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은 독일의 군인이자 비행선 개발자이며, 1838년 콘스탄츠에서 태어나 1917년 사망했다. 그는 군 복무 중 기구 비행을 경험한 후 비행선 개발에 매진하여, 경식 비행선 개발에 성공했다. 그의 비행선은 민간 여객 운송과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폭격기로 활용되었다. 체펠린은 1900년 LZ 1의 첫 비행을 시작으로, LZ 2, LZ 3, LZ 4 개발을 거쳐 비행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이름은 항공 관련 유산에 널리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급 왕관장 (프로이센) 수훈자 - 알프레트 폰 슐리펜
    알프레트 폰 슐리펜은 독일 제국의 군인이자 프로이센 참모본부 총장으로, 프랑스 단기 점령 후 러시아를 공격하는 슐리펜 계획을 입안했지만, 헤레로 전쟁 당시 대량 학살 정책을 옹호하여 논란이 되었으며, 그의 군사 전략은 20세기 기동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2급 1870년형 철십자장 수훈자 - 콜마르 폰 데어 골츠 남작
    콜마르 폰 데어 골츠 남작은 독일 제국의 군인이자 군사 이론가로, 오스만 제국 군대의 현대화에 기여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벨기에 주둔 독일군의 군정 장관으로 논란을 일으켰고, "무장한 국민" 사상을 주창하며 근대 군사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17년의 체펠린
체펠린 (1917년)
작위백작
본명페르디난트 아돌프 하인리히 아우구스트 그라프 폰 체펠린
출생일1838년 7월 8일
사망일1917년 3월 8일
출생지콘스탄츠, 바덴 대공국 (현재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독일)
사망지샤를로텐부르크, 독일 제국
군사 경력
소속뷔르템베르크 왕국 (1855–1917)
독일 제국 (1871–1917)
군종기병
복무 기간1855-1891년
지휘 부대제19 울란
주요 참전 전투/전쟁미국 남북 전쟁
보불 전쟁
기타 정보
기타 이력독일 백작 작위자이며 발명가
서명

2. 가문과 유년 시절

체펠린은 1838년 7월 8일 보덴호에 있는 콘스탄츠에서 뷔르템베르크 왕국 장관이자 궁정 장관(Hofmarschall)이었던 프리드리히 예로메 빌헬름 카를 그라프 폰 체펠린(Friedrich Jerôme Wilhelm Karl Graf von Zeppelin, 1807–1886)과 그의 아내 아멜리 프랑수아즈 폴린(Amélie Françoise Pauline, née Macaire d'Hogguer, 1816–1852) 사이에서 태어났다.[2] 체펠린 가문은 귀족 가문이었으며, 가문의 이름을 딴 고향인 체펠린(Zepelin)은 메클렌부르크의 뷔초 근교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1863년 6월 버지니아주에서의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페르디난트는 콘스탄츠 근처 기르스베르크 저택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유모에게 교육을 받았다.[2] 이후 베를린에서 이사벨라 프라이인 폰 볼프(Isabella Freiin von Wolff)와 결혼했다. 이사벨라는 당시 리보니아 총독령에 속해 있던 라트비아 굴베네의 알트-슈바넨부르크 가문 출신이었다.[3] 둘 사이에서는 딸 헬레네(헬라) 폰 체펠린(Helene (Hella) von Zeppelin, 1879–1967)이 태어났으며, 헬레네는 1909년 알렉산더 그라프 폰 브란덴슈타인-체펠린과 결혼했다.

이사벨라 그래핀 폰 체펠린


페르디난트에게는 막스 폰 겜밍겐이라는 조카가 있었는데,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 군 복무 연령을 넘겼음에도 자원입대하여 LZ 12 작센에 배치된 참모 장교가 되었다.[4]

3. 군 경력

체펠린은 17세에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다. 1863년 미국 남북 전쟁에 참전하여 기구를 처음 접하게 되었고,[78] 이후 보불전쟁에서 무훈을 세워 1872년 장군이 되었다.[78] 1873년에는 비행선 건조를 청하는 서류를 당국에 제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체펠린 백작의 군 경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내용
1855년루드비히스부르크 육군사관학교 입학, 뷔르템베르크 왕국 육군 장교 복무 시작[2]
1858년중위 진급, 튀빙겐 유학 (과학, 공학, 화학)[5]
1859년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참전, 울름의 Ingenieurkorpsde (기술 부대) 소집[5]
1863년미국 남북 전쟁 참전 (북군 포토맥 군 관측 장교)[10], 존 스타이너와 함께 기구 비행[10][6]
1865년뷔르템베르크의 샤를 1세 부관 임명[2]
1866년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참전 (참모 장교), 뷔르템베르크 군공훈 훈장 리터크로이츠 (기사 십자훈장) 수여[2]
1870~1871년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참전 (정찰 임무)[7]
1882~1885년울름 제19 울란 연대장 역임
이후베를린 주재 뷔르템베르크 사절 임명
1890년프로이센 기병 여단장 임명, 지휘 능력 비판으로 육군 은퇴 (Generalleutnantde 중장 계급)[8]


3. 1. 초기 군 생활

1838년 7월 8일 보덴호에 있는 콘스탄츠에서 태어난 체펠린은 1853년 슈투트가르트 공과대학교에 입학했고, 1855년에는 루드비히스부르크의 육군사관학교 생도가 되어 뷔르템베르크 왕국 육군 장교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2] 1858년에는 중위로 진급했고, 같은 해 과학, 공학, 화학을 공부하기 위해 튀빙겐으로 유학을 떠났다.[5]

1859년 오스트리아-사르디니아 전쟁을 위해 뷔르템베르크가 동원되면서 그의 학업은 중단되었고, 그는 울름의 Ingenieurkorpsde (뷔르템베르크 기술 부대)에 소집되었다.[5]

1863년, 체펠린은 미국 남북 전쟁에서 북군의 포토맥 군 관측 장교로 활동하기 위해 휴가를 얻었다.[10] 이후 그는 세인트 루이스 강을 따라 미시시피 강 상류의 크로 윙, 미네소타까지 이동했다. 세인트폴에서 체펠린은 독일 태생의 기구사인 존 스타이너를 만나 8월 19일 그와 함께 최초의 비행을 했다.[10][6]

1865년, 체펠린은 뷔르템베르크 국왕의 부관으로 임명되었고, 참모 장교로서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뷔르템베르크 군공훈 훈장의 ''리터크로이츠''(기사 십자훈장)을 받았다.[2] 1870~1871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그는 정찰 임무 중 포로가 되는 것을 피했고, 이로 인해 많은 독일인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었다.[7]

1882년부터 1885년까지 체펠린은 울름 제19 울란 연대장을 역임했고, 이후 베를린 주재 뷔르템베르크 사절로 임명되었다. 1890년 그는 이 직책을 사임하고 육군 복무로 돌아가 프로이센 기병 여단장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가을 기동훈련에서 그의 지휘 능력이 심하게 비판을 받았고, 그는 Generalleutnantde (중장) 계급을 받았지만 육군에서 강제로 은퇴해야 했다.[8]

3. 2. 미국 남북 전쟁 참전

1863년, 체펠린은 미국 남북 전쟁에서 북군의 포토맥 군 관측 장교로 활동하기 위해 휴가를 얻었다.[10] 이후 그는 미국 중서부 상부 지역으로 여행을 떠났다. 아메리카 원주민 안내원의 인솔 하에, 세인트 루이스 강을 따라 미시시피 강 상류까지 이동했다.[10] 세인트폴에서 체펠린은 독일 태생의 기구사인 존 스타이너를 만나 1863년 8월 19일 최초의 비행을 했다.[10][6] 체펠린은 훗날 이때의 경험이 비행선에 대한 생각을 시작하게 된 계기라고 회고했다.[10][6]

3. 3.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및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참전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체펠린은 참모 장교로 참전하여 뷔르템베르크 군공훈 훈장의 ''리터크로이츠''(기사 십자훈장)을 받았다.[2] 1870년부터 1871년까지 발발한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는 적진 뒤에서 정찰 임무를 수행하던 중 포로가 될 뻔했으나 간신히 피했고, 이로 인해 많은 독일인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었다.[7]

1865년 뷔르템베르크 왕 카를 1세의 부관에 임명되었고,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는 참모로 종군했다. "뷔르템베르크에 대한 뛰어난 공헌"으로 훈장을 수여받았다.[61]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는 기병으로 프랑스 적진 깊숙이까지 정찰을 수행하여 독일 측에서 유명해졌다.

3. 4. 후기 군 생활

체펠린은 1858년에 중위로 진급했고, 같은 해 튀빙겐에서 과학, 공학, 화학을 공부했다. 그러나 1859년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으로 인해 학업이 중단되었고, 울름의 기술 부대에 소집되었다.[5] 1863년, 체펠린은 미국 남북 전쟁에서 북군의 포토맥 군 관측 장교로 활동하기 위해 휴가를 얻었다. 그는 미국 중서부 상부 지역을 여행하며 세인트폴에서 독일 태생의 기구사인 존 스타이너를 만나 1863년 8월 19일에 그와 함께 최초의 비행을 했다.[10][6]

1865년, 체펠린은 뷔르템베르크의 샤를 1세의 부관으로 임명되었고,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 참전하여 뷔르템베르크 군공훈 훈장의 기사 십자훈장을 받았다.[2] 1870~1871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정찰 임무 중 포로가 될 뻔했으나 간신히 피했고, 이로 인해 많은 독일인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었다.[7]

1882년부터 1885년까지 체펠린은 울름 제19 울란 연대장을 역임했고, 이후 베를린 주재 뷔르템베르크 사절로 임명되었다. 1890년 그는 이 직책을 사임하고 육군 복무로 돌아가 프로이센 기병 여단장에 임명되었으나, 1890년 가을 기동훈련에서 지휘 능력이 심하게 비판받아 Generalleutnantde (중장) 계급을 받았지만 육군에서 강제로 은퇴해야 했다.[8]

체펠린 백작의 군 경력은 다음과 같다.

진급일계급
1858년 9월 23일소위 (1871년 12월부터 차위, 1899년 1월부터 중위)
1862년 9월 22일상위 (1871년 12월부터 대위, 1899년 1월부터 상위)
1866년 3월 31일기병 대위
1873년 5월 4일소령
1880년 9월 18일중령 (1899년 1월부터 중령)
1884년 1월 12일대령
1888년 8월 4일소장
1890년 11월 18일중장 (1899년 1월부터 중장)
1905년 12월 5일기병대장 예편(Charakter als General der Kavallerie)



4. 경식 비행선 개발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은 경식 비행선 개발에 평생을 바친 인물이다. 1891년 군에서 은퇴한 후, 비행선 개발에 전념하기 시작했다.[9][13]

초기에는 기술적, 재정적 어려움과 프로이센 비행선 서비스 위원회의 설계 거부 등 여러 난관에 직면했다.[19]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연구 개발을 이어갔다.

1898년, 체펠린은 여러 기술자 및 기업들과 협력하여 '게젤샤프트 츠어 퍼더룽 데어 루프트쉬프파르트'라는 합자 회사를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비행선 개발에 착수했다.[21] 1900년에는 첫 번째 비행선인 LZ 1을 완성하고 시험 비행에 성공했지만,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했다.[27]

이후 LZ 2, LZ 3, LZ 4 등 후속 비행선을 개발하며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1908년 LZ 4의 추락 사고는 역설적으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켜 대규모 모금으로 이어졌고, 이는 체펠린의 비행선 개발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30]

이후에도 체펠린은 지속적인 개발과 시험 비행을 통해 기술적 완성도를 높여 민간 여객 운송과 군용 비행선 개발로 이어졌다.

4. 1. 초기 연구 및 설계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은 미국 남북 전쟁 당시 연방군의 공식 관측자로 복무했다.[9] 반도 작전 중 그는 태디어스 S. C. 로우의 군 복무가 종료된 직후 그의 기구 캠프를 방문했다. 그 후 체펠린은 미네소타주 세인트폴로 이동했는데, 그곳에서 독일 출신의 전직 군 기구 조종사 존 스타이너가 계류 비행을 제공했다.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서 행한 그의 첫 번째 기구 비행은 이후 그의 항공 분야에 대한 관심의 영감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체펠린의 대형 비행선에 대한 아이디어는 1874년 3월 25일 일기장에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하인리히 폰 슈테판이 "세계 우편 서비스와 항공 여행"이라는 주제로 강연한 것에 영감을 받아, 그는 자신의 비행선의 기본 원리인 여러 개의 분리된 가스백을 포함하는 크고 견고한 프레임의 외피(envelope)를 설명했다.[11] 1887년, 샤를 르나르와 아르튀르 크레브의 1884년 비행선 ''라 프랑스''의 성공은 그에게 비행선의 군사적 필요성과 이 분야에서 독일의 발전 부족에 대해 뷔르템베르크 국왕에게 편지를 보내도록 했다.[12]

1891년 군에서 사임한 후, 체펠린은 비행선에 전념했다.[9][13] 그는 엔지니어 테오도어 그로스를 고용하여 가능한 재료를 테스트하고 연료 효율과 중량 대비 출력 비율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엔진을 평가했다. 그는 또한 에어 프로펠러를 테스트하고 공급업체로부터 더 높은 순도의 수소 가스를 얻으려고 노력했다.[14] 1891년 6월, 체펠린은 자신의 개념에 대해 확신하여 뷔르템베르크 국왕의 비서에게 건설을 시작할 것이라고 편지를 썼고, 얼마 후 프로이센 육군 총참모부의 검토를 요청했다. 그 다음 날 체펠린은 공기 저항을 과소평가했다는 것을 깨닫고 거의 포기했지만,[15] 한스 바르치 폰 지그스펠트가 가볍지만 강력한 엔진을 만들었다는 소식을 듣고 작업을 재개했다. 이 정보는 곧 지나치게 낙관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자 체펠린은 그의 지지자 막스 폰 두텐호퍼에게 다임러 모토렌 겔젤샤프트에 더 효율적인 엔진을 요청하라고 촉구했다.[16] 두텐호퍼는 그로스에게 지원 철회를 위협하는 편지를 썼고, 체펠린은 그로스의 지원 부족을 이유로 그를 해고하며 "내 길에 장애물"이라고 썼다.[16]

이러한 좌절에도 불구하고 체펠린의 조직은 그의 아이디어를 개선했다. 직물 덮개로 덮인 견고한 알루미늄 프레임, 각각 자유롭게 팽창 및 수축하여 밸로네트가 필요하지 않은 여러 개의 내부 가스 셀, 섹션과 가스 셀을 추가할 수 있는 모듈식 프레임, 견고하게 부착된 제어 장치, 엔진 및 곤돌라가 그것이다. 1892년 3월, 아이디어를 발표한 후 그는 엔지니어 테오도르 코버를 고용했고, 그는 설계 테스트와 추가 개선 작업을 시작했다.[17] 체펠린은 코버의 1893년 상세 설계를 프로이센 비행선 서비스에 제출했고,[18] 그 위원회는 1894년에 이를 검토했다.[18] 1895년 6월, 위원회는 최소 자금을 지원할 것을 권장했지만, 이 제안을 철회하고 7월에 설계를 거부했다.[19]

1895년 8월, 체펠린은 "비행선 열차"로 설명되는 코버의 설계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Lenkbarer Luftfahrzug mit mehreren hintereinanderen angeordneten Tragkörpernde [여러 개의 운반체 구조가 서로 뒤에 배치된 조향 가능한 비행선 열차]).[20][21] 이 특허는 유연하게 연결된 세 개의 견고한 섹션으로 구성된 비행선을 설명한다. 승무원과 엔진을 수용하기 위한 전면 섹션은 길이 117.35m이고 가스 용량은 9514 m3이다. 중간 섹션은 길이 16m이고 의도된 유용 하중은 599kg이며, 후면 섹션은 길이 39.93m이고 의도된 하중은 1996kg이다.[22]

1896년 초, 독일 기술자 협회 (VDI)에 대한 조향식 비행선 설계에 대한 체펠린의 강연은 그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어 VDI는 그를 위한 재정 지원을 위한 공개 호소를 시작했다.[21] 이는 체펠린이 테스트한 알루미늄 합금을 공급한 카를 베르크와의 첫 접촉으로 이어졌고, 1898년 5월까지 그들은 필립 홀츠만,[23] 다임러, 막스 폰 아이트, 칼 폰 린데, 그리고 프리드리히 포이트와 함께 합자 회사 ''게젤샤프트 츠어 퍼더룽 데어 루프트쉬프파르트''를 설립했다.[21] 체펠린은 총 자본의 절반 이상인 44만 마르크를 투자했다.[21][23] 그 후 첫 번째 성공적인 강체 비행선인 체펠린 LZ1의 건설이 시작되었다.

베르크의 프로젝트 참여는 나중에 체펠린이 1897년 다비드 슈바르츠의 비행선의 특허와 설계를 사용했다는 주장으로 이어졌지만, 1938년 후고 에케너가 부인했고,[25] 후대의 역사가들도 거부했다. 체펠린의 설계는 규모와 프레임 모두에서 슈바르츠의 설계와 "근본적으로 달랐다".[26]

4. 2. LZ 1 개발과 초기 시험 비행

체펠린은 1899년에 최초의 비행선을 만들기 시작했다. 1893년, 체펠린은 설계도를 당국에 제출했지만, 검토 위원들은 "금속 뼈대로 된 것은 하늘에 뜰 수가 없고 뜬다고 해도 너무 크기 때문에 움직일 수 없다"는 이유로 기각했다.[78]

체펠린은 결국 자비로 비행선을 만들었다. 격납고를 만들 땅이 없었기 때문에 보덴 호의 수면에 만들었다. 1900년 7월 2일, 길이 128m의 루프트쉽 체펠린 1호(통칭 LZ 1)가 완성되었다.

LZ 1의 첫 비행


1900년 7월 2일, 체펠린은 독일 남부 프리드리히샤펜 근처 보덴 호 위에서 LZ 1로 첫 비행을 했다. 비행선은 지상에서 상승하여 20분 동안 공중에 머물렀지만 착륙 시 손상되었다. 수리와 약간의 수정 후 1900년 10월에 LZ 1은 두 번 더 비행했지만, 비행선은 정부의 투자를 정당화할 만큼 성공적이지 못했고, 실험으로 체펠린 백작의 자금이 고갈되어 그는 작업을 중단해야 했다.[27] 비행 15분 후, 비행선이 부러졌다. 수리 이후 다시 비행했으나, 두 번째 비행에서는 공중에서 엔진이 멈췄다. 자금이 부족해진 체펠린은 결국 LZ 1을 해체하여 모두 팔 수밖에 없었다.[78]

4. 3. LZ 2, LZ 3, LZ 4 개발과 성공

1900년 7월 2일, 체펠린은 독일 남부 프리드리히샤펜 근처 보덴 호 위에서 LZ 1로 첫 비행을 했다. 비행선은 지상에서 상승하여 20분 동안 공중에 머물렀지만 착륙 시 손상되었다.[27] 수리와 약간의 수정 후 1900년 10월에 LZ 1은 두 번 더 비행했지만, 정부의 투자를 받기에는 부족했고, 체펠린 백작의 자금도 고갈되어 작업을 중단해야 했다.[27]

체펠린은 뷔르템베르크 국왕의 지원을 받아 12만 4천 마르크를 모금하는 국가 복권을 승인받았다. 프로이센에서 5만 마르크를 지원받았고, 체펠린은 아내의 재산을 저당 잡아 나머지 돈을 마련했다. 다임러와 카를 베르크의 지원을 받아, 1905년 4월에 두 번째 비행선인 LZ 2 건설을 시작했다. 11월 30일에 완성되어 격납고에서 나왔지만, 지상 취급 실수로 선수가 물에 빠져 전방 조종면이 손상되었다. 1906년 1월 17일에 수리가 완료되었고, LZ 2는 단 한 번 비행했다. 이륙 시 너무 많은 밸러스트를 투하하여 비행선이 427m 고도로 상승했다. 강한 바람을 만났고, 처음에는 극복했지만, 냉각 문제로 전방 엔진이 고장나고 클러치 스프링 문제로 다른 엔진도 고장나면서 비행선은 바람에 맡겨졌다. 알고이 산맥의 키슬레크 근처에 떨어졌고, 계류 중 선미가 나무에 부딪혀 약간 손상되었지만, 다음 날 밤 강풍으로 인해 크게 손상되어 해체해야 했다.[28]

1906년 5월, 세 번째 비행선인 LZ 3의 작업이 시작되었다. LZ 2와 크기, 구성은 같았지만 가스 용량이 더 컸다. 연말까지 완성되어 30mph의 속도로 두 번의 성공적인 비행을 했고, 1907년에는 36mph의 속도에 도달했다.[9] LZ 3의 성공으로 그의 작업에 대한 공식적인 태도가 바뀌었고, 국회는 50만 마르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29] 그러나 정부는 24시간 시험 비행을 성공해야 비행선을 구매하겠다는 조건을 걸었다. LZ 3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체펠린은 더 큰 비행선인 LZ 4를 만들기 시작했다. LZ4는 1908년 6월 20일에 처음 비행했다.

불타고 뼈대만 남은 LZ 4


에히터딩겐에서 폭풍우 중 계류에서 풀려 화재로 LZ 4가 파괴된 후에야 재정적 돌파구가 마련되었다. 초기 비행은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모금 캠페인을 통해 600만 마르크 이상을 모금했다. 이 돈으로 '루프트쉬프바우-체펠린 GmbH'와 체펠린 재단 (''체펠린 슈티프퉁'')을 설립했다.[30]

LZ 4 파괴 후, 폭풍우로 손상된 LZ 3을 수리하고 8m 연장했다. 1908년 10월 21일에 다시 팽창되었고, 짧은 시험 비행 후, 10월 27일에 황제의 형제인 하인리히 왕자 제독이 탑승한 5시간 55분 동안 비행이 이루어졌다. 11월 7일, 황태자 빌헬름이 탑승하고[31] 도나우에싱겐까지 비행했다.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비행은 성공했고, 이틀 후 LZ 3는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11월 10일 체펠린은 황제의 프리드리히샤펜 방문과 보덴 호 위에서의 짧은 시범 비행으로 검은 독수리 훈장을 받았다.[32]

1908년 군부는 LZ3를 구입하여 Z1로 사용했다.

4. 4. 민간 여객 운송

에케너와 동료가 된 체펠린은 1909년에 독일 비행선 항공 회사(DELAG)를 세웠다.[34] 1914년까지 DELAG는 1,600회 이상의 비행에서 사고 없이 37,250명을 수송했다.[34] 몇 년 안에 체펠린 혁명이 시작되어 항공 운송 시대를 열었다.

4. 5. 군용 비행선

제1차 세계 대전독일 제국은 체펠린을 장거리 폭격기로 배치하여 벨기에, 프랑스 및 영국에 대한 수많은 공격을 시작하였다.[34]

5. 제1차 세계 대전과 죽음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체펠린의 경식 비행선은 대부분 군용으로 사용되었고, 상당수가 격추되었다.[75] 체펠린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기 직전인 1917년에 베를린에서 사망했다.[75] 따라서 베르사유 조약에 따른 체펠린 프로젝트 중단과 그의 후계자 후고 에케너 아래에서의 체펠린 비행선 계획 재개를 모두 목격하지 못했다. 그의 비행선 사업은 후고 에케너가 계승했다.[75]

6. 유산 및 평가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체펠린의 경식 비행선 대부분은 군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상당수가 격추되었다. 체펠린은 1차 대전 종전 직전인 1917년에 폐렴으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과 베르사유 조약은 비행선 개발에 큰 장애물이 되었다. 이후 비행선 개발 제재가 해제된 후에는 동료 후고 에케너가 체펠린의 유지를 이어받았다.

노르트홀츠의 항공박물관에 있는 체펠린의 흉상


체펠린 백작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기 전인 1917년에 사망하여,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한 체펠린 프로젝트의 일시 중단이나, 그의 후계자 후고 에케너 아래에서 체펠린 비행선의 부활을 보지 못했다.

미완성된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항공모함 '그라프 체펠린'과 세계 일주를 한 경식 비행선 LZ 127 그라프 체펠린 및 힌덴부르크의 자매 비행선인 LZ 130 그라프 체펠린 II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75년, 체펠린은 국제 항공 우주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36]

6. 1. 비판적 시각

체펠린의 설계는 다비드 슈바르츠의 설계와 크기 및 구조 모두 "근본적으로 달랐다"고 평가받는다.[73] 체펠린이 다비드 슈바르츠의 비행선 특허와 설계도(1897년)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1938년 체펠린 사의 후고 에케너에 의해 부정되었고,[72] 이후 연구자들도 이를 부정하고 있다.[73]

1891년 6월, 체펠린은 뷔르템베르크 왕의 비서에게 비행선 제작 시작을 알렸으나, 다음 날 공기 저항을 과소평가했음을 깨달았다. 당시 최고의 엔진을 사용해도 비행선은 충분한 속도를 낼 수 없었다.[67]

참조

[1] 웹사이트 Katalog der Deutschen Nationalbibliothek http://d-nb.info/gnd[...] 2009-04-04
[2] 웹사이트 Zeppelin Biographie https://web.archive.[...] 2009-04-04
[3] 웹사이트 RootsWeb: GEN-DE-L Re: Zeppelin and Brandenstein family http://archiver.root[...] 2009-04-04
[4] 참조 Lehmann
[5] 웹사이트 Ferdinand Graf von Zeppelin http://www.dhm.de/le[...] Deutsches Historisches Museum 2012-12-06
[6] 웹사이트 John Steiner Balloon Ascension Ambrotype, 1857 https://web.archive.[...] Smithsonian Institution 2017-03-09
[7] 뉴스 The German Official Account Of The Franco-German War 1872-10-25
[8] 웹사이트 Zeppelin Biographie https://web.archive.[...] 2009-04-04
[9] 백과사전
[10] 백과사전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Zeppelin: The Story of a Great Achievement http://www.gutenberg[...]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Aeronautical Research in Germany: From Lilienthal Until Today https://archive.org/[...] Springer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The Real Crown Prince: A Record and an Indictment https://archive.org/[...] Newnes 1915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All told, 37,250 passengers had been carried, 1,600 flights made, 3,200 hours spent in the air and 90,000 miles flown without accident
[35] 서적 Types of Canadian Women and of Women who are or have been Connected with Canada https://archive.org/[...] Williams Briggs 1903
[36] 서적 These We Honor: The International Aerospace Hall of Fame Donning Co. Publishers
[37] 웹사이트 Led Zeppelin – Official Website http://ledzeppelin.c[...]
[38] 웹사이트 Verzeichnis der Ehrenpromotionen https://geschichte.a[...] 2022-11-12
[39] 서적 Luftschiffe. Die Geschichte der deutschen Zeppeline Wehr&Wissen
[40] 웹사이트 Ehrenpromovenden der TH/TU Dresden https://tu-dresden.d[...]
[41] 웹사이트 Ehrenmitglieder der Gesellschaft für Naturkunde in Württemberg http://www.gesellsch[...]
[42] 간행물 Rangliste de Königlich Preußischen Armee Ernst Siegfried Mittler & Sohn
[43]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Landesamt
[44]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Landesamt
[45]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Landesamt
[46]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47] 간행물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48]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49]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supp.) https://babel.hathit[...]
[50]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Gedruckt in der Reichsdruckerei
[51]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Landesamt
[52]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Landesamt
[53] 서적 Die Ritter des Ordens pour le mérite 1812–1913 https://gdz.sub.uni-[...] Ernst Siegfried Mittler & Sohn
[54] 간행물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Böhlau
[55]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Königreich Sachsen: 1901 Heinrich
[56]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Druck und Verlag der K.K. Hof- und Staatsdruckerei 1916
[57]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12 https://slaegtsbibli[...]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58]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Landesamt
[59] 웹사이트 Katalog der Deutschen Nationalbibliothek http://d-nb.info/gnd[...] 2009-04-04
[60] 일반
[61] 웹사이트 Zeppelin Biographie http://www.uni-konst[...] 2009-04-04
[62] 웹사이트 Lebenslauf von Graf Zeppelin http://www.hirschber[...] 2009-04-04
[63] 웹사이트 Zeppelin Biographie http://www.uni-konst[...] 2009-04-04
[64] 서적 Eckener 1938
[65] 서적 Dooley
[66] 서적 Dooley
[67] 서적 Dooley
[68] 서적 Dooley
[69] 서적 Dooley
[70] 서적
[71] 서적 Dooley A.183
[72] 서적 Eckener 1938. pages 210-211
[73] 서적 Dooley A.191
[74] 서적 Dooley A.200
[75] 서적 Lehmann. Chapter I
[76] 웹사이트 February 28, 1970 Copenhagen, DK:Notes: http://www.ledzeppel[...] レッド・ ツェッペリン公式サイト 2015-12-25
[77] 웹사이트 This Week In Rock History: Bob Dylan Wins His First Grammy and Led Zeppelin Become the Nobs http://www.rollingst[...] 로링・스톤 2015-12-25
[78] 서적 창공에의 도전 아동문학사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