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국의 군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국의 군주는 800년 이상 지속된 군주제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1238년 수코타이 왕국의 시 인트라팃 왕이 통일 태국의 첫 번째 왕으로 여겨진다. 초기에는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아 왕의 권위가 확립되었으며, 아유타야 시대를 거치면서 왕권에 대한 개념이 더욱 발전했다. 현재는 입헌군주제 하에서 상징적인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며, 법률 제정, 행정, 사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한적인 권한을 행사한다. 왕실 의례, 훈장 수여, 왕실 상징 등은 태국 군주의 위엄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며, 왕위 계승은 왕실 전범에 따라 결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의 군주 - 나레수안
    나레수안은 16세기 아유타야 왕국의 왕으로 버마의 침략을 격퇴하고 왕국의 독립을 지켜낸 구국의 영웅이며, 버마에 인질로 잡혀 군사 훈련을 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뛰어난 전략과 용맹을 발휘하여 코끼리 전투에서 버마 왕세자와 결투한 일화로 유명하고, 영토 확장과 왕국 안정에 힘쓴 그의 업적은 현재까지 태국 사회에서 기념되고 있다.
  • 태국의 군주 - 람캄행
    람캄행은 수코타이 왕조의 세 번째 왕으로, 무예에 능하고 온정주의적인 시정을 펼쳤으며, 타이 문자를 창제하고 소승 불교를 장려하는 등 정치, 외교, 문화적으로 큰 업적을 남겼다.
  • 태국의 역사 - 라마 1세
    라마 1세는 차크리 왕조의 창시자이자 초대 국왕으로, 탁신 왕 휘하의 맹장에서 왕위에 올라 방콕 천도, 버마의 침입 격퇴, 관료 제도 정비, 문학 작품 복원, 왓 프라깨오 건립 등 여러 업적을 남겼다.
  • 태국의 역사 - 랑카수카
    랑카수카는 1세기 후반에서 2세기 초 말레이반도 동안에 건국된 고대 왕국으로 추정되며, 불교 및 힌두교 유적과 해상 무역의 흔적이 발견되었고, 다양한 기록과 영화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태국의 군주
기본 정보
라마 10세 국왕 공식 사진
마하 와치랄롱꼰(라마 10세)
국왕마하 와치랄롱꼰(라마 10세)
관저〈의례용〉
대궁전
〈주거〉
두싯 궁전
웹사이트royaloffice.th
태국 왕실기
태국 왕실기
즉위일2016년 10월 13일
후계자디팡꼰 라스미조티
스타일
존칭폐하
영어 존칭His Majesty the King
정치
정치 체제입헌군주제
수장국왕
군 통수권자국왕
임명 기관왕위 계승
역사
최초의 군주시 인트라팃
설립일1238년
왕조
현재 왕조짜끄리 왕조
왕위 계승법1924년 왕위 계승법
관련 기관
왕실 사무국왕실 사무국
추밀원추밀원
왕실 재산 관리국왕실 재산 관리국
기타 명칭

2. 역사

태국 군주제는 800년간의 절대 통치를 통해 진화해 왔다. 통일된 태국의 첫 번째 왕은 1238년 수코타이 왕국을 건국한 시 인트라팃이다. 초기 왕권은 힌두교상좌부 불교 신앙에서 파생된 크샤트리야[3]와 담마라자 개념에 기초했다.

1351년 라마티보디 1세가 아유타야 왕국을 건국하면서 왕권 개념이 변화했다. 힌두교의 왕권 개념이 적용되어 왕은 인드라, 시바, 비슈누, 라마 등 힌두교 신들의 환생으로 여겨졌고, 왕실 대관식은 브라만이 담당했다. 아유타야의 역사적 문서에는 왕들의 공식 칭호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 중 "라마티보디"와 같이 라마가 가장 인기가 있었다.

이후 크메르 제국에서 차용한 "데바라자"(เทวราชาth) 개념이 등장했다. 왕은 신 비슈누화신이자 보살(깨달은 자)로 여겨졌고, 그의 권력은 종교적 권력, 도덕적 권력, 순수한 혈통에 기반을 두었다. 왕은 차크라바르틴으로서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군주가 되었고, 정교한 의식과 의례를 통해 권력을 표현했다.

왕궁 옆의 왓 프라 시 싼펫은 아유타야 왕국에서 가장 신성한 사원이었다.


태국 왕족 가계도


아유타야 왕들은 통치를 지원하기 위해 삭디나 제도와 랏차삽과 같은 여러 제도를 만들었다.[7] 국왕은 "국토의 군주"(พระเจ้าแผ่นดินth ''프라 차오 팬딘'')와 "생명의 군주"(เจ้าชีวิตth ''차오 치윗'')라는 칭호에서 알 수 있듯이 최고 행정관, 입법관, 재판관이었다. 그러나 시암 전통에서 국왕의 의무와 책임은 계몽 전제 군주제와 유사하게 담마에 중점을 두었다.[8] 이러한 전통은 1767년 아유타야가 함락되면서 붕괴되었다.

톤부리 왕조의 딱신은 '개인 군주제' 시스템을 채택하고 평민들에게 자신을 드러냈으며, 톤부리를 아유타야의 정신적 계승자로 강조했다.[9]

1782년, 풋타욧파 쭐라록 (라마 1세)은 차크리 왕조를 세우고 수도를 방콕으로 옮겼다. 그는 최고 승정 직을 임명했다.[9] 랏타나코신 시대 동안 차크리 왕들은 아유타야 왕권의 개념을 이어갔다. 풋타렛라 나팔라이 (라마 2세)와 낭클라오 (라마 3세)는 최고 의회를 만들고 정부 운영을 돕기 위해 주요 관리를 임명했다.[10]

몽꿋 (라마 4세)은 불교 승려로 지내다 왕위에 올라 영어에 능통했으며, 최고 의회에 관리를 임명했다.[10] 쭐라롱껀 (라마 5세)은 서구적 방식으로 군주제를 개혁하고자 했으며, 추밀원을 만들고 노예 제도를 종식시켰다.[11]

와치라웃 (라마 6세)은 개혁을 이어갔으나 1912년 궁정 반란이 일어났다. 그는 계엄령을 개정했다.[14] 쁘라자디폭 (라마 7세)은 시암 최고 국가 의회를 설립했다.

1932년, 무혈 혁명으로 헌법이 부여되면서 짜끄리 왕조의 절대왕정이 막을 내렸다. 국왕의 역할은 상징적인 국가 원수로 축소되었고, 실질적인 권한은 총리와 국회가 행사하게 되었다.

1935년, 프라자디포크 국왕(라마 7세)은 왕위를 포기했다. 아난다 마히돈(라마 8세)이 즉위했지만, 플랙 피분송크람의 파시스트 정부가 국왕의 권한을 장악했다.

푸미폰 아둔야뎃(라마 9세)은 1946년에 즉위하여 군주제를 옹호했다.[15] 그는 2016년 사망 당시 세계 최장 재위 군주였다.[16]

2000년대 이후, 태국 군주제는 도전을 받고 있으며, 태국의 불경죄 관련 법률이 비판받고 있다.[17][18][19]

국왕은 태국 국왕 비서실과 태국 추밀원의 지원을 받으며, 총리와 협의한다. 헌법에 따라 국왕의 권한은 태국 국회에 위임되어 있으며, 법안은 국왕의 재가를 받아야 한다. 왕실 사무국과 왕실 재산 관리국은 왕실의 가계와 재정을 관리한다.[26]

2014년 집권한 군사 정부는 군주제 비판자들을 가혹하게 처벌했다.[27][28] 2015년에는 군주제 옹호 캠페인에 5.4억달러를 지출했다.[29] 쁘라윳 짠오차 군사 정부는 이를 국왕의 업적을 교육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29]

2016년 군사 정부는 군주제 옹호 예산을 180억태국 밧 (5.14억달러)로 증액했다.[30] 2020년에는 297.28000000000003억태국 밧에 달한다.[31]

2. 1. 기원

현재의 태국 왕위 개념은 800년간의 절대 통치를 통해 진화되었다. 통일된 태국의 첫 번째 왕은 1238년 수코타이 왕국시조, 시 인트라팃 왕이다. 이 초기 왕권의 사상힌두교상좌부 불교 신앙에서 파생된 두 가지 개념에 기초한다고 한다. 첫 번째 개념은 "크샤트리야"의 베딕-힌두 카스트 즉, 왕이 군사력에서 힘을 얻는 전사 룰러에 바탕을 두고 있다.[3]

2. 2. 아유타야 왕조

라마티보디 1세가 1351년에 아유타야 왕국을 건국하면서 수코타이 왕국은 아유타야 왕국으로 대체되었다. 아유타야 시대에는 왕권에 대한 개념이 변화하였다. 고대 크메르의 전통에 따라 힌두교의 왕권 개념이 지도자의 지위에 적용되었다. 왕실 대관식은 브라만이 담당했다. 왕은 환생한 힌두교 신으로 여겨졌으며, 아유타야의 역사적 문서에는 왕들의 공식 칭호가 인드라, 시바, 비슈누, 라마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중 "라마티보디"와 같이 라마가 가장 인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왕의 칭호와 "비공식" 이름인 "담마라자"는 불교의 달마라자를 줄인 것으로, 불교의 영향도 분명했다.

이전의 두 가지 개념이 재정립되면서, 세 번째 개념인 "데바라자"(เทวราชาth)(신성한 왕)가 자리를 잡았다. 이 개념은 크메르 제국이 자바의 힌두-불교 왕국에서 차용한 것으로, 특히 힌두교 브라만에 기반한 학자 계급의 아이디어였다. 왕은 신 비슈누의 화신(아바타)이자 보살(깨달은 자)이라는 생각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권력을 종교적 권력, 도덕적 권력, 순수한 혈통에 기반을 두었다.

국가의 이익에 의해 반신적 인물로 묘사된 왕은 엄격한 문화적 시행을 통해 백성들에게 숭배와 존경의 대상이 되었다. 이때부터 군주는 백성들로부터 크게 분리되었고 절대적인 통치 체제 하에 지속되었다. 메루산("힌두교에서 신들의 집")을 본떠 설계된 궁궐에 살면서 왕들은 스스로를 "차크라바르틴"으로 만들었고, 여기서 왕은 그의 영역에 대한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군주가 되었다. 왕들은 우주가 그들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묘사되기를 요구했고, 정교한 의식과 의례를 통해 그들의 권력을 표현했다. 4세기 동안 이 왕들은 아유타야를 통치하며 태국 역사에서 문화적, 경제적, 군사적 성장의 가장 위대한 시기를 주도했다.

아유타야 왕들은 통치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제도를 만들었다. 15세기 아유타야의 왕 뜨릴로까낫은 유럽 중세의 봉건제와 유사하게, 계급과 지위에 따라 토지 소유량에 따라 왕의 신하들의 순위를 매기는 사회 계층 제도인 ''삭디나''를 제정했다.[7] 또한, 궁정 예절에 따라 왕을 지칭하거나 왕족에 대해 말할 때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특별한 어휘로 구성된 존칭 레지스터인 ''랏차삽''이 사용되었다.

국왕은 최고 행정관, 최고 입법관, 최고 재판관이었으며 모든 법, 명령, 평결 및 처벌은 이론적으로 국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국왕의 주권은 "국토의 군주"(พระเจ้าแผ่นดินth ''프라 차오 팬딘'')와 "생명의 군주"(เจ้าชีวิตth ''차오 치윗'')라는 칭호에 반영되었다. 국왕의 권력과 칭호는 외국 관찰자들에게 국왕이 유럽식 절대 군주임을 증명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시암 전통에서 국왕의 의무와 책임은 고대 인도의 왕권 이론에서 발전된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는 계몽 전제 군주제와 유사하지만, 합리성이 아닌 담마에 중점을 두었다.[8]

이러한 전통은 1767년 꼰바웅 왕조의 버마 군대가 아유타야를 침공하여 약탈하고 불태우면서 탐마삿(ธรรมศาสตร์th)에 대한 태국 요약본이 손실되면서 붕괴되었다.

2. 3. 톤부리 왕조

톤부리 시대의 국왕 통치는 나레수안 시대에 시행되었지만(그의 사후 폐지됨) '개인 군주제' 시스템을 채택했다. 딱신은 많은 아유타야 군주들이 채택했던 신비주의의 베일을 버리고 군주 개념을 다루었다. 그는 종종 공공 활동과 전통 축제에 참여함으로써 평민들에게 자신을 드러냈다. 그는 자신의 새로운 수도인 톤부리를 아유타야의 정신적 계승자로 강조하는 일은 거의 하지 않았다. 그는 또한 톤부리에 해자와 방어벽을 건설하는 것을 강조했다.[9]

2. 4. 차크리 왕조

텅두앙(Thongduang), 이후 시암의 라마 1세 국왕은 1782년 차크리 왕조를 창건했다.


1782년, 풋타욧파 쭐라록 (라마 1세)은 왕위에 올라 수도를 톤부리에서 방콕 쪽의 차오프라야강으로 옮겼다. 그곳에서 그는 현재 태국을 통치하는 왕조인 차크리 왕조를 세웠다. (이 첫 번째 재위는 나중에 태국의 라마 왕 목록에서 라마 1세로 지정되었다.) 그는 또한 최고 승정 직을 승가의 수장으로 임명했는데, 이는 불교 비구 승려들의 단체이다.[9]

랏타나코신 시대 동안 차크리 왕들은 아유타야 왕권의 개념을 이어가며 국왕과 백성 간의 관계를 다시 한번 강조하려 했다. 한편, 그들은 왕좌의 권위를 조금도 포기하지 않았다. 풋타렛라 나팔라이 (라마 2세)와 낭클라오 (라마 3세)는 최고 의회를 만들고 정부 운영을 돕기 위해 주요 관리를 임명함으로써 현대적인 행정의 모습을 갖추었다.[10]

몽꿋 (라마 4세)은 성인이 된 후 27년 동안 불교 승려로 지내며 영어에 능통하게 된 후 왕위에 올랐다는 점에서 전통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만들었다. 그는 왕으로서 최고 의회에 관리를 계속 임명했는데,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솜뎃 차오 프라야 프라유라웡세와 시 수리야웡세였으며, 두 사람 모두 몽꿋 국왕의 총리 역할을 했고 (후자는 1868년 국왕이 죽은 후 1873년까지 섭정 역할을 했다).[10]

쭐라롱껀 (라마 5세)은 1868년 15세의 나이로 미성년자 신분으로 왕위에 올랐고, 1873년 11월 16일 시암의 국왕이 되었다. 그는 왕자 시절, 가정교사 안나 레오노웬스에게 서구 전통을 배웠다. 그는 서구적 방식으로 군주제를 개혁하고자 했고, 미성년자 시절 서구의 행정 방식을 관찰하기 위해 광범위한 여행을 했다. 그는 군주제를 "계몽 군주"의 서구적 방식으로 변모시켰다. 그는 국왕 앞에서 엎드려 절하는 관습을 폐지하고 국왕과 백성 간의 관계에 관한 많은 법률을 폐지하는 한편, 옛 왕권의 많은 고대적 측면과 의례를 계속 유지했다.[11] 1874년, 그는 유럽의 전통을 본떠 그를 도와 왕국을 통치할 추밀원을 만들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시암은 이전 속국인 라오스와 북 말라야에 대한 통제권을 서구 열강에게 넘겨주도록 압박을 받았으며, 시암 자체는 간신히 식민지화되는 것을 피했다.[12][13] 1905년, 즉위 37년 만에 쭐라롱껀은 노예 폐지법으로 노예 제도를 종식시켰다. 1867년 노예는 시암 인구의 3분의 1을 차지했다.[11]

그의 아들인 와치라웃 (라마 6세)은 1910년 왕위에 올라 아버지의 개혁 열정을 이어받아 군주제를 20세기로 이끌었다. 개혁의 속도가 느리다는 인식이 1912년 궁정 반란을 초래했다. 1914년, 와치라웃은 1907년 그의 아버지가 처음 공포한 계엄령 발동에 관한 법률이 현대적인 전쟁법과 일치하지 않으며 국가의 안보 유지를 위해 편리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사소한 수정과 함께 정부의 후속 변화를 통해 계속 효력을 발휘하는 더 현대적인 형태로 개정되었다.[14]

쁘라자디폭 (라마 7세)은 1925년 형제를 계승했다. 이튼 칼리지와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국왕은 내각과 유사한 의회를 만들어 가장 중요한 정부 관리들이 국가 업무를 결정하기 위해 만날 수 있도록 했다. 이 자문 및 입법 의회는 시암 최고 국가 의회 (태국어: อภิรัฐมนตรีสภา)라고 불렸으며 1925년 11월 28일에 설립되어 1932년까지 존재했다.

2. 5. 입헌군주제

1932년, "프로모터"라고 불리는 외국의 교육을 받은 학생들과 군인들이 무혈 혁명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고 프라자디포크 국왕(라마 7세)에게 헌법을 요구했다. 국왕은 이에 동의했고, 1932년 12월 헌법이 부여되면서 150년간의 짜끄리 왕조의 절대왕정이 막을 내렸다. 이후 국왕의 역할은 상징적인 국가 원수로 축소되었고, 실질적인 권한은 총리와 국회가 행사하게 되었다.

1935년, 프라자디포크 국왕은 정부와의 불화로 왕위를 포기하고 영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다 1941년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어린 조카 아난다 마히돈(라마 8세)이 즉위했지만, 당시 스위스에 체류 중이었기 때문에 섭정 위원회가 임명되었다. 이 기간 동안 국왕의 역할과 권한은 플랙 피분송크람의 파시스트 정부에 의해 완전히 장악되었고, 태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추축국 편에 섰다. 전쟁이 끝난 후 자유 타이 운동이 태국을 재건하는 데 기여했고, 젊은 국왕이 귀환했다.

1946년 라마 8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한 후, 푸미폰 아둔야뎃(라마 9세)이 19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그는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막으려는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군주제를 옹호했다.[15] 푸미폰 국왕은 2016년 10월 사망 당시 세계 최장 재위 군주였으며,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6]

2000년대 이후, 태국 군주제는 학자, 학생, 언론, 관찰자, 전통주의자들로부터 도전을 받고 있으며, 친민주주의 세력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7][18] 태국의 불경죄와 관련된 법률과 조치들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많은 체포와 투옥이 발생했다.[19] 푸미폰 국왕은 2005년 연설에서 비판을 환영한다는 암시를 하기도 했다.[20]

불경죄는 태국 형법의 일부로, 매우 가혹한 법률로 알려져 있다.[21][22] 정치학자 자일스 웅팍론은 불경죄가 군주제 보호보다는 정부 보호와 군사 쿠데타 비판 방지에 사용된다고 지적했다.[23] 불경죄 위반으로 11년형을 선고받은 솜욧 프루엑사카셈숙은 국제앰네스티가 지정한 양심수이다.[25]

국왕은 태국 국왕 비서실과 태국 추밀원의 지원을 받으며, 총리와 협의한다. 헌법에 따라 국왕은 더 이상 모든 법률의 원천이 아니며, 이 권한은 태국 국회에 위임되어 있다. 그러나 법안은 국왕의 재가를 받아야 법으로 제정된다. 왕실 사무국과 왕실 재산 관리국은 왕실의 가계와 재정을 관리하며, 이 기관들은 태국 정부의 일부가 아니고 모든 직원은 국왕이 임명한다.[26]

2014년 집권한 군사 정부는 군주제 비판자들을 가혹하게 처벌했다.[27][28] 2015년에는 군주제 옹호 캠페인에 5.4억달러를 지출했는데, 이는 외무부 예산보다 많은 금액이다.[29] 쁘라윳 짠오차 군사 정부 지도자는 이를 선전이 아닌 국왕의 업적을 교육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29]

회계 연도 (FY) 2016년 예산에서 군사 정부는 군주제 옹호 예산을 28% 증액한 180억태국 밧 (5.14억달러)로 늘렸다.[30] 2020 회계 연도에는 군주제 지원 예산이 총 예산의 0.93%인 297.28000000000003억태국 밧에 달한다.[31]

3. 역대 군주 명단

태국의 역대 군주 목록은 태국 군주 목록 문서를 참조하라.

''*지역 왕국 및 정치 포함''

4. 국왕의 역할

2000년 이후, 태국 군주의 역할은 학자, 학생, 언론, 관찰자 및 전통주의자들에 의해 점점 더 도전을 받고 있으며, 친민주주의 세력은 발언을 시작했다.[17][18] 많은 사람들은 태국의 불경죄와 관련된 법률과 조치가 표현의 자유를 저해한다고 간주했다. 이러한 법률에 따라 수십 건의 체포, 수백 건의 형사 수사 및 다수의 투옥이 이루어졌다.[19]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은 2005년 국왕 생일 방송에서 국왕이 비판을 환영한다는 암시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했다.[20]

불경죄는 태국 형법의 일부이며 "세계에서 가장 가혹한 불경죄" 및 "어디에서나 가장 엄격한 형사 명예훼손법일 가능성이 있다"라고 묘사되었다.[21][22] 정치학자 자일스 웅팍론은 "불경죄는 실제로 군주제를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아니다. 과거에 이 법은 정부를 보호하고 합법적인 비판으로부터 군사 쿠데타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모든 [왕실] 이미지는 궁궐 벽을 넘어 보수 엘리트를 강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라고 언급했다.[23] 2013년 불경죄 위반으로 11년형을 선고받은 태국 활동가이자 잡지 편집자 솜욧 프루엑사카셈숙은 국제앰네스티가 지정한 양심수이다.[24][25]

국왕은 태국 국왕 비서실과 태국 추밀원의 지원을 받으며, 내각 수반인 태국 총리와 협의한다. 태국 헌법에 따라, 국왕은 더 이상 왕국 내 모든 법률의 원천이 아니며, 그 특권은 태국 국회에 위임된다. 그러나 입법부가 통과시킨 모든 법안은 법으로 제정되기 위해 국왕의 재가를 필요로 한다. 군주의 가계와 재정은 각각 왕실 사무국과 왕실 재산 관리국에서 관리하며, 이 기관들은 태국 정부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으며 모든 직원은 국왕이 임명한다.[26]

2014년 권력을 잡은 군사 정부는 군주제를 비판하는 사람들을 가혹하게 투옥했다.[27][28] 2015년에는 "군주제를 숭배하고 보호하며 옹호하라"는 홍보 캠페인에 5.4억달러를 지출했는데, 이는 외무부 예산보다 많은 금액이다. 이 캠페인에는 텔레비전 광고, 학교 및 교도소에서의 세미나, 노래 경연 대회, 국왕을 칭찬하는 이야기와 영화를 쓰는 대회 등이 포함된다. 군사 정부 지도자 쁘라윳 짠오차는 "이것은 선전이 아니다. 젊은이들은 국왕이 한 일을 교육받아야 한다"고 말했다.[29]

회계 연도 (FY) 2016년 예산에서 집권 군사 정부는 "군주제 옹호, 보호 및 보존"을 위한 지출을 1800억태국 밧 (5.14억달러)로 늘렸는데, 이는 2014년 권력을 잡은 이후 이 예산 항목에 대한 28% 증가이다.[30] 2020 회계 연도에 군주제를 지원하기 위한 예산 할당액은 2970억태국 밧 (약 297억 2800만 바트)로, 총 예산의 0.93%에 달한다.[31]

사릿 타나랏 정권 이후 국왕은 자선 활동, 천재지변 피해 지역 위문, 학예 지원, 군 및 경찰 위문 등 사회적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또한 국왕은 시암 시멘트 등 기업을 소유하고 있으며, 왕실 재산국의 리더로서 기업인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

4. 1. 입법

쁘라라차반야트(법안)가 하원과 상원을 통과하면, 내각총리에 의해 20일 이내에 국왕에게 송부된다. 국왕이 서명하면 관보에 고시되어 쁘라라차반야트(법률)로서 효력을 갖게 된다. 90일을 초과해도 법안에 국왕의 서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반송된 경우에는 재심의가 이루어진다. 이후 재가결되어 내각총리가 국왕에게 법안을 송부하고, 국왕이 서명을 하면 관보에 고시하여 법률로서 효력을 갖게 된다. 국왕에게 송부된 법안이 30일 이내에 국왕의 서명을 받지 않고 반송된 경우, 법안은 국왕이 승인한 것과 마찬가지로, 내각총리에 의해 관보에 고시되어 법률로서 효력을 갖는다(93~94조). 즉, 국왕은 법률을 절대적으로 거부할 권한은 없으며, 국왕 자신도 법안에 대한 서명 거부를 자제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2003년에는 양원을 통과한 오탈자가 많은 법안이 국왕에 의해 서명이 거부되어 반송된 적도 있었다.[1]

쁘라라차카문홋은 긴급 사태에 직면하여 내각의 조언에 기초하여 국왕의 서명을 기재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항이다. 후에 국회에서 심의되어 국회가 승인하지 않거나 헌법재판위원회에 의해 위헌 판결이 내려지면 효력을 잃는다(218~219조). 국회가 해산 중이거나 소집이 불가능한 경우(특히 긴급 사태 등)에 어떤 법안의 시행을 긴급히 요할 경우에 발령된다.[1]

국왕은 상원 의원의 임명을 할 수 있다.[1]

4. 2. 행정

국왕은 다음과 같은 행정에 관한 여러 권한을 가지고 있다.

  • 칙명 (プララーチャボーロマオン칸th)
  • *: 국왕의 정치적 선언 및 행위이다. 내각, 국회, 추밀원의 자문을 받아 이루어진다. 국회 소집이나 왕실전범 개정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칙유 (プララーチャ크릿사디카th)
  • *: 국왕은 법률에 근거하여 칙유를 발포할 수 있다(제221조).[34] 칙유는 공무원 급여 설정 등 매우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 계엄령 선포
  • *: 국왕은 계엄령을 발령할 권한이 있다(제222조).[34] 다만 군부에도 계엄령 발령 권한이 있다.
  • 선전 포고
  • *: 국왕은 국회의 승인을 얻어 선전 포고를 할 수 있다(제223조).[34]
  • 조약 체결
  • *: 국왕은 여러 외국과 조약을 체결할 권한이 있다(제224조).[34] 단, 조약 내용에 영토 변경이 포함된 경우에는 국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 국무 대신 해임
  • *: 국왕은 내각총리의 자문에 따라 국무 대신을 해임할 수 있다(제217조).[34]
  • 기타
  • *: 사면 시행(제225조),[34] 관위 및 훈장 수여·박탈(제11조 및 제226조),[34] 내무부 차관·국장급 지위에 있는 자의 해임, 테사반 승인(불력 2476년 테사반법) 등이 있다.

4. 3. 사법

심리와 판결은 국왕의 이름으로 해야 한다.[1] 국왕은 사법 공무원 규제법에 의해 설치된 사법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재판관을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다.[2]

4. 4. 왕실

국왕은 추밀원 의장 1명과 추밀원 고문 18명을 칙령으로 임명 및 해임할 수 있다(12, 13, 14조).[1] 추밀원 의장이 의장으로서 공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고문 중 한 명이 대행한다(20조).[1] 왕위 계승자 선임은 국왕의 권한이지만, 고문관은 왕실 전범에서 언급되는 왕위 계승자의 인격을 국왕에게 지적할 수 있으며, 국왕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다.

국왕이 국내에 부재중이거나 출가, 유년 등의 이유로 공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섭정을 임명한다.[1] 국왕이 섭정을 임명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섭정이 될 만한 자를 선출하고, 국회의 승인을 거쳐 섭정으로 삼는다. 섭정 선출까지의 기간은 추밀원 의장이 섭정을 대행한다(18, 19, 20조).[1] 섭정은 국왕이 공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공무를 대행하는 존재이며, 섭정을 모욕하는 행위는 불경죄에 해당한다.

4. 5. 기타

사릿 정권 이후 국왕은 자선 활동, 천재지변 피해 지역 위문, 학예 지원, 군 및 경찰 위문 등 사회적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민중과의 접촉을 통해 국왕의 지지 기반을 강화하고, 권력의 원천으로서 국왕의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또한 국왕은 시암 시멘트 등 기업을 소유하고 있으며, 왕실 재산국의 리더로서 기업인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

5. 왕위 계승

태국의 왕위 계승자는 1924년 왕실 전범에 의거하여 국왕의 의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국왕이 생전에 왕위 계승자를 임명하지 않은 경우 추밀원이 국회에 왕위 계승자를 제시할 수 있다. 그동안은 섭정이 국왕을 대리한다.[1] 또한, 실제로는 왕위 계승자는 현재 멥차오 이상의 왕족 중에서 선출된다.[1]

6. 왕실 의례



현재의 태국 왕실 위엄 세트(Khrueang Raja Kakudhabhand, เครื่องราชกกุธภัณฑ์|크루앙 라차 카쿠타판th) 및 왕실 도구는 대부분 1767년 버마족의 아유타야 약탈로 이전 세트가 손실된 후 라마 1세라마 4세의 통치 기간에 제작되었다. 왕실 위엄은 주로 매 통치 시작 시 왕의 대관식에서 사용된다. 왕실 위엄은 현재 방콕 대궁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33][34]

  • 왕실 9단 우산 (Phra Maha Swetachatra, พระมหาเศวตฉัตร|프라 마하 스웨타차트라th) - 가장 중요한 왕실 위엄. 현재 여러 궁전에 7개가 분산되어 있다.
  • 승리의 대관 (Phra Maha Phijay Mongkut, พระมหาพิชัยมงกุฎ|프라 마하 피차이 몽쿳th) - 공식적인 머리 장식.
  • 승리의 검 (Phra Saengkharga Jay Sri, พระแสงขรรค์ชัยศรี|프라 생카르가 차이 스리th) - 1784년 톤레삽에서 발견되었으며, 검은 군사력을 상징한다.
  • 왕실 지팡이 (Dharn Phra Korn, ธารพระกร|탄 프라 콘th) - 정의의 상징
  • 왕실 부채와 파리채 (Walawijani, วาลวีชนี|왈라위차니th) - 금으로 만든 왕실 부채와 흰 코끼리 꼬리로 만든 왕실 파리채.
  • 왕실 슬리퍼 (Chalong Phra Bada, ฉลองพระบาท|찰롱 프라 밧th) - 금으로 만든 공식적인 신발


태국 왕실 도구(Phra Khattiya Rajuprapoke, พระขัตติยราชูปโภค|프라 카티야 라추빠포th)는 또한 군주의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되며,[34]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빈랑 세트
  • 물 항아리
  • 예배 용기
  • 용기.


이 독특한 물건들은 왕실 행사 동안 항상 왕의 옥좌 또는 그의 좌석 양쪽에 놓인다.

280px


국왕과 그의 가족 구성원들은 매년 많은 왕실 의례를 수행하며, 일부는 13세기부터 시작되었다.

  • 왕실 대관식
  • 왕실 뱃길 행렬
  • 에메랄드 불상의 의복 교체[35]
  • 국기 분열 및 군대 충성 맹세
  • 군기 봉헌 및 충성 맹세 의례
  • 충성 맹세 의례
  • 어좌 연설 (태국 국회)
  • 왕실 장례 의례

7. 왕실 훈장

태국 국왕은 여러 왕실 훈장의 주권자이며, 이러한 훈장을 수여하고 해임할 수 있는 권한은 국왕의 재량에 달려 있다. 하지만 때때로 태국 내각과 태국 총리의 추천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12개의 왕실 훈장이 있으며, 이 중 일부는 별도의 등급을 가지고 있다.

훈장제정 시기제정 국왕수여 대상
라자미트라폰 훈장1962년 6월 11일라마 9세외국 국가 원수
차크리 왕가 훈장1882년라마 5세방콕 건국 100주년 기념
구보 훈장1851년라마 4세태국 왕실 구성원, 왕국에 봉사한 불교 신자인 뛰어난 고위 관리
출라 촘 클라오 훈장1873년 11월 16일라마 5세차크리 왕조 90주년 기념
라타나 바라본 공로 훈장1911년 8월 1일라마 6세국왕에게 개인적인 봉사를 한 사람
라마 훈장1918년 7월 22일라마 6세평시 또는 전시에서 특별한 군사적 봉사를 한 사람
백상 훈장1861년라마 4세정부 관료 (5년마다 정기적으로 수여, 가장 많이 수여되는 훈장)
태국 왕관 훈장1869년라마 5세태국인, 왕족, 정부 직원, 태국 왕국에 뛰어난 봉사를 한 외국 귀빈
디렉구나본 훈장1991년 7월 22일라마 9세태국 왕국에 헌신적인 봉사를 한 사람
왈라바본 훈장1919년 3월 22일라마 6세해당사항 없음
람키라티 훈장1987년 11월 26일라마 9세5년 이상 연속적으로 보이스카우트 활동에 꾸준한 봉사와 지원을 한 사람
와지라 말라 훈장1911년 5월 28일라마 6세해당사항 없음


8. 왕실 상징


  • 왕실 흰 코끼리는 일반적으로 각 통치를 나타내며, 현재 두싯 동물원에 있다. 국왕은 다른 10마리의 코끼리도 소유하고 있다.
  • 왕실 가루다는 국왕과 태국의 문장이다.
  • 왕실 기는 국왕의 공식 기이다.
  • 왕실 깃발은 국왕과 왕족의 개인 깃발이다.
  • 산센 프라 바라미는 왕실 국가이다.
  • 태국 왕실 전통 밴드는 전통 태국 악기를 사용하는 취주악단으로, 일반적으로 왕족을 수행하며 왕족 구성원이 주재하는 의식에서 공연한다.

참조

[1] 간행물 Thais Face an Anxious Wait to See How Their New King Will Wield His Power https://time.com/458[...] 2016-12-02
[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Thailand B.E 2550 http://www.senate.go[...] House of Representatives (Thailand)|The Secretariat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2012-11-07
[3] 학술지 The Origins of the Sukhodaya Dynasty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3-17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unsite.au.ac[...] 2008-09-26
[5] 학술지 The Old Siamese conception of the Monarchy http://www.siamese-h[...] Siamese Heritage Trust 2013-03-07
[6] 학술지 Ahom and the Study of Early Thai Society http://www.siamese-h[...] Siamese Heritage Trust 2013-03-07
[7] 학술지 A Law Promulgated by the King of Ayudhya in 1397 A.D. Epigraphic and Historical Studies, No. 4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3-17
[8] 학술지 Evolution of the Conception of Law in Burma and Siam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3-17
[9] 서적 A History of Ayutthay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 in the U.S. sloop-of-war Peacock ... during the years 1832–3–4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2013-01-28
[11] 서적 Siamese state ceremonies https://archive.org/[...] Bernard Quaritch 2012-04-25
[12] 학술지 Conflicting conceptions of the state: Siam, France and Vietnam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4-12
[13] 학술지 Siam under siege (1893–1902): modern Thailand's decisive decade, from the Paknam incident to the first flowering of the Chakri reformation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3-17
[14] 웹사이트 Martial Law, B.E. 2457 (1914) – unofficial translation http://www.thailawfo[...] Office of the Council of State 2014-05-21
[15] 서적 Thailand's Second Triumvirate: Sarit Thanarat and the military, King Bhumibol Adulyadej and the monarchy and the United States. 1957–1963 https://digital.lib.[...] University of Washington 2017-04-26
[16] 웹사이트 Thai King Bhumibol Adulyadej dies at 88 http://www.cnn.com/2[...] 2016-10-13
[17] 웹사이트 Constitutionalizing the Monarchy: Uncompromising Demands of Thai Protesters https://jia.sipa.col[...] 2022-10-01
[18] 웹사이트 The king and I: the student risking jail by challenging Thailand's monarchy http://www.theguardi[...] 2022-10-01
[19] 뉴스 Running Afoul of the Thai Monarchy https://www.nytimes.[...] 2015-09-22
[20] 웹사이트 Royal Birthday Address: 'King Can Do Wrong' http://www.nationmul[...] 2016-11-26
[21] 웹사이트 New Thai King requests constitutional changes to 'ensure his royal powers': Prime Minister http://www.abc.net.a[...] ABC 2017-04-20
[22] 뉴스 How powerful people use criminal-defamation laws to silence their critics https://www.economis[...] 2017-07-13
[23] 뉴스 Swiss man faces jail for lèse majesté https://www.telegrap[...] 2007-11-24
[24] 웹사이트 Somyot lese majeste judgement on Wednesday http://www.bangkokpo[...] 2013-01-22
[25] 웹사이트 Thailand: Release human rights defender imprisoned for insulting the monarchy https://www.amnesty.[...] 2013-01-23
[26] 웹사이트 Thailand The King – Flags, Maps, Economy, History, Climate, Natural Resources, Current Issues, International Agreements, Population, Social Statistics, Political System http://www.photius.c[...] Photius.com 2012-05-05
[27] 뉴스 2014 coup marks the highest number of lèse-majesté prisoners in Thai history http://prachatai.com[...] Prachatai
[28] 뉴스 Thailand jails man for 35 years for insulting the monarchy on Facebook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7-06-10
[29] 뉴스 With King in Declining Health, Future of Monarchy in Thailand Is Uncertain https://www.nytimes.[...] 2015-09-20
[30] 뉴스 For Thailand, a portrait is crucial to preparations for succession http://www.straitsti[...] 2016-04-21
[31] 뉴스 Government to spend 29 billion baht on monarchy https://prachatai.co[...] 2020-03-26
[32] 뉴스 Thailand's King Vajiralongkorn crowned https://www.bbc.com/[...] 2019-05-04
[33] 웹사이트 Royal Regalia http://geocities.com[...] 2012-05-05
[34] 웹사이트 Royal Regalia + Royal Utensils http://thailand.prd.[...] Thai Government Public Relations
[35] 웹사이트 Kingdom of Thailand celebrates Wan Chatramongkhol (Coronation Day) May 5 2012-05-05
[36] 문서 仏滅紀元|仏暦2540年タイ王国憲法(1997年)にて「元首(プラムック)にておわしまします国王」(憲法第2条および第3条)と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