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풍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금은 자유 리드 에어로폰의 일종으로, 18세기 유럽에 중국의 생황이 전래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세기에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 모델들이 제작되어 서양에서 큰 인기를 누렸으며, 특히 1900년경에 인기가 최고조에 달했다. 1930년대 전자 오르간의 등장으로 인해 인기가 쇠퇴했지만, 20세기 중엽 인도에서 개량되어 인도 음악에 사용되는 등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풍금은 서양 클래식 음악, 인도 음악, 대중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되었으며, 카미유 생상스, 존 레논, 크리슈나 다스 등 여러 음악가들이 이 악기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르간 - 제리네테
    제리네테는 부정적인 대상을 조롱하거나 비꼬는 데 사용되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유행어이자 밈으로, 주로 정치적인 맥락에서 활용되며, 특정 인물이나 세력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오르간 - 전기오르간
    전기오르간은 톤 휠을 사용하는 해먼드 오르간과 전자 회로를 활용하는 전자 오르간으로 나뉘며, 광학식 오르간 개발, 해먼드 오르간 발명, 트랜지스터 전환, 디지털 기술 발전 등을 거쳐 현재 다양한 제조사에서 생산되어 여러 장르에서 활용된다.
  • 건반악기 - 하프시코드
    하프시코드는 건반 악기로, 플렉트럼으로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다양한 음높이의 현과 레지스터를 통해 음량과 음색을 조절할 수 있으며,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피아노의 등장으로 쇠퇴했으나, 20세기에 부활하여 고음악에서 사용되고 있다.
  • 건반악기 - 파이프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은 파이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수많은 파이프와 풍압 시스템, 건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음색을 내며, 교회 음악과 콘서트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건축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공기울림악기 - 파이프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은 파이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수많은 파이프와 풍압 시스템, 건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음색을 내며, 교회 음악과 콘서트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건축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공기울림악기 - 튜바
    튜바는 고대 로마 시대 관악기 명칭을 딴 저음 금관악기로, 19세기 초 빌헬름 비프레히트와 요한 고트프리트 모리츠가 개발하여 리하르트 바그너 작품을 통해 오케스트라에 채용되었으며, 피스톤이나 회전 밸브를 사용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여러 장르에서 활용된다.
풍금
악기 분류
악기 종류기명악기(Aerophone)
세부 종류자유 리드 기명악기(Free reed aerophone)
기본 정보
이름리드 오르간(Reed organ)
풍금
영어 이름펌프 오르간(Pump organ)
독일어 이름하르모니움(Harmonium)
프랑스어 이름하르모니움(Harmonium)
이탈리아어 이름아르모니움(Armonium)
역사
발명가가브리엘-조제프 그레니에(Gabriel-Joseph Grenié)
개발 시기19세기
음역
범위일반적으로 10 옥타브
관련 악기
손 펌프식레갈(Regal)
인도 하르모니움(Indian harmonium)
아코디언(Accordion)
입으로 부는 방식클라비올라(Claviola)
멜로디카(Melodica)
하모니카(Harmonica)
아시아의 구금(mouth organ)
연주자
연주자 목록하르모니움 연주자 목록(List of harmonium players) 참고
제작사
제작사 목록펌프 오르간 제작사(:Category:Pump organ manufacturers) 참고
사운드 샘플
이미지
존 처치 앤 컴퍼니 펌프 오르간
하르모니움 또는 리드 오르간 (Dominion Organ 캐나다)

2. 역사

풍금은 자유 리드 에어로폰의 원리를 이용한 건반 악기로, 그 역사는 18세기 중국의 생(笙)이 유럽에 소개되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2] 유럽에서는 18세기 후반부터 크리스티안 고틀리브 크라첸슈타인, 아베 게오르크 요제프 포글러 등이 자유 리드를 사용한 악기 제작을 시도했다.[3][2]

본격적인 풍금의 발전은 19세기 초 프랑스에서 시작되었다. 1810년경 가브리엘 그레니에가 발명한 오르그 엑스프레시프(orgue expressif)는 페달식 풀무와 익스프레션 스톱을 통해 지속적인 강약 조절이 가능한 초기 형태의 풍금이었다.[59] 이후 아리스티드 카벨레콜, 알렉상드르 드뱅 등이 이를 개량하여 오늘날 우리가 아는 풍금의 형태를 갖추어 나갔으며, 드뱅은 1840년 '하모니움(Harmonium)'이라는 이름으로 특허를 등록했다.[59][5] 비슷한 시기 독일어권에서도 베른하르트 에센바흐 등이 유사한 악기를 개발했다.[59]

미국에서는 유럽과 다른 방식의 풍금이 발전했는데, 공기를 리드로 밀어내는 대신 리드를 통해 안으로 빨아들이는 흡입식 풀무(suction bellows) 방식이 개발되었다. 1885년부터 보스턴의 메이슨 & 햄린 사가 이 방식을 채택하면서 미국 풍금의 표준이 되었다.[5]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풍금은 전성기를 맞았다. 가격이 저렴하고 이동이 용이하며 파이프 오르간에 비해 크기가 작아 작은 교회나 예배당,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온도와 습도 변화에 비교적 강해 선교사들을 통해 아시아, 아프리카 등 전 세계 식민지로 퍼져나가 찬송가 반주 등에 활용되었다.[59] 이 시기에는 단순한 모델부터 여러 개의 스톱과 장식을 갖춘 복잡한 모델, 휴대용 모델까지 다양한 종류의 풍금이 생산되었다.

인도에서는 서양 선교사들을 통해 풍금이 전래된 후[59], 바닥에 앉아 연주하는 문화에 맞게 개량되어 인도 음악의 중요한 악기로 자리 잡았다. 특히 종교 음악 반주에 널리 쓰였으나, 고정된 음정 때문에 인도 전통 음악의 미분음 표현에는 한계가 있다는 비판도 받았다.[59]

풍금은 일정한 음정을 유지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음향학적 실험이나 특수한 조율법 연구에 사용되기도 했다.[59] 그러나 20세기 중반 전자 오르간, 특히 해먼드 오르간이 등장하면서 풍금의 인기는 급격히 쇠퇴했다. 전자 오르간은 풍금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더 다양한 음색과 기능을 제공했고 유지 보수도 용이했기 때문이다. 북미와 유럽의 주요 풍금 제조사들은 1950년대에서 1970년대 사이에 대부분 생산을 중단했다. 오늘날 서양식 풍금은 주로 골동품이나 애호가들의 악기로 남아있지만, 인도 등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개량된 형태의 풍금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대의 전자 키보드는 풍금의 소리를 재현하는 기능을 포함하기도 한다.

2. 1. 서양 풍금의 발전

18세기 전반, 자유 리드 에어로폰의 일종인 중국의 생(笙, Sheng)이 러시아를 통해 유럽에 전래되었다.[2] 이 악기는 요한 빌데가 사용하면서 주목받았으며, 당시 유럽에는 생소했던 자유 리드 개념은 러시아를 통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2] 1780년,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 크리스티안 고틀리브 크라첸슈타인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아카데미에서 상을 받은 후 서양 최초로 자유 리드 악기를 제작한 인물로 여겨진다.[3] 다만 쿠르트 작스는 크라첸슈타인이 제작을 제안했을 뿐, 실제 최초의 자유 리드 오르간은 아베 게오르크 요제프 포글러가 다름슈타트에서 제작했다고 보았다.[2]

풍금의 직접적인 조상은 1810년경 프랑스의 가브리엘 그레니에(Gabriel-Joseph Grenié, 1756–1837)가 고안한 오르그 엑스프레시프 (orgue expressif, 표현력이 풍부한 오르간)이다.[59] 이 악기는 두 개의 페달로 조작하는 풀무로 공기를 공급했으며, 페달을 이용해 풀무와 공기 저장기를 연결하는 '익스프레션 스톱'을 통해 오르간 역사상 처음으로 연속적인 강약(다이내믹스) 조절이 가능했다.[59] 1815년에는 바이에른의 베른하르트 에센바흐가 유사하게 연속적인 강약 표현이 가능한 프리 리드 건반 악기인 에올리네 (Äoline)를 고안했다.[59]

1834년, 프랑스의 유명 오르간 제작자 아리스티드 카벨레콜은 그레니에의 악기를 개량한 포이킬로르그 (Poikilorgue)를 파리 박람회에 선보여 널리 알렸다. 이 악기는 스퀘어 피아노처럼 작은 형태에 한 옥타브 반의 음역을 가졌다.[59] 1840년, 알렉상드르 드뱅은 그레니에의 악기를 더욱 개량하고 '하모니움 (Harmonium)'이라는 이름을 붙여 특허를 등록했다.[5] 1842년 드뱅의 모델이 판매되면서 풍금의 인기는 높아졌다. 그의 악기는 세 옥타브 건반에 두께와 폭이 다른 리드를 연결했으며, 각 건반이 풀무로부터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제어하여 다양한 음색을 내는 것이 가능해졌다.[59] 1843년에는 그레니에의 제자 테오도르아킬레 뮐러가 사각형 상자에 접어 넣을 수 있는 휴대용 풍금으로 특허를 등록했다.[59] 1848년 드뱅은 악보 그대로 연주하면서 음정을 조절할 수 있는 교체 건반 (transposing keyboard) 등의 기능을 추가했다.[59] 1854년에는 빅토르 뮈스텔이 무릎 레버로 조작하는 분할식 익스프레션 스톱을 추가하여 표현력을 더욱 높였다.[59]

비티(Beatty) 사의 팔러 오르간 광고, 1882년.


한편, 미국에서는 다른 방식이 발전했다. 파리의 알렉상드르 공장에서 일했던 기술자가 미국으로 이주하여, 공기를 리드로 밀어내는 방식 대신 리드를 통해 공기를 안으로 빨아들이는 흡입식 풀무 (suction bellows)를 고안했다. 1885년부터 보스턴의 메이슨 & 햄린 사는 이 방식을 채택하여 악기를 제작했고, 이는 곧 미국에서 표준적인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5]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풍금은 서양에서 전성기를 맞았다. 파이프 오르간을 설치하기에는 너무 크거나 비쌌던 작은 교회나 예배당에서 특히 인기가 많았다. 또한 비슷한 크기의 피아노보다 가볍고 운반이 용이하며, 온도나 습도 변화에도 비교적 음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식민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제조업체들은 열대 기후의 해충을 막기 위해 화학 처리된 케이스를 사용한 수출용 모델을 생산하기도 했다. 이 시기에는 단순한 모델부터 화려한 케이스에 12개 이상의 스톱, 커플러 등을 갖춘 대형 모델까지 다양한 스타일의 풍금이 제작되었다. 일부는 파이프 오르간처럼 보이도록 가짜 파이프 장식을 달기도 했으며, 두 개의 건반 (매뉴얼)이나 페달 건반을 갖춘 모델도 있었다. 휴대성을 극대화하여 여행 가방 크기로 접을 수 있는 모델은 선교사나 군종 목사 등이 사용했다.

제임스 앙소르의 1933년 작품 "오르간(하모늄)을 향하는 앙소르".


풍금은 일정한 음정을 유지할 수 있어 음향 실험이나 다양한 조율법 실험에도 사용되었다. 1889년 베를린의 쇼에 탕카가 설계하고 요한 케비치가 제작한 실험용 풍금은 한 옥타브에 20개 이상의 음을 정밀하게 조율할 수 있었으며, 방케(Banki)의 실험용 풍금은 한 옥타브 내에서 53개의 미분음을 낼 수 있었다.[59]

그러나 1920년대부터 음악적 취향의 변화로 가정용 악기로서 풍금의 인기는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1930년대 중반 전자 오르간(특히 해먼드 오르간)의 등장은 결정적이었다. 전자 오르간은 풍금의 장점인 작은 크기와 저렴한 비용을 유지하면서도 파이프 오르간의 음색과 음역을 더 잘 모방했고, 유지 보수가 용이했으며 더 많은 기능을 제공했다. 또한, 특허 경쟁 등으로 인해 일부 풍금의 기계적 구조가 매우 복잡해진 것도 전자 악기로의 전환을 부추겼다. 북미의 마지막 주요 풍금 제조사인 에스티는 1950년대 중반 생산을 중단했고, 일부 이탈리아 회사는 1970년대까지 생산을 이어갔다. 오늘날 서양식 풍금은 주로 애호가들의 수집품이 되었으나, 신시사이저전자 키보드를 통해 그 소리를 재현할 수 있다.

2. 2. 인도 풍금의 발전

파키스탄의 하모니움


연주 예


풍금은 19세기 중엽 찬송가 반주용으로 선교사에 의해 인도에 처음 소개되었다.[59] 이후 영국의 식민 통치 시기를 거치며 인도에 수출되었고, 인도 음악의 전통에 맞게 개량되었다. 기존의 의자에 앉아 연주하는 방식 대신, 바닥에 앉아 연주할 수 있도록 건반을 포함한 악기 전체가 가볍게 만들어져 무릎 위에 올려놓고 연주하는 형태로 바뀌었다.[59] 현재도 이러한 형태의 풍금이 인도 음악에 사용되고 있다.

1920년대부터 인도파키스탄에서는 소형 구자라트용 풍금을 제작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구자라트 지역의 팔리타나가 리드 악기 제조의 중심지가 되었다.[59] 풍금은 인도 아대륙 전역에 널리 보급되어 많은 가정에서 한 대씩 보유할 정도였고, 주로 힌두교, 시크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의 기도 노래(바잔, 키르탄, 카왈리 등) 반주용으로 널리 사용되었다.[59]

그러나 풍금의 보급은 인도 전통 음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풍금은 음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미분음이나 자유로운 음정 변화(가마카)가 중요한 인도 고전 음악의 성악 및 기악곡에는 잘 맞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전통 음악을 중시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풍금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했다.[59] 또한 풍금의 도입으로 인해 인도의 전통 악기인 바조나 스루티나 백파이프와 유사한 민속 악기들이 점차 사라지게 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59]

슈루티 박스(Shruti box)는 인도 하모니움의 간이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악기이다. 이 악기는 건반 없이 벨로즈를 손으로 조작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소리를 내며, 주로 단음 또는 화음의 드론(지속음)을 연주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슈루티 박스 연주(동영상)

2. 3. 한국에서의 풍금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부재함)

3. 음향학

풍금의 음향 효과는 서양과 인도의 하모늄, 리드 오르간 모두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자유 리드(free reed) 메커니즘에 기반한다.

1875년, 헤르만 폰 헬름홀츠는 그의 저서 ''음의 감각에 관하여''에서 풍금을 다양한 조율 시스템 실험에 광범위하게 사용했다.[8] 그는 풍금이 "균일하게 지속되는 음, 날카로운 음질, 그리고 꽤 뚜렷한 결합음으로 인해 음정의 부정확성에 특히 민감"하며, "진동자도 섬세하고 내구성이 있는 조율을 허용하기 때문에... 더 완벽한 음의 시스템에 대한 실험에 특히 적합해 보였다"고 평가했다.[9] 헬름홀츠는 두 개의 건반과 다르게 조율된 스톱 세트를 사용하여 피타고라스 조율법, 순정율, 평균율을 비교하고, 각 조율법에 내재된 비화성도의 정도를 관찰했다. 그는 옥타브를 28개의 음으로 나누어, 순정율에서 나타나는 거친 불협화음 없이 12개의 단조와 17개의 장조로 조바꿈을 수행할 수 있는 악기를 사용했으나, 이 악기는 연주하기 어려웠다.[10][11]

실험 및 교육 목적으로 다른 악기들도 사용되었다. 로버트 홀포드 맥도웰 보산케트는 53 평균율 실험을 위해 1873년에 ''일반화된 건반''을 제작했는데, 실제로는 연주 편의를 위해 84개의 건반으로 만들어졌다. 헨리 워드 풀이 제작한 리드 오르간도 유명한 실험용 악기 중 하나였다.[12]

레이리 경은 풍금을 사용하여 주파수를 간접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 방법은 근사적으로 알려진 평균율 간격과 그 배음 사이의 비트를 이용하는 것이었다.[13] 풍금은 두 명의 청취자가 비트를 안정적으로 셀 수 있을 만큼 명확한 배음을 제공했지만, 레이리 경은 풀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 피치가 변동하는 문제가 있음을 인정했다.

리드 오르간의 주파수는 불어넣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달라진다. 기본 주파수는 압력이 중간 정도일 때 낮은 압력에서보다 약간 ''감소''하지만, 높은 압력에서는 다시 몇 Hz만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측정된 베이스 음 기준).[14] 미국 리드 오르간 측정 결과, 리드가 프레임 위아래로 구부러질 때 날카로운 압력 전환과 함께 사인파 형태의 진동이 나타났다.[15] 기본 주파수 자체는 리드의 기계적 공진 주파수와 거의 같다.[16] 악기의 배음은 비화성적이지 않고 기본 주파수의 고조파이다.[17] 그러나 약한 비화성 배음(6.27''f'')도 보고된 바 있다.[18] 기본 주파수는 횡파 고유 모드에서 나오며, 약한 고차 횡파 및 비틀림 모드도 측정되었다.[19] 비틀림 모드는 리드 구조의 약간의 비대칭성 때문에 발생하며, 음이 시작되는 공격(attack) 단계에서 리드는 기본음과 함께 과도적으로 두 번째 횡 모드 또는 비틀림 모드를 가장 강하게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풍금의 자유 리드는 금속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공기 흐름을 받아 자기 여기 진동을 일으켜 소리를 낸다.[15] 이 공기 흐름은 풀무에서 저장소로 펌핑되어 리드를 밀어낸다. 이 특정 공기역학은 비선형 시스템으로, 리드가 진동할 수 있는 최대 변위 진폭감쇠비의 변동에 의해 제한되어 결과적인 음압이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된다.[17] 또한, 리드 진동이 최소화되는 임계 펌핑 압력이 존재한다.[18] 이 두 임계값 내에서, 리드 진폭의 시간 경과에 따른 지수 증가와 지수 감쇠가 관찰된다.[20] 이러한 리드 진동의 특이한 물리학적 성질은 연주 시 다이내믹스(셈여림) 제어를 제한적이고 미묘하게 만든다.

음색에 대한 사운드 박스와 리드 사이의 방사 패턴 및 결합 효과는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4. 유형

풍금은 작동 방식과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크게 초기 형태, 유럽식 하모니움(압력식), 미국식 리드 오르간(흡인식), 그리고 특수한 목적을 위해 제작된 풍금 등으로 분류된다.

'''초기 형태'''

풍금의 직접적인 조상은 1810년경 가브리엘 그레니에가 고안한 Orgue expressif|오르그 엑스프레시프프랑스어이다. 이 악기는 발 페달로 조작하는 풀무로 공기를 공급했으며, '익스프레션 스톱'이라는 장치를 통해 오르간 역사상 처음으로 연속적인 강약 조절이 가능했다.[59] 1834년에는 프랑스의 유명 오르간 제작자 아리스티드 카벨레콜이 이를 개량하여 스퀘어 피아노 형태의 Poikilorgue|포이킬로르그프랑스어를 선보였고, 1843년에는 그레니에의 제자 테오도르아킬레 뮐러가 휴대 가능한 접이식 풍금을 특허 등록했다.[59] 비슷한 시기 독일 바이에른에서도 베른하르트 에센바흐가 1815년 강약 표현이 가능한 Aeoline|에올리네de를 고안했다.[59] 1842년 파리의 제작자 알렉상드르 드뱅은 여러 두께와 폭의 리드를 사용하여 다양한 음색을 내고, 건반으로 송풍량을 조절하며, 조옮김(이조)이 가능한 교체 건반 장치를 갖춘 풍금을 특허 등록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59]

'''하모니움 (압력식 프리 리드 오르간)'''

알렉상드르 드뱅은 1840년 자신이 개량한 악기에 '하모니움'이라는 이름을 붙여 특허를 받았다.[5] 이는 발로 밟는 풀무(벨로스)가 리드로 공기를 밀어 넣어 소리를 내는 압력식(pressure system) 구조를 가진다. 유럽에서 주로 발전했으며, 엑토르 베를리오즈는 그의 저서 《그랜드 트레테 데 앙스트루망시옹 에 도케스트라시옹 모데르네》(Grand traité d'instrumentation et d'orchestration modernes)에서 이 악기를 다루었으며, 그의 작품 《그리스도의 어린 시절》에도 사용했다. 1854년 빅토르 뮈스텔은 무릎 레버로 조작하는 분할식 익스프레션 스톱을 추가하여 표현력을 더욱 향상시켰다.[59] 하모니움은 파이프 오르간을 설치하기 어려운 작은 교회나 예배당,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비교적 운반이 쉽고 온도와 습도 변화에도 음정을 잘 유지하여 유럽 열강의 식민지에서도 인기를 끌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는 단순히 몇 개의 스톱만 가진 모델부터, 파이프 오르간을 모방한 화려한 외관과 다양한 기능을 갖춘 대형 모델까지 다양한 종류가 생산되었다. 두 개의 건반(매뉴얼)이나 페달 건반을 갖춘 모델도 있었다. 20세기 초에는 Kunstharmonium|쿤스트하모니움de(예술 하모늄)이라 불리며, 특정 음을 길게 지속시키는 Prolongement|프로롱주망프랑스어 같은 특수 장치를 갖추기도 했다. 막스 레거, 지크프리트 칼크-엘레르트 등이 이 악기를 위한 작품을 남겼다. 주요 제조사로는 프랑스의 뮈스텔, 미국의 메이슨 앤 햄린, 독일의 티츠 등이 있다.

'''미국식 리드 오르간 (흡인식)'''

미국에서는 유럽식 하모니움과 다른 방식의 리드 오르간이 발전했다. 파리의 알렉상드르 공장에서 일하던 기술자가 미국으로 이주하여, 공기를 밖으로 밀어내는 대신 안으로 빨아들이는 흡입식 풀무(suction bellows)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고안했다. 1885년부터 보스턴의 메이슨 & 햄린 사가 이 방식을 채택하여 악기를 제작했고, 이는 곧 미국 리드 오르간의 표준이 되었다.[5] 이 흡인식 리드 오르간은 팔러 오르간(parlor organ), 펌프 오르간(pump organ), 캐비닛 오르간(cabinet organ)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57], 특히 미국 서부에서는 '멜로디언'이라는 용어가 이러한 리드 악기를 지칭하는 데 흔히 사용되기도 했다.[7] 마크 트웨인의 소설 《톰 소여의 모험》에도 이 악기가 등장한다.

'''특수 목적 풍금'''


  • '''실험용 풍금''': 풍금은 음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음향학적 실험이나 다양한 조율법 연구에 사용되었다. 1889년 베를린의 쇼에 탕카가 설계하고 요한 케비치가 제작한 풍금은 한 옥타브 안에 20개 이상의 음을 낼 수 있었고, 방케(Banke)의 실험용 풍금은 한 옥타브를 53개의 미분음(음과 음 사이의 미세한 음정)으로 나눌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59]
  • '''인도 하모니움''': 19세기 중엽 선교사들을 통해 인도에 전래된 풍금은 현지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1920년대부터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소형 구자라트식 하모니움을 제작했으며, 구자라트 주의 팔리타나가 주요 생산지가 되었다. 인도 하모니움은 주로 기도 노래(바잔 등) 반주에 널리 사용되지만, 고정된 음높이 때문에 미분음과 자유로운 억양 변화를 중시하는 전통 인도 음악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도 받는다.[59] 이로 인해 인도의 전통 악기인 바조나 스루티나 백파이프 등이 사라지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59]
  • '''휴대용 풍금''': 선교사, 군대 목사, 순회 설교자 등을 위해 여행 가방이나 작은 트렁크 크기로 접을 수 있는 휴대용 리드 오르간도 제작되었다. 건반 수가 적고 기능이 단순했지만, 찬송가 반주 등에는 충분히 사용될 수 있었다.


'''쇠퇴와 현대'''

1930년대 중반 해먼드 오르간과 같은 전자 오르간이 발명되면서 서양에서 하모니움의 성공은 끝을 맺었다. 전자 오르간은 하모니움의 장점인 작은 크기와 비용 효율성을 유지하면서도 파이프 오르간의 음질과 범위를 모방할 수 있었고, 유지 보수 요구 사항을 줄였으며 더 많은 기능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또한, 복잡해진 기계 구조와 변화하는 음악적 취향도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북미에서는 에스티 사가 1950년대 중반까지, 일부 이탈리아 회사들은 1970년대까지 하모니움을 생산했다. 오늘날 서양에서는 주로 애호가들이 하모니움을 소유하고 보존하고 있으며, 인도 등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여전히 대중적인 악기로 사용되고 있다. 현대의 전자 키보드는 하모니움(펌프 오르간)의 소리를 모방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기도 하다. 일본의 작곡가 오나카 토라지는 리드 오르간이 일본 교회 음악에 적합하다고 여겨 많은 작품을 남겼다. 최근에는 Jan Hennig[58], Johannes Matthias Michel 등 일부 음악가들을 중심으로 하모니움 음악을 부흥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5. 주요 작곡가 및 작품

풍금은 쿠르트 작스에 의해 "두 개의 표현의 극 사이에서 진동"하고 "관악기의 압도적인 힘과 강한 악센트를 필요로 하는" 낭만주의 시대(1750년대~1900년대) 음악의 중요한 악기로 여겨졌다.[2]

풍금은 클래식 음악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되었다. 미국 애팔래치아 산맥과 남부 지역의 민속 음악에서도 자주 사용되었다. 특히 핀란드에서는 북유럽 민속 음악의 새로운 부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0년대 후반, 많은 학교 밴드에서 풍금을 포함시키는 것이 자연스러웠으며, 당시 서부 핀란드의 전형적인 민속 밴드는 바이올린, 더블 베이스, 그리고 풍금으로 구성되었다. 다만, 당시 풍금(438Hz)과 아코디언(442Hz)의 표준 조율 음높이가 달라 함께 연주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21] 이 시기 북유럽 민속 음악의 주요 풍금 연주자로는 티모 알라코틸라와 밀라 빌야마 등이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풍금의 도입으로 종교적인 가정 음악이 활성화되었다. 풍금의 오르간과 유사한 음색은 개혁교회 신자들이 집에서 시편이나 찬송가를 부를 때 반주 악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했다. 요하네스 데 헤르와 같은 작곡가들은 목소리와 풍금을 위한 새로운 찬송가를 다수 작곡하기도 했다.[22]

또한, 풍금은 음역대가 비교적 좁고 스톱(음색 변환 장치) 수가 적기 때문에, 원래 교회 오르간을 위해 작곡된 곡 중 일부를 연주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바흐의 오르간을 위한 C장조 판타지 BWV 570은 4옥타브 풍금으로도 연주할 수 있다.[23] 서양 클래식 음악에서의 구체적인 작곡가 및 작품 목록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5. 1. 서양 클래식

풍금은 쿠르트 작스에 의해 "두 개의 표현의 극 사이에서 진동"하고 "관악기의 압도적인 힘과 강한 악센트를 필요로 하는" 낭만주의 시대(1750년대~1900년대) 음악의 중요한 악기로 여겨졌다.[2] 풍금을 위한 작품은 유럽과 미국의 클래식 음악 작곡가들에 의해 작곡되었다.

다음은 풍금을 사용한 서양 클래식 음악 작품 및 관련 작곡가의 예시이다.

이 외에도 조르주 비제, 막스 레거, 지크프리트 카르크엘레르트 등이 풍금을 위한 작품을 남겼다.[2]

5. 2. 인도 음악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5. 3. 대중음악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How to Play Harmonium Abhishek Publications
[2] 서적 The History of Musical Instruments W. W. Norton & Company 1940-01-01
[3] 웹사이트 Western Free Reed Instruments http://www.patmissin[...] 2010-08-06
[4] 뉴스 Carpenter Organ Company (1899) https://www.newspape[...] Vermont Phoenix 1899-09-01
[5] 뉴스 Harmonium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reed organ http://www.harmonium[...] 2010-08-06
[7] 서적 The Barbary Coast Alfred Knopf
[8] 서적 On the Sensations of Tone Longmans, Green, And Co.
[9] 서적 On the Sensations of Tone
[10] 서적 On the Sensations of Tone
[11] 서적 On the Sensations of Tone
[12] 서적 On the Sensations of Tone
[13] 학술지 On the determination of absolute pitch by the common harmonium 1879-01-01
[14] 학회발표 Variation of frequency with blowing pressure for an air-driven free reed http://www.public.co[...] 1999-03-01
[15] 학술지 Reed Vibration in Western Free-Reed Instruments http://www.public.co[...] 2007-09-01
[16] 서적 The physics of musical instruments, 2nd ed. Springer Science+Media Inc.
[17] 학술지 Analytical prediction of the non-linear response of a self-excited structure
[18] 학회발표 The motion of air-driven free reeds http://www.public.co[...] 1999-03-01
[19] 학회발표 Modes of Vibration of Air-driven Free Reeds in Steady State and Transient Oscillation http://www.public.co[...] 2003-11-01
[20] 학술지 Aerodynamic excitation of the harmonium reed
[21] 웹사이트 Harmooni http://www.pelimanni[...] 2012-12-18
[22] 서적 Stichtelijke zang rond het harmonium Amsterdam University Press/Salome
[23] 웹사이트 Fantasia in C major, BWV 570 (Bach, Johann Sebastian) – IMSLP/Petrucci Music Library: Free Public Domain Sheet Music http://imslp.org/wik[...] Imslp.org
[24] 웹사이트 Martijn Padding http://www.martijnpa[...] Martijnpadding.nl
[25]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Women Composers Books & Music (USA)
[26] 웹사이트 Keyboards of the Beatles Era http://www.harmonyce[...] Harmony Central 2014-02-07
[27] 서적 The Beatles as Musicians: The Quarry Men through Rubber Soul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Here, There and Everywhere: My Life Recording the Music of the Beatles https://books.google[...] Gotham Books
[29] 웹사이트 Hello, Goodbye http://www.beatlesbi[...] The Beatles Bible 2008-03-15
[30] 학술지 Music Icons – The Beatles: The Story Behind Every Album & Song Athlon Sports Communications, Inc.
[31] 웹사이트 Desertshore – Nico Songs, Reviews, Credits AllMusic https://www.allmusic[...]
[32] 웹사이트 The Hurdy Gurdy Man http://donovan-unoff[...] Donovan Unofficial 2009-01-01
[33] Youtube Sara Bareilles – Once Upon Another Time (Live at the El Rey – 5/14/2013) https://www.youtube.[...] 2013-05-15
[34] 웹사이트 Motion Picture Soundtrack https://www.citizeni[...]
[35] 뉴스 Sing the Soul Electric http://www.yogajourn[...] 2011-12-16
[36] 뉴스 Kirtans East and West https://www.indiacur[...] 2011-11-14
[37] 뉴스 Krishna Das' "Live Ananda" Earns Grammy Nomination; Kirtan Grammy Would Be A First http://thebhaktibeat[...] 2012-12-06
[38]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Hand Harmonium http://www.dwarkin.c[...] Dwarkin & Sons (P) Ltd. 2007-04-24
[39] 웹사이트 Small encyclopedia with Indian instruments https://www.india-in[...]
[40] 논문 Review of Sufi Music of India and Pakistan.: Sound, Context and Meaning in Qawwali https://www.jstor.or[...] 1990
[41] 웹사이트 Twelve Different Types of Pump Organs (Types of Reed Organs) http://www.pumporgan[...]
[42] 웹사이트 How To Find Serial Numbers In Estey Reed Organs http://www.esteyorga[...] Estey Organ Museum
[43] 서적 Guide – Harmoniums : Repérage et protection au titre des monuments historique https://www.culture.[...] Ministère de la Culture 2020
[44] 서적 Dictionary of the English and Germ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P. Reclam jun. 1892
[45] 서적 The Century Dictionary https://books.google[...] Century Company 1890
[46] 비디오 Harmoniflûte de Mayermatrix [1850] https://www.youtube.[...] YouTube 2018-03-18
[47] 서적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MGG)
[48] 웹사이트 Harmonium "Reform-orgel" (1888–1903, Sweden, Karlstad) by J.P. Nyströms Orgel & Pianofabrik [Inv. 101/MMP] https://mus-col.com/[...]
[49] 서적 Manufacturing the Muse: Estey Organs and Consumer Culture in Victorian America https://books.google[...] Wesleyan University Press 2002-07-29
[50] 서적 The Organ: An Encyclopedia Psychology Press
[51] 문서 Rocking Melodeon https://www.metmuseu[...] 1825
[52] 논문 Keyboard Instruments https://www.metmuseu[...] 1989
[53] 웹사이트 New Haven Melodeon (1865) http://antiquepianos[...] 2017-08-26
[54] 웹사이트 New Haven Melodeon Company http://www.antiquepi[...] 2017-09
[55] 웹사이트 The Olthof Collection - Exhibited in 1981 http://www.harmonium[...]
[56] 문서 "Autophone" Organette https://www.metmuseu[...] 1878
[57] 웹사이트 WESTERN FREE REED INSTRUMENTS http://www.patmissin[...]
[58] 웹사이트 Das Harmonium - Choralpumpe https://archive.md/p[...] www.swr.de
[59] 서적 세계의 악기 백과 사전 : 악기의 기원과 발전 교학사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