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뤼그베 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뤼그베 리는 노르웨이의 정치인이자 초대 유엔 사무총장이었다. 1896년 오슬로에서 태어나 법학을 전공하고, 노르웨이 노동당에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노르웨이 법무 장관, 통상산업 장관, 해운 공급 장관을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망명 정부에서 외무 장관을 지냈다. 1946년 유엔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어 유엔 본부 부지 확보에 기여하고, 이스라엘과 인도네시아 건국을 지지하며, 한국 전쟁 발발 후 유엔군 파병을 주도했다. 그러나 베를린 봉쇄 해결 실패, 한국전 조기 종식 실패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1952년 사임했다. 퇴임 후 노르웨이 정치에 복귀하여 여러 직책을 거쳤으며, 1968년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유엔 직원 - 그로 할렘 브룬틀란
그로 할렘 브룬틀란은 노르웨이 최초의 여성 총리이자, 브룬틀란 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지속 가능한 개발" 개념을 제시하고, 세계 보건 기구 사무총장, UN 기후 변화 특사 등을 역임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과 보건학 분야에서 국제적인 리더로 활동한 정치인이자 의사이다. - 노르웨이의 외교관 - 프리티오프 난센
프리티오프 난센은 노르웨이의 탐험가, 과학자, 외교관이자 인도주의자로서, 스키를 이용한 그린란드 최초 횡단, 북극해 탐험, 국제 연맹의 난민 구호 활동 등으로 유명하며 해양학과 신경해부학 분야에 기여했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노르웨이의 외교관 - 라스 크리스텐슨
노르웨이의 사업가이자 해운업자, 남극 탐험가인 라스 크리스텐슨은 고래잡이와 해운업으로 사업 제국을 건설하고, 남극 탐험을 통해 새로운 해안을 발견하고 부베 섬을 노르웨이령으로 선언하는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노르웨이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비드쿤 크비슬링
비드쿤 크비슬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노르웨이 침공에 협력하여 괴뢰 정부 총리가 되었으며, 종전 후 반역죄로 사형당한 노르웨이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노르웨이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호콘 7세
호콘 7세는 1905년부터 1957년까지 노르웨이 국왕으로, 덴마크 왕자로 태어나 노르웨이 국왕으로 선출된 후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등 격동기에 노르웨이의 독립과 국민 통합에 기여하며 저항의 상징이 되었고, 전후 재건에 헌신하여 존경을 받았다.
트뤼그베 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트리그베 할브단 리 |
출생일 | 1896년 7월 16일 |
출생지 | 크리스티아니아, 스웨덴-노르웨이 (현재의 노르웨이 오슬로) |
사망일 | 1968년 12월 30일 |
사망지 | 게일로, 부스케루, 노르웨이 |
국적 | 노르웨이 |
배우자 | 효르디스 예르겐센(1921년 결혼, 1960년 사망) |
자녀 | 3명 |
정당 | 노동당 |
학력 | 오슬로 대학교 |
![]() | |
유엔 사무총장 | |
직위 | 초대 국제 연합 사무총장 |
임기 시작 | 1946년 2월 2일 |
임기 종료 | 1952년 11월 10일 |
이전 | 글래드윈 제브(대행) |
이후 | 다그 함마르셸드 |
노르웨이 외무장관 | |
직위 | 노르웨이 외무장관 |
임기 시작 | 1940년 11월 19일 |
임기 종료 | 1946년 2월 2일 |
총리 | 요한 뉘고르스볼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이전 | 할브단 코트 |
이후 | 할바르 랑에 |
노르웨이 법무장관 | |
직위 | 법무장관 |
임기 시작 | 1935년 3월 20일 |
임기 종료 | 1939년 7월 1일 |
총리 | 요한 뉘고르스볼 |
이전 | 아르네 T. 순데 |
이후 | 테리에 볼 |
노르웨이 산업부 장관 | |
직위 | 산업부 장관 |
임기 시작 | 1963년 9월 25일 |
임기 종료 | 1964년 1월 20일 |
총리 |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이전 | 카레 멜란 |
이후 | 칼 트라스티 |
직위 | 산업부 장관 |
임기 시작 | 1963년 7월 4일 |
임기 종료 | 1963년 8월 28일 |
총리 |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이전 | 셸 홀러 |
이후 | 카레 멜란 |
노르웨이 무역해운부 장관 | |
직위 | 무역해운부 장관 |
임기 시작 | 1964년 1월 20일 |
임기 종료 | 1965년 10월 12일 |
총리 |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이전 | 에리크 힘레 |
이후 | 코레 빌로크 |
노르웨이 보급재건부 장관 | |
직위 | 보급재건부 장관 |
임기 시작 | 1939년 10월 1일 |
임기 종료 | 1941년 2월 21일 |
총리 | 요한 뉘고르스볼 |
이전 | 신설 직위 |
이후 | 아르네 T. 순데 |
노르웨이 상무부 장관 | |
직위 | 상무부 장관 |
임기 시작 | 1939년 7월 1일 |
임기 종료 | 1939년 10월 2일 |
총리 | 요한 뉘고르스볼 |
이전 | 알프레드 마드센 |
이후 | 안데르스 프라하겐 |
노르웨이 의회 의원 | |
직위 | 노르웨이 의회 의원 |
임기 시작 | 1937년 1월 1일 |
임기 종료 | 1949년 12월 31일 |
선거구 | 오슬로 |
2. 어린 시절
1896년 7월 16일 오슬로(당시 크리스티아니아)에서 태어났다.[2] 아버지 마르틴 리는 목수였는데, 트뤼그베 리가 어렸을 때 미국으로 떠나 가족을 버렸다.[3][28] 어머니 훌다는 하숙집과 카페를 운영하며 홀로 트뤼그베와 그의 누나를 양육하였다.[3][28]
1911년 노르웨이 노동당에 입당한 트뤼그베 리는 1919년 오슬로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은 직후 노동당 전국 서기로 임명되었다.[2] 1919년부터 1921년까지 ''Det 20de Aarhundre''(20세기) 편집장을 역임했다.[2] 1922년부터 1935년까지 노르웨이 노동조합 연맹의 법률 고문으로 활동했고, 1931년부터 1935년까지 노르웨이 노동자 체육 연맹 의장을 역임했다.[4]
194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유엔 회의에 노르웨이 대표단을 이끌었으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조항 초안 작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7] 그해 유엔 총회 노르웨이 대표단장을 역임했다. 초대 유엔 총회 의장 선거에 출마했으나 벨기에의 폴앙리 스파크에게 패배했다.[7]
리는 유엔 사무총장직에서 물러난 후 노르웨이 정치에 복귀하였다. 오슬로와 아케르스후스주의 주지사, 동력부 의장, 내무 장관[22]과 통상 장관[6]을 역임하였다. 비록 대중적인 인기를 얻지는 못했지만, 실용적이고 결단력 있는 정치인으로 평가받았다.[40]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트뤼그베 리는 어린 나이에 정치에 관심을 가졌다. 1911년 15세의 나이로 노르웨이 노동당 청소년 기구에 가입하였다.[2] 1919년 오슬로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하였다.[2] 1921년 혜르디스 예르겐센과 결혼하여 슬하에 세 딸을 두었다.
3. 정치 경력
지역 정치에서는 1922년부터 1931년까지 아케르 시의회 집행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1937년 노르웨이 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2] 1935년 요한 뉘고르스볼 내각의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1939년까지 재임했다. 1939년 7월부터 9월까지 통상산업부 장관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인 1939년 10월부터는 해운 공급부 장관을 역임했다.[2]
1940년 독일의 노르웨이 침공 당시, 리는 노르웨이 선박들을 연합국 항구로 대피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6] 1940년 6월 영국으로 망명, 12월 노르웨이 망명 정부의 임시 외무 장관 대행으로 임명되었다. 1941년 2월 노르웨이 망명 정부의 정식 외무부 장관이 되었다.[6]
1945년 노르웨이 의회 의원으로 재선되었다. 같은 해 6월 임시 내각의 외무 장관, 10월 새롭게 설립된 노동당 정부의 외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2]
리는 블라디미르 레닌을 만난 적이 있고, 레온 트로츠키가 노르웨이에 정착하도록 허가했다.[3] 그러나 이오시프 스탈린의 압력으로 트로츠키를 추방해야 했다.[5]
4. 유엔 경력
1946년 2월 1일, 강대국 간의 타협 결과로 초대 유엔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2] 소련은 캐나다의 레스터 피어슨이 북미 출신이고 유엔 본부도 북미에 있다는 이유로 반대했고, 미국은 소련이 지명한 후보들을 반대했다. 결국 미국은 양측 모두 동의할 수 있는 리를 후보로 내세웠다.[8] 그는 안전보장이사회 만장일치와 총회 46대 3 득표로 선출되었다.[2]
유엔 본부 부지 확보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존 D. 록펠러 주니어와 윌리엄 제켄도프와 협력하여 맨해튼 이스트강변 부지를 확보했다.
사무총장으로서 이스라엘과 인도네시아의 건국을 지지했다. 이란에서 소련군 철수, 카슈미르 휴전을 위해 노력했다.[9] 1948년 베를린 봉쇄 해결을 위해 중재를 시도했으나, 스탈린이 봉쇄 해제를 명령하면서 성공하지 못했다.[13]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대한민국에 대한 지원을 위해 안전보장이사회를 소집하고 유엔군 파병을 주도했다.[2] 이는 소련의 분노를 샀다.[14]
국공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유엔에서 중국을 대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17]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에 반대하여 스페인의 유엔 가입에 반대했다.[16]
베를린 봉쇄 해결 및 한국전 조기 종식 실패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50년 소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유엔 총회 투표 결과에 따라 임기가 연장되었다.[15] 소련은 한국 전쟁에 대한 그의 관여 때문에 그를 인정하지 않았다.[2]
1952년 "불충성스러운" 미국인 고용 문제로 조지프 매카시에게 비난받은 후 사임했다.[18]
5. 유엔 이후의 생애
1958년 유엔 총회는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 사이의 국경 분쟁 해결을 위한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르웨이 국왕 올라프 5세는 1959년 리를 임명하였다.
1968년 12월 30일, 리는 심근 경색으로 72세의 나이에 사망하였다.[31]
그는 유엔에서의 경험을 담은 "평화를 위하여(In the Cause of Peace)"를 포함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6. 평가
일부 학자들은 리가 "수많은 외교적 실패를 주재하고 UN의 명성을 더럽히며 거의 아무것도 성취하지 못했다"고 평가하며, 역대 최하위 유엔 사무총장으로 평가한다.[25][42] 반면, 다른 학자들은 리가 롱아일랜드의 작은 임시 사무실에서 시작하여 뉴욕에 거대한 사무 건물에 실질적인 사무 공간을 마련하는 등 무에서 UN 조직을 건설했다고 주장한다.[9] 여기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여러 까다로운 갈등과 광범위한 냉전 관련 문제에 대한 UN의 대응을 이끈 것이 포함된다. 리는 UN의 초대 사무총장으로서 이 직책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뿐만 아니라 UN의 더 넓은 역할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9]
7. 수상
트뤼그베 리는 노르웨이와 여러 국가로부터 다수의 훈장을 받았다. 1966년에는 노르웨이 최고 시민 훈장인 시민 봉사 훈장을 받았고,[24] 1954년에는 덴마크의 덴네브로 훈장 대십자훈장, 1953년에는 올라프 성인 훈장 대십자훈장을 받았다. 1948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의 백색 사자 훈장을 받았다. 또한 미국과 유럽 전역의 여러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8. 기타
일부 학자들은 트뤼그베 리를 모든 UN 사무총장 중 최하위로 평가하며, "수많은 외교적 실패를 주재하고 UN의 명성을 더럽히며 거의 아무것도 이루지 못했다"고 말한다.[25] 반면, 어떤 학자들은 트뤼그베 리가 롱아일랜드의 작은 임시 사무실에서 시작하여 뉴욕의 거대한 사무 건물에 실질적인 사무 공간을 마련하는 등 무에서 UN 조직을 건설했다고 주장한다.[9]
오슬로 푸루세트 중심부에 "트뤼그베 리 광장"이 있다. 광장에는 노르웨이 예술가 니콜라우스 비더베르그가 제작하고 1994년에 세워진 트뤼그베 리의 청동상이 있다.[26] 트뤼그베 리 갤러리와 트뤼그베 리 광장은 모두 뉴욕시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Trygve Lie
https://web.archive.[...]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Korean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2010
[3]
잡지
Immigrant to What?
https://web.archive.[...]
2008-12-17
[4]
웹사이트
Trygve Halvdan Lie
http://biography.you[...]
[5]
서적
The Prophet Outcast: Trotsky, 1929-1940
https://books.google[...]
Verso
2020-06-27
[6]
서적
Working for the United Nations: 1948-1968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ittsburgh
2014-11-07
[7]
웹사이트
70th anniversary of first meeting of General Assembly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22-05-15
[8]
학술지
The U. N. and Trygve Lie
https://www.jstor.or[...]
1950
[9]
학술지
'"A Force for Peace": Expanding the Role of the UN Secretary-General Under Trygve Lie, 1946−1953'
https://ora.ox.ac.uk[...]
2017
[10]
학술지
The Winner Takes All: The 1949 Island of Rhodes Armistice Negotiations Revisited
2011
[11]
보도자료
Fifty U.N. Guards to go to Palestine
https://web.archive.[...]
2020-06-27
[12]
서적
Testing the Waters, 1945–1955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4-23
[13]
학술지
The Berlin Blockade and the Use of the United Nations
1971
[14]
잡지
Milestones
https://web.archive.[...]
2008-12-17
[15]
간행물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492
1950-11-01
[16]
서적
Trygve Lie and the Cold War: The UN Secretary-General Pursues Peace, 1946-1953
https://books.google[...]
Northern Illinois Univ Press
2020-06-27
[17]
잡지
The U. N. and Trygve Lie
https://www.foreigna[...]
2020-01-08
[18]
웹사이트
Trygve Halvdan Lie
https://www.un.org/s[...]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2020-06-27
[19]
학술지
Memorandum by the Director of the Office of International Administration and Conferences (Hall) to the Legal Adviser (Fisher)
https://history.stat[...]
U.S. Department of State
2018-10-10
[20]
학술지
Ex-Law Teacher, Aide to UN's Lie, Commits Suicide
https://www.thecrims[...]
2018-10-10
[21]
뉴스
Abraham Feller, High U.N. Official, commits Suicide in New York
https://www.jta.org/[...]
Jewish Telegraphic Agency
2018-10-10
[22]
잡지
End of an Institution
https://web.archive.[...]
2008-12-17
[23]
뉴스
Trygve Lie, Secretary General of U.N. From '46 to '53, Dies; Trygve Lie, First Secretary General of the U.N., Dies at 72
https://www.nytimes.[...]
2020-06-27
[24]
웹사이트
Lie, Trygve (1896-1968)
https://stortinget.n[...]
2018-01-30
[25]
뉴스
Disquiet grows over performance of Ban Ki-moon, UN's 'invisible man'
https://www.theguard[...]
2010-07-22
[26]
웹사이트
Nicolaus Widerberg
http://www.galleriha[...]
2018-01-30
[27]
웹사이트
About Trygve Lie
https://web.archive.[...]
[28]
잡지
Immigrant to What?
http://www.time.com/[...]
2008-12-17
[29]
웹사이트
Trygve Halvdan Lie
http://biography.you[...]
[30]
서적
The Prophet Outcast: Trotsky, 1929-1940
https://books.google[...]
Verso
2020-06-27
[31]
서적
Working for the United Nations: 1948-1968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ittsburgh
2014-11-07
[32]
학술지
The Winner Takes All: The 1949 Island of Rhodes Armistice Negotiations Revisited
2011
[33]
보도자료
Fifty U.N. Guards to go to Palestine
https://web.archive.[...]
2020-06-27
[34]
잡지
Milestones
http://www.time.com/[...]
2008-12-17
[35]
서적
Trygve Lie and the Cold War: The UN Secretary-General Pursues Peace, 1946-1953
https://books.google[...]
Northern Illinois Univ Press
2020-06-27
[36]
간행물
The U. N. and Trygve Lie
https://www.foreigna[...]
1950-10-01
[37]
유엔총회결의안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492
:wikisource:en:Unite[...]
1950-11-01
[38]
웹사이트
Trygve Halvdan Lie
https://www.un.org/s[...]
2020-06-27
[39]
텍스트
[40]
뉴스
End of an Institution
http://www.time.com/[...]
1963-08-30
[41]
뉴스
Trygve Lie, Secretary General Of U.N. From '46 to '53, Dies; Trygve Lie, First Secretary General of the U.N., Dies at 72
https://www.nytimes.[...]
1968-12-31
[42]
뉴스
Disquiet grows over performance of Ban Ki-moon, UN's 'invisible man'
https://www.theguard[...]
2010-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