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진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진운수는 1971년 설립된 서울특별시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197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도시형, 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했으며, 서울시 버스 체계 개편 이후 지선, 간선, 순환 노선을 운행했다. 2019년 간선버스 362번을 대성운수로 양도하고, 2023년 구로동 영업소의 지선버스 노선을 한남여객운수에 양도했다. 현재는 2014번, 2224번, 2412번, 2413번, 8441번 노선을 운행하며, KGM커머셜,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진운수 계열사 - 대성운수 (서울)
대성운수는 1965년에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업체로, 333번, 343번, 345번, 440번, 3313번 등의 노선을 운영하며 하이거 버스와 현대자동차 차종의 차량을 운용한다. - 197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페덱스
페덱스는 1971년 프레더릭 W. 스미스가 설립한 미국의 운송 회사로, 특급 배송 서비스를 시작하여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며 성장해왔다. - 197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중앙고속
중앙고속은 1971년 설립되어 경부선, 호남선, 영동선, 구마선 등 주요 노선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 기업이다. - 서울 성동구의 교통 - 청계천로
청계천로는 서울특별시의 도로로, 청계천 복개, 청계고가도로 건설 및 철거, 청계천 복원 사업을 거쳐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청계광장에서 시작하여 신답철교까지 이어진다. - 서울 성동구의 교통 - 왕십리로
왕십로는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과 성동구 일대를 지나는 도로이며, 1966년 왕십로로 지정된 이후 여러 차례 연장 및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태진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태진운수 주식회사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71년 9월 24일 |
장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둘레15길 8 (성수동)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정진섭, 신화동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자본금 | 45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21,726,065,434원 (2020) |
영업이익 | -667,402,358원 (2020) |
순이익 | -580,630,793원 (2020) |
자산총액 | 35,729,884,800원 (2020.12) |
주주 | 정진섭 : 36.98% 신화동 : 33.90% 최선규 : 22.86% 최종윤 : 6.26% |
종업원 | 286명 (2020.12) |
2. 연혁
- 1971년 12월 27일: 삼흥운수(현 대성운수) 뚝섬 영업소[1]를 분리독립시켜 설립하였다.
- 1979년 10월: 좌석버스 30번(현 362번, 영동지구 ~ 광화문) 노선을 개통하였다.
- 1983년: 도시형버스 62-1번 (현 6411번, 구로구청 ~ 개포동) 노선 신설과 동시에 신길동 영업소를 개설하였다.
- 1985년: 동호대교 개통으로 좌석버스 30번 (현 362번) 노선이 변경되고, 오금동 영업소를 개설하였다.
- 1985년 11월: 좌석버스 30번 노선을 오금동 ~ 여의도 노선으로 변경하였다.
- 1986년: 여의도 순환버스 823번 (현 61번) 노선과 도시형버스 817번, 827번 (현 2412번, 성수동 ~ 가락시장) 노선을 개통하였다.
- 1987년: 신길동영업소(61~62번 회차지)를 구로동 49-4로 이전하여 구로동영업소로 변경하였다.
- 1989년 12월: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종로 ~ 신길동) 노선을 성수동 ~ 광화문 노선과 구로동 ~ 광화문 노선으로 분리하였다.
- 1990년: 도시형버스 61-1번 (구로동 ~ 광화문) 노선을 (구로동 ~ 노량진) 노선으로 단축하였으나 수요급감으로 도시형버스 62번 (성수동 ~ 구로동) 노선에 통폐합하였다.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광화문) 노선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구 동대문운동장)으로 단축하였다.
- 1990년 12월: 좌석버스 65번 (구로동 ~ 개포동) 노선을 개통하였다.
- 1992년: 분당신도시 입주로 도시형버스 817번, 827번 (성수동 ~ 가락시장) 노선을 성남시 서현동으로 연장하였다. 이후 도시형버스 861번 (성수동 ~ 성남시 서현동)으로 재편하였고, 분당신도시 추가 입주에 따라 성남시 정자동으로 연장되었다.
- 1993년: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노선을 왕십리로 단축하였다. 좌석버스 65번 (구로동 ~ 개포동) 노선을 폐선하고, 좌석버스 862번 (현 2413번, 성수동 ~ 성남시 서현동) 노선을 개통하였다. 이후 분당신도시 추가 입주에 따라 성남시 정자동으로 연장되었다.
- 1993년 10월: 직행좌석버스 1005번 (수서동 ~ 광화문) 노선을 신설했다.
- 1994년: 서울승합으로부터 잉여 면허를 넘겨받아 여의도 순환버스 823번 (현 62번) 노선과 도시형버스 861번 (성수동 ~ 성남시 정자동) 노선에 증차하였다. 직행좌석버스 1005번 (수서동 ~ 광화문) 노선을 (오리역 ~ 광화문) 노선으로 변경하였다.
- 1995년: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왕십리) 노선을 성동구청으로 연장하고, 6월에는 직행좌석버스 1005번 (수서동 ~ 광화문) 노선을 남성교통에 매각하면서, 남성교통에서 도시형 차량을 넘겨받아 도시형버스 861번 (성수동 ~ 성남시 정자동) 노선에 증차하였다. 11월에는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성동구청) 노선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으로 다시 연장하였다.
- 1996년: 서울승합으로부터 잉여 면허를 넘겨받아 도시형버스 62-1번 (현 6411번, 구로동 ~ 개포동) 노선에 증차하고, 8월에는 좌석버스 862번 (성수동 ~ 성남시 정자동) 노선을 도시형버스로 형간 전환하였다.
- 1997년: 8월에는 도시형버스 862번 (성수동 ~ 성남시 정자동) 노선을 도시형버스 861번 (성수동 ~ 성남시 정자동) 노선에 통폐합하였으며, 해당 차량은 폐차 처리되었다. 11월에는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노선을 도시형버스 62번 (성수동 ~ 구로동) 노선에 통폐합하였다.
- 2000년: 성동구 마을버스 6번과 6-1번을 지역 순환버스 462번 (현 2224번)으로 통합하였다.
- 2001년: 지역 순환버스 463번 (신도림역 ~ 구로역) 노선을 개통하였다.
- 2002년: 지역 순환버스 415번 (개포동 ~ 삼성역) 노선을 개통하였다.
- 2003년 1월: 도시형버스 62번 (성수동 ~ 구로동) 노선을 서울역으로 단축하였다.
-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시내버스 체계개편으로 순환버스 2개, 지선버스 7개, 간선버스 1개 노선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 2007년 1월 20일: 지선버스 2412번 종점을 계원예술고등학교에서 야탑역으로 단축하였다.
- 2012년 3월 16일: 간선버스 362번의 여의도 구간 회차방식이 일부 변경되었다.
- 2013년: 3월 19일에는 지선버스 2412번 종점을 야탑역에서 고등동 주민센터로 단축하고, 9월 1일에는 계열사로 마을버스 회사인 태진마을버스를 창립하였다. 9월 26일에는 간선버스 362번의 여의도 구간 회차방식이 일부 변경되었으며, 10월 1일에는 순환버스 61번~62번 등을 마을버스 영등포 10번~영등포 11번으로 격하와 동시에 계열사인 태진마을버스에 매각하였다.
- 2014년: 2월 3일에는 지선버스 2412번 종점을 고등동 주민센터에서 율현동으로 단축하고, 4월 14일에는 간선버스 362번 차고지를 송파공영차고지로 변경하였다. 노선변경과 동시에 오금동 영업소를 폐쇄하고 송파영업소를 개설하였다. 8월 4일에는 간선버스 362번을 여의도에서 중앙대병원으로 단축하여 노들로를 경유하지 않게 하였고, 번호를 352번으로 변경하였다.
- 2015년 10월 26일: 간선버스 352번이 여의도로 연장(환원)되었고, 번호가 362번으로 변경(환원)되었다.[2]
- 2016년 9월 5일: 지선버스 6511번이 구로구청~영서중학교에서 구로구청~구로중학교구간을 단축하고, 지선버스 6611번이 초롱타운아파트~힐하우스 구간 정류소를 신설하였다.
- 2019년: 1월 1일에는 간선버스 362번 대성운수로 노선 양도하고, 4월 22일에는 지선버스 2014번 종점을 성수동(본사)로 이전과 동시에 성수동-뚝섬유원지역-서울숲-동대문역사문화공원 노선으로 변경하였다. 같은해 태진마을버스 계열 분리, 영운교통에 매각하였다.
- 2023년 2월 28일: 구로동 영업소 6411, 6511, 6611번 한남여객운수로 양도[3]
2. 1. 1970년대 ~ 1980년대
1971년 12월 27일: 삼흥운수(현 대성운수) 뚝섬 영업소[1]를 분리독립시켜 설립하였다.1979년 10월: 좌석버스 30번(현 362번, 영동지구 ~ 광화문) 노선을 개통하였다.
1983년: 도시형버스 62-1번 (현 6411번, 구로구청 ~ 개포동) 노선을 신설과 동시에 신길동 영업소를 개설하였다.
1985년 2월: 동호대교 개통으로 좌석버스 30번 (현 362번) 노선이 변경되었다. 노선변경과 동시에 오금동 영업소를 개설하였다.
1985년 11월: 좌석버스 30번 노선을 현재의 (오금동 ~ 여의도) 노선으로 대폭 변경하였다.
1986년: 여의도 순환버스 823번 (현 61번) 노선을 개통하였다. 도시형버스 817번, 827번 (현 2412번, 성수동 ~ 가락시장) 노선을 개통하였다.
1987년: 신길동영업소(61~62번 회차지)를 구로동 49-4로 이전하여 구로동영업소로 변경하였다.
1989년 12월: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종로 ~ 신길동) 노선을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광화문) 노선과 도시형버스 61-1번 (구로동 ~ 광화문) 노선으로 분리하여 운행을 시작하였다.
1990년: 도시형버스 61-1번 (구로동 ~ 광화문) 노선을 (구로동 ~ 노량진) 노선으로 단축하였으나 수요급감으로 잠시후 도시형버스 62번 (성수동 ~ 구로동) 노선에 통폐합하였다.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광화문) 노선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구 동대문운동장)으로 단축하였다.
2. 2. 1990년대 ~ 2004년 서울시내버스 체계개편 이전
- 1990년 12월: 좌석버스 65번 (구로동 ~ 개포동) 노선을 개통하였다. 이 노선은 도시형버스 62-1번 (구로동 ~ 개포동) 노선과 동일했다.
- 1992년: 분당신도시 입주에 따른 노선 증편으로 도시형버스 817번, 827번 (성수동 ~ 가락시장) 노선을 성남시 서현동으로 연장하였다. 이후 노선번호 변경을 거쳐 도시형버스 861번 (성수동 ~ 성남시 서현동)으로 재편하였다. 분당신도시 추가 입주에 따라 성남시 정자동으로 연장되었다.
- 1993년: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노선을 왕십리로 단축하였다. 수요 부족으로 좌석버스 65번 (구로동 ~ 개포동) 노선을 폐선하였다. 좌석버스 65번 노선 폐선분으로 좌석버스 862번 (현 2413번, 성수동 ~ 성남시 서현동) 노선을 개통하였다. 이후 분당신도시 추가 입주에 따라 성남시 정자동으로 연장되었다.
- 1993년 10월: 직행좌석버스 1005번 (수서동 ~ 광화문) 노선을 신설했다.
- 1994년: 서울승합으로부터 잉여 면허를 넘겨받아 여의도 순환버스 823번 (현 62번) 노선과 도시형버스 861번 (성수동 ~ 성남시 정자동) 노선에 증차하였다. 직행좌석버스 1005번 (수서동 ~ 광화문) 노선을 (오리역 ~ 광화문) 노선으로 변경하였다.
- 1995년 3월: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왕십리) 노선을 성동구청으로 연장하였다.
- 1995년 6월: 직행좌석버스 1005번 (수서동 ~ 광화문) 노선을 남성교통에 매각하면서, 남성교통에서 도시형 차량을 넘겨받아 도시형버스 861번 (성수동 ~ 성남시 정자동) 노선에 증차하였다.
- 1995년 11월: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성동구청) 노선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으로 다시 연장하였다.
- 1996년 3월: 서울승합으로부터 잉여 면허를 넘겨받아 도시형버스 62-1번 (현 6411번, 구로동 ~ 개포동) 노선에 증차하였다.
- 1996년 8월: 좌석버스 862번 (성수동 ~ 성남시 정자동) 노선을 도시형버스로 형간 전환하였다.
- 1997년 8월: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해 도시형버스 862번 (성수동 ~ 성남시 정자동) 노선을 도시형버스 861번 (성수동 ~ 성남시 정자동) 노선에 통폐합하였으며, 해당 차량은 폐차 처리되었다.
- 1997년 11월: 갑작스러운 수요 급감으로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노선을 도시형버스 62번 (성수동 ~ 구로동) 노선에 통폐합하였다.
- 2000년: 성동구 마을버스 6번과 6-1번을 지역 순환버스 462번 (현 2224번)으로 통합하였다.
- 2001년: 지역 순환버스 463번 (신도림역 ~ 구로역) 노선을 개통하였다.
- 2002년: 지역 순환버스 415번 (개포동 ~ 삼성역) 노선을 개통하였다.
- 2003년 1월: 도시형버스 62번 (성수동 ~ 구로동) 노선을 서울역으로 단축하였다.
2. 3. 2004년 서울시내버스 체계개편 이후
-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시내버스 체계개편으로 순환버스 2개, 지선버스 7개, 간선버스 1개 노선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 2007년 1월 20일: 지선버스 2412번 종점을 계원예술고등학교에서 야탑역으로 단축하였다.
- 2012년 3월 16일: 간선버스 362번의 여의도 구간 회차방식이 일부 변경되었다.
- 2013년 3월 19일: 지선버스 2412번 종점을 야탑역에서 고등동 주민센터로 단축하였다.
- 2013년 9월 1일: 계열사로 마을버스 회사인 태진마을버스를 창립하였다.
- 2013년 9월 26일: 간선버스 362번의 여의도 구간 회차방식이 일부 변경되었다.
- 2013년 10월 1일: 순환버스 61번~62번 등을 마을버스 영등포 10번~영등포 11번으로 각각 격하와 동시에 계열사인 태진마을버스에 매각하였다.
- 2014년 2월 3일: 지선버스 2412번 종점을 고등동 주민센터에서 율현동으로 단축하였다.
- 2014년 4월 14일: 간선버스 362번 차고지를 송파공영차고지로 변경하였다. 노선변경과 동시에 오금동 영업소를 폐쇄하고 송파영업소를 개설하였다.
- 2014년 8월 4일: 광역버스 입석금지 조치에 따라 자동차전용도로인 노들로를 경유하는 간선버스 362번을 여의도에서 중앙대병원으로 단축하여 노들로를 경유하지 않게 하였고, 번호를 352번으로 변경하였다.
- 2015년 10월 26일: 2015년 7월 30일 노들로의 자동차전용도로 해제에 따라 간선버스 352번이 여의도로 연장(환원)되었고, 번호가 362번으로 변경(환원)되었다.[2]
- 2016년 9월 5일: 지선버스 6511번이 구로구청~영서중학교에서 구로구청~구로중학교구간을 단축하였다.
- 2016년 9월 5일: 지선버스 6611번이 초롱타운아파트~힐하우스 구간 정류소를 신설하였다.
- 2019년 1월 1일: 간선버스 362번 대성운수로 노선 양도
- 2019년 4월 22일: 지선버스 2014번 종점을 성수동(본사)로 이전과 동시에 성수동-뚝섬유원지역-서울숲-동대문역사문화공원 노선으로 변경하였다.
- 2019년: 태진마을버스 계열 분리, 영운교통에 매각
- 2023년 2월 28일: 구로동 영업소 6411, 6511, 6611번 한남여객운수로 양도[3]
3. 운행 노선
운행노선 | 운행구간 | 배차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2014번 | 성수동 | ↔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9~12 | 13 | 구 62번 단축[5] |
2224번 | 성수동 | ↔ | 강변역 | 9~13 | 11 | 구 462번 |
2412번 | 성수동 | ↔ | 세곡동 | 10~14 | 15 | 구 861번 단축 |
2413번 | 성수동 | ↔ | 개포동 | 10~16 | 13 | 구 415번 연장, 구 862번 단축 및 변경 |
8441번 | 온곡마을 | ↔ | 수서역 | 10~12 | 3 | 맞춤버스. 진화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4. 과거 운행 노선
태진운수는 과거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맞춤버스 노선을 운행하였다. 362번 간선버스는 2019년 1월 1일부터 대성운수로 양도되었고, 6411번, 6511번, 6611번 지선버스는 2023년 3월 1일부터 한남여객운수로 양도되었다. 61번과 62번 순환버스는 마을버스로 전환되어 태진마을버스에 인계되었으며[1][2], 8222번과 8362번 맞춤버스는 2009년에 폐선되었다.
4. 1. 간선버스
2019년 1월 1일부터 362번 버스(송파공영차고지 ↔ 국회의사당) 노선이 대성운수로 양도되었다.4. 2. 지선버스
- 6411번: 구로동 ↔ 개포동 (2023년 3월 1일부터 한남여객운수로 양도)
- 6511번: 구로동 ↔ 서울대학교 (2023년 3월 1일부터 한남여객운수로 양도)
- 6611번: 신도림역 ↔ 우성아파트 (2023년 3월 1일부터 한남여객운수로 양도)
4. 3. 순환버스
- 61번: 대방역 ↔ 여의도 순환 (여의나루역, 국회의사당 경유) (마을버스 영등포 10번 전환, 태진마을버스에 인계)[1]
- 62번: 대방역 ↔ 여의도 순환 (63빌딩, 한국거래소 경유) (마을버스 영등포 11번 전환, 태진마을버스에 인계)[2]
4. 4. 맞춤버스
5. 본사 및 영업소
- 성수동 본사 (2014번, 2224번, 2412번, 2413번)
6. 보유 차량
태진운수는 KGM커머셜(구 에디슨모터스)의 저상 전기버스 모델을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의 버스 모델도 보유하고 있다.
6. 1. KGM커머셜(에디슨모터스)
태진운수는 KGM커머셜(구 에디슨모터스)의 저상 전기버스 모델을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다.6. 2. 현대자동차
참조
[1]
문서
당시 도시형버스 61번 ([[성수동]] ~ [[종로 (서울)|종로]] ~ [[신길동 (서울)|신길동]]), 도시형버스 62번 ([[성수동]] ~ [[을지로]] ~ [[신길동 (서울)|신길동]], 이후 [[서울역]]으로 단축되었다가 현 2014번으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까지 단축운행) 등을 운행
[2]
웹사이트
여객자동차운송사업개선명령(352번 노선조정) 통보
http://opengov.seoul[...]
서울특별시
2015-10-06
[3]
웹사이트
여객자동차운송사업 일부 양도양수 수리 통보(한남여객, 태진운수)
https://opengov.seou[...]
서울정보소통광장
[4]
뉴스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04-27
[5]
문서
성수동대호빌라-신양초등학교 구간에서는 행선지 표지판(성수동, 동대문)을 확인 후 승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