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림 고트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림 고트인은 크림 반도에 거주했던 고트족의 일파를 지칭한다. 1595년 오지에 기슬랭 드 뷔스베크의 보고서에 따르면 크림 고트인은 고트어와 연관성이 불분명한 언어를 사용했으며, 학자들은 이들의 기원에 대해 고트족 기원설과 서/북게르만족 기원설로 나뉜다. 크림 고트족은 망구프를 중심으로 1500년대 크림 칸국에 편입되기 전까지 다양한 세력에 복종하며 존속했다. 500년대까지 그리스 정교로 개종했으며, 1700년대까지 사회가 유지되었으나, 예카테리나 2세의 강제 이주와 함께 언어가 사멸했다. 나치 독일은 크림 고트인을 게르만족의 일파로 간주하여 크림 반도를 독일화하려는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림반도의 민족 - 우크라이나인
우크라이나인은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공유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으로, 그들의 명칭은 우크라이나에서 유래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세계 여러 곳에 거주하며 1991년 독립 후 독자적인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다. - 크림반도의 민족 - 크림 타타르인
크림 타타르인은 크림반도를 중심으로 형성된 튀르크계 민족으로, 킵차크인들의 형성을 거쳐 크림 칸국 시대를 통해 민족 정체성을 확립했으며, 러시아 제국과 소련 시대를 거치며 억압과 강제 이주를 겪고 현재는 여러 지역에 거주하며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독일계 우크라이나인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피아니스트로, 겐리흐 네이가우스에게 사사받고 1945년 소련 음악 콩쿠르에서 우승했으며, 베토벤 등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중량감 있고 따뜻한 연주로 호평받았다. - 독일계 우크라이나인 - 트로핌 리센코
트로핌 리센코는 소련 농업에 큰 영향력을 미친 우크라이나 출신 농학자로, 독자적인 유전학설을 주장하며 스탈린의 지지를 받아 정통 유전학자들을 탄압했으나, 과학적 검증 부족으로 소련 농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동게르만족 - 반달족
반달족은 게르만 민족의 일파로, 오데르 강과 비스툴라 강 사이에서 기원하여 로마 제국과 갈등을 겪으며 갈리아와 히스파니아를 거쳐 북아프리카에 반달 왕국을 건설했으나 비잔티움 제국에 의해 멸망했고, 그들의 이름은 파괴 행위를 뜻하는 "반달리즘"의 어원이 되었다. - 동게르만족 - 동고트족
동고트족은 3세기부터 로마 기록에 나타난 고트족의 한 분파로, 다뉴브 강 하류와 흑해 북부에서 거주하며 로마와 경쟁하고 용병을 제공하다가, 5세기 말 테오도리크 대왕의 지휘 아래 이탈리아에 동고트 왕국을 건설했으나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멸망했고, 그들의 고트어와 문화는 다른 유럽 민족에게 흡수되었다.
| 크림 고트인 | |
|---|---|
| 위치 정보 | |
| 기본 정보 | |
| 민족 명칭 | 크림 고트족 |
| 다른 이름 | 크림 고트 테트락시테스 고트족 |
| 멸종 시기 | 18세기 말 |
| 역사 | |
| 기원 | 고트족 |
| 위치 | 크림 반도 |
| 관련 민족 | 동게르만족 |
| 종교 | 기독교 (아리우스파에서 칼케돈파로 개종) |
| 언어 | |
| 사용 언어 | 크림 고트어 (멸종) |
| 어족 | 게르만어족 |
2. 정의
오지에 기슬랭 드 뷔스백은 1595년에 작성한 보고서에서 크림 반도의 게르만 민족이 고트족인지 색슨족인지 판단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뷔스벡은 그들의 언어가 고트어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없다고 보았다.[5][6] 대부분의 학자들은 크림 고트인이 고트족 기원이라는 데 동의하지만,[5][6] 일부는 이들이 실제로는 크림 반도에 정착한 서게르만족 또는 북게르만족 부족이며, 동고트족의 문화적, 언어적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7]
크림 고트족은, 드로스(후의 ) 주변을 근거지로 존재했으며(:en:Metropolitanate of Gothia), 1500년대에 크림 칸국에 편입되기 전까지, 족장이 동로마 제국, 하자르, 조치 울루스, 몽골 제국, 제노바 공화국 등의 강대국에 충성을 맹세했다.
3. 역사
다른 고트족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아리우스파를 숭배했지만, 500년대까지 완전히 그리스 정교로 개종했다. 8세기에 고트족 주교 이오안니스는, 하자르의 전제 정치에 반기를 들었지만 실패했다.
크림 고트족의 대부분은 그리스어 화자였기 때문에, 콘스탄티노플의 정부로부터 "고티아 ''Gothia''"라고 불렸다. 그러나 이 지역의, 늦어도 1500년대의 크림 고트어의 문서가 현존하고 있으며, 1700년대까지 크림 고트족 사회는 무사히 존속했다. 18세기 후반에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많은 부족민들이 강제 이주당했고, 크림 고트어는 1800년대까지 사어가 되었다.
러시아 남부의, 이른바 볼가 독일인은 크림 고트족이 아니다. 볼가 독일인의 언어는 서게르만어군이었던 데 반해, 고트어는 동게르만어군에 속했다.
3. 1. 초기 역사
헤르비히 볼프람에 따르면, 요르다네스를 따라, 동고트족은 4세기에 흑해 북쪽에 거대한 왕국을 소유하고 있었으며,[8] 이 왕국은 고트족 왕 에르마나리크 (또는 헤르만리크; 즉, "귀족들의 왕"[9]) 시대에 훈족이 우크라이나 스텝으로 이주하면서 훈족에게 압도당했다.
동고트족은 아틸라가 사망할 때까지 훈족의 봉신이 되었고, 아틸라 사후 반란을 일으켜 독립을 되찾았다. 훈족처럼 크림 반도의 고트족은 잃어버린 영광을 되찾지 못했다.
피터 헤더와 마이클 쿨리코프스키에 따르면, 동고트족은 5세기까지 존재하지 않았으며, 다른 고트족 및 비고트족 집단에서 등장했다.[10][11] 다른 고트족 집단이 크림 반도에 정착했을 수도 있다.[12] 어쨌든, 크림 반도에 고트족이 존재했다는 증거는 3세기경부터 나타났으며, 이후 그들에 대한 보고가 많았다.
5세기 후반과 6세기 초에 크림 고트족은 유럽 제국에 대한 통제력을 잃고 동쪽으로 이동하는 훈족의 무리와 싸워야 했다.[13] 5세기에 테오도리쿠스 대왕은 크림 고트족을 이탈리아 원정에 모집하려 했지만, 그와 합류하는 데 관심을 보이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3]
3. 2. 비잔티움 제국 시기
제4차 십자군 이후 제노바 공화국에 점령되지 않은 비잔틴 ''테마''의 일부인 ''클리마타''에서 고티아 공국 또는 테오도로 공국이 형성되었다. 인구는 그리스인, 크림 고트족, 알란족, 불가르족, 킵차크족 및 기타 민족의 혼합이었으며, 동방 정교회를 따랐다. 공국의 공식 언어는 그리스어였다. 영토는 처음에는 트레비존드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고, 아마도 그들의 크림 영토의 일부인 ''페라테이아''였을 것이다.
많은 크림 고트족은 그리스어를 사용했고, 많은 비 고트족 비잔틴 시민들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부에 의해 "고티아"라고 불리는 지역에 정착했다. 망구프 (현대 망구프)의 요새 주변의 고트 공국인 테오도로 공국은 비잔틴 제국, 하자르족, 킵차크족, 몽골족, 제노바인 및 기타 제국에 대한 다양한 봉신 시기를 거쳐 1475년 마침내 크림 칸국과 오스만 제국에 편입될 때까지 존재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크림 고트족의 멸망으로 여겨진다.
3. 3. 16세기 이후
16세기 무렵, 크림 고트족의 존재는 유럽 학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6] 많은 여행가들이 크림 반도를 방문하여 고트족에 대해 기록했다. 요아키무스 큐레우스의 『실레지아 족의 연대기』에는 흑해 항해 중 폭풍으로 인해 배가 해안가로 밀려났을 때, "독일어 단어"를 사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남자를 발견했다는 낭만적인 보고가 등장한다. 그는 그 남자에게 어디 출신이냐고 묻자 "집이 근처에 있고 그의 사람들이 고트족"이라고 대답했다.[16]
중세 시대 내내 유럽에는 크림 반도의 고트족 국가에 대한 몇몇 전설이 존재했다. 16세기에 신성 로마 제국의 오스만 제국 주재 사절인 오지에르 기슬랭 드 뷔스베크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두 명의 고트족과 대화를 나눴다고 보고했다. 그는 또한 고대 고트어와 몇 가지 공통점을 공유하는 약 100개의 게르만어 단어로 구성된 고트-라틴어 사전을 남겼다.
뷔스베크의 보고서 이후, 수많은 유럽 여행가들이 크림 반도를 방문했다. ''토르콰투스''는 16세기 중후반에 크림 반도를 방문하여 고트족이 자신만의 언어를 사용했지만 외부인과의 거래에는 그리스어, 타타르어, 헝가리어도 사용했다고 보고했다.[16]
1690년, 캄퍼는 대홍수 이후 약 850년에 크림 반도에 정착하러 간 고트족의 식민지에 의해 독일어 단어가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언급했다.[17]
4. 종교
크림 고트족에 대한 최초의 보고는 슬라브족의 사도인 성 키릴의 ''생애''에 등장하며, 그는 하자르인에게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크림반도로 갔다 (c. 850). 그는 "고트족"을 "자신들의 언어로" 기독교 신을 읽고 찬양하는 사람들로 열거했다.[18] 1606년 요세푸스 유스투스 스칼리게르는 크림 고트족이 구약과 신약을 모두 "울필라스의 알파벳 문자로" 읽었다고 주장했다.[19] 이것은 크림 고딕 문자의 존재를 언급하는 유일한 두 보고서이지만, 그들의 기독교 신앙 또한 확인해 준다.
고트족은 원래 게르만 이교주의의 하위 집합인 고트족 이교주의 형태를 실천했으며, 서기 4세기부터 6세기까지 형식적으로 기독교화되었다. 크림 고트족은 6세기까지 아리안에서 칼케돈 기독교로 개종했다. 8세기에는 정교회 주교인 고티아의 요한이 하자르의 지배에 대항하는 실패한 반란을 이끌었다. 11세기에 로마와 정교회 지부 사이에 칼케돈 기독교가 분열된 후, 이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충성하며 동방 정교회의 일부로 남았다.
크림 고트족은 1500년대에 크림 칸국에 편입되기 전까지, 족장이 동로마 제국, 하자르, 조치 울루스, 몽골 제국, 제노바 공화국 등의 강대국에 충성을 맹세했다. 다른 고트족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아리우스파를 숭배했지만, 500년대까지 완전히 그리스 정교로 개종했다. 8세기에 고트족 주교 이오안니스는, 하자르의 전제 정치에 반기를 들었지만 실패했다.
5. 언어
크림 고트어는 101개의 독립적인 형태만 남아 있고, 구절은 거의 없으며, 세 줄짜리 노래가 있어 제대로 번역된 적이 없어 그 증거가 부족하다. 가능한 차용어는 여전히 크림 타타르어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이 역시 추측에 불과하다.
2015년, 러시아 역사학자 안드레이 비노그라도프는 1938년 망구프에서 발굴된 석판에서 5개의 고트어 낙서를 발견했으며, 그와 막심 코로보프가 해독했다. 이 낙서는 나중에 그리스어 낙서로 덮여 판독이 어려웠다.
6. 소멸
뷔스베크의 보고 이후 크림 고트족에 대한 언급은 많았지만, 언어나 관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없다. 크림 고트족에 대한 마지막 기록은 1780년경 모길레프 대주교 스타니스와프 보후시 시에스트르제니에비치의 기록으로, 그는 크림 반도를 방문하여 언어와 관습이 이웃과 크게 다르며 "고트족"임에 틀림없다고 결론 내렸다.[22]
18세기 말 이후 언어의 존재에 대한 추가 기록은 없지만, 크림 반도에는 뚜렷하게 다른 관습과 신체적 특징을 가진 게르만 민족 공동체가 기록되었으며, 이로 인해 고트어가 1945년까지 "하우스프라헤"(가정어)로 살아남았을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다.[23]
소련의 민족학자 V. E. 보즈그린에 따르면, 고트족은 크림 타타르족과 혼혈되었고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브라이언 글린 윌리엄스는 그의 저서 ''크림 타타르족: 디아스포라 경험과 국가 형성''에서 보즈그린의 말을 인용하여 "아마도 그들의 후손은 크림 반도의 일련의 마을에 사는 타타르족일 것이며, 그들은 키가 크고 스칸디나비아인에게서 특징적인 다른 특징으로 이웃 마을 주민들과 뚜렷이 구별된다."라고 말했다.
고트족은 뷔스베크가 도착하기 훨씬 전부터 크림 타타르어와 크림 그리스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을 가능성이 높으며,[24] 따라서 그들은 더 넓은 인구 집단에 통합되었을 수 있다.[25] 크림 고트족은 1500년대에 크림 칸국에 편입되기 전까지 동로마 제국, 하자르, 조치 울루스, 몽골 제국, 제노바 공화국 등 여러 강대국에 충성을 맹세했다.
다른 고트족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아리우스파를 숭배했지만, 500년대까지 완전히 그리스 정교로 개종했다. 8세기에 고트족 주교 이오안니스는 하자르의 전제 정치에 반기를 들었지만 실패했다.
크림 고트족의 대부분은 그리스어 화자였으며, 1700년대까지 크림 고트족 사회는 존속했다. 18세기 후반에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많은 부족민들이 강제 이주당했고, 크림 고트어는 1800년대까지 사어가 되었다.
볼가 독일인은 크림 고트족이 아니다. 볼가 독일인의 언어는 서게르만어군이었던 데 반해, 고트어는 동게르만어군에 속했다.
7. 유산
나치 독일과 아돌프 히틀러는 크림 고트족이 오랫동안 생존하여 크림반도의 후기 독일 정착민들과 혼혈되었으며, 크림반도의 독일 공동체가 해당 지역의 원주민을 구성한다고 주장했다.[26] 히틀러는 독일인을 크림반도로 이주시키고 수많은 도시의 이름을 이전 크림 고트족 이름으로 변경할 의도였다. 소련 침공 당시 추축군의 크림반도 점령 이후, 세바스토폴은 테오데리히스하펜으로 변경되었다.[26] 히틀러가 계획한 "가우 고텐란트"("고트랜드" 또는 "고티아")의 궁극적인 목표는 현지 인구를 "순수 독일인"으로 대체하고 크림반도를 "독일의 지브롤터"로 만드는 것이었다. 이는 지브롤터가 영국 본토와 연결되지 않은 것과 유사하게, 독일 본토와 아우토반으로 연결되는 국가적 교두보를 의미했다. 이 계획은 전쟁 기간 동안 연기되었고, 소련의 크림반도 탈환과 나치 독일의 최종 멸망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 1950년까지 모든 독일계 민족은 소련 영토에서 추방되었다.[27]
참조
[1]
서적
The Turkish Letters of Ogier Ghiselin de Busbecq, Imperial Ambassador at Constantinople, 1554–1562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22-12-13
[2]
서적
History of the Goth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2-12-13
[3]
학술
[4]
학술
[5]
학술
[6]
학술
[7]
학술
[8]
학술
[9]
문서
Here/Hari (army/noble) + mann/man + ric/rike (ruler)
[10]
학술
[11]
학술
[12]
학술
[13]
학술
[14]
간행물
Tractatus de duabus Sarmatiis Asiana et Europiana et de contentis in eis
https://jbc.bj.uj.ed[...]
Marx Wirsung
[15]
citation
That Most Precious Merchandise: The Mediterranean Trade in Black Sea Slaves, 1260–1500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6]
학술
[17]
학술
[18]
학술
[19]
학술
[20]
뉴스
Молитвы на камнях Историк Андрей Виноградов рассказывает о первых надписях на крымско-готском языке
https://meduza.io/fe[...]
Meduza
2015-12-25
[21]
웹사이트
Готские граффити из мангупской базилики
http://www.gotica.de[...]
[22]
학술
[23]
학술
[24]
학술
[25]
학술
[26]
학술
[27]
웹사이트
Chris Bellamy, Absolute War: Soviet Russia in the Second World War, 2008,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