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림화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림화산은 다케다 신겐이 사용한 깃발에 새겨진 문구로, 손자병법의 '군쟁편'에 나오는 구절을 인용한 것이다. 이 문구는 '그 빠르기는 바람과 같고, 그 느긋함은 숲과 같고, 침략하는 것은 불과 같고, 움직이지 않음은 산과 같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상황에 따른 유연한 대응을 강조한다. 다케다 신겐은 이 문구를 군기로 사용했으며, 20세기 군학에서 손자병법이 유행하면서 유럽에도 알려졌다. 이후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 "카게무샤"를 통해 널리 알려졌지만, '풍림화산'이라는 명칭 자체는 현대의 창작이라는 주장도 있다. 또한,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모티브로 사용되기도 한다.
'''풍림화산'''(風林火山)은 다케다 씨의 군사적 공적을 기록한 책인 고요 군칸(甲陽軍鑑)에 언급된 다케다 신겐이 사용한 깃발에 새겨진 문구이다. 이 문구는 손자병법 「군쟁편」에 나오는 구절의 일부를 인용한 것이다.[6]
다케다 신겐은 손자병법의 구절을 인용한 풍림화산 문구를 군기로 사용했다. 이 깃발이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확실한 기록이 없어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갑양군감』에는 에이로쿠 4년(1561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슈시・운봉사, 다케다 신사 등 여러 깃발의 현존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운봉사의 것이 유명하다.
2. 손자병법
원문은 다음과 같다.[6]
"풍림화산"은 이 중 앞의 네 구절을 따온 것이다.
손자병법은 "병은 궤도(詭道)다"라는 말로 시작하여 "가능하다면 외교를 통해 전쟁을 회피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다.[6] 하지만 풍림화산은 일단 전쟁이 벌어졌을 때, 움직여야 할 때는 바람처럼 신속하게, 움직이지 않아야 할 때는 숲처럼 고요하게, 행동을 개시할 때에는 불처럼 맹렬하게, 지켜야 할 때에는 산처럼 굳건하게 하는 등 상황에 따른 유연한 대응을 강조하는 교훈이다.[6]
18세기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손자병법 초록을 애독했다고 전해지며, 20세기에 한문→일본어→영어로 완역되면서 유럽에도 전해지게 되었다.[6] 이처럼 일본을 통해 소개되었기 때문에, 20세기 군학에서 『손자병법』이 유행하게 되었고, 다케다 신겐이 유럽에서 유명해지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후, 구로사와 아키라의 일본 영화 "카게무샤"를 통해 '''풍림화산'''은 다케다 신겐의 깃발로 널리 인식되기에 이르렀다.[6]
3. 다케다 신겐의 군기
손자병법 제7장 17절에는 "故其疾如風,其徐如林"(고기질여풍, 기서여림), 즉 "그 疾(질)함이 바람과 같고, 그 徐(서)함이 숲과 같게 하라."라는 구절이 있다.
제7장 18절에는 "侵掠如火,不動如山" (침략여화, 부동여산), 즉 "침략하고 노략질함이 불과 같고, 움직이지 않음이 산과 같게 하라."라는 구절이 이어진다.
3. 1. 스와 명신 깃발
다케다 신겐은 숭배하는 스와 명신의 가호를 믿고 "나무스와난구호쇼카미시모다이묘진"을 본진 기(旗)로 삼았다. 영상 작품에서는 풍림화산 깃발과 함께 나오는 경우가 많다.
4. 기타바타케 씨와의 관계
다케다 신겐이 풍림화산 깃발을 사용한 것은 기타바타케 씨가 중국의 병법서인 육도의 군학을 받들었던 것에 대항하기 위해서였다는 설이 많다.[7]
군학자 효도 니주하치는 신겐이 자신들은 손자를 알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고 적을 두려워하게 만들기 위해 손자의 깃발을 만들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7]
인터넷상에서는 오사카 아베노 신사에 소장된 전해지는 기타바타케 아키이에의 깃발에 '질여풍, 서여림, 침략여화, 부동여산'이라는 문구가 있으며, 신겐은 기타바타케 아키이에의 깃발을 바탕으로 '손자의 깃발'을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8]
5. 풍림화산이라는 명칭에 대한 논란
전국 시대 연구자 스즈키 신야는 "풍림화산"이라는 어구는 문헌에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현대의 창작이라고 주장한다.[9] 옛 기록에는 손자의 깃발 혹은 손자사여의 깃발이라고만 적혀 있다.[9] 에도 시대의 기록에도 다케다 신겐의 군기라고만 기재되어 있다.[9] 스즈키는 이노우에 야스시의 역사 소설 『풍림화산』이 이 명칭을 대중화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1][9] 깃발의 모양에도 여러 설이 있어 실제로 어떤 것이었는지 에도 시대의 군학자들 사이에서도 문제가 되었다.[9] 왜 손자병법에서 이 부분이 인용되었는지, 그리고 원문의 일부가 잘려나간 이유도 불명확하다.[9]
6. 대중문화 속의 풍림화산
스트리트 파이터의 캐릭터 류는 벨트에 풍림화산을 새겼으며, 장갑에는 이 문구를 매우 양식화한 일본어 기호로 표현했다.[2] 이 기호는 스트리트 파이터 II에서 캐릭터 스테이지 왼쪽에 보이기도 한다.[3]
야마나시현의 마스코트인 사무라이 가이견 강아지 다케다 히시마루는 다케다 신겐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이 문구의 네 글자 버전이 새겨진 ''군배''(군사 부채)를 들고 다닌다.[4]
만화 ''테니스의 왕자''에 등장하는 검도 배경을 가진 테니스 선수 사나다 겐이치로는 풍림화산의 이름을 딴 기술을 사용한다.[5]
참조
[1]
서적
PHP
2009
[2]
웹사이트
PS3 version of Street Fighter 25th Anniversary Collector's Set includes a lot of exclusive content
https://www.psu.com/[...]
2012-07-13
[3]
웹사이트
Peculiarities and miscellanea of the Street Fighter series
https://boingboing.n[...]
2020-07-10
[4]
웹사이트
Yamanashi Prefecture
https://www.nippon.c[...]
2023-05-16
[5]
서적
The Prince of Tennis Fanbook Volume 40.5
Shueisha
[6]
문서
「雷震」とする版もある。
[7]
서적
『六韜』 中公文庫解説
[8]
문서
『中世・志摩国編年実記』34頁に同様の記述あり。“「風林火山」の軍旗は、元来[[北畠親房]]が用いたもので(大阪・[[安倍野神社]]にある)”
[9]
서적
戦国時代のゴシップ記事
PHP新書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