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의 노트르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의 노트르담》(Notre-Dame de Paris)은 빅토르 위고의 소설로, 1482년 파리를 배경으로 콰지모도, 에스메랄다, 클로드 프롤로를 중심으로 한 비극적인 이야기를 그린다. 소설은 고딕 건축의 가치를 강조하며, 낭만주의 시대의 시대정신과 사회적 갈등을 탐구한다. 이 작품은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뮤지컬, 오페라, 발레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1년 소설 - 나귀 가죽
나귀 가죽은 발자크가 1831년에 발표한 소설로, 샤그린 가죽이라는 부적을 얻은 젊은이가 소원을 이루는 대신 수명을 잃는다는 내용으로 인간의 욕망과 사회적 현실을 다루며 발자크를 프랑스 문학계의 주요 인물로 만들었다.
파리의 노트르담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제 | Notre-Dame de Paris |
번역 | 파리의 노트르담 (Our Lady of Paris) |
국가 | 프랑스 |
언어 | 프랑스어 |
장르 | 낭만주의 고딕 소설 |
배경 | 파리, 1482년 |
출판일 | 1831년 3월 16일 |
영어 출판일 | 1833년 |
서지 정보 | |
저자 | 빅토르 위고 |
삽화가 | 토니 조아노 |
출판사 | Gosselin |
미디어 유형 | 하드커버 |
페이지 수 | 940, 3권 |
관련 작품 | |
후속작 | 라 에스메랄다 (대본) |
2. 배경
소설의 프랑스어 원제 ''Notre-Dame de Paris''는 노트르담 대성당을 직접 가리킨다. 1833년 프레데리크 쇼베르가 번역한 영어판 제목은 ''The Hunchback of Notre-Dame''으로 출판되었는데, 이는 노트르담의 종지기인 콰지모도를 지칭하며 영어권에서 널리 사용되는 제목이 되었다.
빅토르 위고는 1828년 처음 이 소설의 집필을 구상했으나 다른 작업들로 인해 1830년에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위고는 당시 방치되거나 파괴되던 고딕 건축의 가치를 알리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으며,[3][4] 출판사와의 계약 기한을 맞추기 위해 1830년 9월부터 집필에 몰두했다.
소설의 시간적 배경은 1482년의 파리로, 교회의 권력이 강했던 시기이다.
2. 1. 역사적 배경

소설의 배경은 1482년, 15세기의 프랑스 파리이다. 이 시기는 교회의 강력한 권력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때로는 억압과 배척을 낳기도 했던 시대였다. 빅토르 위고는 소설 집필 이전부터 파리의 중세 건축물 보존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파괴자들에게 선전포고(Guerre aux Démolisseurs프랑스어)"라는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4] 소설 『파리의 노트르담』의 주요 주제 중 하나 역시 당시 무분별하게 파괴되거나 개조되던 고딕 건축의 가치를 알리는 것이었다. 실제로 소설의 중심 무대인 노트르담 대성당의 경우, 중세 시대의 아름다운 스테인드글라스가 더 많은 빛을 들여온다는 명목으로 평범한 흰색 유리로 교체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3]
소설 속에서는 당시 사회의 여러 단면을 엿볼 수 있다. 활판 인쇄술의 발명과 보급은 책 제작자에 의해 "독일의 재앙"으로 언급되는데, 이는 새로운 기술이 가져올 급격한 사회 변화에 대한 당시의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보여준다. 또한, 집시(로마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도 중요한 배경을 이룬다. 아름다운 집시 무희 에스메랄다는 처음에는 대중의 관심을 받으며 환호의 대상이 되지만, 곧 마녀로 몰려 미움받게 된다. 이는 당시 사회에 만연했던 반(反)집시주의적 시선을 반영한다. 소설에서 에스메랄다가 실제로는 태어날 때 집시에게 납치된 프랑스 아이이며, 기형적인 외모의 콰지모도를 대신 버려두고 갔다는 설정은 이러한 편견을 더욱 복잡하게 보여주는 장치이다. 파리 사회의 어두운 이면으로는 도둑이나 거지 등 소외된 이들이 모여 살던 기적의 궁정과 같은 공간의 존재도 묘사된다.
한편, 2010년 영국의 한 기록 보관 관리자는 1820년대 파리 정부의 조각 스튜디오에서 일했던 실존 인물 '꼽추'에 대한 기록을 발견했는데, 이 인물은 프랑스 혁명 이후 노트르담 대성당 복원 작업에 참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9] 이는 소설 속 콰지모도 캐릭터가 완전한 허구만은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2. 2. 지리적 배경
소설의 주요 무대는 15세기 프랑스의 수도 파리이며, 구체적인 시점은 1482년이다. 이야기의 중심에는 노트르담 대성당이 자리 잡고 있다. 작가 빅토르 위고는 이 소설을 통해 당시 무분별하게 파괴되거나 개조되던 고딕 건축의 가치를 알리고 보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했다. 위고는 소설 집필 이전인 1825년에 이미 "파괴자들에게 선전포고"(Guerre aux Démolisseurs프랑스어)라는 글을 통해 파리의 중세 건축물 보존을 강력히 주장한 바 있다.[4] 소설 집필 당시 노트르담 대성당 역시 변화를 겪고 있었는데, 예를 들어 성당 내부를 더 밝게 한다는 이유로 중세 시대의 아름다운 스테인드글라스가 평범한 흰색 유리로 교체되기도 했다.[3]소설 속에는 당시 파리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주는 장소도 등장하는데, 대표적인 곳이 바로 '기적의 궁정'(Cour des miracles프랑스어)이다. 이곳은 파리의 빈민, 집시, 범죄자들이 모여 살던 일종의 소굴로 묘사된다. 기적의 궁정이라는 이름은 낮 동안 동냥을 위해 장애인 행세를 하던 이들이 밤이 되면 이곳에 모여 정상인으로 돌아가는 모습이 마치 '기적'과 같다고 해서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이는 당시 파리의 특정 구역에 실제로 존재했던 빈민가를 모델로 한 것으로 여겨진다.
2. 3. 시대정신
소설의 배경은 15세기 파리(1482년)로, 교회의 강력한 권력이 사회적 억압과 배척을 낳던 혼란스러운 시대이다. 빅토르 위고는 이 시대를 배경으로 낭만주의 사조의 특징을 반영하여 강렬한 감정과 극적인 사건, 그리고 개인의 운명과 사회의 모순을 그려낸다.
고딕 건축에 대한 관심빅토르 위고는 소설 집필 이전부터 파리의 고딕 건축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파괴자들에게 선전포고")을 발표했으며,[4] 이는 소설 『파리의 노트르담』의 핵심 주제 중 하나가 되었다. 당시 노트르담 대성당을 비롯한 많은 중세 건축물들이 새로운 양식으로 대체되거나 파괴되고 있었는데,[3] 위고는 특히 대성당의 중세 스테인드글라스가 더 많은 빛을 들인다는 명목으로 평범한 흰색 유리로 교체된 것이나, 고딕 양식의 제단이 다른 형태로 바뀐 것을 안타까워하며 소설을 통해 이러한 현실을 비판적으로 지적했다. 그는 건축을 단순한 건물이 아닌, 시대의 정신과 역사가 담긴 중요한 예술 형식으로 보았다. 위고는 소설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루어진 대성당의 수리와 증축이 오히려 건물의 가치를 훼손했다고 지적하며, 특히 프랑스 혁명 이후 진행된 복원 작업에서 건축 양식의 통일성이 부족하고 이전보다 미적으로 뒤떨어졌다고 비판한다.
인쇄술의 등장과 시대의 변화

위고는 건축을 '돌에 새겨진 사상'으로 보았으며, 과거에는 건축이 문자 기록보다 더 자유롭고 강력한 표현 수단이었다고 생각했다. 그는 "시인으로 태어난 자는 건축가가 되었다"고 쓰며, 필사본은 검열되고 복제하기 어려웠던 반면 건축은 눈에 잘 띄고 상당한 자유를 누렸다고 주장했다. 위고에 따르면, "이 시대에는 돌에 새겨진 사상에 대해 현재의 언론 자유와 비교할 만한 특권이 존재했다. 바로 건축의 자유이다." 그러나 그는 인쇄술의 발명이 이러한 상황을 바꾸었다고 보았다. 소설 속 노트르담의 부주교인 클로드 프로로가 인쇄된 책을 가리키며 대성당을 향해 "Ceci tuera cela프랑스어"("이것이 저것을 죽일 것이다")라고 말하는 장면은 이러한 위고의 생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8] 즉, 쉽게 복제되고 전파될 수 있는 인쇄물이 건축을 대체하여 새로운 시대의 주요 사상 전달 매체가 될 것이라는 인식이다. 소설 초반에 책 제작자가 활판 인쇄술을 "독일의 재앙"이라고 언급하는 부분 역시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대한 복잡한 시선을 반영한다.
숙명론적 세계관과 사회 비판

소설 속 주요 인물들의 삶은 비극적인 운명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콰지모도는 외모 때문에 사회로부터 고립되고, 아름답고 선량한 에스메랄다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며, 지식인인 클로드 프로로는 억눌린 욕망으로 인해 파멸한다. 이러한 설정은 개인의 의지만으로는 거스를 수 없는 강력한 사회적 편견이나 시대적 한계, 혹은 운명적인 힘이 존재함을 암시하며, 낭만주의 문학 특유의 숙명론적 세계관을 드러낸다.
특히 에스메랄다가 페뷔스 살해 미수라는 누명을 쓰고 마녀재판에 회부되어 사형 선고를 받는 과정은 당시 프랑스 사회에 존재했던 마녀사냥의 광기와 비이성적인 종교적 맹신을 반영한다. 아름다운 집시 여성에 대한 편견과 성직자 프롤로의 비뚤어진 욕망이 결합되어 한 개인을 쉽게 희생양으로 만드는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고발한다.
혁명적 분위기와 사회 갈등소설은 기적의 궁정으로 상징되는 파리 하층민들의 비참한 삶과 그들의 저항(파리 폭동)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이는 귀족과 성직자로 대표되는 지배 계층과의 첨예한 갈등을 보여주며, 프랑스 혁명 이전 사회에 누적된 모순과 민중들의 저항 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위고는 이러한 사회적 갈등 구조 속에서 개인의 드라마를 펼쳐내며 시대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그려낸다. 2010년에는 소설 속 콰지모도의 모델로 추정되는, 1820년대 대성당 복원 작업에 참여했던 실제 꼽추 인물에 대한 기록이 발견되기도 했다.[9]
3. 등장인물
3. 1. 주요 등장인물
thumb 그림 주요 등장인물 삽화(1844년)]]
- 콰지모도: 노트르담 대성당의 종지기. 태어난 직후 대성당 앞에 버려졌으나, 클로드 프롤로 부주교에게 거두어져 길러졌다. 등이 굽고 한쪽 눈 위에 큰 혹이 있는 등 매우 추한 외모를 가졌기에, '미완성', '덜 된'이라는 뜻의 콰지모도라는 이름을 얻었다. 귀머거리이기도 하다. 양부인 프롤로에게 충성을 다하며 대성당의 종탑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고 살아간다. 20세. 광장에서 형벌을 받으며 조롱당할 때, 유일하게 자신에게 물을 건네며 연민을 보여준 에스메랄다에게 깊은 사랑과 헌신을 바치게 된다. 사회적 편견과 멸시 속에서도 순수하고 강직한 내면을 지닌 인물로, 에스메랄다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건다. 에스메랄다가 처형당하는 것을 목격한 후, 분노하여 프롤로를 성당 탑 아래로 밀어 떨어뜨려 죽인다. 이후 종적을 감추었다가, 오랜 시간이 흐른 뒤 에스메랄다의 유골이 묻힌 몽포콩의 지하 납골당에서 그녀의 유골을 껴안은 채 백골로 발견된다.
- 에스메랄다: 아름답고 순수한 16세의 집시 무희. 영리한 애완 염소 '자리'와 함께 다니며 춤을 추고 재주를 부린다. 그녀의 아름다움과 자유로운 영혼은 많은 남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지만, 정작 그녀는 자신을 위기에서 구해준 왕실 근위대장 페뷔스에게 매료되어 그를 진심으로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클로드 프롤로의 뒤틀린 집착과 계략, 페뷔스의 배신, 그리고 당시 사회의 집시에 대한 편견과 마녀 사냥 광기 속에서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한다. 프롤로의 질투로 인해 페뷔스 살해 미수라는 누명을 쓰고 체포되어, 고문 끝에 거짓 자백을 하고 사형 선고를 받는다. 콰지모도의 도움으로 잠시 노트르담 대성당의 성역으로 피신하지만, 결국 프롤로의 계략에 휘말려 다시 체포되어 교수형에 처해진다. 처형 직전, 오랫동안 자신을 증오해 온 은둔 수녀 구둘 수녀가 사실은 잃어버렸던 자신의 친어머니 '아녜스'임을 알게 되지만, 기쁨도 잠시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 클로드 프롤로: 노트르담 대성당의 부주교이자 콰지모도의 양부. 36세. 어린 시절부터 성직자의 길을 걸으며 학문 연구에 몰두하여 높은 지위에 올랐다. 지성과 신앙심을 갖춘 인물로 보였으나, 우연히 에스메랄다의 춤을 본 후 그녀에게 강렬하고 비뚤어진 욕망을 품게 된다. 신에 대한 헌신과 인간적인 욕정 사이에서 극심한 갈등을 겪지만, 결국 자신의 욕망을 통제하지 못하고 점차 타락해 간다. 에스메랄다를 얻기 위해 콰지모도를 이용해 납치를 사주하고, 질투심에 눈이 멀어 페뷔스를 칼로 찌르며, 에스메랄다에게 누명을 씌우고 고문하게 만드는 등 위선적이고 잔혹한 행동을 서슴지 않는다. 자신의 사랑을 받아주지 않는 에스메랄다를 파멸로 몰아넣는, 종교적 권위 뒤에 숨은 인간의 어두운 욕망과 위선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에스메랄다의 처형을 성당 탑 위에서 지켜보다가, 이 모든 비극의 원흉임을 깨달은 콰지모도에 의해 떠밀려 추락사한다.
- 페뷔스 드 샤토페르: 왕실 근위대의 대장. 잘생긴 외모와 화려한 지위를 가졌지만, 실제로는 경박하고 무책임하며 여성 편력이 심한 인물이다. 아름다운 귀족 여성 플뢰르 드 리와 약혼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에스메랄다의 미모에 반해 그녀를 유혹한다. 에스메랄다의 순수한 사랑을 이용하면서도 그녀와 진지한 관계를 맺을 생각은 없으며, 프롤로에게 칼에 찔린 후에는 에스메랄다의 누명을 벗겨주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는다. 사건 이후 에스메랄다를 잊고 플뢰르 드 리와 결혼하지만, 소설은 그들의 결혼 생활이 불행할 것임을 암시한다. 당시 귀족 사회의 허영심과 도덕적 해이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 피에르 그랭구아르: 가난한 26세의 시인이자 극작가, 철학자를 자처하는 인물. 파리의 빈민 소굴인 '기적의 궁정'에 잘못 들어갔다가 붙잡혀 교수형에 처해질 위기에 놓이지만, 에스메랄다가 그와 형식적으로 결혼함으로써 목숨을 구한다. 현실적인 어려움 속에서 이상을 추구하지만, 다소 소심하고 기회주의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에스메랄다의 염소 '자리'를 귀여워하며, 혼란 속에서 마지막에는 자리를 데리고 도망친다.
- 클로팽 트루이유푸: 파리 빈민과 부랑자들의 소굴인 '기적의 궁정'의 왕으로 불리는 우두머리. 그랭구아르에게 사형을 선고했다가 에스메랄다와의 결혼을 주재한다. 에스메랄다가 위험에 처하자 그녀를 구출하기 위해 기적의 궁정 무리를 이끌고 노트르담 대성당을 습격하지만, 왕의 군대와의 전투 중에 사망한다.
- 플뢰르 드 리 드 곤델로리에: 페뷔스의 약혼녀인 아름답고 부유한 귀족 여성. 페뷔스가 에스메랄다에게 관심을 보이자 질투심을 느끼고 그녀를 경멸한다. 페뷔스가 에스메랄다를 잊도록 돕지만, 이기적인 동기에서 비롯된 행동이다.
- 잔 프롤로 뒤 뮬랭: 클로드 프롤로의 16세 남동생. 형에게 의지하며 방탕한 학생 생활을 한다. 형이 돈을 주지 않자 불량배들과 어울리며, 클로팽을 따라 노트르담 대성당 습격에 가담했다가 콰지모도에 의해 성벽 아래로 떨어져 죽는다.
- 구둘 수녀: 롤랑 탑에 은둔하며 사는 수녀. 과거 '파케트 라 샹트플뢰리'라는 이름으로 살았으나, 아기였던 딸 아녜스를 집시들에게 유괴당했다고 믿고 그들을 극도로 증오하며 속죄와 슬픔 속에서 살아간다. 처형 직전의 에스메랄다가 바로 자신이 잃어버린 딸임을 알게 되지만, 딸을 구하려다 왕의 병사에게 떠밀려 죽음을 맞는다.
- 자리: 에스메랄다의 영리하고 충성스러운 애완 염소. 춤을 추고 글자를 맞추는 등 다양한 재주를 부린다. 에스메랄다의 재판에서 악마로 몰리기도 하지만, 마지막에는 그랭구아르에 의해 구출된다.
3. 2. 기타 등장인물
- '''클로팽 트루이유푸''': 기적의 궁정의 우두머리이자 궁핍한 자들의 왕이다. 피에르 그랭구아르에게 교수형을 선고했다가 에스메랄다와의 "결혼식"을 주재한다. 그랭구아르의 제안을 받아들여 기적의 궁정을 규합하여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에스메랄다를 구출하려 하지만, 왕의 병사들과의 전투 중 사망한다.
- '''마티아스 훈가디 스피칼리''': 스스로를 이집트와 보헤미아의 공작이라 칭하는 인물로, 에스메랄다의 보호자이자 궁핍한 자들의 2인자이다. 그는 에스메랄다의 과거를 알고 있으며, 어머니를 찾는 데 도움이 될 부적을 주었다. 에스메랄다를 구출하기 위한 노트르담 폭동 중에 마지막으로 모습이 보인다.
- '''잔 프롤로 뒤 뮬랭''' (Johannes Frollo de Molendino|요하네스 프롤로 데 몰렌디노la): 클로드 프롤로의 16세 남동생으로, 방탕한 대학생이다. 형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며 받은 돈을 술로 탕진한다. 형이 돈을 주지 않자 악당이 된다. 클로팽의 거지들과 함께 대성당 습격에 가담하여 잠시 대성당 안으로 들어가지만, 콰지모도를 발견하고 화살을 쏘려다 콰지모도에 의해 탑에서 떨어져 죽는다.
- '''플뢰르 드 리 드 곤델로리에''': 페뷔스와 약혼한 아름답고 부유한 귀족 여성이다. 페뷔스가 에스메랄다에게 관심을 보이자 질투심을 느끼며 에스메랄다를 경멸한다. 그녀는 에스메랄다가 처형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페뷔스에게 알리지 않아 둘 사이의 관계를 끊어버린다. 소설 마지막에 페뷔스와 결혼하지만, 불행한 결혼 생활을 할 운명이라고 암시된다.[38]
- '''알로이즈 드 곤델로리에 부인''': 플뢰르 드 리의 어머니다.
- '''귈뒬 수녀''' (사셰트, 이전 이름 파케트 기베르토 "라 샹트플뢰리"): 파리 중심부의 작은 방에서 은둔 생활을 하는 은둔자이다. 아기였던 딸 아그네스를 집시들에게 빼앗겨 잡아먹혔다고 믿으며 깊은 슬픔 속에서 살아간다. 집시를 매우 증오한다. 그녀의 잃어버린 딸이 에스메랄다임이 밝혀지고, 에스메랄다가 교수형에 처해지기 직전에 모녀는 재회한다. 그러나 딸을 데려가려는 왕의 병사 중 한 명에게 살해당한다.
- '''쟈리''': 에스메랄다의 애완 염소이다. 에스메랄다와 함께 춤을 출 뿐만 아니라 시간을 알려주고, 글자를 조합하고, 유명 인사를 흉내 내는 등 여러 재주를 부린다. 에스메랄다가 페뷔스를 찔렀다는 누명을 썼을 때, 쟈리 역시 악마로 몰린다. 소설 마지막에는 에스메랄다가 처형된 후, 그랭구아르(에스메랄다와의 결혼 생활 동안 쟈리를 좋아하게 됨)에 의해 구출된다.
- '''루이 11세''': 프랑스의 왕이다. 늙고 병든 모습으로 등장하지만, 매우 교활하고 마키아벨리적이며 자기 중심적인 인물이다. 노트르담에서 폭동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상황을 오해하여 폭도들과 "마녀" 에스메랄다를 죽이라고 명령한다.
- '''트리스탕 레르미트''': 루이 11세의 친구이자 측근이다. 에스메랄다를 체포하러 가는 무리를 이끈다.
- '''앙리에 쿠쟁''': 파리의 사형 집행인으로, 에스메랄다의 교수형을 집행한다.
- '''플로리안 바르베디엔느''': 에스메랄다 납치 미수 혐의로 콰지모도를 재판하는 판사이다. 자신과 마찬가지로 콰지모도 역시 귀가 들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모르고, 콰지모도가 질문에 답하지 않는 것을 자신을 모욕하는 행위로 간주하여 고문과 망신형을 선고한다.
- '''자크 샤르몰뤼''': 클로드 프롤로의 친구로, 고문을 담당하는 관리이다. 에스메랄다를 고문하여 페뷔스를 찔렀다는 거짓 자백을 받아내고 그녀를 투옥시킨다.
- '''자크 꼬펜놀''': 소설 초반 어리석은 자들의 축제에 참석한 플랑드르 출신 손님이다. 파리 시민들이 그랭구아르의 연극 대신 어리석은 자들의 교황을 뽑도록 분위기를 유도한다.
- '''피에라 토르튀''': 샤틀레의 고문관이다. 에스메랄다를 심문 후 고문하여 거짓 자백을 하게 만들고, 콰지모도에게 선고된 채찍질을 집행한다.
- '''이름 없는 판사''': 페뷔스를 찔렀다는 누명을 쓴 에스메랄다의 재판을 주재하며, 그녀에게 유죄와 교수형을 선고한다.
- '''로뱅 푸스팽''': 잔 프롤로의 친구이다. 어리석은 자들의 축제와 콰지모도의 채찍질 장면에서 잔과 함께 등장한다.
- '''올리비에 르 모베''': 루이 11세의 측근 고문이다.
- '''라 팔루르델''': 페뷔스와 에스메랄다가 만났던 하숙집의 주인이다.
- '''마르크 세네인''': 마술사로, 자크 샤르몰뤼와 클로드 프롤로에게 연금술의 비밀을 캐내려 한다는 이유로 고문을 당한다.
- '''베랑제르 드 샹슈브리에르''': 플뢰르 드 리의 친구이다.
- '''자크 코아시티에르''': 루이 11세의 의사이다.
- '''로베르 데스투트빌''': 루이 11세의 궁내관이다. 콰지모도가 재판받는 날 등장하며, 판사와 피고인 모두 귀가 들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 '''콜롱브''': 플뢰르 드 리의 친구이다.
- '''람베르 옥트망''': 독일 출신 학자로, 소설 초반에 잔 프롤로와 로뱅 푸스팽에게 희롱당한다.
4. 줄거리
1482년 프랑스 파리, 루이 11세 통치 시기. 광인절 축제가 한창인 파리 재판소 앞 광장에서 극작가 피에르 그랭구아르의 연극이 상연되지만, 추기경과 플랑드르 사절단의 등장으로 중단되고 광인 교황 선출 대회가 열린다. 노트르담 대성당의 종지기인 꼽추 콰지모도가 가장 흉측한 외모로 광인 교황에 뽑힌다.
한편, 실의에 빠진 그랭구아르는 밤거리를 헤매다 아름다운 집시 무희 에스메랄다를 보고 뒤쫓는다. 이때 콰지모도와 그의 주인인 노트르담 대성당의 부주교 클로드 프롤로가 에스메랄다를 납치하려 한다. 그랭구아르가 이를 막으려다 콰지모도에게 기절하고, 에스메랄다는 때마침 나타난 왕실 근위대장 페뷔스에게 구출된다. 콰지모도는 체포되고 프롤로는 도망친다. 이후 그랭구아르는 집시와 부랑자들의 소굴인 '기적의 궁정'에 잘못 들어갔다가 붙잡혀 교수형에 처해질 위기에 놓이지만, 에스메랄다가 그와 형식적으로 결혼하여 목숨을 구해준다.
다음 날,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 납치 미수죄로 광장에서 매질을 당하며 조롱거리가 된다. 극심한 갈증으로 물을 애원하지만 아무도 외면할 때, 에스메랄다가 다가와 물을 건넨다. 그녀의 연민 어린 행동에 콰지모도는 깊은 감명을 받고 그녀를 사랑하게 된다.
에스메랄다는 자신을 구해준 페뷔스에게 반해 그와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페뷔스는 약혼자가 있는 바람둥이였다. 에스메랄다에게 음욕을 품고 있던 프롤로 부주교는 그녀의 마음이 페뷔스에게 향한 것을 알고 질투심에 불탄다. 그는 에스메랄다와 페뷔스의 밀회 장소를 몰래 엿보다가 격분하여 페뷔스를 단도로 찌르고 창문으로 뛰어내려 도망친다.
에스메랄다는 페뷔스 살해 미수와 마녀술을 사용했다는 누명을 쓰고 체포된다. 그녀는 고문을 이기지 못하고 거짓 자백을 하여 교수형을 선고받는다. 프롤로는 감옥의 에스메랄다를 찾아가 사랑을 고백하며 자신을 받아들이면 구해주겠다고 제안하지만, 에스메랄다는 그가 페뷔스를 찌른 범인임을 알아보고 분노하며 거절한다.
교수형 집행 당일, 노트르담 대성당 앞에서 공개 참회를 하던 에스메랄다를 콰지모도가 극적으로 구출하여 성당 안으로 피신시킨다. 성역의 권리로 에스메랄다는 잠시 안전을 보장받는다.
하지만 프롤로는 에스메랄다를 차지하려는 욕망을 버리지 못하고 계략을 꾸민다. 그는 그랭구아르를 부추겨 기적의 궁정 사람들에게 파리 의회가 에스메랄다의 성역권을 박탈하기로 했으니, 성당을 공격하여 그녀를 구출해야 한다고 믿게 만든다. 집시와 부랑자들이 성당을 공격하자, 콰지모도는 이들이 에스메랄다를 해치려는 것으로 오해하고 필사적으로 맞서 싸운다.
이 혼란을 틈타 프롤로와 그랭구아르는 에스메랄다를 성당 밖으로 빼낸다. 그랭구아르는 에스메랄다의 염소 잘리를 구하러 떠나고, 프롤로는 다시 한번 에스메랄다에게 자신과 함께 도망치거나 죽음을 선택하라고 강요한다. 에스메랄다가 끝까지 거부하자, 프롤로는 그녀를 집시를 극도로 증오하는 귀뒬 수녀에게 맡기고 헌병대를 부른다. 그런데 귀뒬 수녀는 에스메랄다의 신발을 보고 그녀가 오래전 집시들에게 납치당했던 자신의 잃어버린 딸 아녜스임을 깨닫는다. 감격적인 모녀 상봉도 잠시, 프롤로가 부른 헌병대가 들이닥친다. 귀뒬 수녀는 필사적으로 딸을 숨기려 하지만 결국 발각되고, 에스메랄다는 교수대로 끌려간다. 귀뒬 수녀는 딸을 지키려다 헌병에게 밀쳐져 숨진다.
노트르담 대성당의 탑 위에서 콰지모도는 프롤로가 에스메랄다의 처형 장면을 보며 비웃는 것을 목격한다. 분노한 콰지모도는 프롤로를 탑 아래로 밀어 떨어뜨려 죽인다. 삶의 의미를 잃은 콰지모도 역시 자취를 감춘다.
몇 년 후, 몽포콩의 교수대 지하 납골당에서 한 여성의 유골을 꼭 껴안은 기형적인 남성의 유골이 발견된다. 사람들이 두 유골을 떼어놓으려 하자 남성의 유골은 먼지처럼 부서져 내렸다. 이는 콰지모도가 죽은 에스메랄다를 찾아와 그녀 곁에서 생을 마감했음을 암시한다.
5. 작품 해설
이 작품은 1482년 프랑스 파리, 루이 11세 통치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 노트르담 대성당 앞에 버려져 꼽추로 태어난 콰지모도는 대성당의 부주교 클로드 프로로에게 거두어져 종지기로 성장한다. 이야기는 아름다운 집시 무희 에스메랄다가 파리에 나타나면서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에스메랄다의 아름다움은 여러 남자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성직자인 프롤로 부주교는 그녀에게 뒤틀린 욕망을 품고, 콰지모도에게 납치를 명령한다. 그러나 이 시도는 근위대장 포베우스 드 샤토페르에 의해 저지되고, 에스메랄다는 자신을 구해준 포베우스에게 반하게 된다. 한편, 시인 피에르 그랭구아르는 우연히 집시들의 소굴인 '기적의 궁정'에 발을 들였다가 에스메랄다와의 형식적인 결혼으로 목숨을 구한다.
에스메랄다 납치 미수로 붙잡힌 콰지모도는 광장에서 형벌을 받으며 조롱당하지만, 에스메랄다는 그에게 물을 건네며 연민을 보인다. 이 일로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에게 깊은 사랑과 헌신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에스메랄다의 마음은 약혼자가 있음에도 그녀를 유혹하는 가벼운 남자 포베우스에게 향해 있었다. 에스메랄다를 향한 질투심과 욕망에 사로잡힌 프롤로는 에스메랄다와 포베우스의 밀회 장소를 덮쳐 포베우스를 칼로 찌르고 도주한다.
이 사건으로 에스메랄다는 포베우스 살해 미수 및 마녀사냥 혐의로 누명을 쓰고 사형 선고를 받는다. 처형 직전,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를 극적으로 구출하여 노트르담 대성당으로 피신시키고, 성역권을 이용해 그녀를 보호한다. 하지만 프롤로는 파리 의회를 움직여 성역권을 박탈하고, 폭동을 유도하여 혼란을 일으킨 뒤 에스메랄다를 빼돌린다. 그는 다시 한번 에스메랄다에게 자신의 사랑을 강요하지만 거절당하자, 그녀를 은둔자 구둘 자매(사실은 에스메랄다의 친어머니)에게 넘긴 뒤 관군에게 신고한다.
결국 에스메랄다는 어머니와의 짧은 재회 끝에 체포되어 교수형에 처해진다. 대성당 탑 위에서 이 광경을 지켜보던 콰지모도는 절망과 분노 속에서 프롤로를 탑 아래로 밀어 떨어뜨려 죽인다. 모든 것을 잃은 콰지모도 역시 자취를 감춘 뒤, 오랜 시간이 흘러 몽포콩의 죄인 묘지에서 에스메랄다의 유골을 끌어안은 채 백골이 된 모습으로 발견된다.
5. 1. 문학적 특징
소설의 원제 ''Notre-Dame de Paris프랑스어''는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이 소설의 가장 중요한 배경이자 이야기의 핵심 주제임을 드러낸다.[6] 이는 작가 빅토르 위고가 집필 당시 대성당 건물이 훼손된 상태였던 것에 대해 느꼈던 강한 문제의식을 반영하기도 한다. 이 작품은 건축, 인간의 열정, 종교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극단적인 양상을 보였던 낭만주의 시대를 그리고 있다. 또한 소설 서문에 등장하는 그리스어 단어 'ANANKE'(숙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의 의지를 넘어서는 운명과 결정론이라는 주제를 중요하게 다루며[7], 동시에 혁명과 사회적 갈등의 문제도 탐구하고 있다.건축은 이 소설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다. 이는 단순히 노트르담 대성당이라는 공간적 배경에 국한되지 않고, 파리와 유럽 전역에 걸쳐 존재했던 하나의 중요한 예술 양식을 상징한다. 위고는 이러한 위대한 건축의 시대가 인쇄술의 등장으로 인해 저물고 있다고 보았다. 클로드 프로로 대부제가 인쇄된 책을 보며 대성당을 가리켜 내뱉는 불길한 말, "Ceci tuera cela프랑스어"("이것이 저것을 죽일 것이다")는 이러한 위고의 생각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위고는 과거에는 필사본이 검열되고 복제하기 어려웠던 반면, 건축은 훨씬 더 자유롭게 사상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었기에 "quiconque naissant poète se faisait architecte프랑스어"("시인으로 태어난 자는 건축가가 되었다")라고 주장했다. 인쇄술의 발명으로 종이를 통해 사상을 훨씬 쉽게 전파할 수 있게 되면서, 위고는 자신의 시대를 위대한 예술 형식으로서의 건축이 마지막으로 꽃피웠던 시기로 간주했다. 그의 다른 많은 작품에서처럼, 위고는 이 소설에서도 서로 다른 두 가지 사회 형태가 교차하는 전환기적 시대상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8]
소설의 3권에서는 시간이 흐르면서 대성당이 여러 차례 수리되었지만, 이러한 수리와 증축 과정이 오히려 대성당의 본래 가치를 훼손했다는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낸다. 작가는 "그리고 누가 저 창문 대신 차갑고 하얀 창문을 넣었는가?", "...누가 신성하고 성물함으로 화려하게 채워진 고대 고딕 제단을 천사의 머리와 구름이 있는 무거운 대리석 석관으로 대체했는가?" 와 같은 질문을 던지며 안타까움을 표현한다. 특히 프랑스 혁명 이후 이루어진 수리 과정에서 추가된 건축 요소들이 기존 양식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오히려 미적으로 퇴보했음을 지적한다.
소설 초반부에는 책 제작자가 인쇄술을 "독일의 재앙"이라고 언급하는 대목이 나오는데, 이는 활판 인쇄술 발명에 대한 당시 일부의 시각을 엿볼 수 있게 한다.
한편, 2010년 영국의 한 기록 보관 관리자는 1820년대 파리의 정부 조각 스튜디오 감독으로 일했던 실존 인물 "꼽추"에 대한 기록을 발견했다. 이 인물은 프랑스 혁명 이후 대성당 복원 작업에 참여했던 것으로 알려져, 소설의 배경 설정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사실을 제공한다.[9]
5. 2. 사회적, 역사적 의의
이 작품은 표면적으로 아름다운 집시 여인 에스메랄다를 둘러싼, 추한 외모와 아름다운 마음을 가진 콰지모도, 그리고 성직자의 위선 뒤에 사악함을 감춘 클로드 프로로 부주교 사이의 삼각관계를 다루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작품의 진정한 메시지는 순수함의 상징인 에스메랄다에게 내려진 사형 선고를 통해 드러난다. 즉, 당시 프랑스 사회에 만연했던 지배계층의 부패와 대중의 군중심리에 기인한 잘못된 판단[40]으로 무고한 에스메랄다가 희생되는 과정을 그림으로써, 사회와 개인 간의 갈등을 첨예하게 보여준다.[41] 따라서 이 소설을 단순히 로마 가톨릭교회와 지배층의 위선과 추악함을 풍자한 작품으로만 보는 것은 피상적인 해석일 수 있다.프랑스식 계몽주의를 이끌었던 빅토르 위고의 의도는 단순한 치정극을 넘어선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지배계층에게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와 같은 사회적 책임감과 과거의 잘못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고, 피지배계층인 대중에게는 낡은 악습과 편견,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것을 역설했다. 요컨대 위고는 "퇴폐적이고 어두웠던 과거를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지배층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부터 변화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력하게 전달하고자 했던 것이다.[42] 이러한 비판적 내용 때문에 로마 가톨릭교회는 위고의 모든 작품을 금서 목록에 올렸으나, 당시 시대 상황을 고려할 때 지식인층 사이에서는 여전히 읽혔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서 지정은 많은 사람들이 이 작품을 접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을 것이다.
소설의 원제인 ''Notre-Dame de Paris''는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이 단순한 배경을 넘어 이야기의 중심이자 주제임을 강조한다.[6] 이는 위고가 집필 당시 대성당이 훼손된 상태였던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작품은 건축, 열정, 종교 등 모든 면에서 극단적이었던 낭만주의 시대를 묘사하며, 소설 서두에 등장하는 ΑΝΑΓΚΗ|아낭케grc("숙명")라는 단어가 암시하듯 결정론적 운명의 주제와 함께 혁명, 사회적 갈등과 같은 당대의 문제들을 탐구한다.[7]
위고는 이 작품에서 '서사극적 극장으로서의 소설'이라는 개념을 선보였다. 즉, 거대한 대성당을 역사의 증인이자 침묵하는 주인공으로 삼아, 한 민족 전체의 역사를 아우르는 거대한 서사시를 구현한 것이다. 이는 수많은 등장인물을 통해 시간과 삶 전체를 유기적인 파노라마로 보여주는 방식이며, 특히 사회 최하층인 거지들을 주요 인물로 다룬 최초의 소설 중 하나라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미가 크다.
『파리의 노트르담』은 프랑스 사회의 모든 계층과 삶의 단면을 포괄적으로 담아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이후 오노레 드 발자크, 귀스타브 플로베르, 찰스 디킨스 등 여러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내에서 이 소설이 얻은 폭발적인 인기는 역사 유적 보존 운동을 촉발하고 고딕 부흥 건축 양식에 대한 관심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는 19세기 외젠 비올레르뒤크의 주도로 이루어진 노트르담 대성당의 대대적인 복원 작업으로 이어졌으며, 현재 우리가 보는 대성당의 모습은 상당 부분 이 복원 작업의 결과물이다.
5. 3. 현대적 의의
《파리의 노트르담》은 표면적으로 아름다운 집시 여성 에스메랄다를 둘러싼 콰지모도와 클로드 프로로의 삼각관계를 다루는 듯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깊은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작가 빅토르 위고는 순수함의 상징인 에스메랄다가 부패한 지배층과 맹목적인 군중심리에 의해 희생되는 과정을 통해, 당대 프랑스 사회의 모순과 개인과 사회의 대립을 첨예하게 드러낸다.[40][41]이 소설은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들을 던진다. 흉측한 외모 때문에 사회로부터 배척당하지만 순수한 마음을 지닌 콰지모도의 모습은 오늘날 만연한 외모지상주의와 장애인 인권 문제, 그리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적 시선을 되돌아보게 한다. 또한, 집시라는 이유로 편견에 시달리고 결국 마녀로 몰려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 에스메랄다의 이야기는 소수자 혐오, 집단 따돌림, 그리고 군중심리에 의한 마녀 사냥의 위험성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에스메랄다를 향한 파리 시민들의 변덕스러운 태도는 맹목적인 여론의 폭력성을 경고한다.
겉으로는 성직자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뒤로는 욕망과 위선으로 가득 찬 프롤로 부주교는 시대를 막론하고 나타나는 권력층의 부패와 위선을 상징한다. 그의 존재는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결국 빅토르 위고는 이 작품을 통해 지배층에게는 노블리스 오블리주와 같은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고, 동시에 민중들에게는 스스로의 편견과 고정관념을 깨고 각성할 것을 촉구했다.[42] "퇴폐적이고 어두웠던 시기를 넘어서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려면, 지배계층뿐만이 아니라 우리 자신들부터 바뀌어야 한다"는 메시지는 오늘날 우리 사회에도 여전히 중요한 교훈을 준다. 이 소설은 단순한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 우리가 마주한 사회 문제들을 성찰하고 더 나은 사회를 위한 변화의 방향을 고민하게 만드는 강력한 힘을 지닌다.
6. 각색 작품
빅토르 위고의 소설 《파리의 노트르담》은 출간 이후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뮤지컬, 오페라, 발레, 만화, 비디오 게임 등 매우 다양한 매체와 장르로 끊임없이 각색되어 왔다.
많은 각색 작품들은 원작의 비극적인 서사를 그대로 따르기보다는 대중적인 기호에 맞춰 행복한 결말을 선택하거나, 프롤로나 푀뷔스 같은 주요 등장인물의 성격을 원작과 다르게 해석하기도 했다. 특히 디즈니의 1996년 애니메이션 영화는 이러한 각색 경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최근에는 장애를 가진 인물인 콰지모도를 묘사하는 방식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장애인 배우 캐스팅 등 진정성 있는 재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1][12][13] 이는 예술과 미디어 속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맞닿아 있다.
이처럼 《파리의 노트르담》은 시대와 매체의 변화에 따라 다채롭게 변주되며 생명력을 이어가고 있으며, 구체적인 각색 사례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6. 1. 영화
소설의 프랑스어 원제 ''Notre-Dame de Paris''는 노트르담 대성당을 의미하지만, 1833년 영어 번역본 제목인 ''The Hunchback of Notre-Dame''이 영어권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노트르담의 종지기인 콰지모도를 가리키는 제목으로 알려지게 되었다.지금까지 만들어진 영화와 TV 각색 작품들은 대부분 원작 소설의 줄거리에서 다소 벗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1939년 영화나 1996년 디즈니 애니메이션처럼 행복한 결말로 각색된 경우가 많다. 반면, 1956년 프랑스 영화는 일부 내용을 변경했음에도 불구하고 원작 소설과 거의 동일한 비극적인 결말을 따르는 몇 안 되는 작품 중 하나이다. 1996년 디즈니 버전의 경우, 빅토르 위고 자신이 직접 만든 라 에스메랄다 오페라에서 영감을 받은 결말을 채택했다. 많은 각색 작품에서는 원작의 비극적인 결말 대신 해피엔딩을 선택하거나, 등장인물의 성격을 바꾸어 푀뷔스를 선역으로, 프롤로를 악역으로 묘사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연극과 장애 문제에 대한 사회적 민감성이 높아지면서, 장애를 가진 캐릭터를 실제로 장애를 가진 배우가 연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1][12][13] 예술과 미디어에서 장애를 묘사하는 방식은 능력주의에 대한 깊은 성찰을 반영하며 더욱 신중하게 다뤄지고 비판받는다. 이에 따라 장애인 배우들이 장애인 역할을 맡아 그들의 이야기를 되찾고, 콰지모도와 같은 캐릭터에 진정성을 부여하며, 장애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을 공연에 담아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
''파리의 노트르담''을 원작으로 한 주요 영화 및 TV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제목 (원제) | 감독 | 주요 출연진 | 비고 |
---|---|---|---|---|
1905 | 에스메랄다 (Esmeralda) | 알리스 기블라셰, 빅토랭 자세 | 프랑스 단편 무성 영화 | |
1911 | 꼽추의 성당 (Notre-Dame de Paris) | 알베르 카펠라니 | 헨리 크라우스(콰지모도), 스타샤 나피에르코프스카(에스메랄다) | 무성 영화 |
1917 | 파리의 연인 (The Darling of Paris) | J. 고든 에드워즈 | 세다 바라(에스메랄다), 글렌 화이트(콰지모도) | 무성 영화 |
1922 | 에스메랄다 (Esmeralda) | 에드윈 J. 콜린스 | 시빌 손다이크(에스메랄다), 부스 티렐(콰지모도) | 영국 무성 영화 |
1923 | 꼽추의 성당 (The Hunchback of Notre Dame) | 월리스 워슬리 | 론 채니(콰지모도), 패트시 루스 밀러(에스메랄다), 노먼 케리(푀뷔스), 브랜든 허스트(프롤로) | 미국 흑백 무성 영화 |
1939 | 꼽추의 성당 (The Hunchback of Notre Dame) | 윌리엄 디터레 | 찰스 로턴(콰지모도), 모린 오하라(에스메랄다), 세드릭 하드윅(프롤로) | 미국 흑백 유성 영화, 해피엔딩 |
1956 | 꼽추의 성당 (Notre-Dame de Paris) | 장 드라누아 | 앤서니 퀸(콰지모도), 지나 롤로브리지다(에스메랄다), 알랭 퀴니(프롤로) | 프랑스 컬러 영화, 원작 결말과 유사 |
1966 | 노트르담의 꼽추 (The Hunchback of Notre Dame) | 제임스 셀런 존스 | 피터 우드소프(콰지모도), 게일 혼(에스메랄다) | 영국 TV 미니시리즈 |
1976 | 노트르담의 꼽추 (The Hunchback of Notre Dame) | 앨런 쿡 | 워런 클라크(콰지모도), 미셸 뉴웰(에스메랄다), 케네스 헤이(프롤로) | 영국 TV 영화 |
1977 | 노트르담의 꼽추 (Notre-Dame de Paris) | 로베르 오셍 | 로베르 오셍(콰지모도), 안 로르신(에스메랄다) | 프랑스 TV 미니시리즈 |
1982 | 꼽추의 성당 (The Hunchback of Notre Dame) | 마이클 터크너, 앨런 휴먼 | 앤서니 홉킨스(콰지모도), 레슬리-앤 다운(에스메랄다), 데릭 자코비(프롤로) | 영국-미국 합작 TV 영화 |
1986 | 꼽추의 성당 (The Hunchback of Notre Dame) | 제프 콜린스 | 오스트레일리아-미국 합작 판타지 애니메이션 영화 | |
1996 | 꼽추의 성당 (The Hunchback of Notre Dame) | 게리 트러스데일, 커크 와이즈 | 톰 헐스(콰지모도 목소리), 데미 무어(에스메랄다 목소리) |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 해피엔딩 |
1997 | 노트르담 (The Hunchback) | 피터 메다크 | 맨디 파틴킨(콰지모도), 살마 하예크(에스메랄다), 리처드 해리스(프롤로) | 미국 TV 영화 |
2002 | 꼽추의 성당 2 (The Hunchback of Notre Dame II) | 브래들리 레이먼드 | 톰 헐스(콰지모도 목소리), 데미 무어(에스메랄다 목소리) | 디즈니 1996년 영화의 비디오 직행 속편 |
이 외에도 1996년에는 딩고 픽처스, 골든 필름, 젯랙 프로덕션, UAV 엔터테인먼트 등 여러 회사에서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했으며, 1999년에는 패러디 영화 ''콰지모도 델 파리스'', 2023년에는 풍자 코미디 영화 ''콰지''가 개봉되었다.
콰지모도 캐릭터는 유니버설 픽처스의 몬스터 영화 시리즈에도 영향을 미쳐, '꼽추' 캐릭터가 파생 작품에 등장하게 되었고, 특히 『프랑켄슈타인』의 조수로 꼽추 캐릭터가 등장하는 클리셰를 만들기도 했다.
한편, 배우 이드리스 엘바는 넷플릭스에서 제작될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작품에서 주인공 콰지모도 역을 맡아 연기뿐만 아니라 감독 및 음악 제작까지 담당할 예정이다.[14]
6. 2. 텔레비전 드라마
소설 ''파리의 노트르담''은 여러 차례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로 각색되었다. 많은 각색 작품들은 원작의 비극적인 결말 대신 행복한 결말을 선택하거나, 등장인물의 성격을 다르게 묘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프롤로를 완전한 악역으로, 푀뷔스를 선역으로 그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주요 텔레비전 각색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노트르담의 꼽추 (1966년): 미니시리즈.
- 노트르담의 꼽추 (1976년): 텔레비전 영화. 앨런 쿡 감독 작품으로, 콰지모도 역에 워런 클라크, 에스메랄다 역에 미셸 뉴웰, 프롤로 역에 케네스 헤이가 출연했다.
- 노트르담의 꼽추 (1977년): 미니시리즈.
- 노트르담의 꼽추 (1982년): 영국-미국 합작 텔레비전 영화. 마이클 투크너와 앨런 휴먼이 감독하고 노먼 로즈먼트와 말콤 J. 크리스토퍼가 제작했다. 콰지모도 역은 앤서니 홉킨스, 에스메랄다 역은 레슬리-앤 다운, 프롤로 역은 데릭 자코비가 맡았다.
- 콰지모도의 마법 모험 (1996년): 애니메이션 시리즈.
- 노트르담의 꼽추 (1997년): 텔레비전 영화. 콰지모도 역에 맨디 파틴킨, 에스메랄다 역에 살마 하예크, 프롤로 역에 리처드 해리스가 출연했다.
최근에는 장애를 가진 캐릭터 묘사에 대한 사회적 민감성이 높아지면서, 장애인 배우가 직접 콰지모도와 같은 역할을 맡아 연기하는 등 진정성 있는 재현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11][12][13] 이는 예술과 미디어 속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반영하는 것이다.
한편, 배우 이드리스 엘바는 넷플릭스에서 공개될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에서 주인공 콰지모도 역을 맡고, 감독 및 음악 제작에도 참여할 예정이다.[14]
6. 3. 뮤지컬
소설 《파리의 노트르담》은 여러 편의 뮤지컬로 각색되었다. 주요 작품들은 원작의 비극성을 살리거나, 대중적인 해피엔딩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해석을 보여준다.- '''노트르담 드 파리''' (Notre-Dame de Paris프랑스어): 리카르도 코치안테(Riccardo Cocciante)가 작곡하고 뤼크 플라몽동(Luc Plamondon)이 작사한 프랑스 뮤지컬이다. 1998년 9월 16일 파리에서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유럽을 중심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연되었다. 이 작품은 원작 소설의 비극적인 분위기와 내용을 비교적 충실하게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노트르담의 꼽추''' (The Hunchback of Notre Dame영어):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뮤지컬이다. 앨런 멘켄(Alan Menken)이 작곡하고 스티븐 슈워츠(Stephen Schwartz)가 작사했다.
-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베를린에서 독일어 버전인 Der Glöckner von Notre Damede (노트르담의 종지기)으로 먼저 공연되었다.[18] 이 버전은 디즈니 영화보다 더 어둡고 고딕적인 분위기를 특징으로 한다.
- 이후 피터 파넬(Peter Parnell)이 각본을 추가하고 스콧 슈워츠(Scott Schwartz)가 연출을 맡아, 2014년 미국에서 영어 버전으로 초연되었다.[39] 일본에서는 극단 시키가 2016년 12월 11일에 초연했다.[39] 디즈니 영화의 영향을 받아 원작 소설의 비극적인 결말과는 다른 해피엔딩을 채택하는 등 대중적인 각색이 이루어졌다.
이 외에도 다양한 뮤지컬 각색 작품들이 있다.
- 1993년: 바이런 재니스(Byron Janis) 작곡, 핼 해커디(Hal Hackady) 작사, 앤서니 스컬리(Anthony Scully) 극본의 오프브로드웨이 뮤지컬.[15]
- 1993년: 게리 설리반(Gary Sullivan) 극본 및 작사, 존 트렌트 월리스(John Trent Wallace) 작곡의 드라마틱 서사 뮤지컬. 런던 머메이드 극장에서 공연되었으며, 1997년 새뮤얼 프렌치(Samuel French) Ltd에서 출판되었다. 영국, 뉴질랜드, 호주 등에서 공연되었고, 2010년 《노트르담》(Notre Dame)이라는 제목으로 개작되었다.[16][17]
- 1993년: 아르헨티나 뮤지컬 《파리의 꼽추》(El Jorobado de París). 페페 시브리안 캄포이(Pepe Cibrián Campoy) 극본 및 작사, 안헬 마엘러(Ángel Mahler) 작곡. 1995년, 2006년, 2013년에 개정판이 공연되었다.
- 1996년: 스티크스(Styx)의 보컬리스트 데니스 드영(Dennis DeYoung)이 작곡한 뮤지컬 넘버들을 모은 음반 《노트르담의 꼽추》가 발매되었다. 이 곡들을 바탕으로 한 뮤지컬이 2008년 여름 시카고 베일릭 레퍼토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20]
- 1998년: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C. 레이니 루이스(C. Rainey Lewis)가 작곡하고 각본을 쓴 록 뮤지컬 《꼽추》(Hunchback)가 공개되었다.[19]
- 날짜 미상: 라트비아 작곡가 지그마르스 리에피니슈(Zigmars Liepiņš)의 오페라적 멜로드라마 《노트르담 드 파리》(Notre-Dame de Paris).
- 2011년: 데이비드 레빈슨(David Levinson) 작곡 및 작사, 스테이시 와인가르텐(Stacey Weingarten) 극본의 《파리의 아이들》(Les Enfants de Paris)이 맨해튼에서 낭독 공연 형식으로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알제리 전쟁이 시작되는 1954년을 배경으로 한다.
- 2011년: 캐나다 캐털리스트 극장(Catalyst Theatre)의 뮤지컬 《꼽추》(Hunchback). 조나단 크리스텐슨(Jonathan Christenson)이 극본, 작곡, 작사를 맡았으며, 에드먼턴 시타델 극장에서 초연 후 2012년 밴쿠버 플레이하우스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많은 뮤지컬 각색 작품들은 원작의 비극적인 결말을 해피엔딩으로 바꾸거나, 푀뷔스를 선한 인물로, 프롤로를 단순한 악당으로 묘사하는 등 원작과는 다른 해석을 보여주기도 한다.
6. 4. 오페라
빅토르 위고의 소설 ''파리의 노트르담''은 여러 작곡가에 의해 오페라로 만들어졌다.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작곡가 | 작품명 | 초연 정보 | 대본가 | 비고 |
---|---|---|---|---|
루이즈 베르탱 (fr) | 라 에스메랄다 (fr) | 1836년 11월 14일, 파리 오페라 | 빅토르 위고 | 빅토르 위고가 직접 대본을 작성했다. |
알렉산드르 달고미시스키 (ru) | 에스메랄다 (fr) | 1847년 12월 17일, 볼쇼이 극장 | 알렉산드르 달고미시스키 (빅토르 위고 소설 기반) | |
빈첸초 바티스타 (it) | 에스메랄다 (en) | 1856년 | 영어로 된 오페라이다. | |
윌리엄 헨리 프라이 (en) | 에스메랄다 | 1864년 5월 4일, 필라델피아 음악 아카데미 (en) | 조셉 리스 프라이 (en) (빅토르 위고 소설 기반) | 테오도어 토마스 (en) 지휘로 초연되었다. |
아서 고링 토마스 (en) | 에스메랄다 (en) | 1883년 3월 26일, 로열 드러리 레인 극장 (en) | 테오 마르지알스 (en), 알베르토 란데거 (en) (빅토르 위고 소설 기반) | |
프란츠 슈미트 (de) | 노트르담 (de) | 1914년 4월 1일, 빈 국립 오페라 | 레오폴트 빌크 (de), 프란츠 슈미트 (빅토르 위고 작품 기반) | 1902년부터 1904년까지 작곡된 2막 구성의 낭만 오페라이다. |
지그마르스 리에피니슈 (lv) | 노트르담 드 파리 (fr) | (빅토르 위고 소설 기반) | 오페라적 멜로드라마 형식이다. |
6. 5. 발레
소설 ''파리의 노트르담''을 원작으로 여러 발레 작품이 만들어졌다.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에스메랄다 (''La Esmeralda'', 1844년)
- 안무: 쥘 페로
- 음악: 체사레 푸니
- 초연: 1844년 3월 9일, 런던 헤이마켓 극장
- 특징: 19세기 후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마린스키 극장에서 안무가 마리우스 프티파가 전막을 개정하여 재공연하면서 러시아에서 오랜 공연 역사를 가지게 되었다. 현재는 주로 프티파가 1866년 개정 시 새롭게 안무한 그랑 파 드되가 갈라 공연 등에서 자주 공연된다.
- 구둘의 딸, 또는 에스메랄다 (1902년)
- 안무: 알렉산드르 알렉세예비치 고르스키
- 음악: 앙투안 시몽
- 노트르담 드 파리 (''Notre-Dame de Paris'', 1965년)
- 안무: 롤랑 프티
- 음악: 모리스 자르
- 의상: 이브 생 로랑
- 초연: 1965년 12월 11일, 파리 오페라 발레단
- 특징: 목아사미 발레단 등이 레퍼토리로 삼고 있다. 1996년 파리 오페라 발레단 공연을 담은 DVD에서는 에투알 이자벨 쥐랑이 에스메랄다 역을, 니콜라 르 리슈가 콰지모도 역을, 로랑 일레르가 프롤로 역을, 마뉘엘 르그리가 푀뷔스 역을 맡았다.
- 기타 작품
- 1998년: 마이클 핑크 안무, 필립 피니 음악.
- ''링가렌 이 노트르담'' (''노트르담의 종지기'', 2009년): 페르 이스베리 안무, 스테판 닐손 음악, 스웨덴 왕립 발레단 초연.
6. 6. 기타 각색 작품
≪파리의 노트르담≫은 만화와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만화'''
노엘 글로즈너,[26] 앤드루 딕슨,[27] 로빈 레흐트,[28] 팀 코너드,[29] 길버트 블로흐,[30] 조지 에번스(George Evans),[31] 그리고 딕 브리퍼(Dick Briefer)[32] 등 여러 작가들이 만화 스트립이나 단행본 형태로 작품을 각색했다. 또한, 파울로 보르제스,[33] 구스타보 마차도,[34] 댄 스피글(Dan Spiegle)[35] 등은 1996년 디즈니 영화를 기반으로 한 만화 스트립 버전을 그리기도 했다.
'''비디오 게임'''
- '''꼽추''': 1983년 센추리 일렉트로닉스가 개발한 아케이드 비디오 게임으로, 콰지모도와 에스메랄다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 '''타임스플리터스 2''': 2002년 프리 라디컬 디자인이 개발한 1인칭 슈팅 게임이다. 게임 내에는 노트르담 대성당을 배경으로 한 레벨이 포함되어 있으며, 꼽추 캐릭터가 샷건을 사용하여 언데드 좀비의 목을 자르는 장면이 등장한다.[36]
'''기타'''
유니버설 픽처스에서는 이 작품의 콰지모도 캐릭터를 바탕으로 "꼽추"를 등장시킨 몬스터 영화 파생 작품을 여러 편 제작했다. 이 영향으로 고전 프랑켄슈타인 영화 등에서 조수로 꼽추 캐릭터가 등장하는 것이 일반적인 클리셰처럼 사용되기도 했다.
7. 번역
소설의 프랑스어 원제인 Notre-Dame de Paris는 노트르담 대성당을 의미한다. 1833년 프레데리크 쇼베르(Frederic Shoberl)가 영어로 번역하며 붙인 제목 The Hunchback of Notre-Dame은 노트르담의 종지기인 콰지모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후 영어권에서 널리 사용되는 제목이 되었다.
《파리의 노트르담》은 여러 차례 영어로 번역되었으며, 다양한 판본으로 재출판되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개정되기도 했다.
연도 | 번역자 | 제목 |
---|---|---|
1833년 | 프레데리크 쇼베르 (Frederic Shoberl) | The Hunchback of Notre Dame (이후 개정판 존재) |
1833년 | 윌리엄 헤즐릿 (William Hazlitt) | Notre Dame: A Tale of the Ancien Régime (이후 개정판 존재) |
1862년 | 헨리 L. 윌리엄스 (Henry L. Williams) | The Hunchback of Notre Dame |
1882년 | A. 랭던 알저 (A. Langdon Alger) | Notre-Dame de Paris |
1888년 | 이자벨 F. 햅굿 (Isabel F. Hapgood) | Notre-Dame de Paris |
1892년 | J. 캐롤 벡위스 (J. Caroll Beckwith) | The Hunchback of Notre Dame |
1895년 | M.W. 아르투아 (M.W. Artois) 외 다수 | 28권짜리 《빅토르 위고 소설》(The Novels of Victor Hugo) 중 일부 (20세기에 다른 제목으로 재출판) |
1941년 | 익명 | The Hunchback of Notre Dame (모던 라이브러리 판) |
1956년 | 로웰 베어 (Lowell Bair) | The Hunchback of Notre Dame (뱅텀 북스, 뱅텀 클래식스 수록) |
1964년 | 월터 J. 코브 (Walter J. Cobb) | The Hunchback of Notre Dame (시그넷 클래식스 등 여러 판본 존재) |
1978년 | 존 스터럭 (John Sturrock) | Notre-Dame de Paris (펭귄 클래식스 등 여러 판본 존재) |
1993년 | 알반 J. 크레일샤이머 (Alban J. Krailsheimer) | Notre-Dame de Paris (옥스퍼드 월드 클래식스) |
2002년 | 캐서린 리우 (Catherine Liu) 개정 | 1941년 모던 라이브러리 판 번역본 개정 (모던 라이브러리 클래식스) |
2014년 | P. 마트베이 (P. Matvei) | Notre-Dame de Paris |
2018년 | 앤드류 프리마스 (Andrew Primas) | Notre-Dame de Paris |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번역본들이 출간되었다.
- 쓰지 아키라(辻 昶|쓰지 아키라일본어)·마쓰시타 가즈노리(松下 和則|마쓰시타 가즈노리일본어) 역, パリのノートル=ダム|파리의 노트르담일본어, 「빅토르 위고 문학관(제5권)」(潮出版社, 2000년) / 이와나미 문고(상하, 신정판, 2016년 5월-6월)
- 초역은 1950년 가와데쇼보(河出書房)에서 간행되었으며, 제1~6편은 쓰지 아키라, 제7~11편은 마쓰시타 가즈노리가 분담하여 번역했다.
- 이후 개역되어 이와나미 문고, 겐슈 출판사(現 출판사), 조류 출판사(潮出版社), 고단샤 「세계문학전집」 등에서 출판되었다.
- 오토모 노리아키(大友 徳明|오토모 노리아키일본어) 역, ノートル=ダム・ド・パリ|노트르담 드 파리일본어, 가도카와 문고(角川文庫), 2022년 2월
- 읽기 쉽게 새로 번역한 초역본으로, 원서 삽화를 수록했다.
참조
[1]
뉴스
The Hunchback of Notre-Dame: Victor Hugo's classic novel shoots up Amazon sales following cathedral fire
https://www.independ[...]
2019-04-16
[2]
웹사이트
The Hunchback of Notre Dame Summary, Characters, Book, & Facts
https://www.britanni[...]
2020-10-16
[3]
문서
Cathédrale Notre-Dame de Paris
:fr:Cathédrale Notre[...]
[4]
문서
Notre-Dame de Paris (roman)#cite note-21
:fr:Notre-Dame de Pa[...]
[5]
웹사이트
The Victor Hugo working naked story: myth or fact? languor.us
http://languor.us/vi[...]
2022-09-20
[6]
웹사이트
Victor Hugo and Architecture
http://www.uh.edu/en[...]
Engines of our Ingenuity
2016-06-02
[7]
웹사이트
Sparknotes.com
http://www.sparknote[...]
Sparknotes.com
2011-05-31
[8]
웹사이트
Online-literature.com
http://www.online-li[...]
Online-literature.com
2007-01-26
[9]
뉴스
Real-life Quasimodo uncovered in Tate archives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0-08-15
[10]
서적
Merriam-Webster's Dictionary of Allusions
https://archive.org/[...]
Merriam-Webster
[11]
웹사이트
Mat Fraser: All theatres should cast at least one disabled actor a year
https://www.thestage[...]
2024-09-19
[12]
웹사이트
We Shall Not Be Removed – UK Disability Arts Alliance
https://www.weshalln[...]
2024-09-19
[13]
뉴스
Ready, willing and disabled: the Australian actors campaigning for more roles – and better training
https://www.theguard[...]
2024-07-07
[14]
웹사이트
Idris Elba to star as the Hunchback of Notre Dame for Netflix film
https://www.radiotim[...]
[15]
웹사이트
The Hunchback of Notre Dame
http://www.lortel.or[...]
Lortel.org
2011-05-31
[16]
웹사이트
Johntrentwallace.com
http://www.johntrent[...]
Johntrentwallace.com
2010-12-05
[17]
웹사이트
Notre-dame.co.uk
http://www.notre-dam[...]
Notre-dame.co.uk
[18]
웹사이트
Amazon.com
https://www.amazon.c[...]
[19]
웹사이트
Hunchback
http://www.hunchback[...]
Hunchback
[20]
웹사이트
Hunchback of Notre Dame Musical By Styx Front-Man to Play Chicago's Bailiwick
http://www.playbill.[...]
[21]
웹사이트
THE HUNCHBACK OF NOTRE DAME – the 1934 radio serial – NitrateVille.com
https://www.nitratev[...]
[22]
Youtube
PLAYHOUSE OF FAVORITES: HUNCHBACK OF NOTRE DAME – RADIO DRAMA
https://www.youtube.[...]
[23]
서적
"The Stage" Cyclopaedia – A Bibliography of Plays
Burt Franklin
[24]
간행물
Theatre programme: Royal Strand Theatre, London
1871-05-29
[25]
웹사이트
Mainstage 1997 – Nicholas De Beabien's The Hunchback of Notre Dame
http://www.sacredfoo[...]
[26]
웹사이트
Noël Gloesner
https://www.lambiek.[...]
2019-04-15
[27]
웹사이트
Andrew Dickson
https://www.lambiek.[...]
2019-04-15
[28]
웹사이트
Robin Recht
https://www.lambiek.[...]
2019-04-15
[29]
웹사이트
Tim Conrad
https://www.lambiek.[...]
2019-04-15
[30]
웹사이트
Gilbert Bloch
https://www.lambiek.[...]
2019-04-15
[31]
웹사이트
George Evans
https://www.lambiek.[...]
2019-04-15
[32]
웹사이트
Dick Briefer
https://www.lambiek.[...]
2019-04-15
[33]
웹사이트
Paulo Borges
https://www.lambiek.[...]
2019-04-15
[34]
웹사이트
Gustavo Machado
https://www.lambiek.[...]
2019-04-15
[35]
웹사이트
Dan Spiegle
https://www.lambiek.[...]
2019-04-15
[36]
웹사이트
Timesplitters 2: 1895 NOTRE DAME CATHEDRAL
https://www.youtube.[...]
2023-01-24
[37]
서적
二度目のパリ 歴史歩き
ディスカヴァー・トゥエンティワン
[38]
문서
문장 Fleur-de-lis
[39]
웹사이트
劇団四季がミュージカル「ノートルダムの鐘」上演!公開オーディションも実施
https://natalie.mu/s[...]
ステージナタリー
2016-02-29
[40]
문서
시기적이나 작품 내 배경으로나 전체적으로 비슷한 배경인 삼총사를 보면, 프랑스 사회의 지배계층이 어떠했는지를 엿볼 수 있다.
[41]
문서
여기서의 대립은 콰지모도와 프랑스 사회로 보는 것 보다는, 에스메랄다와 프랑스 사회로 보는 것이 맞다
[42]
문서
계몽주의 자체가 특정 사상이나 견해를 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렇다. 계몽주의는 매우 종합적인 하나의 시대 흐름이었으며, 기존에 존속했던 악습, 허례의식, 시민의식에 대한 비판적 사고, 즉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라는 것이 가장 큰 의의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