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처베르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처베르퍼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사용한 장갑 로켓포 자주포로, 15cm 네벨베르퍼 41 로켓 발사기를 탑재했다. 1942년 아돌프 히틀러의 지시로 개발되어 1943년부터 오펠 마울티어 반궤도 차량을 기반으로 생산이 시작되었다. 10연장 로켓 발사기를 장착하고 8mm 장갑으로 보호받았으며, 40km/h의 속도로 기동했다. 동부 전선, 서부 전선, 아르덴, 베를린 등지에서 사용되었으며, 넓은 지역에 대한 화력 지원과 심리적 효과를 발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자주포 - PzH 2000
    PzH 2000은 독일 KMW사에서 생산하는 155mm 자주포로, 자동 장전 장치를 통해 빠른 연사 속도와 긴 사거리를 가지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우크라이나에 지원되어 실전에서 사용된다.
  • 독일의 자주포 - 4호 돌격전차
    4호 돌격전차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4호 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한 보병 지원용 돌격전차로, 15cm 43식 돌격 곡사포를 장착하여 강력한 화력을 제공했으며, "브룸베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다양한 전선과 대중 매체에서 활약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자주포 - SU-85
    SU-85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이 독일 신형 전차에 대응하기 위해 SU-122 자주포 차체에 85mm 대전차포를 탑재하여 개발, 동부 전선에서 활약한 구축전차이며, T-34-85 전차 등장 후 생산이 중단되었으나 SU-100 개발 지연으로 SU-85M이 임시 생산되기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자주포 - 4호 돌격전차
    4호 돌격전차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4호 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한 보병 지원용 돌격전차로, 15cm 43식 돌격 곡사포를 장착하여 강력한 화력을 제공했으며, "브룸베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다양한 전선과 대중 매체에서 활약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기갑 전투 차량 - Sd.Kfz. 234
    Sd.Kfz. 234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사용한 8륜 장갑차로,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뛰어난 기동성을 갖췄지만 엔진 출력 및 승무원 안전에 문제점이 있었고, 서부 및 동부 전선에서 운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기갑 전투 차량 - Sd.Kfz 251
    Sd.Kfz 251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사용된 장갑 반궤도 장갑차로, 기갑척탄병 수송 및 지원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파생형으로 개발되어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판처베르퍼
개요
Panzerwerfer alias Maultier.jpg
Panzerwerfer 42 auf Maultier (Sd.Kfz. 4/1)
종류반궤도 다연장 로켓포
원산지나치 독일
사용1943년–1945년
사용 국가나치 독일
전쟁제2차 세계 대전
제원
무게7.1 톤 (6.99 롱톤 또는 7.83 쇼트톤)
길이6 m (19.69 ft)
2 m (6.56 ft)
높이3 m (9.84 ft)
승무원2명
장갑6-14.5 mm (0.24-0.57 in)
주무장15 cm Nebelwerfer 41
부무장MG 34 또는 MG 42
엔진Adam Opel 6기통 휘발유 엔진 1개
엔진 출력69 PS (68 hp)
중량 대비 출력9.58 hp/톤
속도40 km/h (24 mph)
현가 장치겹침 비틀림 막대 현가 장치(궤도)
판 스프링 (바퀴)
기타
설계오펠
제조사오펠
생산 대수300대

2. 개발

제2차 세계 대전 중반, 독일은 군용 트럭의 험지 주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후륜을 궤도식으로 개조한 마울티어를 생산했다. 1943년, 독일군은 마울티어에 장갑을 씌우고 15cm 로켓포를 탑재하는 자주포 개발 명령을 내렸는데, 이는 기존에 사용하던 견인식 네벨베르퍼가 발사 화염과 연기로 인해 위치가 쉽게 노출되고, 사거리가 짧아 적의 공격에 취약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신속한 진지 이동이 가능한 자주포가 필요했다.

1942년 1월 아돌프 히틀러의 지시로 개발이 시작된 판처베르퍼는 1943년 가을 동부 전선에서 첫 시험을 거쳤다.[1] 오펠은 68마력의 3.6리터 6기통 아담 오펠 엔진과 80리터 연료 탱크를 포함한 대부분의 부품을 생산했으며, 1943년 4월부터 1945년 3월까지 3년간 판처베르퍼 300대와 탄약 수송차(Munitionskraftwagen) 289대가 제작되었다.[1]

2. 1.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중반, 독일은 군용 트럭의 험지 주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후륜을 궤도식으로 개조한 간이 하프트랙인 마울티어를 다수 생산했다. 마울티어는 주로 포드, 오펠, 마기루스(KHD) 사의 3톤 트럭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1943년, 독일군은 마울티어에 장갑을 씌우고 15cm 로켓포를 탑재하는 자주포 개발 명령을 내렸다. 독일군은 이미 견인식 네벨베르퍼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발사 화염 및 연기가 커서 발사 위치가 쉽게 노출되었고, 사거리가 짧아 전선 가까이에서 운용해야 했기 때문에 적의 공격에 취약했다. 따라서 신속한 진지 이동이 가능한 자주화가 필요했다.[1]

2. 2. 개발 과정

1943년, 독일군은 마울티어에 장갑을 씌우고 15cm 로켓포를 탑재하는 자주포 개발 명령을 내렸다. 이는 기존에 사용하던 견인식 네벨베르퍼가 발사 화염과 연기로 인해 위치가 쉽게 노출되고, 사거리가 짧아 적의 공격에 취약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신속한 진지 이동이 가능한 자주화가 필요했다.

자주포화 과정에서 전면에 8mm 장갑이 추가되었고, 운전실보다 낮은 후방은 탄약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로켓 발사기는 270도 회전 가능한 대좌에 설치되었다.[7] 견인식 15cm 네벨베르퍼는 6연장이었으나, 자주포화되면서 5개씩 2단으로 구성된 10연장으로 개조되었다. 제식 명칭은 '''15cm 42식 장갑 로켓포 자주포'''(15-cm-Panzerwerfer 42 auf Sf), '''Sd.Kfz. 4/1'''이다.

로켓 발사기를 탑재하지 않은 탄약 운반차(Munitionskraftwagen für Nebelwerfer)도 제작되었다. 초기에는 로켓포 탑재 차량에 수반되는 전용 운반차로 여겨졌으나, 실제로는 견인식 로켓포의 견인 및 탄약 운반에도 사용되었다.[7]

오펠제 15cm 판처베르퍼는 1943년 4월부터 1944년 3월까지 300대, 장갑 탄약 운반차는 289대가 생산되었다. 1944년 6월에는 19대의 탄약 운반차가 로켓포 탑재형으로 개조되었다.

2. 3. 파생형

1943년에 개발된 소련의 카튜샤를 복제한 24연장(레일 상하에 장비하여 48발) 8cm 로켓 런처를 탑재한 유형도 있었다. 이 로켓의 실제 구경은 78mm였으며, 넓은 지역에 다수의 소형 로켓탄을 살포할 수 있어 유효하다고 판단되었으나, 히틀러가 승인하지 않아 소수만 사용되었다.[7] 주로 SS 부대에서 사용된 특수 차량으로, 대부분 기존 판처베르퍼 또는 탄약 운반차를 개조한 것으로 보인다.[7] 마울티어 외에 프랑스제 장갑 하프트랙에 탑재된 경우도 있었다.

8cm 로켓 런처를 프랑스제 장갑 하프트랙에 탑재한 소뮤아 MCL m ZgKw S303(f) (1944년 5월)


1944년에는 신형 하프트랙인 sWS(Schwerer Wehrmachtschlepper) 생산이 시작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판처베르퍼가 제작되었다. 차체 전반부는 sWS 장갑형과 동일하며, 후방에는 마울티어 기반 판처베르퍼와 유사한 장갑 탄약 수납부를 설치하고 15cm 42식 로켓포를 탑재했다. sWS 기반 판처베르퍼는 마울티어 기반 판처베르퍼에 비해 험지 주행성이 우수하고 탑재 탄약 수가 더 많았지만, 대전 말기에 생산되어 생산 대수는 불분명하다.

3. 전투 기록

판처베르퍼는 동부 전선에서 소련군 진지에 대한 대규모 로켓 공격에 사용되었으며, 넓은 지역에 대한 포격이 정확한 포병 사격보다 효과적이었다. 로켓 공격은 더 넓은 지역을 덮었고, 소음, 연기, 파편으로 인해 심리적 효과도 컸다.[2]

D-Day 이후 서방 연합군도 판처베르퍼 42에 대항하여 전투를 벌였다. 미군은 네벨베르퍼와 같은 로켓 발사기의 존재는 알고 있었지만, 판처베르퍼의 기동성과 장갑, 위장, 파괴력에는 대비하지 못했다.[3] 벌지 전투에서는 독일군이 장갑 로켓 발사기를 집중적으로 사용했으며, 특히 벨기에 아르덴 지역에서 대규모 일제 사격이 이루어졌다. 1945년 4월과 5월, 소련군이 베를린으로 진격하면서 판처베르퍼는 방어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5]

3. 1. 동부 전선

판처베르퍼 42 아우프 마울티어는 소련군 진지에 대한 대규모 로켓 공격에 사용되었으며, 넓은 지역에 대한 대규모 포격이 정확한 포병 사격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판처베르퍼의 로켓 공격은 훨씬 더 넓은 지역을 덮었고, 전투에 더 많은 심리적 요소를 추가했다. 로켓이 명중하고 폭발하면서 발생하는 소음, 연기, 파편의 양은 상당했다.[2]

3. 2. 서부 전선

D-Day 이후 서방 연합군은 판처베르퍼 42에 대항하여 처음으로 전투를 벌였다. D-Day 이전 미국 정보기관은 독일 국방군이 네벨베르퍼와 같은 로켓 발사기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고 있었지만, 반궤도 섀시에 장착되어 기동성이 뛰어나고 장갑화 및 위장되었으며 파괴력이 매우 강력한 로켓 발사기의 영향에는 대비하지 못했다.[3] 영국군과 캐나다군은 연합군 병력 집중 지역과 진지에 대한 독일 로켓 발사기의 공격을 처음으로 경험했다. 83연대와 84연대로 구성된 제7베르퍼 여단은 D-Day 이후 보베에서 노르망디로 파견되었으며, 6월 10일에는 팔레즈, 다음 날에는 에서 약 10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 이 부대는 오른 강 위의 영국군 점령지인 오르느 교에 대한 공격에 참여했다. 84연대는 14대의 전투 준비가 완료된 판처베르퍼를 보유했고, 83연대도 거의 같은 수준이었다. 다른 베르퍼 부대로는 제2 SS 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소속 제101 SS 베르퍼 사단, 제101 징발 베르퍼 연대, 제102 SS 베르퍼 사단 등이 있었다. 제7베르퍼 여단은 8,000톤의 탄약을 발사했는데, 특히 6월 30일 독일군의 언덕 112 탈환(유피터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집중 사격을 가했다.[3] 1944년 여름, 15cm 네벨베르퍼는 미국, 영국, 캐나다 군대에 대항하여 대량으로 사용되었다.[4]

3. 3. 아르덴 및 베를린

벌지 전투에서 독일군의 장갑 로켓 발사기는 집중적으로 사용되었다. 1944년 독일군 공세 기간 중 벨기에 아르덴 지역에서 가장 집중적이고 대규모의 일제 사격이 이루어졌다.

판처베르퍼는 1945년 4월과 5월, 소련군이 베를린으로 빠르게 진격해 오면서 독일군이 방어 목적으로 로켓 포병을 배치함에 따라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로켓 발사기는 소련군이 동쪽에서, 연합군이 서쪽에서 진격해 오면서 독일 내부와 베를린 근처의 방어 위치를 지키는 데 대량으로 사용되었다.[5]

4. 성능 및 제원

판처베르퍼 42 아우프 마울티어는 중량 7.1톤, 길이 6미터, 폭 2미터, 높이 약 3미터였다. 최고 속도는 40km/h였다. 네벨베르퍼 41 발사 시스템을 탑재했으며, 이는 오펠 엔진을 사용하는 판처베르퍼에 장착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 네벨베르퍼 포대는 발사 시 눈에 띄는 연기 궤적을 남겼기 때문에, 독일 기술자들은 사격 후 신속한 재배치를 위한 자주포 설계를 고려했다. 10개의 미사일 튜브가 있었고, 일반적으로 20개의 발사체를 탑재하여 두 번의 완전한 일제 사격이 가능했다. 유효 사거리는 약 4000m~6500m였으며, 최대 사거리는 7000m 미만이었다.[6]

화력 지원 및 접촉 지점 후방 운용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일부 판처베르퍼에는 보병 공격에 대비하여 운전석 위에 기관총이 장착되기도 했다.

5. 평가

판처베르퍼는 발사 시 로켓이 내는 독특한 소리 때문에 연합군 병사들에게 "우는 미니(Moaning Minnie)"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 전용 포병 무기보다 정확도는 떨어졌지만, 넓은 지역에 화력을 집중시키고 보병에게 심리적 영향을 주는 능력 덕분에 중요한 자산으로 평가되었다.[1]

6. 대중 매체

워 썬더인리스티드에서 15cm 로켓 탑재 버전이 독일의 유료 차량으로 등장한다.[1][2] 토탈 탱크 시뮬레이터에서는 독일 자주 로켓포 판처베르퍼로 15cm 로켓 탑재 버전이 등장한다.[3]

참조

[1] 웹사이트 Panzerwerfer 42 auf Maultier in Action
[2] 웹사이트 Panzerwerfer 42 auf Maultier in Action
[3] 서적 Nebelwerfer 1976
[4] 웹사이트 Panzerwerfer 42 auf Maultier in Action
[5] 웹사이트 Panzerwerfer 42 auf Maultier in Action
[6] 웹사이트 Panzerwerfer 42 auf Maultier in Action
[7] 간행물 30cmRW56型との組み合わせで行動している例が紹介されている 199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