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아입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아입구는 메이지 시대 일본에서 서구 문명을 수용하고 아시아를 벗어나야 한다는 사상이다. 이는 일본이 서구 열강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를 끊고 서구화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탈아입구'는 1887년 스즈키 겐타로가 처음 사용했으며, 후쿠자와 유키치의 탈아론을 재야 슬로건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사상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악용되었으며, 한국과 중국에서는 일본의 멸시와 침략주의를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의 대외 관계 - 관동군
관동군은 일본 제국이 만주 지역 침략과 지배를 위해 설치한 군대로,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만주국을 세우는 등 중국 침략의 선봉 역할을 했으며, 731 부대를 운영하며 전쟁 범죄를 저질렀고, 1945년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패망했다. - 일본 제국의 대외 관계 - 대한제국군 해산
대한제국군 해산은 1907년 한일신협약에 따라 일본의 강압으로 이루어진 대한제국군의 해체로, 일본은 이를 통해 대한제국의 주권을 침탈하고 식민 지배를 강화하려 했으며, 이는 의병운동 확산 등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메이지 시대 - 도쿄부
도쿄부는 1868년 에도에서 개칭된 도쿄에 설치된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에도 시가지에서 현재의 도쿄도와 거의 같은 영역으로 확장되었으며, 1943년 도쿄도제가 시행되면서 도쿄도로 개편되었다. - 메이지 시대 - 메이지 유신
메이지 유신은 1868년부터 1880년대 후반 일본에서 일어난 정치, 경제, 사회의 급격한 개혁으로, 도쿠가와 막부 붕괴 후 천황 중심의 근대 국가를 건설하고 폐번치현, 징병제, 학제 개혁, 서구 문물 수용 등을 통해 근대화와 부국강병을 이끌었으나 사회적 혼란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다양한 평가가 존재하는 시기이다.
탈아입구 | |
---|---|
개요 | |
제목 | 탈아입구 (脫亞入歐) |
관련 개념 | 탈아론 |
의미 | 아시아를 벗어나 유럽을 지향함 |
배경 | |
시대적 상황 |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근대화 과정 |
영향 | 일본 사회 전반의 서구화 촉진 |
주장 내용 | |
핵심 내용 | 일본이 아시아적 가치관에서 벗어나 서구 문명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 |
대상 | 주로 청나라와 조선을 비판적으로 바라봄 |
영향 및 평가 | |
긍정적 평가 | 일본의 근대화에 기여 |
부정적 평가 | 아시아에 대한 제국주의적 침략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 |
기타 | |
관련 인물 | 후쿠자와 유키치 |
2. 역사
서구화 바람이 동양을 향해 불어오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며, 모든 국가는 서구사회와 더불어 이 운동에 동참하여 문명의 열매를 맛보는 것 이외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 문명은 홍역과 같지만, 여러 이로운 점을 가져다 준다는 점에서 홍역보다 이롭다. 그러므로 국가는 문명을 거역할 수 없으며 이를 받아들여야만 한다. 문명화 과정에서 보수적인 정부 (도쿠가와 막부)는 걸림돌일 뿐이며 이를 뒤집어야만 일본에서 문명화를 이룰 수 있다. 옛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얻는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아시아를 벗어나는 것'(脫亞)이다. 비록 일본이 이미 정신적으로는 아시아를 벗어났지만, 이웃의 두 나라 (한국과 중국)은 개혁을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이 나라들의 유교적 가르침은 모두 위선적이고 뻔뻔할 뿐이다. 중국과 일본의 개혁이 실패한다면, 이들은 곧 세계열강에게 나라를 빼앗길 것이다. 서구인들은 언제나 일본, 중국, 한국을 같은 문화를 가진 비슷한 나라들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일본에게 걸림돌이 될 뿐이다. 나쁜 친구를 사귀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마찬가지로 나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일본은 이웃의 나쁜 아시아 나라들과 관계를 끊어야 한다.
2. 1. 슬로건의 등장
'탈아입구'라는 용어는 메이지 시대에 스즈키 겐타로 등 일본인이 만든 슬로건이다.[2] 1887년 4월 14일 '산요 신보'에 게재된 스즈키 겐타로의 사설 "서구화주의를 관철해야 한다"에서 처음 사용되었다.[2] 이 사설에서 스즈키는 "탈아입구는 우리나라 개국 이래의 대주의"라고 주장하며, 유럽 문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아시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역설했다.[2][3][4] 그는 아시아 연합론을 주장하는 이들을 '부패한 유학자'라고 비판하며, 일본이 서구 열강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아시아의 채색을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당시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주변국과의 연대보다는 서구 열강 중심의 국제 질서에 편입하려는 제국주의적 발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후쿠자와 유키치의 탈아론(1885년)이 '탈아입구' 사상의 모태로 여겨지기도 하지만,[2] 후쿠자와는 '입구'라는 단어를 사용한 적이 없으며, '탈아입구'라는 용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2] '탈아입구'는 메이지 정부의 "문명 개화", "식산흥업", "사민평등", "국민 개병", "부국강병" 슬로건을 알기 쉽게 표현한 재야의 슬로건이었다.
2. 2. 메이지 시대의 탈아입구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사회에서는 '탈아입구'라는 슬로건이 널리 퍼졌다. 이는 문명 개화, 식산흥업, 부국강병 등 메이지 정부의 주요 정책들을 알기 쉽게 표현한 재야의 슬로건이었다.[2] '탈아입구'는 1887년 스즈키 겐타로가 산요 신보에 게재한 사설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유럽과 미국 열강이 식민지 전쟁을 벌이던 메이지 시대에 일본인이 조어하여 유포한 말이다.[2][3][4]〈탈아론〉에서는 서구화가 동양으로 불어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며, 모든 국가는 서구 문명에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문명은 홍역과 같지만 이로운 점이 더 많으므로 국가는 문명을 받아들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보수적인 정부는 걸림돌이 되므로 뒤집어야 한다고 보았다. 특히 '아시아를 벗어나는 것'(脫亞)이 중요하며, 개혁을 생각하지 않는 이웃 나라 (한국과 중국)와 관계를 끊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유교적 가르침은 위선적이고 뻔뻔할 뿐이며, 서구인들이 일본, 중국, 한국을 비슷한 나라로 생각하는 것은 일본에게 걸림돌이 된다는 것이다.
'탈아입구'는 단순한 문명의 기기나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넘어, 학문, 예술, 군비 등 모든 것을 유럽식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2] '흥아책'과 같이 이웃 나라의 개명을 기다리는 것은 불리하며, 일본은 스스로 서양 문명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세계 지도에서 아시아의 채색을 삭제해야 한다는 극단적인 주장까지 나왔다.[2]
2. 3. 흥아론과의 관계
흥아론은 흥아회(1880년(메이지 13년)-)를 중심으로 전개된 범아시아주의이다. 흥아회에는 가쓰 가이슈나 후쿠자와 유키치가 고문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흥아론은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것을 계기로 흥아회를 흡수한 동아동문회 등을 중심으로 "팔굉일우", "오족협화"와 같은 슬로건으로 선전되어 일본을 맹주로 해야 한다는 침략 정당화론으로 변질되었다. 그리고 쇼와 전반의 많은 일본의 군인, 정치가, 공무원이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으로 치닫는 심리적 요인의 일부가 되었다.동아동문회 등에 의해 변질된 흥아론은 쇼와 전반에 일본인의 많은 수가 제국주의, 패권주의, 침략주의, 전체주의를 신봉하고 정당화하는 계기가 된 사상이며, 그 대극에 있는 후쿠자와 유키치의 탈아론과 그것을 단순화하여 알기 쉽게 표현한 스즈키 겐타로 등의 "탈아입구"론과는 성격이 다르다.
3. 내용
서구화 바람이 동양을 향해 불어오고 있으며, 모든 국가는 서구 사회와 더불어 이 운동에 동참하여 문명의 열매를 맛보는 것 이외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문명은 홍역과 같지만, 여러 이로운 점을 가져다준다는 점에서 홍역보다 이롭기 때문에 국가는 문명을 거역할 수 없으며 이를 받아들여야만 한다. 문명화 과정에서 보수적인 정부(도쿠가와 막부)는 걸림돌일 뿐이며 이를 뒤집어야만 일본에서 문명화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옛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얻는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아시아를 벗어나는 것'(脫亞)이다. 일본이 이미 정신적으로는 아시아를 벗어났지만, 이웃의 두 나라인 한국과 중국은 개혁을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 나라들의 유교적 가르침은 모두 위선적이고 뻔뻔할 뿐이라고 비판한다. 중국과 일본의 개혁이 실패한다면, 이들은 곧 세계열강에게 나라를 빼앗길 것이라고 경고한다.
서구인들은 언제나 일본, 중국, 한국을 같은 문화를 가진 비슷한 나라들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일본에게 걸림돌이 될 뿐이라고 주장한다. 나쁜 친구를 사귀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마찬가지로 나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일본은 이웃의 나쁜 아시아 나라들과 관계를 끊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3. 1. 서구화 지향
서구화 바람이 동양을 향해 불어오고 있으며, 모든 국가는 서구 사회와 더불어 이 운동에 동참하여 문명의 열매를 맛보는 것 이외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문명은 홍역과 같지만, 여러 이로운 점을 가져다준다는 점에서 홍역보다 이롭기 때문에 국가는 문명을 거역할 수 없으며 이를 받아들여야만 한다. 문명화 과정에서 보수적인 정부는 걸림돌일 뿐이며 이를 뒤집어야만 일본에서 문명화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옛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얻는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아시아를 벗어나는 것'(脫亞)이다. 일본이 이미 정신적으로는 아시아를 벗어났지만, 이웃의 두 나라인 한국과 중국은 개혁을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 나라들의 유교적 가르침은 모두 위선적이고 뻔뻔할 뿐이라고 비판한다. 중국과 일본의 개혁이 실패한다면, 이들은 곧 세계열강에게 나라를 빼앗길 것이라고 경고한다.
서구인들은 언제나 일본, 중국, 한국을 같은 문화를 가진 비슷한 나라들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일본에게 걸림돌이 될 뿐이라고 주장한다. 나쁜 친구를 사귀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마찬가지로 나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일본은 이웃의 나쁜 아시아 나라들과 관계를 끊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3. 2. 아시아에 대한 인식
유럽의 근대화 바람이 아시아로 불어오는 상황에서, 모든 국가는 서구 사회와 함께 근대화에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문명은 홍역과 같지만, 여러 이로운 점을 가져다주므로 국가는 문명을 받아들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보수적인 정부는 걸림돌이 될 뿐이라고 보았다.특히, 옛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얻는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아시아를 벗어나는 것'(脫亞)이라고 강조했다. 비록 일본이 이미 정신적으로는 아시아를 벗어났지만, 이웃 나라인 한국과 중국은 개혁을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이들 나라의 유교적 가르침은 모두 위선적이고 뻔뻔할 뿐이라고 폄하하며, 중국과 한국의 개혁이 실패한다면 이들은 곧 세계 열강에게 나라를 빼앗길 것이라고 주장한다.
서구인들이 일본, 중국, 한국을 같은 문화를 가진 비슷한 나라들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일본에게 걸림돌이 될 뿐이므로, 일본은 이웃의 나쁜 아시아 국가들과 관계를 끊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주변국과의 협력과 연대를 중시하는 가치에 어긋나는 주장이며, 일제 강점기 조선 식민 지배로 이어진 일본 제국의 침략적 사상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할 수 있다.
4. 비판과 논란
후쿠자와 유키치는 〈탈아론〉을 통해 서구화가 동양으로 확산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 모든 국가는 서구 문명과 함께하며 문명의 이점을 누리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고 주장했다. 문명은 홍역과 같지만, 이로운 점이 더 많으므로 국가는 문명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러한 문명화 과정에서 도쿠가와 막부와 같은 보수적인 정부는 걸림돌일 뿐이며, 일본의 문명화를 위해서는 이를 뒤엎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옛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얻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시아를 벗어나는 것'(脫亞)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과 중국에 대해서는, 일본은 이미 정신적으로 아시아를 벗어났지만, 이웃 나라인 한국과 중국은 개혁을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 국가의 유교적 가르침은 위선적이고 뻔뻔할 뿐이며, 개혁에 실패한다면 세계 열강에게 나라를 빼앗길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과 대한민국에서는 후쿠자와 유키치가 탈아입구를 주창하여 메이지 시대 일본의 여론을 선도하고 일본의 문명 개화를 추진한 반면, 중국과 한국에 대한 멸시와 침략주의, 더 나아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끈 원흉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2012년 4월 29일, 『서치나』는 중국 검색 사이트 바이두의 게시판에 "중국은 일본처럼 탈아입구를 할 수 있는가?"라는 스레드가 올라왔다고 보도했다[5]。스레드 댓글에서는 "후쿠자와 유키치가 『시사신보』에 유명한 단문 '탈아론'을 게재하여, 중화 사상과 유교를 폐지하고 서양 문명을 흡수하여 아시아를 벗어나 아시아 제국과는 절교할 것을 주장했다"는 지적이 있었다[6]。
2011년 12월 16일, 한국의 『매일신문』은 정인열 논설위원의 "탈아와 흥아 - 후쿠자와 유키치가 남긴 '탈아입구'의 망령이 아직도 일본을 덮고 있다"라는 칼럼을 게재했다[7]。정인열은 그 칼럼에서 "후쿠자와 유키치는 오늘날 일본에서 국부처럼 존경받고 있다. 그래서 일본 최고액 지폐인 1만 엔에 그려진 그는 1885년, 문장을 통해 '문명 국가가 되기 위해 아시아를 벗어나 유럽을 지향해야 한다'고 '탈아입구'를 주장했다"고 적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결국, 서구인들이 일본, 중국, 한국을 비슷한 문화를 가진 나라로 인식하는 것은 일본에게 걸림돌이 되므로, 일본은 이웃의 나쁜 아시아 국가들과 관계를 끊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졌고, 이는 일본 제국의 제국주의적 침략 행위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악용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4. 1. 한국과 중국의 인식
중국과 대한민국에서는 "후쿠자와 유키치가 탈아입구를 주창하여 메이지 시대 일본의 여론을 선도하고 일본의 문명 개화를 추진한 반면, 중국과 한국에 대한 멸시와 침략주의, 더 나아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끈 원흉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2012년 4월 29일, 『서치나』는 중국 검색 사이트 바이두의 게시판에 "중국은 일본처럼 탈아입구를 할 수 있는가?"라는 스레드가 올라왔다고 보도했다[5]。스레드 댓글에서는 "후쿠자와 유키치가 『시사신보』에 유명한 단문 '탈아론'을 게재하여, 중화 사상과 유교를 폐지하고 서양 문명을 흡수하여 아시아를 벗어나 아시아 제국과는 절교할 것을 주장했다"는 지적이 있었다[6]。
2011년 12월 16일, 한국의 『매일신문』은 정인열 논설위원의 "탈아와 흥아 - 후쿠자와 유키치가 남긴 '탈아입구'의 망령이 아직도 일본을 덮고 있다"라는 칼럼을 게재했다[7]。정인열은 그 칼럼에서 "후쿠자와 유키치는 오늘날 일본에서 국부처럼 존경받고 있다. 그래서 일본 최고액 지폐인 1만 엔에 그려진 그는 1885년, 문장을 통해 '문명 국가가 되기 위해 아시아를 벗어나 유럽을 지향해야 한다'고 '탈아입구'를 주장했다"고 적고 있다.
〈탈아론〉 기사는 서구화 바람이 동양으로 불어오고 있으며, 모든 국가는 서구 사회와 함께 이 운동에 동참하여 문명의 열매를 맛보는 것 이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고 주장한다. 문명은 홍역과 같지만, 여러 이로운 점을 가져다준다는 점에서 홍역보다 이롭기에 국가는 문명을 거역할 수 없으며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 문명화 과정에서 보수적인 정부는 걸림돌일 뿐이며 이를 뒤집어야만 일본에서 문명화를 이룰 수 있다. 옛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얻는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아시아를 벗어나는 것'(脫亞)이다. 일본은 이미 정신적으로는 아시아를 벗어났지만, 이웃의 두 나라인 한국과 중국은 개혁을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이 나라들의 유교적 가르침은 모두 위선적이고 뻔뻔할 뿐이다. 중국과 일본의 개혁이 실패한다면, 이들은 곧 세계열강에게 나라를 빼앗길 것이다. 서구인들은 언제나 일본, 중국, 한국을 같은 문화를 가진 비슷한 나라들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일본에게 걸림돌이 될 뿐이다. 나쁜 친구를 사귀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마찬가지로 나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일본은 이웃의 나쁜 아시아 나라들과 관계를 끊어야 한다고 요약할수있다.
4. 2. 제국주의 침략과의 연관성
후쿠자와 유키치의 〈탈아론〉에서는 서구화가 동양으로 확산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 모든 국가는 서구 문명과 함께하며 문명의 이점을 누리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고 주장한다. 문명은 홍역과 같지만, 이로운 점이 더 많으므로 국가는 문명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문명화 과정에서 도쿠가와 막부와 같은 보수적인 정부는 걸림돌일 뿐이며, 일본의 문명화를 위해서는 이를 뒤엎어야 한다고 주장한다.옛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얻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시아를 벗어나는 것'(脫亞)이라고 강조한다. 일본은 이미 정신적으로 아시아를 벗어났지만, 이웃 나라인 한국과 중국은 개혁을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이들 국가의 유교적 가르침은 위선적이고 뻔뻔할 뿐이며, 개혁에 실패한다면 세계 열강에게 나라를 빼앗길 것이라고 경고한다.
서구인들이 일본, 중국, 한국을 비슷한 문화를 가진 나라로 인식하는 것은 일본에게 걸림돌이 되므로, 일본은 이웃의 나쁜 아시아 국가들과 관계를 끊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일본 제국의 제국주의적 침략 행위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악용되었다.
5. 현대적 의미와 영향
문명은 홍역과 같지만, 여러 이로운 점을 가져다 준다는 점에서 홍역보다 이롭다. 그러므로 국가는 문명을 거역할 수 없으며 이를 받아들여야만 한다. 문명화 과정에서 보수적인 정부 (도쿠가와 막부)는 걸림돌일 뿐이며 이를 뒤집어야만 일본에서 문명화를 이룰 수 있다. 옛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얻는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아시아를 벗어나는 것'(脫亞)이다.
일본은 정신적으로는 이미 아시아를 벗어났지만, 이웃 나라인 한국과 중국은 개혁을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이 나라들의 유교적 가르침은 모두 위선적이고 뻔뻔할 뿐이라고 비판한다. 중국과 한국의 개혁이 실패한다면, 이들은 곧 세계열강에게 나라를 빼앗길 것이라고 주장한다. 서구인들은 언제나 일본, 중국, 한국을 같은 문화를 가진 비슷한 나라들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일본에게 걸림돌이 될 뿐이라고 한다. 따라서 일본은 이웃의 나쁜 아시아 나라들과 관계를 끊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튀르키예는 국토의 대부분이 아시아에 속하고 일부는 유럽에 걸쳐 있다. 그러나 튀르키예 정부는 공식적으로 자국을 유럽 국가로 간주하고 NATO에 가입했으며, 유럽 연합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5. 1. 튀르키예의 사례
튀르키예는 국토의 대부분이 아시아에 속하고 일부는 유럽에 걸쳐 있다. 그러나 튀르키예 정부는 공식적으로 자국을 유럽 국가로 간주하고 NATO에 가입했으며, 유럽 연합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5. 2. 동아시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일본은 정신적으로는 이미 아시아를 벗어났지만, 이웃 나라인 한국과 중국은 개혁을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이 나라들의 유교적 가르침은 모두 위선적이고 뻔뻔할 뿐이라고 비판한다. 중국과 한국의 개혁이 실패한다면, 이들은 곧 세계열강에게 나라를 빼앗길 것이라고 주장한다. 서구인들은 언제나 일본, 중국, 한국을 같은 문화를 가진 비슷한 나라들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일본에게 걸림돌이 될 뿐이라고 한다. 따라서 일본은 이웃의 나쁜 아시아 나라들과 관계를 끊어야 한다고 주장한다.참조
[1]
문서
アメリカ合衆国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뉴스
【中国BBS】中国は日本のように脱亜入欧できるか?
https://web.archive.[...]
Searchina
2012-04-29
[6]
웹사이트
中国能不能像日本那样脱亚入欧?
http://tieba.baidu.c[...]
百度
2012-04-27
[7]
뉴스
[야고부] 脫亞(탈아), 興亞(흥아)
http://www.imaeil.co[...]
imaeil.com
2011-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