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씨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씨름은 고대부터 행해졌다는 주장이 있으나 자료 해석의 오류에 기인하며, 근대 팔씨름은 일본 에도 시대에 널리 행해졌다. 1950년대부터 전문적인 행사로 조직되기 시작하여, 1962년 세계 손목 씨름 선수권 대회가 설립되면서 스포츠로 공식화되었다. 팔씨름은 국제 규격의 테이블과 규칙에 따라 진행되며, 손등이 패드에 닿거나 특정 지점에 도달하면 승부가 결정된다. 경기 중에는 다양한 반칙 행위가 존재하며, 파울을 두 번 받으면 패배한다. 팔씨름 기술에는 후크, 탑롤, 프레스 등이 있으며, 훈련은 근력 운동과 기술 훈련으로 이루어진다. 팔씨름은 상완골 골절 등 부상의 위험이 있으며, 1977년 세계 암레슬링 연맹(WAF)이 발족하여 국제 대회를 총괄하고 있다. 한국의 팔씨름에 대한 정보는 본문에서 찾아볼 수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씨름 - 챔피언 (2018년 영화)
《챔피언》은 마동석, 권율, 한예리 주연의 2018년 코미디 드라마 영화로, 팔씨름 선수 마크가 한국 팔씨름 대회에 참가하며 벌어지는 이야기와 함께 경제적인 이유로 입양되었던 그의 갈등과 가족애를 그리고 있다. - 팔씨름 - 오버 더 톱 (영화)
1987년 개봉한 실베스터 스탤론 주연의 액션 영화 《오버 더 톱》은 트럭 운전사이자 팔씨름 선수인 링컨 호크가 아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세계 팔씨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 격투기 - 태권도
태권도는 한국의 발차기 중심 무술이자 스포츠로, 1950년대 여러 무술 도장 통합 과정에서 명칭이 확립되었으며, 국제 태권도 연맹(ITF)과 세계 태권도 연맹(WT)으로 발전하여 WT 태권도는 올림픽 종목, ITF 태권도는 공산권 국가에 보급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격투기 - 레슬링
레슬링은 인류의 생존 투쟁에서 기원하여 고대 올림픽 종목으로 시작되었으며, 그레코로만형, 자유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아마추어와 프로레슬링으로 구분되며, 종합격투기에서도 중요한 기술로 활용된다. - 놀이 - 인형
인형은 고대부터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어 종교 의식, 놀이, 예술 작품 등 다방면으로 사용되며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놀이 - 민속놀이
민속놀이는 민중의 생활양식을 반영하여 창조되고 전승된 음악, 무용, 연극 등의 놀이로, 한국에서는 마당굿 형태의 농악, 탈춤놀이, 줄다리기, 길놀이 등으로 나타나며 풍요와 평등 사상을 바탕으로 사회 풍자와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팔씨름 | |
---|---|
팔씨름 | |
![]() | |
선수 | 2 |
필요한 기술 | 힘 지구력 기술 저항력 |
관련 정보 | |
참고 자료 | |
언어별 명칭 | |
영어 | arm wrestling |
2. 역사
고대 이집트나 고대 그리스에서 팔씨름이 행해졌다는 주장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는 자료 해석의 오류에 기반한 것이다.[2] 근대 팔씨름의 관행은 일본 에도 시대에 널리 행해졌으며, 우데즈모/腕相撲일본어라고 불렸다. 1700년대 초 예술 작품과 『고사기』에 따르면 8세기 초에도 팔씨름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2] 그림들은 이것이 현대 팔씨름과 동일함을 명확히 보여준다.
세계팔씨름연맹(WAF) 출범 후 1977년 불가리아에서 국제 규격 암 레슬링 테이블 및 국제 룰이 정립되었다. 팔씨름 경기 방식에는 엄연한 스포츠로서 국제 룰이 존재한다. 대결을 하게 될 두 선수는 국제 규격의 팔씨름 테이블에 마주 보고 서며, 한 경기당 주심, 부심 2명의 심판이 경기를 진행한다. 어느 한쪽 선수의 손등이 완벽하게 패드에 닿거나 패드의 승패 지점에서 가상의 연장 선상인 수평 지점에 손목과 손등 부위가 닿게 되면 승부가 난다.
19세기에는 스페인과 쿠바에서도 팔씨름이 행해졌는데, 일본과의 접촉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 팔씨름 선수들은 각각의 팔꿈치 아래에 동전을 놓고 팔씨름을 했다.[3] 미국에서는 팔씨름을 "인디언 팔씨름"이라고도 불렀으며, 일부 자료에서는 아메리카 원주민들, 특히 레나페족 사이에서 유래했다고 본다.[4] 20세기 초부터 전해지는 "인디언 손 씨름"은 서서 하는 경기였으며, "인디언 팔씨름"과 함께 미국 보이스카우트를 포함한 미국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4][5][6][7][8][9]
1950년대부터 소규모 팔씨름 대회가 전문적인 행사로 조직되기 시작했다. 1954년 말, 캘리포니아주 페탈루마에서 "손목 씨름" 대결이 제안되어 지역적인 관심을 끌었고, 1955년 1월 27일에 첫 대회가 열렸다.[10] 1962년에는 세계 손목 씨름 선수권 대회(World’s Wristwrestling Championship, Inc.)가 설립되어 스포츠가 공식화되었고, 같은 해 2월 2일에 첫 세계 손목 씨름 선수권 대회가 열렸다.[11]
3. 규칙 및 경기 방식
경기 시작 전에는 자신의 가슴이 상대방을 향하도록 자세를 취하고, 손목을 굽히지 않고 손등부터 전완까지 수평이 되도록 잡는다. 상대와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첫 번째 마디가 보이지 않아야 하며, 서로 잡은 손에서 주먹 하나 분량만큼 얼굴에서 떨어뜨린다. 이러한 준비 동작이 오랜 시간 결정되지 않을 경우, 심판의 주도하에 준비 동작이 진행되며, 서로의 잡은 손이 공정하다고 판단되면 심판이 "스톱"이라고 외친다. "스톱"이라는 소리가 들린 순간 경기자는 잡은 손을 움직일 수 없다.
경기는 심판의 "고" 신호로 시작하고, "스톱", "위너"라는 소리로 끝난다. 상대방의 손등을 경기대의 터치패드에 닿게 하거나, 터치패드보다 아래로 내린 쪽이 승자가 된다. 시간 제한은 없다.
국제 공식 룰에 따르면, 대전 중 손이 미끄러져 상대 손을 놓치는 상황이 오면 스트랩매치를 진행한다. 스트랩매치란 서로의 두 손을 스트랩(끈)으로 묶어 손이 풀리지 않게 조치한 후 경기를 속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서로 동의 하에 스트랩매치로 진행할 수도 있다.
경기에는 파울을 두어, 파울을 두 번 받은 경기자는 패배로 간주한다. 경기 중 다음과 같은 반칙 행위가 발생할 수 있다.
심판은 공식 신호 전에 어깨나 팔을 움직이거나 손잡이를 놓는 등의 조기 움직임이나 지연 행위에 대해 경고를 발하며, 경쟁자의 신체가 테이블에 닿거나 심판의 잡는 동작 중에 팔이 곧지 않을 경우 반칙으로 선언한다. 또한 팔의 정렬이 잘못되거나 팔꿈치 패드 아래로 어깨가 내려가는 등의 위험한 자세, 중앙선을 넘거나 자신의 신체를 만지는 행위도 반칙으로 처리한다. 심판은 고의적인 반칙, 비방적인 언어 사용, 또는 부정행위를 저지른 경쟁자에게 벌칙을 부과하며, 이는 실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두 경쟁자가 동시에 반칙을 저지르면 경기를 중단하고 벌칙 없이 재시작하지만, 패배 직전에 반칙을 저지르면 자동적으로 패배한다.
경기 방식은 토너먼트,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 등이 있으며, 좌우 팔 모두 체중별 클래스로 나누어 시합을 진행한다.
3. 1. 경기 방식
팔씨름 경기 방식에는 엄연한 스포츠로서 국제 룰이 존재한다.[16] 세계팔씨름연맹(WAF) 출범 후 1977년 불가리아에서 국제 규격 암 레슬링 테이블 및 국제 룰이 정립되었다. 대결을 하게 될 두 선수는 국제 규격의 팔씨름 테이블에 마주 보고 서며, 한 경기당 주심과 부심 2명의 심판이 경기를 진행한다.[17] 어느 한쪽 선수의 손등이 완벽하게 패드에 닿거나 패드의 승패 지점에서 가상의 연장 선상인 수평 지점에 손목과 손등 부위가 닿게 되면 승부가 난다.[18]
경기 시작 전에는 자신의 가슴이 상대방을 향하도록 자세를 취하고, 손목을 굽히지 않고 손등부터 전완까지 수평이 되도록 잡는다. 상대와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첫 번째 마디가 보이지 않아야 하며, 서로 잡은 손에서 주먹 하나 분량만큼 얼굴에서 떨어뜨린다. 선수들은 손바닥을 맞대고, 엄지손가락이 보이도록 하고, 손이 테이블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시작하며, 손목과 팔뚝은 곧게 펴야 한다. 자유로운 손은 테이블 가장자리의 손잡이를 잡는다.[19] 이러한 준비 동작이 오랜 시간 결정되지 않을 경우, 심판의 주도하에 준비 동작이 진행되며, 서로의 잡은 손이 공정하다고 판단되면 심판이 "스톱"이라고 외친다. "스톱"이라는 소리가 들린 순간 경기자는 잡은 손을 움직일 수 없다.
경기는 심판의 "레디~고" 혹은 "준비…시작!" 구령으로 시작하고, "스톱", "위너"라는 소리로 끝난다.[20] 상대방의 손등을 경기대의 터치패드에 닿게 하거나, 터치패드보다 아래로 내린 쪽이 승자가 된다. 시간 제한은 없다.[21]
국제 공식 룰에 따르면, 대전 중 손이 미끄러져 상대 손을 놓치는 상황이 오면 스트랩매치를 진행한다. 스트랩매치란 서로의 두 손을 스트랩(끈)으로 묶어 손이 풀리지 않게 조치한 후 경기를 속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서로 동의 하에 스트랩매치로 진행할 수도 있다. 심판은 깔끔한 슬립-아웃이 발생하거나 두 경기자 모두 스트랩을 요청하는 경우 스트랩을 적용한다.
경기에는 파울을 두어, 파울을 두 번 받은 경기자는 패배로 간주한다. 경기 중 다음과 같은 반칙 행위가 발생할 수 있다.
심판은 공식 신호 전에 어깨나 팔을 움직이거나 손잡이를 놓는 등의 조기 움직임이나 지연 행위에 대해 경고를 발하며, 경쟁자의 신체가 테이블에 닿거나 심판의 잡는 동작 중에 팔이 곧지 않을 경우 반칙으로 선언한다. 또한 팔의 정렬이 잘못되거나 팔꿈치 패드 아래로 어깨가 내려가는 등의 위험한 자세, 중앙선을 넘거나 자신의 신체를 만지는 행위도 반칙으로 처리한다. 심판은 고의적인 반칙, 비방적인 언어 사용, 또는 부정행위를 저지른 경쟁자에게 벌칙을 부과하며, 이는 실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두 경쟁자가 동시에 반칙을 저지르면 경기를 중단하고 벌칙 없이 재시작하지만, 패배 직전에 반칙을 저지르면 자동적으로 패배한다.
경기 방식은 토너먼트,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 등이 있으며, 좌우 팔 모두 체중별 클래스로 나누어 시합을 진행한다.
3. 2. 경기 형태
팔씨름 경기는 국제 규격 암 레슬링 테이블에서 두 선수가 마주 보고 서서 진행되며, 주심과 부심 2명의 심판이 경기를 진행한다. 어느 한쪽 선수의 손등이 패드에 닿거나 패드의 승패 지점에서 가상의 연장 선상인 수평 지점에 손목과 손등 부위가 닿으면 승부가 난다.
경기 중 손이 미끄러져 상대 손을 놓치는 경우에는 스트랩(끈)으로 양 선수의 손을 묶어 경기를 속행하는 스트랩매치를 진행한다. 또한, 팔꿈치가 팔꿈치 패드에서 떨어지거나 이탈하면 엘보우 파울이 선언되며, 2회 누적 시 1패로 간주된다. 심판의 '레디~고' 구령 전 힘을 주어 넘기는 것은 얼리스타트 반칙으로, 2번 반칙은 1파울로 간주된다.
경기 방식은 토너먼트,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 등이 있다. "슈퍼매치"는 일반적으로 두 명의 특정 선수 간에 3~6회의 경기가 포함되며, 연속 경기 사이에는 짧은 휴식 시간이 주어진다. 슈퍼매치 형식은 일반적으로 더 경험이 많고 수준 높은 선수들에게만 허용된다.
팔씨름 테이블 규격 및 국제 룰은 1977년 세계팔씨름연맹(WAF) 출범 후 불가리아에서 정립됐다.
좌우 팔 모두 체중별 클래스로 나누어 시합을 진행한다. 경기대 앞에 서서 서로 일례하고, 경기에 사용하지 않는 손으로 그립바를 잡는다. 경기 시작 전에는 자신의 가슴이 상대방을 향하도록 자세를 취하고, 손목을 굽히지 않고 손등부터 전완까지 수평이 되도록 잡는다. 상대와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첫 번째 마디가 보이지 않아야 하며, 서로 잡은 손에서 주먹 하나 분량만큼 얼굴에서 떨어뜨린다. 이러한 준비 동작이 오랜 시간 결정되지 않을 경우, 심판의 주도하에 준비 동작이 진행된다.
서로의 잡은 손이 공정하다고 판단되면, 심판이 "스톱"이라고 외치고, "스톱" 소리가 들린 순간 경기자는 잡은 손을 움직일 수 없다. 경기는 심판의 "고" 신호로 시작하고, "스톱", "위너"라는 소리로 끝난다. 상대방의 손등을 경기대의 터치패드에 닿게 하거나, 터치패드보다 아래로 내린 쪽이 승자가 되며, 시간 제한은 없다.
경기 중에는 파울이 존재하며, 파울을 두 번 받은 경기자는 패배로 간주된다. 파울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3. 3. 체급
팔씨름 대회는 체급과 좌우손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된다.[22] 대부분의 선수가 오른손잡이이기 때문에, 오른손잡이 경기가 왼손잡이 경기보다 더 흔하고 더 권위 있다.[22]
경기는 체중별 클래스로 나누어 좌우 팔 모두 진행된다. 심판은 주심, 부심 2명으로 구성된다.[22] 경기대 앞에 서서 서로 일례하고, 경기에 사용하지 않는 손으로 그립바를 잡는다. 경기 시작 전에는 자신의 가슴이 상대방을 향하도록 자세를 취하고, 손목을 굽히지 않고 손등부터 전완까지 수평이 되도록 잡는다. 상대와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첫 번째 마디가 보이지 않아야 하며, 서로 잡은 손에서 주먹 하나 분량만큼 얼굴에서 떨어뜨려야 한다.
이러한 준비 동작이 오랜 시간 결정되지 않을 경우, 심판의 주도하에 준비 동작이 진행된다. 서로의 잡은 손이 공정하다고 판단되면, 심판이 "스톱"이라고 외치고, 경기자는 잡은 손을 움직일 수 없다. 경기는 심판의 "고" 신호로 시작하고, "스톱", "위너"라는 소리로 끝난다. 상대방의 손등을 경기대의 터치패드에 닿게 하거나, 터치패드보다 아래로 내린 쪽이 승자가 된다. 시간 제한은 없다.
경기 중에 잡은 손이 미끄러져 풀린 경우, 심판의 주도하에 스트랩이라는 띠로 서로의 손을 잡은 상태로 고정하여 다시 경기를 진행한다. 경기에는 파울을 두어, 파울을 두 번 받은 경기자는 패배로 간주한다.
다음은 파울에 해당한다.
4. 팔씨름 기술
팔씨름의 세 가지 주요 기술은 "후크", "탑롤", "프레스"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 안에는 많은 동작이 있지만, 모든 팔씨름 경기는 이 세 가지 기술 중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23]
'''후크'''(혹은 "후킹")는 팔씨름의 "내부" 기술[24]로, 경기자는 손목을 아래팔 쪽으로 감싸 쥐고, 손과 아래팔을 회외시키면서 상대를 자신 쪽으로 당긴다. 경기자는 손과 팔의 위치를 조합하여 상대의 지렛대 작용을 줄이고 핀 패드 쪽으로 이동하여 제어권을 확보한다. 후크는 탑롤과 달리[25] 손 제어나 기술보다는 손목 압력과 팔의 힘, 특히 이두박근에 크게 의존한다.
'''탑롤'''(Toproll)은 "아웃사이드" 암레슬링 스타일로, 손과 아랫팔을 회외시켜 손목 압력을 상대방에게 가하는 기술이다.[26] 상대방의 손을 제어하기 위해 뒤로, 옆으로 당기면서 경쟁자의 팔은 꽉 찬 각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기는 쪽으로 몸을 움직이고, 경쟁하지 않는 다리는 추진력을 생성하기 위해 구부린다. 목표는 상대방의 손목을 열어 취약한 위치로 몰아넣은 후 핀을 확보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탑롤은 들기, 회외, 그리고 뒤쪽 압력 움직임의 힘에 크게 의존한다.[27] [28]
'''프레스'''(또는 "플롭 리스트 프레스", "트라이셉스 프레스")는 경기자가 자신의 팔 뒤쪽에 몸을 위치시켜 어깨, 가슴, 삼두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손과 팔을 핀 패드에 누르는 아웃사이드 스타일이다.[29][30] 효과적인 프레스는 힙과 비경쟁 다리의 적절한 정렬을 통해 핀을 막지 않도록 해야 한다.[29] 이 기술은 종종 상대방을 제압하기 위해 중립적이거나 유리한 위치에서 사용된다.[29][30] 초보자는 팔꿈치 건에 무리가 갈 수 있고 잘못 사용하면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프레스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29][30] 프레스는 후크 또는 톱롤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30]
'''기타 기술'''
"컵핑(cupping)"은 손과 손목을 안쪽 팔 쪽으로 구부리는 것을 말한다.[31] 컵핑은 전완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손목을 뒤로 젖히고 사용 가능한 지렛대를 감소시킨다. 이 동작에서의 힘은 후크를 구사할 때 성공의 중요한 요소이다.[32]
''프로네이션(Pronation)''은 손바닥, 손목, 그리고 아래팔을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말한다. [33] 이 동작은 상대방에게 손의 압력을 가하여 손가락을 벌리고, 손목을 뒤로 젖히고, 관절기를 걸기 위한 준비를 하게 만든다. 이 동작의 힘은 탑롤링(toprolling)에 중요하다. [34]
손의 ''회외''는 손바닥, 손목, 그리고 전완의 위쪽 회전을 포함한다. [35] 경쟁자는 종종 팔의 아래쪽 움직임과 함께 이 동작을 사용한다. 강한 회외는 후크 동작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다. [36]
"라이징(Rising)"은 손바닥 면에서 손의 방사 편위를 포함한다. [37] 이 동작은 경쟁자가 손목을 들어 상대방에게 압력을 가하고 불리한 위치로 몰아넣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탑롤링은 라이징 동작의 힘을 활용한다. [38][39]
''측압''은 흉근, 내회전근 및 전신 움직임의 등척성 수축을 통해 상대방의 손에 힘을 가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테이블을 가로질러 핀 패드를 향해 측면으로 힘을 가한다.[40]
"백 프레셔"는 등 근육(주로 광배근)과 이두근의 수축을 통해 힘을 발생시켜 상대 선수를 테이블 너머로 경쟁 선수 쪽으로 당기는 것을 포함한다. 이 동작은 상대 선수의 팔꿈치 각도를 증가시키고 상대 선수의 지렛대 작용을 제한하는 동시에 경쟁 선수의 팔꿈치 각도를 신체에 대한 상대적인 각도로 줄인다.[41]
"포스팅(Posting)"은 상대 선수의 팔을 들어 올리면서 전완에 위쪽으로 압력을 가하는 동작으로, 상대 선수의 전완이 팔꿈치 패드에 수직이 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스팅은 종종 탑롤(toproll)에서 후크(hook)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으로 사용된다.[42] [43]
4. 1. 훅 (Hook)
후크(혹은 "후킹")는 팔씨름의 "내부" 기술[24]로, 경기자는 손목을 아래팔 쪽으로 감싸 쥐고, 손과 아래팔을 회외시키면서 상대를 자신 쪽으로 당긴다. 경기자는 손과 팔의 위치를 조합하여 상대의 지렛대 작용을 줄이고 핀 패드 쪽으로 이동하여 제어권을 확보한다. 후크는 탑롤과 달리[25] 손 제어나 기술보다는 손목 압력과 팔의 힘, 특히 이두박근에 크게 의존한다.
4. 2. 탑롤 (Toproll)
탑롤(Toproll)은 "아웃사이드" 암레슬링 스타일로, 손과 아랫팔을 회외시켜 손목 압력을 상대방에게 가하는 기술이다.[26] 상대방의 손을 제어하기 위해 뒤로, 옆으로 당기면서 경쟁자의 팔은 꽉 찬 각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기는 쪽으로 몸을 움직이고, 경쟁하지 않는 다리는 추진력을 생성하기 위해 구부린다. 목표는 상대방의 손목을 열어 취약한 위치로 몰아넣은 후 핀을 확보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탑롤은 들기, 회외, 그리고 뒤쪽 압력 움직임의 힘에 크게 의존한다.[27] [28]4. 3. 프레스 (Press)
프레스(또는 "플롭 리스트 프레스", "트라이셉스 프레스")는 경기자가 자신의 팔 뒤쪽에 몸을 위치시켜 어깨, 가슴, 삼두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손과 팔을 핀 패드에 누르는 아웃사이드 스타일이다.[29][30] 효과적인 프레스는 힙과 비경쟁 다리의 적절한 정렬을 통해 핀을 막지 않도록 해야 한다.[29] 이 기술은 종종 상대방을 제압하기 위해 중립적이거나 유리한 위치에서 사용된다.[29][30] 초보자는 팔꿈치 건에 무리가 갈 수 있고 잘못 사용하면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프레스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29][30] 프레스는 후크 또는 톱롤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30]4. 4. 기타 기술
"컵핑(cupping)"은 손과 손목을 안쪽 팔 쪽으로 구부리는 것을 말한다.[31] 컵핑은 전완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손목을 뒤로 젖히고 사용 가능한 지렛대를 감소시킨다. 이 동작에서의 힘은 후크를 구사할 때 성공의 중요한 요소이다.[32]''프로네이션(Pronation)''은 손바닥, 손목, 그리고 아래팔을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말한다. [33] 이 동작은 상대방에게 손의 압력을 가하여 손가락을 벌리고, 손목을 뒤로 젖히고, 관절기를 걸기 위한 준비를 하게 만든다. 이 동작의 힘은 탑롤링(toprolling)에 중요하다. [34]
손의 ''회외''는 손바닥, 손목, 그리고 전완의 위쪽 회전을 포함한다. [35] 경쟁자는 종종 팔의 아래쪽 움직임과 함께 이 동작을 사용한다. 강한 회외는 후크 동작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다. [36]
"라이징(Rising)"은 손바닥 면에서 손의 방사 편위를 포함한다. [37] 이 동작은 경쟁자가 손목을 들어 상대방에게 압력을 가하고 불리한 위치로 몰아넣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탑롤링은 라이징 동작의 힘을 활용한다. [38][39]
''측압''은 흉근, 내회전근 및 전신 움직임의 등척성 수축을 통해 상대방의 손에 힘을 가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테이블을 가로질러 핀 패드를 향해 측면으로 힘을 가한다.[40]
"백 프레셔"는 등 근육(주로 광배근)과 이두근의 수축을 통해 힘을 발생시켜 상대 선수를 테이블 너머로 경쟁 선수 쪽으로 당기는 것을 포함한다. 이 동작은 상대 선수의 팔꿈치 각도를 증가시키고 상대 선수의 지렛대 작용을 제한하는 동시에 경쟁 선수의 팔꿈치 각도를 신체에 대한 상대적인 각도로 줄인다.[41]
"포스팅(Posting)"은 상대 선수의 팔을 들어 올리면서 전완에 위쪽으로 압력을 가하는 동작으로, 상대 선수의 전완이 팔꿈치 패드에 수직이 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스팅은 종종 탑롤(toproll)에서 후크(hook)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으로 사용된다.[42] [43]
5. 훈련
팔씨름에 대한 효과적인 훈련 방법을 둘러싼 논쟁이 상당한데, 이는 이 스포츠에 특화된 경험적 연구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44] 대부분의 팔씨름 선수들은 시행착오를 통해 동료들로부터 통찰력을 얻어 자신에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결정한다. 근력 훈련은 일반적으로 팔씨름 동작에 특화된 체육관 운동의 형태를 취하며, 기술은 팔씨름 테이블에서의 연습 시간(흔히 "테이블 시간"이라고 함)을 통해 얻어진다. 테이블 훈련과 근력 훈련 중 어느 것이 팔씨름 근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의견 일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두 가지 모두 중요하다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있다.[45] [46]
팔씨름은 발끝부터 머리까지 전신을 사용하는 운동으로, 파워, 테크닉, 타이밍의 세 가지 요소를 갖춘 경기이다. 팔 길이와 손 크기, 손목의 지구력과 유연성, 악력, 반응 속도 등은 경기에 유리한 요소이지만, 특히 파워(순간 최대 발생 토크)를 발생시키는 속도, 즉 순발력이 승패를 크게 좌우하는 경기이며, 승리하기 위해서는 웨이트 트레이닝이 효과적이다. 특히 "당기는 힘"이 중요시되기 때문에, 팔씨름 실력을 향상시키려면 "당기는 힘"과 관련된 근육을 종합적으로 단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팔씨름 선수는 "손목", "팔", "등" 그리고 팔과 등을 연결하는 "어깨"를 중점적으로 단련한다.
참고로, 상대방의 팔 모양을 무너뜨려 힘 전달을 방해하고 쉽게 이기도록 하는 테크닉도 존재하며, 단순히 근육을 단련하는 것뿐만 아니라 駆け引き(승부수)도 필요하다.
5. 1. 근력 운동
암레슬링에 흔히 사용되는 운동으로는 바이셉 컬, 해머 컬, 손목 컬, 로우, 풀업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운동들은 상대방에 대한 전체적인 당기는 힘과 압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47] 푸시 운동은 부차적이지만, 벤치 프레스와 측면 압력(JM 프레스)과 같은 기술 및 동작을 강화하는 데에는 유용하다.[47]팔씨름은 전신을 사용하는 운동으로, 파워, 테크닉, 타이밍의 세 가지 요소가 중요하다. 팔 길이, 손 크기, 손목의 지구력 및 유연성, 악력, 반응 속도 등은 경기에 유리하게 작용하지만, 특히 순발력이 승패를 크게 좌우하며, 웨이트 트레이닝이 효과적이다. 특히 "당기는 힘"이 중요하므로, 팔씨름 실력 향상을 위해서는 "손목", "팔", "등", 그리고 팔과 등을 연결하는 "어깨"를 중점적으로 단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상대방의 팔 모양을 무너뜨려 힘 전달을 방해하고 쉽게 이기도록 하는 테크닉도 존재하며, 단순히 근육을 단련하는 것뿐만 아니라 승부수도 필요하다.
5. 2. 기술 훈련
대부분의 기술 훈련은 테이블 훈련(table time)의 형태를 취한다. 테이블 훈련은 종종 암 레슬링 테이블에서 다양한 시작 자세와 시나리오로부터 시작하여 레크리에이션 매치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다양한 상대와 스타일을 상대로 전략과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테이블 훈련 전략과 시나리오에는 지구력 훈련, 정지 반복 훈련, 스트랩 훈련, "준비 시작"(ready go) 훈련 및 속도 훈련이 포함될 수 있다.팔씨름은 발끝부터 머리까지 전신을 사용하는 운동으로, 파워, 테크닉, 타이밍의 세 가지 요소를 갖춘 경기이다. 팔 길이와 손 크기, 손목의 지구력과 유연성, 악력, 반응 속도 등은 경기에 유리한 요소이지만, 특히 파워(순간 최대 발생 토크)를 발생시키는 속도, 즉 순발력이 승패를 크게 좌우하는 경기이며, 승리하기 위해서는 웨이트 트레이닝이 효과적이다. 특히 "당기는 힘"이 중요시되기 때문에, 팔씨름 실력을 향상시키려면 "당기는 힘"과 관련된 근육을 종합적으로 단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팔씨름 선수는 "손목", "팔", "등" 그리고 팔과 등을 연결하는 "어깨"를 중점적으로 단련한다.
상대방의 팔 모양을 무너뜨려 힘 전달을 방해하고 쉽게 이기도록 하는 테크닉도 존재하며, 단순히 근육을 단련하는 것뿐만 아니라 駆け引き(승부수)도 필요하다.
5. 3. 장비
정식 팔씨름 대회에 사용되는 테이블에는 팔꿈치 패드(elbow pads), 핀 패드(pin pads), 그리고 손잡이(hand pegs)가 포함되어 있다.[48] 팔꿈치 패드는 경기 내내 선수의 팔꿈치가 있어야 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핀 패드는 상대방의 손이 핀으로 간주되기 전에 도달해야 하는 높이를 나타낸다. 손잡이는 비경기용 팔로 잡고 추가적인 지렛대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테이블의 치수는 대회의 주최 기관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항상 팔꿈치 패드와 핀 패드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져 있으며 대칭적이다. 일반적인 덤벨과 바벨 외에도, 팔씨름 선수들은 팔씨름의 각도와 긴장감을 더욱 정확하게 재현하기 위해 저항 밴드, 스트랩, 무술 벨트, 그리고 특수 손잡이가 달린 케이블 시스템을 자주 사용한다.[48] 팔씨름 선수들은 종종 자신만의 특수 장비를 제작하기도 한다.[49]6. 위험성
팔씨름은 상체에 상당한 회전 토크가 필요한 스포츠로, 상완골 골절, 견관절 탈구, 연조직 손상 및 신경 손상 등 다양한 부상 위험이 있다.[50] [51] 이러한 부상은 주로 초보자나 힘 차이가 큰 선수들 사이에서 발생하며, 경험 부족이나 우위를 유지하지 못해 위험한 자세로 이어질 때 흔하다. 경험 많은 선수가 적절한 컨디셔닝과 지식을 갖추고 시합이나 연습에 참여하면 부상 위험이 낮다.[50] 대부분의 부상자는 적절한 치료를 통해 완전히 회복한다.[51]
가장 흔한 골절은 상완골 나선형 골절이며, 특히 아마추어 선수의 우세한 팔에서 자주 발생한다. 이 골절은 회복 시간이 길고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어깨를 안쪽으로 회전시키는 경우(프레스처럼) 손 뒤쪽으로 움직이기 전에 골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이러한 자세를 '팔 부러짐' 자세라고 한다. 초보자는 팔에서 어깨가 멀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시합 중 자신의 손과 시선 접촉을 유지해야 한다.
7. 단체
1977년에 발족하여 82개국[60]이 가입한 세계 암레슬링 연맹(WAF)과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2019년에 발족한 국제 암레슬링 연맹(IFA)의 두 연맹이 세계 대회를 총괄하는 국제 기구이다.
일본에서는 1977년 '''일본 암레슬링 연맹'''(Japan Armwrestling Association, '''JAWA''')이 발족했다. 암레슬링을 경기로 운영하는 일본 유일의 단체였으나, 2002년경 '''JAWA'''의 체제에 반발한 일부 도장과 유력 선수들이 탈퇴하여 2003년 1월 '''올재팬 암레슬링 연맹'''(All Japan Armwrestling Federation, '''AJAF''')을 설립했다. 이후 양 단체는 각자 독자적인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JAWA'''는 다른 단체에 선수 등록을 한 선수의 대회 출전을 일절 허용하지 않고 있으며[54][55], 현재 양 단체는 단절 상태에 있다.
2017년 「에히메 국체」의 시범 종목으로 팔씨름이 실시되어 위상이 향상되었고, 관계자들은 향후 국체의 정식 종목 채택도 기대하고 있다.[56] 정식 종목 채택에는 일본 스포츠 협회 가입이 필요하지만, 현재 팔씨름 국내 단체는 분열 상태이며 운영 조직도 취약하여 기본적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스모, 레슬링, 역도 등 학생 스포츠나 올림픽 종목은 국체의 정식 종목이 되고 있지만, 파워리프팅[57] 및 줄다리기[58] 등 일반적인 인지도가 높고 공익사단법인화된 경기도 「공개 경기」로 되어 있으며,[59] 도도부현 대항(천황배·황후배)의 득점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 팔씨름은 「공개 경기」보다 한 단계 아래인 「시범 종목」이며, 취미 애호가들끼리의 발표회 정도의 취급을 받고 있어, 위상 향상과 선수 및 관계자들의 바람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통합 단체의 일원화, 국내 지부 조직의 정비, 향후 보급 및 발전성이 기대된다.
(참고: 위의 내용은 일본의 상황을 설명하고 있으며, 한국의 팔씨름 단체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한국의 상황에 맞는 내용으로 수정하거나, 한국 관련 정보가 없음을 명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7. 1. 국제 단체
1977년에 발족하여 82개국[60]이 가입한 세계 암레슬링 연맹(WAF)과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2019년에 발족한 국제 암레슬링 연맹(IFA)의 두 연맹이 세계 대회를 총괄하는 국제 기구이다.7. 2. 국내 단체
2017년 「에히메 국체」의 시범 종목으로 팔씨름이 실시되어 위상이 향상되었고, 관계자들은 향후 국체의 정식 종목 채택도 기대하고 있다.[56] 정식 종목 채택에는 일본 스포츠 협회 가입이 필요하지만, 현재 팔씨름 국내 단체는 분열 상태이며 운영 조직도 취약하여 기본적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스모, 레슬링, 역도 등 학생 스포츠나 올림픽 종목은 국체의 정식 종목이 되고 있지만, 파워리프팅[57] 및 줄다리기[58] 등 일반적인 인지도가 높고 공익사단법인화된 경기도 「공개 경기」로 되어 있으며,[59] 도도부현 대항(천황배·황후배)의 득점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 팔씨름은 「공개 경기」보다 한 단계 아래인 「시범 종목」이며, 취미 애호가들끼리의 발표회 정도의 취급을 받고 있어, 위상 향상과 선수 및 관계자들의 바람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통합 단체의 일원화, 국내 지부 조직의 정비, 향후 보급 및 발전성이 기대된다.8. 한국의 팔씨름
9. 유명 선수
- 후쿠시마 요시나리 - 연예계에서 손꼽히는 괴력의 소유자로, 나카야마 킨니군과 코스기 류이치에게 팔씨름으로 승리했다. K-1 파이터 피터 그레이엄과 키타 타이키에게는 패했지만, 마사토와 프로레슬러 나카지마 카츠히코에게는 이긴 경험이 있다.
- 바비 오로곤 - 전 K-1 파이터 출신의 탤런트. 2011년 1월 4일 후지테레비 계열에서 방송된 「연예계 특기왕 결정전 TEPPEN 팔씨름 부문」에서 우승했다.
- 안토키노 이노키 - 안토니오 이노키를 흉내내는 성대모사 탤런트. 같은 대회에서 전직 스모 선수였던 HIRO를 꺾고 결승에 진출, 바비 오로곤에게 패배하여 준우승을 기록했다.
- HIRO - 전 대상합 스모 선수 출신의 개그맨. 같은 대회에서 4강에 진출했다.
- 패션 야라 - 고등학교 시절 원반던지기로 오키나와현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고, 대학교 시절에는 벤치프레스 160kg을 들어 올렸다. 같은 대회에서 4강에 진출했다.
- 스콧 노턴 - 전 팔씨름 세계 챔피언 출신의 프로레슬러.
- 앨런 카라예프 - 전 팔씨름 세계 챔피언 출신의 격투가.[61]
- 게리 굿리지 - 종합격투기로 전향한 전 팔씨름 세계 챔피언.
- 야마다 요코 - 전일본 팔씨름 선수권 대회에서 일본 최다인 11연패를 기록한 종합격투가.
- 니시가와 와타루 - 제26회 세계 팔씨름 선수권 대회 2005 시니어 오른손 86kg급, 제39회 세계 팔씨름 선수권 대회 2017 마스터즈 오른손 80kg급 우승. 현재, BreakingDown 5 등 격투기 대회에도 출전하고 있다.
- 오모리 유키 - 전 팔씨름 일본 챔피언. 118kg의 덤벨을 들어 올릴 수 있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당시 팔씨름 실력이 각계에서 최고라고 불렸던 무사시마루(당시 대관)와 대결, 3전 2선승제 방식으로 2승 1패로 승리했다.
- 카나이 요시노부 - 팔씨름 세계 챔피언. 2012년 일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밥 샙과 대결하여 압도적인 강함으로 승리했다. 2016년 6월 JAF일본 팔씨름 연맹이 주최하는 재팬 오픈 팔씨름 선수권 센다이 대회에서 세계에서 역사상 최강의 팔씨름 선수로 알려진 존 브르젠크(미국)와 이벤트 매치를 벌여 접전 끝에 승리했다.
- 오오쿠마 코코로 - 절대 직구 여자! 플레이볼즈. 규우농 페스 팔씨름 대회 2019 우승.[62]
- 사카이 히토미 - TIAC 아이돌 팔씨름 2017 우승. TIF 팔씨름 대회 2017 우승.[63]
- 와카마메 토모미 - 하코이리▽무스메. TIF 팔씨름 대회 2018, 2019 우승.[64]
10. 일반인의 팔씨름과 전문 팔씨름의 차이
일반인들은 암레슬링(Arm wrestling)과 팔씨름이 비슷하다고 생각하거나 영어를 일본어로 번역한 것으로 오해하기도 하지만, 정식 규칙을 살펴보면 두 종목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팔씨름이 강하다고 해서 암레슬링도 강한 것은 아니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본팔씨름협회'''가 주관하는 팔씨름 대회의 경기 규칙은 팔꿈치가 경기대 표면을 앞뒤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손등이 닿을 때까지 패배로 인정되지 않는 등 암레슬링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일반인들이 하는 팔씨름은 규칙이 정해져 있지 않고, 그때그때 임의로 정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손등이 테이블에 닿으면 패배", "팔이 일정 높이 이상 넘어가면 패배", "손목을 감으면 반칙", "체중을 실으면 반칙" 등 참가자마다 규칙이 다르다. 이는 공식 규칙이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일반인들이 팔씨름이나 암레슬링 경기를 잘 모르기 때문이다.
손목을 감는 것이 반칙인지에 대한 논쟁도 잦은데, 이는 손을 맞잡고 팔을 밀어 누르는 동작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다. 손목 관절은 필연적으로 영향을 줄 수밖에 없으므로, "손목을 감는 것은 반칙이다"라는 주장은 논의 대상에서 벗어난다. 팔 근육만으로 팔씨름을 하고 싶다면, 손목 아래쪽을 서로 맞대어 손목 관절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팔꿈치 관절을 움직이는 근육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광배근 등 다른 근육과 팔 길이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으므로, "팔 근육에만 의존한 팔씨름"은 존재하지 않는다.
11. 같이 보기
참조
[1]
학술지
(Arm) Wrestling with Masculinity: Television, Toughness, and the Touch of Another Man's Hand
https://journals.sag[...]
2024-11-22
[2]
웹사이트
Early Origins of Armwrestling
https://www.thearmwr[...]
2022-11-08
[3]
학술지
Hawaiian Games
https://books.google[...]
2022-11-08
[4]
서적
Native New Yorkers: The Legacy of the Algonquin People of New York
https://books.google[...]
Council Oak Books
2002
[5]
잡지
Indian Camping
https://books.google[...]
Boy Scouts of America
1957
[6]
웹사이트
Indian Arm Wrestling
https://www.facebook[...]
Facebook
2022-11-08
[7]
서적
Annual Report of the Boy Scouts of America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2-11-09
[8]
잡지
Hiking with Green Bar Bill
https://books.google[...]
Boy Scouts of America
2022-11-08
[9]
서적
The New Round Table: The Order of the Knights of King Arthur and Its Affiliated Societies
https://books.google[...]
The Knight of King Arthur
2022-11-09
[1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World's Wristwrestling Championship - Part One
https://www.thearmwr[...]
2024-11-22
[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World's Wristwrestling Championship - Part Two
https://www.thearmwr[...]
2024-11-22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Federation of Armwrestling (IFA)
https://armsportfede[...]
2024-10-13
[13]
웹사이트
WORLD ARMWRESTLING FEDERATION (WAF)
http://www.waf-armwr[...]
2024-10-13
[14]
웹사이트
World Armwrestling League
https://www.walunder[...]
2024-10-13
[15]
웹사이트
Arm Wrestling King of the Table 13 Debuts Saturday in AC
https://www.rantspor[...]
2024-12-17
[16]
웹사이트
2022 WAF Rules
https://www.waf-armw[...]
2024-12-19
[17]
웹사이트
2022 IFA Rules
https://armsportfede[...]
2024-12-19
[18]
웹사이트
2022 WAF Rules
https://www.waf-armw[...]
2024-12-19
[19]
웹사이트
2022 IFA Rules
https://armsportfede[...]
2024-12-19
[20]
웹사이트
2022 WAF Rules
https://www.waf-armw[...]
2024-12-19
[21]
웹사이트
2022 IFA Rules
https://armsportfede[...]
2024-12-19
[22]
웹사이트
WAF/USAF Armwrestling Rules
http://armwrestling.[...]
2008-03-19
[23]
서적
Strong Arm Tactics: Training And Technique In Competitive Armwrestling
John Henry Printing
[24]
웹사이트
Basic armwrestling moves
http://obaranje-ruke[...]
2021-08-08
[25]
서적
Strong Arm Tactics: Training And Technique In Competitive Armwrestling
John Henry Printing
[26]
웹사이트
Basic armwrestling moves
http://obaranje-ruke[...]
2021-08-08
[27]
서적
Strong Arm Tactics: Training And Technique In Competitive Armwrestling
John Henry Printing
[28]
웹사이트
Arm Wrestling Techniques (Demonstrated & Explained)
https://armwrestling[...]
2024-12-13
[29]
웹사이트
Basic armwrestling moves
http://obaranje-ruke[...]
2021-08-08
[30]
서적
Strong Arm Tactics: Training And Technique In Competitive Armwrestling
John Henry Printing
[31]
서적
Textbook of Physical Diagnosis: History and Examination
https://archive.org/[...]
Saunders/Elsevier
2010
[32]
학술지
Armwrestling skills ranking model strength test rates for key muscle groups
https://cyberleninka[...]
2024-12-12
[33]
학술지
Pronation and supination of the hand: Anatomy and biomechanics
https://pubmed.ncbi.[...]
2024-12-12
[34]
학술지
Armwrestling skills ranking model strength test rates for key muscle groups
https://cyberleninka[...]
2024-12-12
[35]
학술지
Pronation and supination of the hand: Anatomy and biomechanics
https://pubmed.ncbi.[...]
2024-12-12
[36]
논문
Armwrestling skills ranking model strength test rates for key muscle groups
https://cyberleninka[...]
2024-12-12
[37]
서적
Anatomy and Physiology
https://courses.lume[...]
OpenStax
[38]
서적
Strong Arm Tactics: Training And Technique In Competitive Armwrestling
John Henry Printing
[39]
논문
Armwrestling skills ranking model strength test rates for key muscle groups
https://cyberleninka[...]
2024-12-12
[40]
서적
Strong Arm Tactics: Training And Technique In Competitive Armwrestling
John Henry Printing
[41]
웹사이트
Arm Wrestling Moves
http://indianarmwres[...]
2024-12-17
[42]
서적
Strong Arm Tactics: Training And Technique In Competitive Armwrestling
John Henry Printing
[43]
웹사이트
Arm Wrestling Techniques (Demonstrated & Explained)
https://armwrestling[...]
2024-12-13
[44]
서적
Strong Arm Tactics: Training And Technique In Competitive Armwrestling
John Henry Printing
[45]
서적
Strong Arm Tactics: Training And Technique In Competitive Armwrestling
John Henry Printing
[46]
뉴스
Hands On: Carter trains hard to win at arm wrestling
https://books.google[...]
2024-12-19
[47]
웹사이트
Arm Wrestling Training Program – For Beginners (2023)
https://armwrestling[...]
2024-12-18
[48]
웹사이트
Arm Wrestling Training Program – For Beginners (2023)
https://armwrestling[...]
2024-12-18
[49]
뉴스
Hands On: Carter trains hard to win at arm wrestling
https://books.google[...]
2024-12-19
[50]
논문
Broken arm wrestler
https://bjsm.bmj.com[...]
2021-08-08
[51]
논문
An unusual injury pattern: arm wrestling injury, treatment modalities, clinical outcomes, and return to sport
Ulus Travma Acil Cerrahi Derg
2023-06-05
[52]
논문
(Arm) Wrestling with Masculinity: Television, Toughness, and the Touch of Another Man's Hand
https://journals.sag[...]
2024-11-22
[53]
웹사이트
アームレスリング
https://www.pref.ehi[...]
愛媛県
2021-03-01
[54]
웹사이트
日本アームレスリング連盟HP 連盟のご紹介7行目
[55]
웹사이트
オールジャパンアームレスリング連盟公式競技規約 第3章出場資格第3条
[56]
웹사이트
国体諸規程 国民体育大会における実施競技について
https://www.japan-sp[...]
[57]
웹사이트
公益社団法人日本パワーリフティング協会HP
http://www.jpa-power[...]
2017-11-18
[58]
웹사이트
公益社団法人日本綱引連盟HP
http://www.tsunahiki[...]
2017-11-18
[59]
웹사이트
国民体育大会に関するQ&A 国民体育大会ではどんな競技が行われていますか?
https://www.japan-sp[...]
[60]
웹사이트
WAF MENBERS WAF HP
http://www.waf-armwr[...]
[61]
웹사이트
ノートンとカラエフは世界大会が日本で開催された際にちょうど来日していたため、ゲストに招かれエキシビションマッチで対戦したが決着つかず引き分けた。
[62]
웹사이트
ギュウ農フェス選抜軍がタワレコ TIF連合軍に殴り込み!?
http://gyunoufes.com[...]
2019-08-10
[63]
웹사이트
元アイドリング!!!酒井瞳 “アームレスリング王座決定戦”に乱入 実はさらに強力な援軍が! (2017年1月23日)
https://www.excite.c[...]
2019-08-10
[64]
웹사이트
【ライブレポート】「TIF2019」アイドル腕相撲、ギュウ農軍の殴り込みをTIF・タワレコ軍がガチ制圧(写真66枚)
https://natalie.mu/m[...]
2019-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