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울 루트비히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울 루트비히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육군 원수로, 뛰어난 기갑부대 지휘관으로 평가받지만 전쟁 범죄 혐의를 받기도 한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는 군주제를 지지하며 정치와 거리를 두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폴란드, 프랑스, 유고슬라비아 침공에 참여했으며, 동부 전선에서 제1 기갑군을 지휘하며 활약했다. A 집단군 사령관으로 코카서스 지역에서 소련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1944년 히틀러와의 갈등으로 해임되었다. 종전 후 전쟁 범죄 혐의로 유고슬라비아와 소련에서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라이스트가 -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활동한 독일의 극작가, 소설가, 시인으로, 격정적이고 비극적인 분위기의 작품을 남겼으며 사회적 고립 속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했지만 20세기 초에 재평가되어 천재적인 극작가로 인정받았다. - 독일 국가방위군 중장 - 루트비히 베크
루트비히 베크는 독일군 장교로서, 육군 총참모장을 지내며 재무장에 기여했으나 히틀러의 정책에 반대하여 사임 후 7월 20일 음모에 가담, 실패 후 자살했으며 나치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독일 국가방위군 중장 - 발터 폰 브라우히치
발터 폰 브라우히치는 프로이센 군인 가문 출신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육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며, 폴란드 침공과 프랑스 공방전에서의 공훈으로 원수 계급까지 올랐으나 독소 전쟁의 실패로 해임된 후 전쟁 범죄 혐의로 체포되어 재판 전에 사망한 독일 군인이다. - 1급 용감공 미하이 훈장 수훈자 -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은 핀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핀란드 독립에 기여하고 섭정과 대통령을 역임하며 겨울 전쟁과 계속 전쟁을 이끌었으며 핀란드 원수 칭호를 받았다. - 1급 용감공 미하이 훈장 수훈자 -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프리드리히 파울루스는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6군 사령관으로서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지휘하다 소련군에 항복했으며, 전후 반나치 활동에 참여하고 뉘른베르크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하는 등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파울 루트비히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파울 루트비히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별칭 | 판처클라이스트 |
출생 | 1881년 8월 8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브라운펠스 |
사망 | 1954년 11월 13일 |
사망지 |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블라디미르 |
군사 경력 | |
소속 국가 | 독일 제국 (1900년–1918년) 바이마르 공화국 (1918년–1933년) 나치 독일 (1933년–1944년) |
군종 | 독일 제국 육군 바이마르 공화국 육군 나치 독일 육군 |
복무 기간 | 1900년–1944년 |
최종 계급 | 원수 (Generalfeldmarschall) |
지휘 부대 | 제22 기계화 군단 클라이스트 전차 집단 제1 기갑군 A 집단군 |
제1차 세계 대전 | |
동부 전선 | 탄넨베르크 전투 |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 |
제2차 세계 대전 | |
바르바로사 작전 | |
청색 작전 | |
드네프르 전역 | |
상훈 | 백엽 검 기사 철십자 훈장 |
친척 |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슈멘친 (사촌) |
전쟁 범죄 | |
유죄 판결 | 전쟁 범죄 |
형량 | 15년 (유고슬라비아) 25년 (소비에트 연방) |
2. 이력
브라운펠스안데어란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클라이스트는 소년 시절부터 군사학교에서 교육받고 1900년에 졸업하였다. 후사르 소위로 근무하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는 연대장으로 참전하였다. 대전 이후에도 군에 남아 1932년-1935년 사이에는 기병사단 사단장을 역임하였다.
1939년 8월 폴란드 침공을 앞두고 예비역에서 현역으로 복귀한 클라이스트는 제22 기갑군단을 지휘하였다. 프랑스 전투에서는 클라이스트 기갑집단 (Panzergruppe von Kleist)을 이끌었는데, 여기에는 제41 기갑군단과 하인츠 구데리안이 사령관으로 있던 제19 기갑군단이 소속되어 있었다.
당시 클라이스트는 전격전 이론에 회의적이었다. 구데리안이 영불해협까지 깊숙이 진격하자 정지 명령을 내렸으나, 룬트슈테트 서부전선 총사령관이 이를 재가하지 않아 무산되었다. 이후 클라이스트는 전격전의 유용성을 인정하고 대가가 되었다. 1940년 프랑스군 격파 공적으로 대장(Generaloberst, 상급대장)으로 진급했다.
1941년 4월, 제1기갑집단 사령관이 된 클라이스트는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를 단숨에 정복하였다. 같은 해 6월 바르바로사 작전에서 남부 집단군 소속으로 참전한 제1기갑집단은 키예프 포위전에서 구데리안 군과 함께 소련군 60여만 명을 포로로 잡는 대승을 거두었다.
1942년 클라이스트 군집단(제1기갑군, 제17군 등) 사령관을 맡아 코카서스를 목표로 진격했다.(청색 작전) A집단군으로 개칭된 이 부대는 코카서스에 도달했으나, 스탈린그라드에서 제6군이 포위되자 후퇴하여 위기를 모면했다. 이 공적으로 클라이스트는 원수로 승진하였다.
1944년 3월, A집단군이 소련군에 붕괴될 위기에 처하자 만슈타인과 함께 히틀러에게 후퇴 허가를 요청했다가 해임되었다.
이후 바이데브뤽 자택에서 은퇴 생활을 하던 중 1945년 4월 미군에 체포되었고, 전범 혐의로 1946년 유고슬라비아에 넘겨져 15년 형을 선고받았다. 1948년 소련으로 이송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1954년 포로수용소에서 사망하였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클라이스트는 1900년 3월 9일 프로이센 야전 포병 연대에 ''파넨융커''로 입대하여, 1901년 8월 18일에 ''소위''로 임관했다. 1910년 ''대위''로 진급하여 베를린 전쟁 아카데미에서 참모 훈련을 받았다. 1914년 3월 22일, 대령으로 진급하여 제1 생명 경기병 연대에 배속되었다.[1]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클라이스트는 동부 전선에서 복무했으며, 탄넨베르크 전투에서 기병 중대를 지휘했다. 1915년부터 1918년까지는 서부 전선에서 근위 기병 사단의 참모 장교로 복무했다.[13]
2. 2.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클라이스트는 자유군단에 입대하여 라트비아 독립 전쟁과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에 철의 사단의 일원으로 참전했다. 1919년 6월, 그는 체시스 전투에서 공격 부대를 지휘했다.[15]1920년 바이마르 공화국의 독일 국방군(Reichswehr)에 채용되었다. 1922년 소령으로 진급했고, 1923년 하노버의 기병학교 교관으로 취임했다. 1925년에는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려던 힌덴부르크를 방문하여 "정치가가 된다면 정치적으로나 인간적으로나 면목을 잃을지도 모릅니다"라며 출마 자제를 권고했다.[14] 1928년 브로츠와프의 제2기병사단 참모장이 되었고, 1929년부터 1931년까지는 베를린에서 제3 사단의 같은 직책을 맡았다. 1931년 포츠담의 제9보병연대장이 되었다. 1932년 1월 1일 대령으로 진급하여,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의 후임으로 제2기병사단장이 되었고, 1932년 10월 소장으로 진급했다.[15]
2. 3. 나치 독일 시대
1934년 중장으로 진급했다. 1936년에는 기병 대장으로 진급하여 브레슬라우 제8군단 사령관으로 취임했다.[2] 1938년 2월, 블롬베르크-프리치 사건 당시 베르너 폰 프리치 상급대장 등과 함께 군에서 퇴역했다.[16] 클라이스트는 루터교회 신자로서 나치당의 종교 정책에 동의할 수 없었으며, 종교를 옹호했기 때문에 퇴역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연소병(年少兵)에게 예배 참가를 명령하고, 이를 철회하라는 1937년 국방군 최고 사령부(OKW)의 지시를 거부한 것을 예로 들었다. 한편, OKW 장관 빌헬름 카이텔에 대해서는 "당으로부터 압력을 받아서 그렇게 명령한 것"이라며 옹호했다.[16]3.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현역으로 복귀하여 폴란드 침공에서 제22 기갑군단을 지휘했다. 그의 군단은 폴란드군의 남쪽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클라이스트는 이 작전에서 자신의 기갑 부대를 활용해 기병 전술을 성공적으로 사용했다고 회고했다.[17]
3. 1. 프랑스 침공
1940년 5월, 클라이스트 기갑군이 창설되었고, 이는 독일 국방군의 여러 기갑 군단 중 최초의 작전 부대였다. 클라이스트 기갑군은 구데리안 휘하의 제19 군단 등으로 구성되어 벨기에 침공, 프랑스 및 저지대 국가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3] 클라이스트 기갑군은 세당에서 프랑스 방어선을 압도하고 서쪽으로 진격하여 바다에 도달, 여러 벨기에, 영국 및 프랑스 군대가 포함된 거대한 포위망을 형성했다.클라이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군에 현역 복귀하여 폴란드 침공에서 폴란드군의 남부 방어선을 돌파하는데 성공했다. 1940년에는 5개 기갑 사단으로 구성된 "클라이스트 기갑 집단"을 이끌고 독일군의 선봉으로 서방 전격전에 참가했다. 그 전공으로 7월 14일에 상급 대장으로 승진하고,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을 수훈했다. 클라이스트는 "감히 말하건대, 프랑스에서 조기에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나의 군단의 공이 크다"라고 말하는 한편, 됭케르크에서의 히틀러의 중지 명령에 대해서는 "너무 위험하다고 생각한 것이다"라며 "정말 터무니없는 짓이었다"라고 말했다.[17]
3. 2. 유고슬라비아 침공
1941년 4월, 클라이스트는 제1기갑집단 사령관으로서 유고슬라비아 침공의 선봉에 섰다. 제1기갑집단의 부대는 세르비아 등 유고슬라비아 중부에 배치되었고, 베오그라드에 가장 먼저 진입했다.[17]3. 3. 독소 전쟁
1941년 6월, 바르바로사 작전이 시작되면서 클라이스트는 제1 기갑집단을 지휘하며 남부 집단군의 일원으로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점령하는 임무를 맡았다. 제1 기갑집단은 스탈린 선을 돌파한 후 브로디 전투 (1941년 6월 23~30일)에서 소련 제5군과 제6군의 5개 기계화 군단을 격파했다. 1941년 7월, 우만 전투 동안 제1 기갑집단은 소련 남부 전선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우만(현재 체르카시주) 동남쪽에서 소련 제6군과 제12군을 포위, 전멸시켰다. 1941년 8월~9월의 제1차 키예프 전투 동안, 제1 기갑집단의 우크라이나 중부에서의 북진은 제2 기갑집단의 스몰렌스크로부터의 남진과 함께 키예프 동쪽의 소련 남서부 전선 전체를 포위, 파괴하여 붉은 군대에 60만 명 이상의 손실을 입혔다.[17]
클라이스트는 붉은 군대에 대해 "그들은 처음부터 일류 ''전투원''이었고, 우리의 성공은 단순히 우수한 훈련 덕분이었다. 그들은 경험을 통해 일류 ''병사''가 되었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소련의 기술 혁신과 무기에 대해서는 "그들의 장비는 1941년에도 매우 훌륭했고, 특히 탱크가 그랬다. [...] T-34는 세계 최고였다."라고 언급했다.[17]

키예프 작전이 종료된 후, 클라이스트의 제1 기갑군은 돈바스를 점령하기 위해 동쪽으로 진격했다. 1941년 9월 26일, 아조프해 전투가 시작되었고, 10월 11일까지 제1 기갑군은 돈바스를 점령했다. 그 후 제1 기갑군은 아조프해 해안을 따라 로스토프나도누로 공격하여 코카서스로 가는 마지막 장벽을 돌파하려 했다.
1941년 11월 17일, 독일군은 미우스 강을 건너 로스토프에서 공세를 시작했고, 11월 19일 제1 기갑군은 로스토프에 도달하여 이튿날 돈강의 교량을 점령했다. 로스토프를 점령했지만, 11월 27일 소련군의 반격으로 1941년 12월 2일까지 소련군은 로스토프를 탈환하고 제1 기갑군을 타간로크 근처의 미우스 강까지 후퇴시켰다. 이것은 전쟁에서 독일의 첫 번째 주요 철수로 기록되었다. 1942년 2월 18일, 클라이스트는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에 참나무 잎을 추가로 수여받았다.

1942년 5월 17일, 제2차 하르코프 전투 중 클라이스트의 제1 기갑군은 바르벤코베 교두보를 남쪽에서 공격하여, 5월 28일까지 24만 명의 포로를 잡고 1250대 이상의 소련 전차와 2000문의 야포를 파괴하거나 노획했다.
1942년 여름, 남부 집단군은 A 집단군과 B 집단군으로 분할되었다. 클라이스트의 제1 기갑군을 포함한 A 집단군은 청색 작전의 실행으로 코카서스로의 추축군 진격을 이끌 임무를 맡았다. 제1 기갑군은 공격의 선봉에 설 예정이었다. A 집단군은 남부 러시아 깊숙이 진격하여 로스토프나도누, 마이코프, 크라스노다르 및 쿠반 지역을 점령했다. 그러나 소련의 강력한 저항과 보급 문제로 인해 추축군의 공세는 결국 축소되었고, A 집단군은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1942년 11월 22일, 클라이스트는 빌헬름 리스트 원수를 대신하여 A 집단군 사령관이 되었다. 히틀러는 그에게 진지를 고수하고 추축군이 스탈린그라드를 점령할 경우 공세를 재개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소련군이 천왕성 작전(1942년 11월)으로 반격을 개시하면서 이 가능성은 끝났다. 작은 토성 작전(1942년 12월~1943년 2월)은 A 집단군을 코카서스에서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소련의 공세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클라이스트는 A 집단군을 쿠반 방향으로 철수시켜 코카서스를 포기할 수 있었다.[18] 클라이스트는 훗날 스탈린그라드 점령에 대해 "주요 목표에 부수적인 것"이라고 회고했다.
4. 전후
클라이스트는 1945년 4월 말 미터펠스에서 미군 제26보병사단에 체포되어 영국군에게 인도되었다.[8]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증언한 후, 1946년 9월 유고슬라비아로 인도되어 전쟁 범죄로 15년 형을 선고받았다.[2] 그는 유고슬라비아에서 1941년 보복 작전에 대해 증언했다.[2]
1949년, 전쟁 범죄 혐의로 소련으로 인도되었다.[2] 소련 검사들은 클라이스트가 범죄 명령을 실행하고 발부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2] 크라스노다르 지방에서만 클라이스트 지휘 하의 부대를 포함한 독일군이 61,000명 이상의 소련 시민을 살해하고, 많은 건물과 시설을 파괴했다는 판결을 받았다.[2] 25년의 교정 노동 수용소 형을 선고받았으나,[2] 1952년 소련 최고 법원 군사 합의부는 징역형으로 변경하고 블라디미르 중앙 교도소로 보냈다.[2]
1954년 11월 13일, 블라디미르 중앙 교도소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8] 그는 러시아의 포로 생활에서 사망한 소련의 독일 전쟁 포로 중 가장 고위급 군인이었다.[8]
5. 유산
클라이스트는 뛰어난 기갑부대 지휘관으로 평가받지만, 나치 정권에 협력한 전범이라는 오명도 함께 가지고 있다. 군사적 업적은 높이 평가되지만,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2]
5. 1. 평가
클라이스트는 초기에는 기병 출신으로 보수적인 전술관을 고수하여 전격전에 부정적이었고, 공세 속도를 중시하는 하인츠 구데리안의 혁신적인 용병 사상을 이해하지 못했다. 구데리안과 직접 만났을 때는 격렬한 언쟁을 벌이기도 했다.[3] 그러나 프랑스 공방전 이후 기갑부대의 유효성을 인정하고 기갑전술 이론을 겸허히 배워 키예프 공략 등 대소련전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판처클라이스트''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기갑전술 이론을 마스터했다. 롬멜이나 구데리안, 만슈타인과 같은 화려함은 없지만, 견실하고 꼼꼼한 지휘는 높게 평가받아 오늘날에도 "독일군 최고의 기갑 전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히틀러와 군사 전략에 대한 의견 충돌이 잦았고, 특히 우크라이나에서의 철수를 놓고 히틀러와 대립하다가 1944년 3월 30일에 결국 해임되었다.[5]
5. 2. 민간인에 대한 처우
클라이스트는 점령 지역 주민들을 "얻으려고" 노력했으며, 그들을 우울하게 만드는 "거대한 인간 무리"를 얻지 못하면 전쟁에서 패배할 것이라고 생각했다.[2] 그는 비(非)러시아계 소수 민족에 대한 처우에 대해 조언을 받기 위해 전직 모스크바 주재 무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쾨스트링과 오스카르 폰 니더마이어를 참모로 임명했다.[2] 그의 정책 결과, 약 80만 명의 소련 시민들이 협력자로 모집되었다.[2] 이들 중에는 아제르바이잔인, 우즈벡인, 조지아인, 코사크 등 소수 민족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은 ''동방군단''과 러시아 해방군 부대에서 복무했다.[2] 클라이스트는 이들을 코사크 기병 연대에 배치하여 제1 코사크 기병 사단을 창설했고, ''동방군단'' 징집병들로 제162 보병 사단을 지휘했다.[2]클라이스트의 "인도적인" 정책은 프리츠 자우켈(노동 배치 전권 대리, 나치 독일의 노예 노동 수입 책임자) 및 에리히 코흐(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와 갈등을 일으켰다.[2] 클라이스트는 부하들에게 '자발적인' 노동 모집 프로그램의 자발성 여부를 확인하도록 명령했고, 자신의 지휘 구역에서 SS, 게슈타포 등의 "과도한 행위"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2]
1942년 12월 6일, 클라이스트는 날치크 게토에서 다윗의 별 의무 착용을 폐지했다.[2] 산악 유대인들을 파괴하라는 명령에 대해 인종 정책 사무소에 재심사를 요청했다.[2] 날치크의 산악 유대인들은 독일인들에게 자신들이 코카서스 토착민임을 설득하는 데 성공했고,[2][6] 이로 인해 나치는 아슈케나짐 유대인 살해에 집중, 1942년 11월과 12월 사이 600명에서 1,000명이 살해되었다.[6] 그러나 대부분의 산악 유대인들은 1943년 1월 4일 소련군에 의해 해방될 때까지 살아남았다.[2]
클라이스트는 1941~1942년 겨울 유대인 추방 소문과 르비우 포그롬을 알고 있었지만, 독일군의 잔학 행위는 소문이거나 "비독일인"의 소행이라고 확신했다.[2] 1943년 1월, 유대인 살해 소식을 듣고 SS 경찰 책임자 게레트 코르세만에게 "유대인에 대한 어떠한 행동도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했고, 코르세만은 그런 명령을 받은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2] 클라이스트는 아우슈비츠의 잔학 행위는 전쟁 이후에야 들었으며, 오라니엔부르크와 다하우 강제 수용소는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2]
6. 기타
1955년 10월, 콘라트 아데나워 서독 총리의 모스크바 방문 후, 소련은 전쟁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나머지 독일 전쟁 포로들을 송환했다. 이때 클라이스트의 유해도 발굴되어 원수 제복을 입은 채 독일로 보내졌다.[9]
참조
[1]
웹사이트
Familienstammbaum von Paul Ludwig Ewald von Kleist
https://gw.geneanet.[...]
[2]
웹사이트
Цена Победы: Немецкие фельдмаршалы в советском плену (The Price of Victory: German Field Marshals in Soviet Captivity)
https://echo.msk.ru/[...]
2019-09-21
[3]
간행물
Frieser 2005, p. 155
[4]
논문
Black Marks: Hitler's Bribery of His Senior Officers during World War II
https://www.journals[...]
2000-06
[5]
간행물
Keegan, p. 476
[6]
웹사이트
Nalchik
https://collections.[...]
2023
[7]
웹사이트
Memories of the Holocaust: Kishinev. Introduction and Acknowledgements
https://www.jewishvi[...]
1995-01
[8]
웹사이트
Известные заключенные "владимирского централа": фельдмаршал Эвальд фон Клейст
http://vladtv.ru/soc[...]
VGTRK Vladimir
[9]
뉴스
фельдмаршал Эвальд фон Клейст
https://www.youtube.[...]
[10]
웹사이트
Generalfeldmarschall Ewald von Kleist
http://www.specialca[...]
[11]
간행물
Thomas 1997, p. 375
[12]
간행물
Scherzer 2007, p. 447
[13]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82
[14]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67
[15]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82
[16]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68
[17]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84
[18]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89
[19]
웹사이트
https://academic-acc[...]
[20]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86
[21]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83
[22]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90
[23]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90、291
[24]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80
[25]
간행물
ゴールデンソーンp.2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