020년 올림픽 67kg급 챔피언이 되었다. 크닌의 육상 클럽 "Sv. Ante"(성 안토니)는 크로아티아 100m 및 200m 스프린트와 멀리뛰기 국가대표 챔피언인 마르코 체코를 배출했는데, 그는 2020년 한제코비치 기념 경기 남자 멀리뛰기에서도 우승했다.[69][70]
크닌의 주요 축구 클럽은 1913년에 창단된 NK 디나라이다. NK 디나라의 팀 색상은 2005년까지 흑백이었으나, 이후 빨강, 흰색, 파랑으로 변경되었다.[71] NK 디나라는 크로아티아 최하위 리그인 시베니크-크닌 주 리그 (1. 주파니예스카 리가 시벤스코-크닌스카)에서 활동하고 있다.
크닌에는 1998년에 설립된 스포츠 협회가 있다. 농구 또한 크닌에서 인기가 있으며, 아마추어 여자 및 남자 클럽이 하위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크로아티아 농구 국가대표팀은 크닌에서 경기를 치렀다. 그들은 1999년 이스라엘과 경기를 치렀고, 크로아티아가 78:68로 승리했다. 크닌에서 행해지는 다른 스포츠는 럭비, 핸드볼, 배구, 킥복싱, 가라테, 테니스 및 태권도이다.
2007년 크로아티아 럭비 유니온 국가대표팀은 크닌에서 앨런 무어가 조직한 성 패트릭스 데이 컵에서 아일랜드 바바리안스 팀을 꺾고 사상 첫 트로피를 획득했다.[72][73]
6. 교통
크닌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간 도로는 크로아티아 국도 D1이다. 이 도로는 주요 해안 도시인 스플리트에서 크닌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크닌에서 A1 고속도로까지의 D1 구간은 향후 몇 년 안에 고속도로 수준으로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다(B1 고속도로와 함께).
크닌은 자다르, 스플리트, 시베니크를 경유하여 크로아티아의 수도 자그레브로 가는 철도의 중요한 분기점이기도 하다. M604 철도를 통해 크닌 역에는 4개의 노선이 만난다.
승객 수송은 처음 세 노선에서만 제공된다. 마지막 노선인 크닌-비하치-자그레브 노선은 보스니아 영토를 통과하며 국경을 여러 번 넘기 때문에 1991년 전쟁 발발 이후 여객 운송에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노선은 크닌과 자그레브 사이의 최단 경로이며, 1984년에 전철화되었다(가선 전선은 1990년대 초 전쟁 작전으로 파괴되었다). 전철화는 유고슬라비아 내륙에서 해안으로 시작되어 크닌에만 도달했으므로, 현재 크닌 역 측선에는 가선이 설치되어 있지만 마을을 벗어나는 노선에는 가선이 없다.
참조
[1]
Q인용
[2]
간행물
Croatian Census 2021
[3]
웹사이트
O Kninu
http://www.knin.hr/p[...]
[4]
학술지
EARLY MEDIAEVAL SCULPTURE FROM KAPITUL NEAR KNIN
https://hrcak.srce.h[...]
[5]
백과사전
Trpimir I.
http://www.enciklope[...]
[6]
문서
Knin- hrvatska srednjovjekovna prijestolnica, Split 1995
https://www.academia[...]
[7]
문서
Illyricum sacrum
Venice
[8]
웹사이트
Knin apartmani, hoteli, privatni smjetaj > Hrvatska > Jadran > Dalmacija
http://www.infoadria[...]
2014-12-26
[9]
문서
Knin- hrvatska srednjovjekovna prijestolnica, Split 1995
https://www.academia[...]
[10]
문서
Knin- hrvatska srednjovjekovna prijestolnica, Split 1995
https://www.academia[...]
[11]
학술지
The parish church ... sancti Stephanis regis circa Drauam – a contribu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pread of Hungarian political influence south of the Drava
https://hrcak.srce.h[...]
[12]
문서
Storia dei fratri minori dai primordi della joro istituzione in Dal· mazia e Bossina, fino ai giorni nostri
Zadar
[13]
문서
Miha Madijev
[14]
서적
The Man of Many Devices, who Wandered Full Many Ways--: Festschrift in Honour of J nos M. Bak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999-01
[15]
문서
Knin- hrvatska srednjovjekovna prijestolnica, Split 1995
https://www.academia[...]
[16]
학술지
Krka kao razdjelnica velikaških gradova Šubića i Nelipića na karti Matea Pagana nastaloj oko 1522. godine
http://hrcak.srce.hr[...]
2017-01-11
[17]
문서
Desetljeće od 1091. do 1102. u zrcalu vrela
[18]
문서
Hrvatski plemićki rod i običajno pravo
[19]
문서
Povijest Hrvatske od 15. stoljeća do 18. stoljeća
[20]
문서
Povijest Hrvata od najstarijih vremena do svršetka XIX. stoljeća
Zagreb
[21]
서적
Vlasi u starijoj hrvatskoj historiografiji
http://www.muzic-iva[...]
Muzej hrvatskih arheoloških spomenika
[2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ee of Tinin (Dalmatia)
http://www.newadvent[...]
2014-12-26
[23]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4]
웹사이트
željeznički kolodvor
https://tehnika.lzmk[...]
2022-09-23
[25]
웹사이트
Ilija T. Radaković: BESMISLENA YU-RATOVANJA 1991-1995
https://znaci.org/00[...]
[26]
문서
Nasa Rec, monthly political and literary review
Middlesex, England
1989-02
[27]
문서
NOB u Dalmaciji
[28]
웹사이트
Kninska bitka 1944
http://darhiv.ffzg.u[...]
2020-04-28
[29]
학술지
KNINSKA OPERACIJA I RATNI ZLOČINI 8. DALMATINSKOG KORPUSA
https://hrcak.srce.h[...]
2012-10-31
[30]
서적
The Hour of Europe: Western Powers and the Breakup of Yugoslavia
Yale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Kronologija Domovinskog rata u Lici i Sjevernoj Dalmaciji
http://www.hic.hr/ra[...]
2014-12-26
[32]
웹사이트
Knin-Domovinski Rat
https://web.archive.[...]
[33]
웹사이트
Summary of Judgement for Milan Martić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11-05-18
[34]
웹사이트
18. ožujka 1993. Knin - znate li da su Srbi protjerali iz grada i okolice čak 94% Hrvata?
https://narod.hr/kul[...]
2019-12-31
[35]
웹사이트
Yugoslavia – further reports of torture
http://repository.fo[...]
Amnesty International
1992-03
[36]
간행물
Annex VIII: Prison camps (part 9/10)'' - Knin
http://www.ess.uwe.a[...]
1994-05-27
[37]
웹사이트
U akciji "Oluja" oslobođen Knin
http://www.hrt.hr/in[...]
Croatian Radiotelevision
2011-08-05
[38]
웹사이트
Zakon o blagdanima, spomendanima i neradnim danima u Republici Hrvatskoj
http://narodne-novin[...]
Narodne novine
2002-11-21
[39]
웹사이트
U Kninu otkriven spomenik hrvatske pobjede "Oluja 95"
http://www.sabor.hr/[...]
2011-08-04
[40]
기타
ICJ
2015-02-03
[41]
기타
ICJ
2015-02-03
[42]
기타
HRW
1996
[43]
기타
HRW
1996
[44]
뉴스
The New York Times
1995-08-11
[45]
문서
O Kninu; Povijest
[46]
웹사이트
Croatia report
https://www.amnesty.[...]
2015-02-25
[47]
웹사이트
Knin Climate Normals
http://klima.hr/k1/k[...]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48]
웹사이트
Mjesečne vrijednosti za Knin u razdoblju 1949−2014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49]
웹사이트
14442: Knin (Croatia)
https://ogimet.com/c[...]
OGIMET
2022-06-27
[50]
기타
Gradovi u statistici
https://www.dzs.hr/H[...]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19-10-31
[51]
기타
Croatian Census 2011
[52]
기타
2001 Croatian census
http://www.dzs.hr/Hr[...]
[53]
기타
e-rudnik, MZO
https://app.powerbi.[...]
[54]
기타
1991 Yugoslav census
[55]
웹사이트
LISTSERV 16.0 - Archives - Error
http://listserv.acsu[...]
[56]
웹사이트
"Pečat Vremena", Vesna Kljajić, OTV 11.05.2007
http://www.portal.hr[...]
2007-08-20
[57]
뉴스
The New York Times
1995-08-06
[58]
기타
ICJ
2015-02-03
[59]
학술지
Demographic Development of the Town of Knin in 1991/2001 Intercensal Period
http://hrcak.srce.hr[...]
2005-06
[60]
기타
1931 census, vol. 2, published in 1938
http://www.sistory.s[...]
[61]
서적
Stanovništvo Kraljevine Dalmacije prema službenim izračunima i popisima 1828.-1857.
[62]
서적
Statistica generale della Dalmazia / edita dalla Giunta provinciale; [compilata da Luigi Serragli]. Divisione 4, Fasc. 1: Statistica della popolazione della Dalmazia.
1862
[63]
서적
Gemeindelexikon der im Reichsrate vertretenen Königreiche und Länder, Bd. 14 Dalmatien
[64]
웹사이트
Spezialortsrepertorium der österreichischen Länder I-XII, Wien, 1915–1919
http://www.omm1910.h[...]
2013-05-29
[65]
서적
Stanovništvo Kraljevine Dalmacije prema službenim izračunima i popisima 1828.-1857.
[66]
웹사이트
.:: fragmenti ONLINE :::::::: f 1/I 2003. Burnum
http://www.ffzg.hr/a[...]
[67]
웹사이트
Sv. Ante Knin
http://www.franjevac[...]
2007-06-10
[68]
웹사이트
Bivši ljubavni par Matea Jelić i Toni Kanaet nekada su zajedno trenirali, a Tonijeva grubost, Mateu je dodatno jačala!
https://www.gloria.h[...]
2021-07-26
[69]
웹사이트
Marko Čeko kao Carl Lewis; hrvatski je prvak na 100 i 200 metara, a na Hanžeku je slavio u skoku u dalj
https://www.tportal.[...]
[70]
웹사이트
Atletičar Marko Čeko - "hrvatski Carl Lewis"
https://www1.wdr.de/[...]
2021-11-22
[71]
웹사이트
JEDAN KLUB – DVIJE MONOGRAFIJE {{!}} Časopis Prosvjeta
http://casopis.skd-p[...]
2022-01-04
[72]
웹사이트
Knin: Ragbi za Dan sv. Patricka
https://www.vecernji[...]
[73]
웹사이트
Rugby St. Patricks Day Knin Croatia-Ireland
https://www.youtube.[...]
[74]
간행물
Croatian Census 2021
[75]
웹사이트
Elektra Elite: Bivši dečko me je uveo u prostituciju
https://tracara.com/[...]
2021-03-16
[76]
웹사이트
Miss Universe Ireland was homeless for 15 months in college
https://evoke.ie/202[...]
2024-10-02
[77]
문서
2001 Info Adriatic
http://www.infoadria[...]
[78]
문서
Oct 1990
http://www.hic.hr/ra[...]
[79]
문서
Knin-Domovinski Rat
http://www.knin.hr/s[...]
[80]
서적
Croatia: a nation forged in war
Marcus Tanner
1997
[81]
뉴스
HR news
http://www.hrt.hr/ar[...]
[82]
뉴스
The New York Times
1995-08-11
[83]
문서
Martić Indictment
http://www.un.org/ic[...]
[84]
문서
Babić Crimes
http://www.globalpol[...]
[85]
문서
O Kninu; Povijest
[86]
문서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Zadar
http://hrcak.srce.hr[...]
[87]
문서
1991 Yugoslav census
[88]
문서
Peter Galbraith
http://listserv.acsu[...]
[89]
문서
'Pečat Vremena'', Vesna Kljajić, OTV 11.05.2007'
http://www.portal.hr[...]
[90]
뉴스
The New York Times
1995-08-06
[91]
문서
2001 Croatian census
http://www.dzs.hr/Hr[...]
[92]
문서
2001 Burnum
http://www.ffzg.hr/a[...]
[93]
문서
Sv. Ante Knin
http://www.franjevac[...]
[94]
웹인용
Knin Climate Normals
http://klima.hr/k1/k[...]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3
[95]
웹인용
Mjesečne vrijednosti za Knin u razdoblju 1949−2014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