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풍뎅이아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뎅이아목은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5개의 하목, 즉 개나무좀하목, 머리대장하목, 방아벌레하목, 풍뎅이하목, 반날개하목으로 구성된다. 각 하목은 여러 상과와 과로 세분되며, 잎벌레, 바구미, 풍뎅이, 반날개 등이 이 아목에 속한다. 풍뎅이아목은 다양한 종을 포함하며, 농작물에 해를 입히거나 생태계에 기여하는 종이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풍뎅이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학명Polyphaga
명명자Emery, 1886
화석 범위삼첩기(Late 페름기) - 현재
하위 분류군하목
하위 분류개나무좀하목
머리대장하목
방아벌레하목
풍뎅이하목
반날개하목
금풍뎅이

2. 분류

풍뎅이아목은 5개 하목 또는 6개 하목으로 분류된다.



하위목 넓적벌레아목은 식물을 먹고 사는 딱정벌레를 포함하며, 바구미가 주요 방사선을 형성한다.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Scirtoidea, Clamboidea, ''Rhinorhipus'' 및 Nosodendridae는 독립적인 계통으로 제안되었다.[2]

풍뎅이아목의 내부 분류에는 여러 상과 또는 계열이 있으며, 물땡땡이과, 반날개과, 풍뎅이과, 광대나비과, 거저리과, 딱정벌레과, 가슴밑빠진벌레과가 대형 상과에 속한다.

특히 종 수가 많은 상과는 다음과 같다.

상과종 수
하네카쿠시상과(Staphylinoidea)약 48,000종
풍뎅이상과(Scarabaeoidea)약 35,000종
비단벌레상과(Buprestoidea)약 14,000종
딱정벌레상과(Elateroidea)약 23,000종
바구미상과(Curculionoidea)약 70,000종
거머리상과(Tenebrionoidea)약 35,000종
잎벌레상과(Chrysomeloidea)약 58,000종

[4]

2. 1. 개나무좀하목 (Bostrichiformia)

개나무좀하목개나무좀상과와 데로돈투스상과의 2개 상과로 구성된다.

2. 1. 1. 개나무좀상과 (Bostrichoidea)

개나무좀상과개나무좀하목에 속하며, 5개의 과를 포함한다.

2. 1. 2. 데로돈투스상과 (Derodontoidea)

개나무좀하목에 속하며 데로돈투스과 1개의 과를 포함한다.[4]

2. 2. 머리대장하목 (Cucujiformia)

머리대장하목은 딱정벌레목의 하위 분류군으로, 6개의 상과로 구성된다.[4]

상과과의 수주요 구성원
잎벌레상과 (Chrysomeloidea)7개잎벌레, 하늘소
개미붙이상과 (Cleroidea)
머리대장상과 (Cucujoidea)31개
바구미상과 (Curculionoidea)8개바구미, 거위벌레
통나무좀상과 (Lymexyloidea)
거저리상과 (Tenebrionoidea)30개



각 상과의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2. 2. 1. 잎벌레상과 (Chrysomeloidea)

잎벌레상과는 7개의 과를 포함하며, 잎벌레, 하늘소 등이 여기에 속한다.[4]

2. 2. 2. 개미붙이상과 (Cleroidea)

개미붙이상과머리대장하목에 속하는 상과 중 하나이다.[4]

2. 2. 3. 머리대장상과 (Cucujoidea)

머리대장상과(Cucujoidea)는 머리대장하목에 속하며 31개의 과를 포함한다.[4]

2. 2. 4. 바구미상과 (Curculionoidea)

바구미상과는 8개의 과를 포함하며, 바구미, 거위벌레 등이 여기에 속한다.[4]

2. 2. 5. 통나무좀상과 (Lymexyloidea)

머리대장하목에 속하는 상과이다.[4]

2. 2. 6. 거저리상과 (Tenebrionoidea)

거저리상과는 30개의 과를 포함한다.[4]

2. 3. 방아벌레하목 (Elateriformia)

방아벌레하목은 5개의 상과로 구성된다.

2. 3. 1. 비단벌레상과 (Buprestoidea)

비단벌레상과비단벌레 등을 포함하며, 약 14,000여 종이 있다.[4]

2. 3. 2. 둥근가시벌레상과 (Byrrhoidea)

진흙벌레, 둥근가시벌레 등을 포함한다.[4]

2. 3. 3. 다스킬루스상과 (Dascilloidea)

방아벌레하목에 속하는 상과이다.[4]

2. 3. 4. 방아벌레상과 (Elateroidea)

방아벌레상과는 방아벌레, 병대벌레 등을 포함한다.[4]

2. 3. 5. 알꽃벼룩상과 (Scirtoidea)

알꽃벼룩상과방아벌레하목에 속하는 상과이다.

2. 4. 풍뎅이하목 (Scarabaeiformia)

풍뎅이상과 하나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2. 4. 1. 풍뎅이상과 (Scarabaeoidea)

풍뎅이상과풍뎅이, 사슴벌레, 쇠똥구리 등을 포함한다. 한국에서는 풍뎅이상과 곤충들이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쇠똥구리처럼 가축 분변을 분해하여 생태계 순환에 기여하는 종도 있다.[4]

2. 5. 반날개하목 (Staphyliniformia)

반날개하목은 3개의 상과로 구성된다. 풍뎅이붙이상과, 물땡땡이상과, 반날개상과가 이에 해당한다.[4]

2. 5. 1. 풍뎅이붙이상과 (Histeroidea)

털꼬마풍뎅이붙이, 아무르납작풍뎅이붙이 등을 포함한다.[4]

2. 5. 2. 물땡땡이상과 (Hydrophiloidea)

알물땡땡이, 애물땡땡이 등을 포함한다.[4]

2. 5. 3. 반날개상과 (Staphylinoidea)

곳체개미반날개 등을 포함한다.[4]

3. 계통

Hunt, T. 외 (2007)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계통수가 제안되었다.

다식아목
말벌반날개과 Scirtidaela
거짓말벌반날개과 Decliniidaela
마키무시모도키하목 Derodontiformiala
검정버섯벌레붙이과 Clambidaela
말벌반날개붙이과 Eucinetidaela
개미붙이과 Scydmaenidaela
분변벌레상과 Histeroideala
히메토게무시과 Nosodendridaela
깃털벌레과 Ptiliidaela
물땡땡이과 Hydraenidaela
버섯벌레과 Leiodidaela + 송장벌레과 Agyrtidaela
풍뎅이하목 Scarabaeiformiala
납작벌레하목 Cucujiformiala
물방개상과 Hydrophiloideala
반날개과 Staphylinidaela
딱정벌레하목 Elateriformiala
나무좀하목 Bostrichiformiala


참조

[1] 서적 Borror and DeLong's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Insects Brooks/Cole
[2] 간행물 Integrated phylogenomics and fossil data illuminate the evolution of beetles 2022-03
[3] 서적 Borror and DeLong's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Insects Brooks/Cole
[4] 간행물 A Comprehensive Phylogeny of Beetles Reveals the Evolutionary Origins of a Superradiation http://www.zin.ru/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