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사다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사다새는 1758년 칼 린네에 의해 명명된 종으로, 점박이펠리칸 다음으로 큰 펠리칸이다. 깃털은 주로 흰색이며, 날개깃에는 희미한 분홍색을 띤다. 아프리카, 유럽 남동부, 중앙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주로 얕은 담수나 기수에 서식한다. 큰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고, 다른 새의 새끼나 절도기생을 하기도 한다. 번식은 집단으로 이루어지며, 둥지를 땅에 짓는다.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 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서식지 감소, 남획, 인간의 방해 등으로 개체 수 감소의 위협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다새속 - 회색사다새
    회색사다새는 인도, 스리랑카, 캄보디아 등지에 서식하는 큰 물새로, 흰색 깃털과 회색 볏, 분홍색 부리 주머니를 가지며 서식지 손실로 멸종 위협을 받고 있지만 인도 남부에서는 보호 조치로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다.
  • 사다새속 - 아메리카흰사다새
    아메리카흰사다새는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흰색 깃털과 검은색 날개깃을 가진 대형 조류로, 번식기에는 머리에 볏이 생기고 수컷 부리에 뿔이 나타나며, 집단으로 생활하며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새 - 회색관두루미
    회색관두루미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머리에 금색 깃털 관이 있는 회색 깃털의 두루미 종으로, 우간다의 국조이며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새 - 호로새
    호로새는 아프리카 원산의 꿩과 조류로, 독특한 외형과 군집 생활을 하며, 식용 또는 가금류로 사육되고 친환경 축산에도 적합하다.
  • 중앙아시아의 새 - 유럽멧비둘기
    유럽멧비둘기는 구북구 서부에 서식하는 몸길이 26~28cm의 작은 철새로, 갈색 몸과 흑백 줄무늬 목이 특징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존이 위협받고 있고 사랑과 헌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중앙아시아의 새 - 이집트독수리
    이집트독수리는 구대륙 전역에 분포하며 독특한 형태와 도구 사용 행동을 보이는 이집트독수리속의 유일한 종으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수 감소 추세에 있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큰사다새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에티오피아 지웨이 호수에 있는 큰사다새
에티오피아 지웨이 호수에 있는 큰사다새
상태관심 필요
학명Pelecanus onocrotalus
명명자Linnaeus, 1758
분포 지역 (녹색: 번식, 진한 녹색: 거주, 파란색: 비번식)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사다새목
사다새과
사다새속
큰사다새
명칭
한국어큰사다새
영어Great white pelican, White pelican
일본어모모이로페리칸 (桃色ペリカン)

2. 분류

큰사다새는 1758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현재의 이명인 ''Pelecanus onocrotalus''로 정식으로 기술했다.[2][3] 이 종은 단형종으로 간주되며, 아종은 인정되지 않는다.[4] 종소명 ''onocrotalus''는 라틴어로 "사다새"를 의미한다.[5]

3. 형태

큰사다새는 거대한 새로, 점박이펠리칸 다음으로 큰 펠리칸이다. 몸길이는 140cm에서 180cm이며, 크고 분홍색과 노란색을 띤 부리는 28.9cm에서 47.1cm이고,[11] 옅은 노란색 목 주머니가 있다.[6] 날개 길이는 226cm에서 360cm로, 알바트로스를 제외하면 현존하는 나는 새 중 가장 길다.

나미비아에서 바다 표면을 스키밍하는 큰사다새


세인트 제임스 공원에서 큰사다새 두 마리(왼쪽)와 미국흰펠리칸(Pelecanus erythrorhynchos)


런던 세인트 제임스 공원에서


에티오피아에서


수컷 성체의 몸길이는 약 175cm이며, 무게는 9kg에서 15kg이다. 구북구의 큰 종은 보통 11kg 정도이며 13kg을 넘는 경우는 드물다.[7] 부리는 34.7cm에서 47.1cm이다. 암컷은 몸길이가 약 148cm이고 무게는 5.4kg에서 9kg이며, 부리는 28.9cm에서 40cm이다.[7]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수컷의 평균 체중은 9.6kg, 암컷은 6.9kg으로, 성적 이형성이 두드러진다. 때로는 수컷이 암컷보다 평균 30% 이상 무겁다. 날개 시위는 60cm에서 73cm, 꼬리는 16cm에서 21cm, 발목은 13cm에서 14.9cm이다.

수컷은 목이 아래로 굽어 있고 암컷은 더 짧고 곧은 부리를 가졌다. 깃털은 주로 흰색이며, 날개깃에는 희미한 분홍빛이 돌고 앞목에는 노란색을 띤다. 1차 날개깃은 검은색이며 기부에 흰색 축이 있고, 가끔 옅은 끝과 좁은 가장자리가 있다. 2차 날개깃도 검은색이지만 흰색 가장자리가 있다. 상부 날개 덮개, 하부 날개 덮개 및 3차 날개깃은 흰색이다. 이마는 부어 있고 분홍빛 피부가 벗겨져 있으며, 갈색-적색에서 짙은 갈색 홍채를 가진 어둡고 털이 없는 눈을 둘러싸고 있다.[6][10] 다리는 살색 노란색이고, 윗부리와 만나는 곳에 뾰족한 이마 깃털이 있다.[10] 번식기에는 수컷은 분홍빛, 암컷은 얼굴에 오렌지색 피부를 가진다. 부리는 대부분 푸른 회색이며, 빨간색 끝, 붉은 윗턱 가장자리, 크림색-노란색에서 노른자-노란색 목 주머니를 가지고 있다. 흰색 깃털은 가슴에 노란색 반점이 있는 분홍빛을 띠고,[6] 몸은 노란빛을 띤다.[10] 목덜미에는 짧고 덥수룩한 볏이 있다.[10] 흰색 덮깃은 검은색 주요 날개깃, 2차 날개깃과 대조를 이룬다.[11] 다리는 노란색 살색에서 분홍색 오렌지색이다. 암수는 비슷하지만 암컷이 더 작고 번식기에 더 밝은 오렌지색 얼굴 피부를 가진다.

어린 새는 밑부분이 더 어둡고 갈색이며, 둔부, 배 중앙, 꼬리 위 덮깃이 가장 옅다. 하부 날개 덮개는 대부분 칙칙한 흰색이지만, 큰 덮개는 어둡고 작은 덮개 위에는 어두운 갈색 막대가 있다. 뒷면 3차 날개깃 위 날개 덮개는 대부분 옅은 끝을 가졌고, 2차 날개깃 및 3차 날개깃은 은색 회색을 띤다. 어두운 날개깃과,[10] 갈색 가장자리가 있는 날개를 가졌다.[12] 머리, 목, 상부, 상부 날개 덮개는 대부분 갈색이다. 얼굴 피부와 부리, 목 주머니는 회색에서 칙칙한 회색을 띤다. 이마, 둔부, 복부는 흰색이고, 다리와 발은 회색이다.[12] 검은색 꼬리는 가끔 은색 회색을 띤다.

큰사다새는 깃털로 다른 펠리칸과 구별된다. 얼굴은 털이 없고 이마의 깃털은 뾰족하게 가늘어지는 반면, 다른 종은 깃털로 덮여 있다. 비행 중 성체의 검은색 날개깃이 있는 흰색 밑날개는 미국흰펠리칸과 유사하지만 미국흰펠리칸은 흰색 내부 2차 날개깃을 가졌다.[7] 점박이펠리칸과는 회색빛 흰색이 아닌 순수한 흰색 깃털, 눈 주위의 털이 없는 분홍색 얼굴 반점, 분홍빛 다리로 구별된다.[14]

큰사다새는 대부분 조용하지만 낮고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낸다. 비행 시에는 깊고 조용한 꽥꽥 소리를 내며,[14] 번식 군집에서는 깊은 "무우" 소리를 낸다.[11]

몸길이는 160cm 정도이며, 날개를 펼치면 280cm 정도이다. 몸 전체는 약간 분홍빛이 도는 흰색이며, 눈 주위는 피부가 노출되어 분홍색으로 보인다. 번식기에는 온몸이 붉은빛이 도는 분홍색이 된다. 날개의 첫째날개깃과 둘째날개깃은 검은색이다. 발도 분홍색이다.

4. 분포 및 서식지

큰사다새는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차드, 북부 카메룬, 나이지리아에서 번식하며, 잠비아, 보츠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번식하는 것이 관찰되거나 보고되었다.[17] 1990년대 구북구 지역의 23~25개 번식지에서 6,700~11,000쌍이 발견되었다.[15] 탄자니아의 루크와 호 번식지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번식지로 알려져 있으며, 에티오피아의 샬라 호 번식지는 이 종에게 매우 중요한 곳이다.[17]

아프리카 큰사다새 개체군(약 75,000쌍)은 텃새이다.[15] 구북구 지역에서 번식하는 큰사다새는 철새이지만, 서부 구북구 개체군의 대다수는 가을 이동 중에 이스라엘에 머문다.[18] 이동 개체군은 번식기 동안 동유럽에서 카자흐스탄까지 발견된다. 유라시아 큰사다새의 50% 이상이 루마니아의 도나우 삼각주에서 번식하며, 불가리아의 부르가스 근처 호수와 스레바르나 호수에도 머무른다. 3월 말이나 4월 초에 도나우에 도착하여 번식 후 9월부터 11월 말까지 떠난다. 유럽 큰사다새의 겨울 서식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겨울철 조류는 북동 아프리카, 이라크를 거쳐 북인도까지 나타날 수 있으며, 아시아에서 온 많은 번식 조류는 파키스탄과 스리랑카 주변에서 겨울을 난다. 북부 개체군은 중국, 인도, 미얀마로 이동하며, 일부는 인도네시아자바발리에 도달한다.[6] 동아프리카와 네팔에서는 1372m 고도에서 서식하기도 한다.

전반적으로 큰사다새는 가장 널리 분포된 종 중 하나이지만, 전체 개체수는 갈색사다새와 호주사다새에 뒤진다. 유럽에는 현재 약 7,345~10,000쌍의 번식쌍이 있으며, 러시아에서는 4,000쌍 이상이 둥지를 트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주하는 동안 75,000마리 이상이 이스라엘에서 관찰되었으며, 겨울에는 45,000마리 이상이 파키스탄에 머무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75,000쌍이 둥지를 트는 것으로 추정된다. 세르비아몬테네그로에서는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헝가리에서는 지역적으로 멸종되었다.[1]

큰사다새는 보통 얕고 따뜻한 담수를 선호하며, 동지중해에서 베트남까지 유라시아 전역에 흩어져 번식한다. 유라시아에서는 담수 또는 기수를 서식지로 삼으며 호수, 삼각주, 석호, 습지에서 발견될 수 있고, 둥지를 틀기 위해 근처에 갈대밭이 무성한 곳을 선호한다. 사하라 사막 남쪽의 아프리카에서는 연중 정착 개체군이 발견되며, 담수호와 알칼리호 주변, 해안, 하구 지역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갈대밭 외에도 아프리카 큰사다새는 몽나독과 방 다르갱 국립공원에서 떨어진 평평한 해안 섬에서 둥지를 틀었다.

일본에서는 미조로서 오키나와현에서 몇 건의 관찰 기록이 있으며, 각지에서 사육되던 시설에서 탈출한 개체가 관찰되기도 한다.

5. 생태

큰사다새는 매우 사교적이며 종종 큰 무리를 형성한다.[14] 짧고 튼튼한 다리와 물갈퀴가 달린 발은 수생 생활에 잘 적응된 특징이다. 물에서 추진력을 제공하고 수면에서 다소 어색한 이륙을 돕는다. 비행 시 머리를 몸에 가깝게 붙이고 정렬하여 우아하게 활공하며, 몇 번의 느린 날갯짓과 활공으로 비행한다.[10] 일단 하늘로 날아오르면, 날개가 긴 사다새는 강력한 비행 능력을 보이며, 종종 장관을 이루는 선형, 원형 또는 V자형 그룹으로 이동한다.[10]

다뉴브 삼각주(루마니아)에서 물에서 이륙하는 큰사다새


해안가에서 깃털을 손질하는 분홍배사다새


습지호소에 무리 지어 서식한다. 먹이인 물고기를 잡을 때는 5~10마리 정도의 무리로 물고기 떼를 몰아넣고, 달아날 길을 막은 다음 일제히 목의 주머니로 떠올리는 행동을 보인다. 30cm 이하의 물고기라면 바다와 민물을 가리지 않고 먹이로 삼는다. 드물게 새우 등 갑각류도 잡는다. 새를 먹는다는 보고도 있으며, BBC의 프로그램 "Life"에 따르면, 남아프리카 공해의 다센 섬에 사는 분홍 사다새는 번식기가 되면 케이프슴새의 새끼를 통째로 삼켜 잡아먹고, 자신의 새끼에게 먹인다고 한다.

5. 1. 먹이

큰사다새는 주로 어식성(물고기를 먹는 동물)이다.[1] 이들은 이른 아침에 둥지를 떠나 먹이를 찾고 100km 이상을 날아다닐 수 있는데, 이는 차드카메룬의 모고데에서 관찰되었다. 매일 0.9kg에서 1.4kg의 물고기가 필요하며, 이는 탄자니아의 루크와 호수(약 75,000마리의 큰사다새가 서식)에 있는 가장 큰 큰사다새 집단에서 연간 약 28000000kg의 물고기를 소비하는 것과 같다. 목표로 하는 물고기는 보통 500g에서 600g 무게 범위에서 최대 1.8kg에 이르며, 지역의 풍부함에 따라 선택된다.[7] 잉어는 유럽에서, 숭어는 중국에서, 아라비아 이빨고기는 인도에서 선호된다. 아프리카에서는 ''Haplochromis''와 ''Tilapia'' 속에 속하는 많은 종을 포함하여 가장 흔한 시클리드가 선호되는 것으로 보인다.

사다새의 부리는 단순히 국자 역할을 한다. 사다새가 부리를 물속으로 밀어 넣으면 아래쪽 부리가 굽어져 물과 물고기로 채워지는 큰 주머니가 만들어진다. 머리를 들면 주머니가 수축하여 물은 밖으로 밀려나고 물고기는 잡힌다. 6~8마리의 큰사다새 무리가 함께 먹이를 먹기 위해 말굽 모양을 이루며 물에 모인다. 그들은 일제히 부리를 담가 열린 주머니를 만들어 그 지역의 모든 물고기를 가두기 위해 준비한다. 대부분의 먹이 활동은 협력적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물고기 떼를 쉽게 모을 수 있는 얕은 물에서 집단으로 이루어지지만, 혼자서 먹이를 찾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큰사다새는 물고기에만 국한되지 않고 기회주의적인 먹이 활동을 하기도 한다. 어떤 상황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서부 해안에서 잘 알려진 사례처럼 다른 새의 새끼를 먹기도 한다. 여기서는 다센 섬에서 번식하는 사다새가 말가스 섬의 케이프 가넷 집단에서 2kg까지 나가는 새끼 새를 잡아먹는다. 마찬가지로 나미비아의 월비스 베이에서는 케이프 가마우지의 알과 새끼 새를 어린 사다새에게 정기적으로 먹인다. 지역 사다새 개체수는 가마우지에 너무 의존적이어서 가마우지 종의 개체수가 감소했을 때 사다새의 수도 감소하는 것으로 보였다.

큰사다새는 절도기생을 하여 다른 새의 먹이를 빼앗기도 한다. 기아 기간에는 갈매기오리 새끼도 먹는다. 갈매기는 머리부터 먼저 먹히기 전에 물속에 갇혀 익사한다. 런던의 세인트 제임스 공원에 있는 사육된 큰사다새 무리는 잘 먹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지역 집비둘기를 잡아먹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19][20] 습지호소에 무리 지어 서식하며, 먹이인 물고기를 잡을 때는 5~10마리 정도의 무리로 물고기 떼를 몰아넣고, 달아날 길을 막은 다음 일제히 목의 주머니로 떠올리는 행동을 보인다. 30cm 이하의 물고기라면 바다와 민물을 가리지 않고 먹이로 삼는다. 드물게 새우 등 갑각류도 잡는다. BBC의 프로그램 "Life"에 따르면, 남아프리카 공해의 다센 섬에 사는 분홍 사다새는 번식기가 되면 케이프슴새의 새끼를 통째로 삼켜 잡아먹고, 자신의 새끼에게 먹인다고 한다.

5. 2. 번식

큰사다새는 온대 지역에서 4월 또는 5월에 번식을 시작하며, 아프리카에서는 연중 계속되고, 인도에서는 2월부터 4월까지 번식한다. 대규모 집단을 이루어 번식하며, 둥지 위치는 다양하다. 일부는 나무에 나뭇가지를 엮어 둥지를 만들지만, 아프리카에서 번식하는 무리를 포함한 대다수는 풀, 나뭇가지, 깃털 등으로 덮인 땅을 긁어 만든 둥지에서만 번식한다.

암컷은 한 번에 1~4개의 알을 낳으며, 평균 2개이다. 포란 기간은 29~36일이다. 새끼는 부화할 때 털이 없지만 곧 검은 갈색 솜털이 난다. 양쪽 부모 모두 새끼를 돌보며, 알이 부화한 지 20~25일 정도 지나면 집단은 "포드"를 형성한다. 새끼는 65~75일령에 비상한다. 약 64%의 새끼가 성체가 되며 3~4세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비스바덴 박물관 소장 알


번식 형태는 난생이며, 집단을 형성하여 지상에 둥지를 튼다.

6. 위협 요인 및 보존 상태

큰사다새의 알과 새끼는 여우, 갈매기, 군함조, 까마귀, 도둑갈매기, 아프리카물수리, 마라부와 같은 포유류에게 잡아먹힌다. 다 자란 큰사다새는 육상에서는 인간 외에 포식자가 거의 없고, 해양 포식자도 없다. 그러나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는 밤에 둥지에서 자칼, 하이에나, 사자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21][22][23] 또한, 악어, 특히 나일악어가 헤엄치는 큰사다새를 잡아간다고 보고되었다.

1998년 이후 큰사다새는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 종으로 분류되어 왔다. 이는 넓은 서식 범위(20000km2 이상)를 가지고 있으며, 개체수가 10년 또는 3세대 동안 30% 이상 감소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취약종으로 분류될 만큼 빠른 감소세가 아니다. 하지만 전체 개체수의 상태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널리 분포되어 있지만 어느 곳에서도 많이 서식하지 않는다.[1]

큰사다새는 아프리카-유라시아 이동성 물새 보호 협정(AEWA)이 적용되는 종 중 하나이다. 또한 야생동물 이동 종 보호에 관한 본 협약 부속서 I, 유럽 야생동물 및 자연 서식지 보호에 관한 베른 협약 부속서 II, 그리고 야생 조류 보호에 관한 EU 조류 지침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다. 유럽 내 43개 중요 조류 지역에 서식하며, 유럽 연합 내 108개의 특별 보호 구역에 등재되어 있다.[1][24]

큰사다새는 종종 동물원이나 런던의 세인트 제임스 공원과 같은 반야생 서식지에서 사육된다. 이 서식지의 조상은 1664년 러시아 대사가 잉글랜드의 찰스 2세에게 처음으로 기증한 것으로, 이로 인해 대사가 새를 기증하는 전통이 시작되었다.

오늘날, 특정 지역의 남획으로 인해 흰사다새는 먹이를 찾기 위해 먼 거리를 날아가야 한다. 성조는 식량 부족으로 인해 번식지를 버릴 수 있다.[2] 또한, 인간의 방해로 인해 사다새가 일시적으로 번식지를 떠나면서 새끼가 포식에 취약해진다.[2]

큰사다새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이용된다. 주머니는 담배 가방을 만드는 데 사용되고, 가죽은 가죽으로 만들어지며, 구아노비료로 사용되며, 어린 새의 지방은 중국과 인도에서 전통 의학에 사용되는 오일로 변환된다. 에티오피아에서는 큰사다새를 고기로 사냥한다. 인간의 방해, 먹이 활동 서식지 및 번식지 감소, 그리고 오염은 모두 큰사다새 개체수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고구 북극구에서 감소가 두드러졌다.

참조

[1] 간행물 "''Pelecanus onocrotalus''" 2018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3]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4] 웹사이트 Ibis, spoonbills, herons, Hamerkop, Shoebill, pelican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2
[5]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6] 서적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Peninsular Malaysia and Singapo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7] 웹사이트 Mangrove Swallow (''Tachycineta albilinea'') http://www.hbw.com/s[...] Lynx Edicions 2017-08-23
[8]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CRC Press
[9] 서적 Cormorants, darters, and pelicans of the world Smithsonian Inst Pr
[10] 서적 Birds of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6
[11] 서적 The Larger Illustrated Guide to Birds of Sou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Struik 2005
[12] 서적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Sri Lank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3] 서적 Birds of Pakistan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8
[14] 서적 The Handbook of Bird Identification: For Europe and the Western Palearctic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0
[15] 논문 Satellite Tracking of Migratory and Ranging Behavior of Immature Great White Pelicans 2002-09-01
[16] 논문 Where Do Palaearctic Great White Pelicans (Pelcanus Onocratalus) Presently Over Winter ? http://documents.ire[...] 1991
[17] 논문 The Breeding Biology of the Great White Pelican Pelecanus Onocrotalus Roseus at Lake Shala, Ethiopia 1969-04-01
[18] 논문 Preliminary Data on the Importance of Israel for the Conservation of the White Pelican Pelecanus Onocrotalus L. 1994-06-01
[19] 뉴스 Pelican Swallows Pigeon in Park http://news.bbc.co.u[...] 2006-10-25
[20] 뉴스 Pelican's Pigeon Meal not so Rare http://news.bbc.co.u[...] 2006-10-30
[21] 문서 The breeding biology of the great white pelican Pelecanus onocrotalus roseus at Lake Shala, Ethiopia 1969
[22] 문서 Conservation of the great white pelican (Pelecanus onocrotalus) and the pink-backed pelican (P. rufescens) in south eastern Africa 2006
[23] 웹사이트 ADW- Pelecanus onocrotalus - Information https://animaldivers[...] 2011
[24] 웹사이트 Proposal for Inclusion of Species on the Appendices of the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of Wild Animals http://www.cms.int/s[...] Governmen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2017-08-02
[25] 간행물 "''Pelecanus onocrotalus''"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26] 문서 "モモイロペリカン" 日本鳥学会(目録編集委員会)編, 日本鳥学会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