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주요 도로로, 피에르 샤를 랑팡의 수도 건설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다. 백악관과 미국 국회의사당 사이의 구간이 특히 중요하며, 대통령 취임식 퍼레이드와 시위 등 국가적 행사가 자주 열린다.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여러 차례 포장 방식이 바뀌었으며, 1965년에는 국립 역사 지구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교통 체증과 상업 시설의 어려움, 보안 문제 등으로 인해 재개발 계획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싱턴 D.C. - 미국 재무부
    미국 재무부는 1789년 설립되어 재정 및 통화 정책 수립, 화폐 발행, 세금 징수, 국채 관리, 금융기관 감독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미국의 연방 행정부이며, 현재 재무장관은 재닛 옐런이다.
  • 워싱턴 D.C. - 워싱턴 내셔널스
    워싱턴 내셔널스는 1969년 창단하여 2005년 워싱턴 D.C.로 연고지를 이전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팀으로, 2019년 월드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내셔널스 파크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이름펜실베이니아 애비뉴
로마자 표기Pennsylvania Avenue
위치워싱턴 D.C. 및 프린스조지스군, 미국
길이35.1 마일 (56.5 km)
160 피트 (49 m)
도로 정보
일부미국 국도 시스템의 일부
역사
개통1791년 (계획)
1796년 (부분 개통)
주요 위치
워싱턴 D.C. 구간백악관
미국 국회의사당
이미지
2022년 6월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배경에 미국 국회의사당이 보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배경에 미국 국회의사당이 보임

2. 역사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는 피에르 샤를 랑팡이 워싱턴 D.C.를 계획할 때 가장 먼저 만든 거리 중 하나이다. '펜실베이니아'라는 이름은 수도를 필라델피아에서 옮긴 것에 대한 보상으로 사용했다는 설이 있다.

1832년 맥아담(쇄석 위에 타르를 깐 방식)으로 포장되었고, 이후 여러 가지 포장 방식이 시도되었다. 1876년 아스팔트 포장이 되었으며, 2012년 11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두 번째 취임식 전에 다시 포장되었다.[7]

2. 1. 18세기 - 19세기: 초기 역사와 발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는 워싱턴 D.C.에서 약 9.66km 뻗어 있지만, 백악관미국 국회의사당 사이의 구간이 미국의 의례적인 중심부를 이룬다. 이 도로는 피에르 샤를 랑팡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도시에서 건설된 초기 거리 중 하나였다. 애비뉴의 폭은 160피트로 정해졌는데, 랑팡이 조사했을 가능성이 있는 파리의 샹젤리제의 가장 좁은 지점과 동일했다.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라는 거리의 첫 번째 기록은 1791년 토머스 제퍼슨의 편지에서였다. 이 애비뉴 이름의 한 가지 이론은 수도를 1800년에 필라델피아에서 옮긴 것에 대한 위로와 국가 건국에서 펜실베이니아의 역사적 중요성을 인정하여 펜실베이니아의 이름을 딴 것이다.[4]

제퍼슨과 워싱턴은 모두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새로운 수도의 중요한 특징으로 여겼다. 백악관 밖의 구간은 1804년 제퍼슨 대통령이 대통령 공원을 가로질러 길을 내라고 명령했을 때 만들어졌다. 수십 년 동안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는 제퍼슨이 "위대한 세르보니안 습지"라고 조롱한 넓은 흙길이었으며, 그는 빨리 자라는 ''검은포플러''를 심었다.

1832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의 먼지와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맥아담 포장 방식을 사용하여 포장했다. 그러나 수년에 걸쳐 이 애비뉴에는 다른 포장 방식이 시도되었다. 1849년 자갈에 이어 벨기에 블록, 그리고 1871년에는 나무 블록이 사용되었다.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는 한때 백악관과 국회의사당 사이의 탁 트인 시야를 제공했다. 재무부 건물 확장이 건설되면서 이 시야가 가로막혔는데, 당시 대통령 앤드루 잭슨이 의도적으로 이 공사를 벌였다고 한다. 대통령과 의회의 관계가 긴장되었고, 잭슨은 창밖으로 국회의사당을 보고 싶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5] 하지만 실제로는 재무부 건물이 정부 소유의 저렴한 땅에 건설되었을 뿐이다.

1876년,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이 시작한 도시의 거리 개선 계획의 일환으로, 미국 남북 전쟁 참전 용사 윌리엄 애버렐[6]은 트리니다드 및 과아노코 호수 아스팔트를 사용하여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아스팔트로 포장했다.[7]

2. 2. 20세기 - 현재: 재개발과 역사 지구 지정

1959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는 메릴랜드와 워싱턴 D.C.의 경계에서 어퍼 말보로, 메릴랜드의 도어 하우스 로드까지 확장되었다.[8]

1965년 9월 30일,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와 주변 지역의 일부가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국립 역사 지구로 지정되었다. 국립공원관리청은 미국 해군 기념관, 구 우체국 타워, 퍼싱 공원을 포함한 이 지역을 관리한다.[4]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과 1950년대 부유한 가족들의 교외 이주 이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는 점점 황폐해졌다. 존 F. 케네디린든 B. 존슨은 뉴 프론티어와 위대한 사회 개혁의 일환으로 거리를 재개발하려 했지만,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 사건 이후 발생한 1968년 워싱턴 D.C. 폭동으로 인해 애비뉴는 더욱 쇠퇴했다.[9]

1972년, 미국 의회는 국회의사당과 백악관 사이의 황폐한 지역을 재건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개발 공사(PADC)를 설립했다. 이 기관은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미국 연방 정부의 입법부 및 행정부와의 의례적, 물리적, 역사적 관계에 적합한 방식으로" 개발하라는 임무를 받았다.[4]

1980년대에는 윌라드 인터컨티넨탈 워싱턴 호텔, 구 우체국, 워싱턴 유니온 역이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에 위치하거나 인접하여 개조 공사를 진행했다.[9] 2010년, 컬럼비아 특별구는 존 필립 수자 다리의 남서쪽 종점에서 메릴랜드 주 경계선까지의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D.C. 그레이트 스트리트"로 지정하고, 4.3억달러를 들여 거리를 아름답게 꾸미고 도로를 개선했다.[10]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의 상업 시설들은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폐업했다. 관광객 감소, 재택근무 추세로 인한 사무실 건물 공실, 애비뉴 자체의 주요 목적지로서의 역사적 한계 등으로 인해 많은 사업체들이 운영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 보행자 통행량 감소와 변화하는 소비자 행동은 지역 사업체에 더욱 부담을 주었고, 새로운 경제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폐업으로 이어졌다.

2022년, 국립 수도 계획 위원회(NCPC)는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역동적인 공공 공간 및 교통 회랑으로 변환하여 활성화하기 위한 계획을 시작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재택근무로 인한 변화에 의해 가속화된 이 계획은 현재 자동차 위주로 설계된 8차선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 버스, 긴급 차량, 배달 트럭 등 다양한 활동 및 사용자를 수용하고, 행사 개최 및 지역 사회 참여를 장려하는 더욱 포괄적이고 공평한 공간으로 재구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NCPC와 HR&A 어드바이저스(HR&A Advisors)와 같은 컨설팅 팀 간의 협력 노력을 통해 새로운 보도, 자전거 도로, 대중교통 전용 차선, 중간 블록 횡단로 및 기타 가로 경관 요소를 위해 도로 공간을 재할당하는 방안을 탐구하기 위한 교통 연구를 업데이트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 타당성, 이해 관계자 의견, 환경 고려 사항을 기반으로 초기 디자인 컨셉을 개선하는 것을 우선시한다. 궁극적으로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워싱턴 D.C.의 최고 공공 공간으로 격상시켜 세계의 다른 유명한 도시 대로와 견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2024년, NCPC는 회랑 및 인접한 공공 공간을 따라 디자인 및 인프라 개선 사항을 다룰 새로운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계획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두 번째 컨설턴트 팀을 발표할 예정이다.

3. 경로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는 수도 워싱턴 D.C.메인 스트리트로, 전체 길이는 9.7km이다. 국회의사당에서 백악관까지는 1.9km이며, 동쪽으로는 메릴랜드주, 서쪽으로는 버지니아주까지 이어진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향하면서 다음과 같은 건물, 광장 등을 지나게 된다:[14]

동쪽에서 서쪽 방향


3. 1. 주요 구간

이 도로는 워싱턴 D.C.에서 약 9.33km 뻗어 있으며, 그중 백악관에서 미국 국회의사당까지 약 1.93km 구간이 가장 유명하다. 이 도로는 국회의사당 부지 남동쪽 모퉁이에서 캐피톨 힐 지역을 지나 존 필립 수자 다리를 통해 아나코스티아 강을 건너 약 5.63km 더 이어진다. 메릴랜드주 프린스조지스 군의 대부분을 지나 메릴랜드의 어퍼 말보로에 있는 MD 717과의 교차로에서 워싱턴 D.C. 경계에서 약 15.29km 떨어진 곳에서 끝나며, 이곳에서 도로명은 스테파니 로퍼 고속도로(Stephanie Roper Highway)로 변경된다. 총 길이는 약 24.62km이다. 스테파니 로퍼 고속도로는 이전에는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였으나, 2012년에 이름이 변경되었다. 도로명 외에도 메릴랜드에서는 메릴랜드 주도 4번 국도(Maryland Route 4)로 지정되어 있다.

백악관 북서쪽으로는 펜실베이니아 애비뉴가 조지타운의 M 스트리트 N.W.에서 록 크릭을 건너는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다리 너머까지 약 2.25km 뻗어 있다. 1862년부터 1962년까지 가로철도가 조지타운에서 아나코스티아 강까지 이 도로를 따라 운행했다.

4. 주요 시설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14]

동쪽
서쪽



국립 극장과 워너 극장은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의 우편 주소를 사용하지만, 극장은 각각 E 스트리트와 13번가 근처에 있다.

5. 교통

다음의 메트로버스 노선이 이 거리를 따라 운행한다. (서쪽에서 동쪽 순서):[1]

노선 번호운행 구간
30NBranch Ave. SE에서 Independence Ave. SE, 7번가 N.W.에서 15번가 N.W., H St. N.W.에서 M St. N.W.
30SMinnesota Ave. SE에서 Independence Ave. SE, 7번가 N.W.에서 15번가 N.W., H St. N.W.에서 M St. N.W.
38BEye St. N.W.에서 M St. N.W.
339번가 N.W.에서 15번가 N.W., H St. N.W.에서 M St. N.W.
31, D5Washington Circle에서 M St. N.W.
36Branch Ave. SE에서 Independence Ave. SE, 7번가 N.W.에서 15번가 N.W., H St. N.W.에서 Washington Circle
32Minnesota Ave. SE에서 Independence Ave. SE, 7번가 N.W.에서 15번가 N.W., H St. N.W.에서 Washington Circle
39(급행 정차 서비스) Southern Ave.에서 Independence Ave., 7번가 N.W.에서 15번가 N.W., Eye St. N.W.에서 Washington Circle
37(급행 정차 서비스) 7번가 N.W.에서 15번가 N.W.
16C6번가 N.W.에서 12번가 N.W.
P64번가 N.W.에서 11번가 N.W.
34Minnesota Ave. SE에서 Independence Ave. SE
M6Alabama Ave. SE에서 Potomac Ave. SE
B2, V4Minnesota Ave. SE에서 Potomac Ave. SE
V12Brooks Dr.에서 Shadyside Ave.
K12Forestville Rd.에서 Parkland Dr., Walters La.에서 Donnell Dr.
J12(동행만) Forestville Rd.에서 Old Marlboro Pike



DC 순환 버스는 다음 거리를 운행한다:[1]


  • 조지타운-유니언 역 (N.W. 20번가 ~ N.W. M번가)


다음의 MTA 메릴랜드 통근 버스 노선이 이 거리를 운행한다.[1]

노선 번호운행 구간
904아나코스티아 고속도로에서 인디펜던스 애비뉴, 7번가 NW에서 11번가 NW
9057번가 NW에서 11번가 NW



다음은 TheBus 노선 중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운행하는 노선이다(프린스조지스군):[1]

노선 번호운행 구간
24올드 실버 힐 로드 ~ 브룩스 드라이브
20말보로 파이크 ~ 도넬 드라이브



다음 워싱턴 메트로 역들은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근처에 출입구가 있다.[1]


  • 포토맥 애비뉴, 이스턴 마켓, 연방 삼각지, 포기 바텀–GWU
  • 아카이브

6. 행사 및 시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는 다양한 행사 및 시위 장소로 활용되었다.

백악관 (1600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NW)


K 스트리트와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의 교차로, 포기 보텀 지역


구 우체국 파빌리온과 미국 국회의사당을 향해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따라 남동쪽으로 바라본 모습


하위 섹션에서 이미 다루어진 대통령 취임식 행렬, 장례 행렬, 시위 외에도,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열린 슈라이너 퍼레이드와 같은 가벼운 축하 행사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에서 진행되었다.

6. 1. 국가 행사

토머스 제퍼슨의 두 번째 취임식을 기념하여 즉석에서 행렬이 만들어진 이후, 1985년 1월 로널드 레이건의 두 번째 취임식을 제외한 모든 미국 대통령은 취임 선서를 한 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따라 행진했다.[1] 레이건은 1981년 1월 첫 번째 취임식 때 애비뉴를 따라 행진했지만, 1985년 두 번째 취임식 때는 영하의 기온과 강풍으로 인해 위험하여 행진하지 않았다.[1]

윌리엄 헨리 해리슨부터 제럴드 포드까지, 재임 중 사망한 8명의 대통령 중 7명의 장례 행렬과 전직 대통령 2명의 장례 행렬이 이 경로를 따랐다.[1]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재임 중 사망했으나 이 경로를 따르지 않은 유일한 대통령이었다.[1]

에이브러햄 링컨의 장례 행렬은 1865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따라 엄숙하게 진행되었다.[1] 불과 몇 주 후, 미국 남북 전쟁의 종전을 기념하여 포토맥 군이 더욱 즐겁게 애비뉴를 따라 행진하는 육군 대열병이 거행되었다.[1] 린든 B. 존슨과 포드의 장례 행렬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따라 진행되었다.[1] 린든 존슨의 경우, 장례 행렬은 미국 국회의사당에서 그가 자주 예배를 드리고 장례식이 거행된 내셔널 시티 크리스천 교회까지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따라 진행되었다.[1] 포드의 장례는 백악관에서 잠시 멈춰선 후, 장례식이 거행된 워싱턴 국립 대성당으로 가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따라 올라갔다.[1]

미국을 대표하는 도로로서,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에서는 대통령 취임식 이후의 퍼레이드 및 세상에 주목받고 싶은 찬성·반대 시위 등이 열린다.[1]

6. 2. 시위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는 공식 행사의 장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의 전통적인 퍼레이드와 시위 경로로도 사용된다. 1890년대 대공황 동안, 제이콥 콕시는 실업자들을 위한 연방 지원을 요구하기 위해 500명의 지지자들과 함께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따라 미국 국회의사당으로 행진했다. 이와 유사하게, 우드로 윌슨의 1913년 취임식 전날, 앨리스 폴은 여성 참정권 운동을 강조하는 여성 참정권 행진을 기획했다. 1932년 7월, 보너스 원정대의 일행은 깃발을 들고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를 따라 백악관까지 행진하여 피켓 라인을 형성했다.

펜실베이니아 애비뉴는 또한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열린 일련의 슈라이너 퍼레이드를 포함하여 더 가벼운 축하 행사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토마스와 콘셉시온 피치오토는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1600번가에 위치한 라파예트 광장에서 미국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반핵 평화 시위인 백악관 평화 감시의 설립자이다.[11][12]

미국을 대표하는 도로로서, 대통령 취임식 이후의 퍼레이드, 세상에 주목받고 싶은 찬성·반대 시위 등이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에서 열린다.

7. 보안

1995년 오클라호마 시티 폭탄 테러 이후, 비밀경호국백악관 앞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구간의 모든 차량 통행을 금지했다. 그러나 보행자 및 자전거 통행은 보도에서 허용되었다. 9.11 테러 이후에는 백악관 앞의 모든 통행이 금지되었으며, 백악관 인근의 교통은 H 스트리트 또는 Constitution Avenue로 우회해야 했고, 이 두 도로는 결국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와 다시 연결된다.

2002년, 국립 수도 계획 위원회는 몇몇 저명한 조경 건축가들에게 백악관 앞 펜실베이니아 애비뉴 재설계를 위한 제안서를 제출하도록 요청했다. 이는 보안 조치를 구역 전체 계획에 통합하고 더 환영받는 공공 공간을 조성하려는 의도였다. 마이클 반 발켄버그가 운영하는 회사가 제출한 제안이 당선되었는데, 식재, 포장 및 필요한 보안 단계를 통합하는 매우 단순한 접근 방식을 제안했다. 건설은 2004년에 완료되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Pennsylvania Avenue, National Historic Site http://www.nps.gov/p[...] 2010-08-30
[2] 서적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Related Agencies Appropriations for Fiscal Year 1995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8-05-09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U.S. Congres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8-05-09
[4] 웹사이트 Pennsylvania Avenue National Historic Site and Old Post Office Building http://www.nps.gov/h[...] National Park Service 2009-01-21
[5] 웹사이트 FAQs: Main Treasury Building http://www.treasur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Treasury 2013-09-07
[6] 웹사이트 William Averell Paves the Way to the White House, Literally http://www.civilwarp[...] 2013-12-19
[7] 서적 Paving the Way: Asphalt in America National Asphalt Pavement Association
[8] 뉴스 6 Miles of New Road to Beaches Opened 1959-12-01
[9] 간행물 1981 1600 Pennsylvania Avenue: The Ronald Reagan Show, the New Dynasty, and David Stockman's Reaganomics https://www.degruy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11-26
[10] 뉴스 Patience Required for Travelers on Pennsylvania Avenue 2010-05-30
[11] 웹사이트 The Oracles of Pennsylvania Avenue http://aje.me/HHwQcE 2012-07-10
[12] 뉴스 From Lafayette Square Lookout, He Made His War Protest Permanent https://www.washingt[...] 2017-09-08
[13] 뉴스 America's Main Street Revisited; Pennsylvania Ave. Reopened to Pedestrians https://web.archive.[...] 2017-07-07
[14] 웹사이트 The Landscape Architect’s Guide to Washington, D.C. https://asla.org/gui[...]
[15] 웹사이트 Pennsylvania Avenue, National Historic Site http://www.nps.gov/p[...] National Park Service
[16] 서적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Related Agencies Appropriations for Fiscal Year 1995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U.S. Congres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