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스 플레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스 플레이는 야구에서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진루해야 하는 상황, 즉 '포스 상태'에서 일어나는 수비 행위를 의미한다. 포스 플레이는 타자가 타구를 쳤을 때, 앞선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진루해야 하는 경우 발생하며, 야수는 주자가 베이스를 밟기 전에 베이스를 터치하거나 주자를 태그하여 아웃시킬 수 있다. 포스 상태는 타자 또는 앞선 주자가 아웃되면 해제되며, 세 번째 아웃이 포스 아웃일 경우 득점은 인정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규칙 - 타격방해
    타격 방해는 야구 경기에서 타자가 타격하려는 순간에 포수나 야수가 타자 또는 배트에 닿아 타격을 방해하는 행위로, 타자에게 1루 진출 권한이 주어지며 감독은 플레이 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
  • 야구 규칙 - 홈런
    홈런은 야구에서 타자가 친 공이 구장 밖으로 완전히 벗어나거나 펜스를 넘어가는 타구로, 득점으로 연결되며, 일반 홈런, 장외 홈런,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등으로 구분되고, 상황별, 종류별 다양한 홈런이 존재한다.
  • 야구 용어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용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포스 플레이

2. 포스 플레이의 정의

포스 플레이는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진루해야만 하는 '포스 상태'에서 일어나는 수비 행위이다. 야수들이 강제 주자를 아웃시키기 위해 성공적으로 시도하는 모든 플레이가 포스 플레이에 해당한다.[1]

강제 주자는 범퍼카에 비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루에 주자가 있을 때 타자가 땅볼을 치면, 타자는 1루로 달려가야 하고, 두 명의 주자가 한 베이스에 동시에 있을 수 없기 때문에 1루 주자는 2루로 밀려나게 된다. 만약 2루에도 주자가 있다면 그 주자는 3루로 밀려나고, 만루 상황이라면 3루 주자는 홈으로 가야 한다. 이처럼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밀려나는 상황을 '포스 상태'라고 한다.[1]

포스 플레이는 땅볼에서 주자를 아웃시키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이다. 야수가 강제 주자를 아웃시키려면, 타구가 페어볼 상태일 때 (1) 강제 주자가 도달하기 전에 강제 주자가 진루해야 하는 베이스를 터치하거나, (2) 주자가 그 베이스를 터치하기 전에 주자를 태그해야 한다.[1]

2. 1. 포스 상태

주자는 타자 주자 또는 앞선 주자로 인해 원래 있던 베이스의 점유권을 잃고, 다음 베이스로 강제로 이동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흔히 '베이스가 막혔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포스 상태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한다.[1]

경우설명
주자 1루1루 주자는 2루로 이동해야 한다.
주자 1루, 2루1루 주자는 2루, 2루 주자는 3루로 이동해야 한다.
주자 1루, 2루, 3루 (만루)1루 주자는 2루, 2루 주자는 3루, 3루 주자는 홈으로 이동해야 한다.
주자 1루, 3루1루 주자만 2루로 이동해야 한다.



포스 상태는 해제될 수 있으며, 해제된 포스 상태가 부활하는 경우도 있다.[1]

규칙상으로는 투구 당시에 베이스를 점유하고 있던 주자에게만 포스 플레이가 발생한다. 엄밀히 말하면 투구 당시에 타석에 있던 타자 주자는 "포스 상태"라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타자 주자도 수비측의 터치 외에 1루 베이스 터치로 아웃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포스 아웃과 동일하며, 1루에서 타자 주자가 아웃되는 것이 세 번째 아웃이었을 경우 득점 처리도 포스 아웃과 동일하게 적용된다.[1]

포스 상태와는 반대로, 각 주자가 '''반드시 원래의 베이스로 돌아가야 하는''' 플라이볼을 잡혔을 때의 '''리터치의 의무'''가 있다. 각 주자는 투구 당시 점유하고 있던 베이스를 다시 터치해야 하며, 이는 포스 플레이와 달리 어필 플레이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1]

2. 2. 포스 아웃

포스 상태의 주자가 다음 베이스에 도달하기 전에, 공을 가진 야수가 다음 중 하나를 충족하면 주자는 아웃이 된다. 이를 '''포스 아웃'''(봉쇄)이라고 한다.[3]

  • 그 주자의 신체에, 가지고 있는 공 (혹은 공을 가진 손 또는 글러브)을 접촉시키는 것 (주자를 터치아웃)
  • 그 주자가 진루해야 하는 다음 베이스에, 가지고 있는 공 (혹은 공을 가진 손 또는 글러브), 또는 공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신체의 일부를 접촉시키는 것 (베이스를 터치하는 것)


포스 아웃은 겉보기에는 태그 아웃과 유사하지만, 규칙상으로는 포스 아웃으로 처리된다.

포스 상태에 있는 주자가 여러 명 있는 경우에는, 앞에 달리고 있는 주자부터 순서대로 포스 아웃을 시키면 연속해서 포스 아웃을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플레이로 2개의 아웃을 잡는 것을 병살타, 3개의 아웃을 잡는 것을 트리플 아웃이라고 한다. 특히, 포스 아웃의 연속으로 성립된 병살타를 포스 병살이라고 한다.

3. 포스 플레이의 예시

포스 플레이는 야구에서 주자가 원래 있던 베이스의 점유권을 잃고 강제로 다음 베이스로 가야 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을 '포스 상태'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1루에 주자가 있을 때 타자가 땅볼을 치면 타자는 1루로 달려가야 한다. 이때 1루에 있던 주자는 타자에게 1루를 내주고 2루로 가야만 한다. 만약 1, 2루에 모두 주자가 있었다면 2루 주자는 3루로, 만루 상황이었다면 3루 주자는 홈으로 강제로 가야 한다.[1]

포스 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경우설명
주자 1루1루 주자는 2루로 가야 한다.
주자 1, 2루1루 주자는 2루, 2루 주자는 3루로 가야 한다.
주자 만루 (1, 2, 3루)1루 주자는 2루, 2루 주자는 3루, 3루 주자는 홈으로 가야 한다.
주자 1, 3루1루 주자만 2루로 가야 한다.



수비 팀은 포스 상태에 있는 주자가 다음 베이스에 도착하기 전에, 공을 가진 야수가 다음 행동 중 하나를 하면 주자를 아웃시킬 수 있다. 이를 '포스 아웃'이라고 한다.[3]


  • 주자의 몸에 공(또는 공을 가진 손이나 글러브)을 대는 경우 (주자를 터치아웃)
  • 주자가 가야 할 다음 베이스에 공(또는 공을 가진 손이나 글러브) 또는 공을 가진 상태에서 신체 일부를 대는 경우 (베이스 터치)


포스 상태에 있는 주자가 여러 명일 때, 앞 주자부터 순서대로 포스 아웃시키면 연속으로 아웃을 잡을 수 있다. 한 번의 플레이로 2개의 아웃을 잡는 것을 병살타(포스 병살), 3개의 아웃을 잡는 것을 트리플 아웃이라고 한다.

4. 포스 상태의 해제와 부활

포스 상태는 특정 상황에서 해제되거나 다시 부활할 수 있다. 포스 상태의 해제는 주로 앞선 주자가 아웃될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플라이 아웃에서 타자가 아웃되면 다른 주자들은 태그업을 해야 한다. 또한 1루수가 땅볼을 잡아 1루를 밟아 타자를 아웃시키면 1루 주자는 포스 상태가 해제된다.

규칙상 포스 플레이는 투구 당시 루를 점유하고 있던 주자에게만 적용되며, 타자 주자는 엄밀히 "포스 상태"라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타자 주자도 1루에서 포스 아웃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득점 처리도 포스 아웃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플라이볼이 잡혔을 때 각 주자는 원래 루로 돌아가야 하는 리터치 의무가 있는데, 이는 포스 플레이와 달리 어필 플레이이다.

포스 상태는 해제되었다가 다시 부활할 수도 있다.

4. 1. 포스 상태의 해제

앞선 주자가 아웃되면 뒤따르는 주자는 원래 베이스의 점유권을 회복하여 포스 상태에서 벗어난다. 포스 상태가 해제된 주자는 태그 아웃으로만 아웃시킬 수 있다.

포스 상태는 후위 주자가 아웃되면 해제된다. 예를 들어 플라이 아웃 상황에서 타자가 아웃되면 다른 주자들은 투구 시점에 있던 베이스로 돌아가야 하는데, 이를 태그업이라고 한다. 또한 1루수가 땅볼을 잡아 1루를 밟아 타자를 아웃시키면, 1루 주자는 2루로 진루할 필요가 없어져 포스 상태가 해제된다. 이 경우 수비수가 2루를 터치해도 1루 주자는 아웃되지 않으며, 주루 방해에서 벗어나기 위해 1루로 돌아갈 수 있다.

포스 상태가 해제되면 해당 주자는 다음 루로 진루하거나 원래 루로 돌아갈 수 있다. 이 경우 수비 측은 주자를 아웃시키기 위해 반드시 태그해야 한다.

; 구체적인 예시 1

: 1사 1루에서 타자가 1루수 앞 땅볼을 쳤을 때, 1루수가 공을 잡아 1루를 밟으면 타자 주자는 아웃된다. 이후 2루로 송구하여 유격수가 2루를 밟아도 1루 주자는 아웃되지 않는다. 타자가 아웃되면서 1루 주자는 포스 상태에서 해제되었기 때문이다.

: 1사 1·3루 또는 만루에서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타자 주자가 아웃된 후 1루 주자가 아웃될 때까지 3루 주자가 홈에 도달하면 득점으로 인정된다.[4] 이는 제3 아웃이 포스 아웃이 아니기 때문이다.

; 구체적인 예시 2

: 무사 만루에서 타자가 3루 땅볼을 쳤을 때, 3루수가 3루를 밟은 후 홈으로 송구하고, 포수가 홈을 밟고 1루로 송구하는 상황을 가정해보자. 이 경우 2루 주자는 포스 아웃되지만, 3루 주자는 포스 상태에서 해제되어 태그해야만 아웃시킬 수 있다. 타자 주자는 1루 도달 전에 1루를 터치당하면 아웃된다. 따라서 3루 주자의 득점은 인정되고, 2사 2루에서 경기가 재개된다.

; 구체적인 예시 3

: 1사 만루에서 타자가 2루 땅볼을 쳤을 때, 2루수가 2루를 밟아 1루 주자를 아웃시키고(포스 플레이), 3루로 송구하여 2루 주자를 태그 아웃시키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2루 주자가 태그 아웃되기 전에 3루 주자가 홈을 밟고, 타자 주자가 1루를 밟았다면, 3루 주자의 득점이 인정된다.[4] 이는 2루 주자 및 3루 주자가 포스 상태에서 해제되었고, 제3 아웃이 포스 아웃이 아니기 때문이다.

4. 1. 1. 리버스 포스 더블 플레이

1사 1루에서 타자가 땅볼을 쳤을 때, 1루수가 1루를 밟아 타자를 아웃시키고, 2루로 송구하여 1루 주자를 태그 아웃시키는 경우를 '''리버스 포스 더블 플레이'''라고 한다.
구체적인 예시:1사 1루에서 타자가 1루수 앞 땅볼을 쳤을 때, 1루수가 공을 잡아 1루를 밟으면 타자 주자는 아웃된다. 이후 1루수는 2루로 송구하고, 유격수가 2루를 밟아도 1루 주자는 아웃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타자가 아웃되면서 1루 주자는 포스 상태에서 해제되었기 때문이다. 1루 주자를 아웃시키려면 유격수는 1루 주자를 터치해야 한다.[4]
실제 예시:2006년 8월 23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경기에서 1-1 동점 상황, 9회 초 1사 만루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아베 신노스케가 1루 땅볼을 쳤다.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의 1루수 사이버 타카히로는 1루를 밟아 타자를 아웃시켰고, 모든 주자의 포스 상태가 해제되었다. 3루 주자 스즈키 타카히로는 홈으로 달렸고, 사이버는 홈으로 송구했지만 스즈키가 더 빨라 득점했다. 만약 사이버가 홈으로 먼저 송구했다면 스즈키는 포스 플레이로 아웃되었겠지만, 1루를 먼저 밟는 바람에 스즈키를 터치해야 했고, 결국 실점했다.

4. 2. 포스 상태의 부활

포스 상태에 놓인 주자는 다음 루에 닿으면 진루 의무를 다하게 되어, 몸에 터치되지 않으면 아웃되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든 그 주자가 그 루에서 벗어나 원래 루 쪽으로 돌아가면, 다시 포스 상태가 된다.[3] 이 경우 야수는 주자의 몸이나 그 루에 터치하여 아웃을 잡을 수 있으며, 이 아웃은 포스 아웃으로 처리된다.[3]
실제 예시

  • 2019년일본어 8월 12일 주니치 드래곤즈 대 한신 타이거스 18차전(나고야 돔) 3회말(주니치의 공격) 1사 1루에서 타자 다얀 비시에도가 3루 땅볼을 쳤다. 한신 오야마 유스케3루수의 2루 송구가 약간 빗나가 얀거비스 솔라테2루수가 공을 뒤로 흘렸다. 1루 주자 소이로 알몬테는 그 사이 2루에 닿았지만, 공이 뒤로 빠진 것을 보지 못하고 포스 아웃되었다고 착각하여 2루를 떠나 1루 쪽 주니치 벤치로 돌아갔다. 이때 알몬테는 다시 포스 상태가 되었고, 그사이 2루에 터치되어 포스 아웃되었다.

  • 2019년일본어 8월 25일 오릭스 버팔로스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19차전(교세라 돔 오사카) 3회초, 닛폰햄의 공격 1사 만루에서 타자 곤도 겐스케가 외야로 큰 타구를 날렸다. 오릭스 소 무네마중견수는 타구를 쫓아가 글러브로 한 번 튕겼지만, 다시 글러브에 넣기 전에 타구가 펜스에 맞았다. 닛폰햄 3루, 2루 주자는 홈으로 들어왔지만, 2루에 도달했던 1루 주자 오타 타이시는 타구가 펜스에 맞지 않고 잡힌 것으로 착각하여 1루로 돌아가려다 2루를 포기했다. 외야에서 돌아온 공을 가진 오릭스 후쿠다 슈헤이 2루수가 2루에 터치하여 오타는 포스 아웃되었다. 포스 아웃이 되면 타자에게 안타가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5] 곤도에게는 타수 1과 타점 2만 기록되었다.

5. 포스 아웃과 득점의 관계

세 번째 아웃이 포스 아웃인 경우에는 다른 주자가 홈을 먼저 밟았더라도 득점이 인정되지 않는다.[4] 이는 2아웃 상황에서 타구가 발생했을 때, 야수들이 득점을 시도하는 주자 대신 타자나 다른 주자를 포스 아웃시키려는 이유이다.

예를 들어 2아웃 1, 3루 상황에서 타자가 땅볼을 쳤을 때, 2루수가 공을 잡아 2루를 밟아 1루 주자를 포스 아웃시키면 이닝의 세 번째 아웃이 된다. 이때 3루 주자가 홈을 밟았더라도, 세 번째 아웃이 포스 아웃이기 때문에 득점은 인정되지 않는다.[1]

어필 플레이도 포스 플레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아웃 1, 3루 상황에서 타자가 안타를 쳤지만, 1루에서 3루로 가던 주자가 2루를 밟지 않은 경우, 적절한 어필을 통해 이 주자를 아웃시킬 수 있다. 이는 주자가 강제로 가야 하는 베이스를 터치하지 못해 아웃된 것이므로 포스 아웃이며, 세 번째 아웃이므로 득점은 인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시


  • 예시 1: 2아웃 3루 상황에서 타자가 3루수 쪽으로 땅볼을 쳤다. 3루수가 공을 잡아 1루로 던져 1루수가 타자보다 먼저 1루를 밟으면 타자는 아웃된다. 3루 주자가 홈에 먼저 들어왔더라도, 타자가 1루에 닿기 전에 아웃되어 세 번째 아웃이 되었으므로 득점은 인정되지 않는다.

  • 예시 2: 2아웃 만루 상황에서 타자가 3루수 쪽으로 땅볼을 쳤다. 3루수가 공을 잡아 3루를 밟으면 2루 주자는 포스 아웃된다. 3루 주자가 홈을 밟았더라도, 세 번째 아웃이 포스 아웃이므로 득점은 인정되지 않는다. 3루수가 2루 주자를 직접 태그하거나, 2루나 1루로 공을 던져 다른 주자를 아웃시켜도 마찬가지이다.

  • 예시 3: 2아웃 3루 상황에서 타자가 외야로 뜬공을 쳤는데, 외야수가 이 공을 잡았다. 3루 주자가 홈을 밟고 타자도 1루를 돌았더라도, 뜬공이 잡히면 타자는 아웃되고 1루 도달도 인정되지 않으므로, 세 번째 아웃이 되어 득점은 인정되지 않는다.

6. 태그업과 포스 플레이

주자가 잡힌 플라이볼 이후 태그업을 시도하다가 아웃된 경우에는 포스 아웃이 아니다. 이 아웃은 주자가 도달해야 하는 베이스에 야수가 공을 가지고 있으면 아웃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정한 포스 아웃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 아웃을 포스 아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포스 아웃이 아니며, 따라서 다른 주자가 태그업을 시도하다가 세 번째 아웃이 되기 전에 득점하면 해당 득점은 인정된다.

플라이볼이 잡혔을 때 각 주자는 '''반드시 원래의 루로 돌아가야 하는 리터치(태그업) 의무'''가 있다. 각 주자는 투구 당시에 점유하고 있던 루를 다시 터치해야 한다. 이는 포스 플레이와 달리 어필 플레이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7. 한국 프로야구에서의 포스 플레이 관련 사례

한국 프로야구에서는 아직까지 포스 플레이와 관련하여 뚜렷하게 기록될 만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본 프로야구에서는 포스 플레이와 관련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사례가 있었다.


  • 2019년 8월 12일 주니치 드래곤즈와 한신 타이거스의 경기에서 1루 주자가 2루에서 포스 아웃 상황을 오인하여 더그아웃으로 복귀하다 아웃된 사례가 있었다.[3]
  • 2019년 8월 25일 오릭스 버팔로스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의 경기에서 1루 주자가 타구가 잡힌 것으로 오인하여 2루에서 포스 아웃된 사례가 있었다. 이로 인해 타자에게는 안타 대신 타점만 기록되었다.[3][5]

7. 1. 2019년 주니치 대 한신 경기

2019年일본어 8월 12일 주니치 드래곤즈 대 한신 타이거스 경기(나고야 돔) 3회말(주니치의 공격) 1사 1루에서 타자 다얀 비시에도가 3루 방향으로 땅볼을 쳤다. 한신 오야마 유스케(3루수)의 2루 송구가 약간 벗어나 얀거비스 솔라테(2루수)가 뒤로 흘렸다. 1루 주자 소이로 알몬테는 그 사이에 2루에 닿았지만, 뒤로 흘린 것을 알아채지 못하고 자신이 포스 아웃되었다고 오인하여 2루를 떠나 1루측 주니치 벤치로 돌아가 버렸다. 이 시점에서 다시 포스 상태에 놓였고, 그 사이에 2루에 터치되어 포스 아웃되었다.[3]

7. 2. 2019년 오릭스 대 닛폰햄 경기

2019년 8월 25일 오릭스 버팔로스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제19차전(교세라 돔 오사카) 3회초, 닛폰햄의 공격에서 1사 만루 찬스에 타자 곤도 겐스케가 외야로 큰 타구를 날렸다.[3] 오릭스의 소 무네마중견수는 이 타구를 쫓아 한 번 글러브로 터치했지만 튕겨져 나가, 다시 글러브에 들어올 때까지 타구가 펜스에 맞았다. 닛폰햄의 3루 주자와 2루 주자는 잇따라 홈으로 들어왔지만, 일단 2루에 도달했던 1루 주자 오타 타이시는 타구가 펜스에 닿지 않고 직접 잡힌 것으로 오인했는지 1루로 돌아가려다가 2루를 포기해 버렸다. 외야에서 돌아온 공을 가지고 오릭스의 후쿠다 슈헤이 2루수가 2루에 터치했기 때문에, 오타는 포스 아웃되었다. 어느 주자가 포스 아웃되면 타자에게 안타는 기록되지 않기[5] 때문에, 곤도에게는 타수 1과 타점 2만이 기록되었다.

참조

[1] 서적 Baseball Explained http://www.baseballe[...] McFarland Books 2014
[2] 문서 公認野球規則 - 用語の定義30
[3] 문서 公認野球規則5.09(b)(6)
[4] 문서 公認野球規則5.08
[5] 문서 公認野球規則9.05(b)(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