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창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조선 시대 선혜청의 창고인 평창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북한산 자락에 위치하여 개발제한구역이 많고, 고급 주택가와 문화 시설이 밀집해 있다. 주요 시설로는 서울예술고등학교, 갤러리, 사찰 등이 있으며, 북악터널과 구기터널을 통해 주변 지역과 연결된다. 또한, 서울특별시 민속자료로 지정된 보현산신각과 박종화 가옥이 위치해 있고, 승가사, 문수암 등의 사찰과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유적 등 문화 유적이 분포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종로구의 행정동 - 삼청동
삼청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이름의 유래는 삼청전 또는 산, 물, 사람의 맑음에서 비롯되었으며, 조선시대 진장방 지역이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는 주요 기관과 유적이 위치하고 안국역이 인근에 있다. - 서울 종로구의 행정동 - 혜화동
혜화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부 동쪽에 위치한 행정동이자 법정동으로,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동부 숭신방, 일제강점기에는 경성부 혜화정으로 불렸으며, 해방 이후 혜화동으로 복구되어 2012년 명륜3가동과 합동되었고, 북쪽과 동쪽으로는 성북구와 경계를 이루며 여러 교육기관과 문화시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종로구의 행정 구역 - 청운동
청운동은 청풍계와 백운동에서 유래된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 구역으로,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북부 지역이었으며, 서울청운초등학교, 청와대, 경복궁 등을 포함하고 최규식 경무관 동상 등의 기념물과 장의문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종로구의 행정 구역 - 삼청동
삼청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이름의 유래는 삼청전 또는 산, 물, 사람의 맑음에서 비롯되었으며, 조선시대 진장방 지역이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는 주요 기관과 유적이 위치하고 안국역이 인근에 있다. - 서울 종로구의 법정동 - 청운동
청운동은 청풍계와 백운동에서 유래된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 구역으로,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북부 지역이었으며, 서울청운초등학교, 청와대, 경복궁 등을 포함하고 최규식 경무관 동상 등의 기념물과 장의문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종로구의 법정동 - 삼청동
삼청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이름의 유래는 삼청전 또는 산, 물, 사람의 맑음에서 비롯되었으며, 조선시대 진장방 지역이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는 주요 기관과 유적이 위치하고 안국역이 인근에 있다.
평창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평창동 |
한글 표기 | 평창동 |
한자 표기 | 平倉洞 |
Revised Romanization | Pyeongchang-d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P'yŏngch'ang-dong |
면적 | 8.87 km² |
행정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 종로구 |
하위 행정 구역 | 구기동, 평창동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1111056000 |
인구 정보 | |
총 인구 | 17,915 |
인구 조사 시점 | 2022년 8월 |
남자 인구 | 9,496 |
여자 인구 | 10,320 |
인구 밀도 | 2,234명/km² |
세대수 | 7,497 |
세대수 조사 시점 | 2022년 1월 31일 |
2006년 인구 | 19645 |
기타 정보 | |
동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
웹사이트 | 종로구 평창동 |
종로구청 웹사이트 | 2012년 사분기 주민 등록 인구 (2012년 12월 31일 현재) |
이미지 정보 | |
![]() | |
![]() |
2. 지명의 유래
평창동은 조선시대에 이곳에 선혜청의 창고, 평창(平倉)이 있었던 것으로부터 지금의 동명이 유래되었다.[6] 이름이 같은 강원도 평창군은 고려시대부터 있어 온 지명으로 관계가 없다.[6] 평창동(平倉洞)은 선혜청(宣恵庁)의 평창(平倉)이 있었던 데서 유래했다.[4]
본디 율목동(栗木洞), 신창(新倉), 월계동(月溪洞), 평창굴장안의 토착마을이 있었다. 율목동은 밤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어 밤의 수확이 많은 동이므로 밤나무골이라 했던 것을 한자로 옮긴 것이다. 평창은 센창이라고도 하며 156번지 일대를 일컫는다. 평창굴은 330번지 일대인데 총융청의 평창이 있어서 붙여졌으며 당초에는 한양굴이라 하였다. 월계동은 월계정(月桂亭)이 있었기 때문에 동네 이름이 붙여진 것이라고 하는데 월계수로 만든 정자가 있기 때문에 월계동(月桂洞)이라 하던 것이 월계동(月溪洞)으로 바뀌었다. 186 ∼ 187번지 일대는 장안이라 하여 평창동 중에서도 가장 큰 토착부락이었다. 도읍을 가리키는 말을 장안이라 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 일대는 한 때 유원지로서 서울 시민들의 휴식처가 되었던 곳이다.[7]
종로구의 북쪽 끝에 해당되는 평창동은 전체 면적의 65% 이상이 개발제한구역으로 되어 있는 동으로 북한산 줄기가 뻗어 내린 관계로 평지보다는 계곡과 산이 많다. 평창동의 북쪽지방은 표고 200 ~ 714m의 비교적 높은 산지이며 동쪽과 남쪽 사이 급경사의 산지로 형성되어 있다.[7]
평창동 서로 평창문화로가 가로지르며, 평창동 동쪽으로 북악터널을 통해 정릉동과 이어진다. 평창동의 시내버스 정거장은 갑을씨티텔 앞, 화정박물관, 하나은행 평창동지점, 평창동 국민은행, 평창동주민센터, 서울예술고등학교, 벽산평창힐스아파트, 일성아파트, 롯데삼성아파트가 있고 시내버스 1020, 1711, 7211, 110, 153가 다닌다. 마을버스는 종로06, 13이 있고 13번은 평창동, 구기동, 홍지동 왕복하고 06번은 평창동 내를 왕복한다. 2018년 기준으로 동 내의 지하철역은 없다.
3. 역사
조선 고종 때 편찬된 《육전조례》에는 평창동이 한성부 상평방(常平坊)내의 선헤청계에 속하였다. 조선 후기 서울 북쪽의 방어를 위한 총융청의 군량창고가 있던 평창터가 있다.[7]
1914년 4월 1일 경성부제 실시에 따라 평창동은 율목동, 월계동과 함께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평창리가 되었다.[7]
1949년 8월 13일 경기도 은평면 평창리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로 편입돼서, 같은 해 8월 14일 서대문구에 은평출장소를 설치하여 관할 하에 있게 되었다. 1950년 3월 15일, 평창리가 현재의 지명인 평창동으로 바뀌게 되었다.[7]
1955년 4월 18일, 행정동제가 실시될 때 구기동과 평창도의 첫글자를 따서 구평동(舊平洞)이 되었다. 1970년 5월 18일, 평창동사무소가 설치되어 구기동과 평창동을 관할하였다.[7]
1975년 10월 1일, 구관할구역의 변경이 있을 때 서대문구에서 종로구 평창동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7]
4. 지형
평창동은 많은 지역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북악터널과 구기터널이 있으며, 세검정길(洗劍亭길)과 진흥로(眞興路)가 이 터널로 연결된다. 북한산 자락에는 대저택이 많아 전통적인 고급 주택가를 형성하고 있다.[7] 535번지에는 조계종 헤원사(혜원사)가 있으며, 541-1번지에는 서울특별시 민속자료로 지정된 푸견산신각(普堅山神閣)이 있다. 푸견산신각에 오르는 길 중간에, 월탄(月灘)이라는 호를 사용한 민족적 또는 낭만주의적 역사소설가 박종화가 살았던 조수루(釣水樓)가 있다.[7]
북한산국립공원과 접해 있으며, 많은 유적이 있다. 승가사(僧伽寺), 문수암(文殊庵) 등의 사찰과 비봉(碑峰)에는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유적(眞興王巡狩碑遺址)이 있으며, 비봉에서 홍지문(洪智門)에 이르는 탕춘대성(蕩春臺城)이 구기동과 홍은동, 불광동의 경계를 이룬다.[7]
문수암은 1109년 승려이자 서예가인 탄연이 창건하였고, 한국전쟁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957년에 복원 재건하였다. 불타기 전에는 오백나한상을 모시는 나한전(羅漢殿)이 유명했다.[7]
문수암 남쪽에는 756년 승려인 수태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승가사가 있으며, 경내에는 1024년에 제작된 승가사석조승가사상(僧伽寺石造僧伽師像)이 있다. 승가사 뒤편 화강암 벽에는 연화좌(蓮華座) 위에 결가부좌한 북한산 구기리 마애석가여래좌상(磨崖釋迦如來坐像)이 있다. 비봉에는 진흥왕 순수비가 있었으나, 훼손을 막기 위해 1972년 경복궁으로 옮겨졌고, 순수비가 있던 자리에는 모조비를 세워 두었다.[7]
5. 교통
6. 법정동
7. 문화재
서울 평창동 보현산신각은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3호이며, 서울 평창동 박종화 가옥은 국가등록문화재 제89호이다. 평창동 541-1번지에는 서울특별시 민속자료로 지정된 푸견산신각(普堅山神閣)이 있다. 푸견산신각에 오르는 길 중간에는 월탄(月灘) 박종화가 살았던 조수루(釣水樓)가 있다.
북한산 자락에는 조계종 혜원사가 있다. 북한산국립공원과 접해 있으며, 승가사(僧伽寺), 문수암(文殊庵) 등의 사찰과 비봉(碑峰)에는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유적이 있다. 비봉에서 홍지문(洪智門)에 이르는 탕춘대성(蕩春臺城)이 구기동과 홍은동, 불광동의 경계를 이룬다.
문수암은 1109년 승려이자 서예가인 탄연이 창건하였고, 한국전쟁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957년에 복원하였다. 문수암 남쪽에는 756년 승려인 수태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승가사가 있으며, 경내에는 1024년에 제작된 승가사석조승가사상(僧伽寺石造僧伽師像)이 있다. 승가사 뒤편 화강암 벽에는 북한산 구기리 마애석가여래좌상(磨崖釋迦如來坐像)이 있다. 비봉에는 진흥왕 순수비가 있었으나, 훼손을 막기 위해 1972년 경복궁으로 옮겨졌고, 순수비가 있던 자리에는 모조비를 세워 두었다.
8. 주요 시설
서울예술고등학교가 평창동에 위치해 있다. 평창파출소, 평창동 주민센터 등의 관공서가 있다. 가나아트센터, 갤러리세줄, 가인갤러리, 디방, 토탈미술관, 김종영미술관, 키미아트와 같은 미술관 및 갤러리들과 평창동 새마을문고가 있다.
9. 사찰
평창동에는 여러 사찰과 유적이 있다. 535번지에는 조계종 혜원사(헤원사)가 있다. 541-1번지에는 서울특별시 민속자료로 지정된 푸견산신각(普堅山神閣)이 있다. 푸견산신각에 오르는 길 중간에는 박종화가 살았던 조수루(釣水樓)가 있다.
북한산 자락에는 1109년 승려이자 서예가인 탄연이 창건한 문수암(文殊庵)이 있다. 한국 전쟁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957년에 복원 재건하였으며, 불타기 전에는 오백나한상을 모시는 나한전(羅漢殿)이 유명했다.
문수암 남쪽에는 756년 승려인 수태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승가사(僧伽寺)가 있다. 경내에는 1024년에 제작된 승가사석조승가사상(僧伽寺石造僧伽師像)이 있고, 승가사 뒤편 화강암 벽에는 연화좌(蓮華座) 위에 결가부좌한 북한산 구기리 마애석가여래좌상(磨崖釋迦如來坐像)이 있다.
10. 문화
평창동은 북한산 기슭에 고급 주택, 갤러리, 카페가 밀집한 주택가로, 기업가, 정치인, 톱스타 등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8] 북한산 둘레길 조성으로 외부 방문객도 증가하고 있으며, 드라마 및 영화, CF 촬영 장소로도 자주 활용된다. SBS 드라마 시크릿 가든,[9] 49일, 자이언트, 내게 거짓말을 해봐, MBC 드라마 지붕 뚫고 하이킥,[10] 커피프린스 1호점,[11] 개와 늑대의 시간 등이 평창동에서 촬영되었다.
평창동은 개발제한구역이 많으며, 북악터널과 구기터널을 통해 세검정길(洗劍亭길)과 진흥로(眞興路)가 연결된다. 북한산 자락에는 대저택이 많아 전통적인 고급 주택가를 형성하고 있다. 535번지에는 조계종 혜원사(헤원사)가, 541-1번지에는 서울특별시 민속자료인 푸견산신각(普堅山神閣)이 있다. 푸견산신각으로 가는 길에는 박종화(朴鐘和)가 살았던 조수루(釣水樓)가 있다.
북한산국립공원과 인접한 평창동에는 승가사(僧伽寺), 문수암(文殊庵) 등의 사찰과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유적(眞興王巡狩碑遺址) 등 많은 유적이 있다. 비봉(碑峰)에서 홍지문(洪智門)에 이르는 탕춘대성(蕩春臺城)은 구기동과 홍은동, 불광동의 경계를 이룬다.
문수암은 1109년 승려이자 서예가인 탄연(坦然)이 창건하였고, 한국전쟁 때 소실된 것을 1957년에 복원하였다. 복원 전에는 오백나한상을 모시는 나한전(羅漢殿)이 유명했다.
문수암 남쪽에는 756년 승려 수태(秀台)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승가사가 있으며, 경내에는 1024년에 제작된 승가사석조승가사상(僧伽寺石造僧伽師像)이 있다. 승가사 뒤편 화강암 벽에는 연화좌(蓮華座) 위에 결가부좌한 북한산 구기리 마애석가여래좌상(磨崖釋迦如來坐像)이 있다. 비봉에는 진흥왕 순수비가 있었으나, 1972년 경복궁으로 옮겨졌고, 현재는 모조비가 세워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tatus quo of Pyeongchang-dong
http://www.jongno.go[...]
Pyeongchang Resident office website
2008-04-23
[2]
웹사이트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23
[3]
웹사이트
鐘路区 > 行政情報 > 統計情報 > 2012年 四半期 住民登録人口(2012年12月31日現在)
http://www.jongno.go[...]
[4]
웹사이트
平倉洞住民センター > 私たちの洞案内 > 洞名由来
http://visit.jongno.[...]
[5]
웹사이트
鐘路区 > 鐘路紹介 > 鐘路区案内 > 洞住民センター
http://www.jongno.go[...]
[6]
백과사전
doopedia 두산백과
[7]
웹사이트
평창동주민센터 홈페이지
http://www.jongno.go[...]
[8]
뉴스
[롯데캐슬 로잔③구성]젊은 부자들, 평창동으로 가는 까닭은?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13-07-02
[9]
뉴스
[수도권/컬처 IN 메트로]드라마 속 사모님 전화기 들고 “네, 평창동입니다” 받는 그곳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3-05-01
[10]
뉴스
비 오는 날 더 아름다운 ‘평창동 둘레길’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11-06-28
[11]
뉴스
비 오는 날 더 아름다운 ‘평창동 둘레길’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11-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