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프랑수아 자코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프랑수아 자코브는 프랑스의 생물학자이자 유대계 가정의 외아들로, 낭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파리 대학교 의학부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의관으로 복무했다. 앙드레 르보프 아래에서 미생물학을 연구했으며, 자크 모노와 함께 대장균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를 통해 오페론 설을 제시하여 분자 유전학의 기초를 다졌다. 1964년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로 취임했으며, 1962년 샤를-레오폴 메이에 상, 196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유전학자 - 자크 모노
    자크 모노는 프랑스의 생화학자이자 철학자로, 분자생물학 발전에 기여, 오페론 설 확립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고 알로스테릭 조절 모델 제시, 과학 철학 저서 《우연과 필연》을 통해 과학적 세계관을 옹호했다.
  • 프랑스의 병리학자 - 아드리앵 프루스트
    아드리앵 프루스트는 프랑스의 의사이자 위생학자로, 파리 의과대학 교수와 오텔-디외 드 파리 수석 의사를 역임하며 유럽 공중 보건에 기여했고 국립 의학 아카데미 회원 및 사무총장을 지냈으며, 신경쇠약 관련 저서를 집필했고 소설가 마르셀 프루스트의 아버지이다.
  • 프랑스의 병리학자 - 그자비에 비샤
    그자비에 비샤는 프랑스의 해부학자이자 생리학자로서 조직병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생기론적 관점에서 인체 각 조직의 고유한 기능을 밝혀 의학 발전에 기여했고, 《막의 논문》, 《생명과 죽음에 관한 생리학적 연구》, 《일반 해부학》 등의 저서를 남겼다.
  • 프랑스의 생화학자 - 루이 파스퇴르
    루이 파스퇴르는 1822년에 태어나 1895년에 사망한 프랑스의 생물학자이자 화학자로서, 분자 키랄성을 입증하고 생물 속생설을 확립했으며, 저온 살균법과 백신 개발을 통해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프랑스의 생화학자 - 자크 모노
    자크 모노는 프랑스의 생화학자이자 철학자로, 분자생물학 발전에 기여, 오페론 설 확립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고 알로스테릭 조절 모델 제시, 과학 철학 저서 《우연과 필연》을 통해 과학적 세계관을 옹호했다.
프랑수아 자코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랑수아 자코브
프랑수아 자코브 노벨
이름프랑수아 자코브
출생1920년 6월 17일
출생지낭시
사망2013년 4월 19일
사망지파리
국적프랑스
분야분자생물학
모교파리 대학교
알려진 업적오페론
배우자리즈 블로흐 (4명의 자녀)
주느비에브 바리에 (1999년 결혼)
수상
수상 내역멘델 메달 (1962년)
샤를 레오폴드 마이어 대상 (196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1965년)
한스 크레브스 경 메달 (1982년)
학문적 영향
사사앙드레 르보프
제자장피에르 샹죄

2. 생애

프랑수아 자코브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연구자의 길을 걷고자 했으나, 미생물학 회의에 참석한 후 자신의 지식 부족을 절감했다. 그러나 논문 연구를 수행했던 카바넬 센터에서 티로트리신 생산 업무를 맡게 되면서 연구 경력을 이어갈 수 있었다.[11] 이후 이 센터는 화약 공장을 페니실린 생산 시설로 전환하는 계약을 맺었지만, 이는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11]

이 시기에 자코브는 미래의 아내인 리즈 블로흐를 만나 교제를 시작했다.[12] 1999년에는 제네비에브 바리에와 재혼했다.[13]

2. 1. 초기 생애

프랑수아 자코브는 상인이었던 시몬과 테레즈(프랑크) 자코브의 외아들로 프랑스 낭시에서 태어났다. 호기심 많은 아이였던 그는 어린 나이에 글을 배웠다. 자코브의 외할아버지인 4성 장군 알베르 프랑크는 어린 시절 자코브의 역할 모델이었다. 일곱 살 때 카르노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10년 동안 그곳에서 교육을 받았는데, 자서전에서 그는 이곳에 대한 인상을 "우리"라고 묘사했다. 그는 1934년경 카르노 고등학교에서 우익 청년들에게 반감을 느꼈다. 그는 아버지를 "종교적으로 순응주의자"로 묘사했고, 그의 어머니와 어린 시절에 중요한 다른 가족 구성원들은 세속적인 유대인이었다. 그는 바르 미츠바를 한 직후에 무신론자가 되었다.[7]

물리학과 수학에 관심이 많았고 재능이 있었지만, 자코브는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 "더욱 가혹한 체제"에서 2년을 더 보내야 한다는 생각에 끔찍함을 느꼈다. 대신 그는 "미미한 관심"을 굳히게 한 외과 수술을 관찰한 후 의과대학에 입학했다.[8]

독일의 프랑스 점령 기간 동안, 그리고 어머니의 죽음 직후 자코브는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프랑스를 떠나 영국으로 갔다. 의학을 2학년까지 마친 자코브는 1940년 프랑스 제2기갑사단의 의료 부대에 합류했다. 1944년 독일 공습으로 부상을 입은 그는 1944년 8월 1일 현재 해방된 파리로 돌아왔다.[9] 그는 전쟁 중의 공로로 프랑스 최고 무공 훈장인 해방 십자 훈장, 레지옹 도뇌르 및 전쟁 십자 훈장을 받았다.

회복 후 자코브는 의과대학으로 돌아가 티로트리신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세균학의 방법을 배웠다.[10] 그는 항생제의 국소 감염에 대한 효과에 대한 "미국 연구 복제"라고 묘사한 논문을 완성하고 1947년 의학 박사가 되었다. 그는 연구를 직업으로 삼고 싶었지만, 그 해 여름 미생물학 회의에 참석한 후 자신이 무지하다고 느껴 좌절했다. 대신 그는 논문 연구를 했던 카바넬 센터에서 자리를 잡았다. 그의 새로운 업무는 항생제인 티로트리신을 제조하는 것이었다. 나중에 이 센터는 화약 공장을 페니실린 생산 시설로 전환하는 계약을 맺었지만, 이는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11]

또한 이 기간 동안 그는 미래의 아내인 리즈 블로흐를 만나 교제를 시작했다.[12]

2. 2. 학업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낭시에서 상인이었던 시몬과 테레즈(프랑크) 자코브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글을 배울 정도로 호기심이 많았다. 자코브의 외할아버지인 4성 장군 알베르 프랑크는 어린 시절 그의 역할 모델이었다. 7세에 카르노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10년간 교육을 받았는데, 자서전에서 "우리"라고 묘사할 정도로 인상 깊었다고 한다. 1934년경 카르노 고등학교에서 우익 청년들에게 반감을 느꼈다. 그는 아버지를 "종교적으로 순응주의자"로 묘사했고, 어머니와 어린 시절에 중요한 다른 가족 구성원들은 세속적인 유대인이었다. 바르 미츠바 직후 무신론자가 되었다.[7]

물리학과 수학에 관심과 재능이 있었지만,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 "더욱 가혹한 체제"에서 2년을 더 보내야 한다는 생각에 끔찍함을 느꼈다. 대신 외과 수술을 관찰한 후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미미한 관심"을 굳히게 되었다.[8]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프랑스를 점령하고 어머니가 돌아가신 직후, 자코브는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프랑스를 떠나 영국으로 갔다. 의학을 2학년까지 마친 자코브는 1940년 프랑스 제2기갑사단의 의료 부대에 합류했다. 1944년 독일 공습으로 부상을 입었고, 1944년 8월 1일 해방된 파리로 돌아왔다.[9] 전쟁 중 공로로 프랑스 최고 무공 훈장인 해방 십자 훈장, 레지옹 도뇌르, 전쟁 십자 훈장을 받았다.

회복 후 자코브는 의과대학으로 돌아가 티로트리신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세균학의 방법을 배웠다.[10] 항생제의 국소 감염에 대한 효과에 대한 "미국 연구 복제"라고 묘사한 논문을 완성하고 1947년 의학 박사가 되었다.

2. 3. 연구 경력

1961년 자코브와 모노는 세포 내 효소발현 수준 조절이 DNA 서열의 전사 조절의 결과라는 아이디어를 연구했다. 이들의 실험과 아이디어는 분자 발생 생물학 분야, 특히 전사 조절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

세균과 다른 세포들이 외부 조건에 반응하여 주요 대사 효소의 수준 및/또는 이러한 효소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다. 예를 들어, 세균이 더 간단한 당인 포도당 대신 락토스가 포함된 배양액에 있는 경우, 1) 락토스를 수입하고, 2) 락토스를 구성 성분인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분해하고, 3) 갈락토스를 포도당으로 전환해야 하는 필요성에 적응해야 한다. 세포는 락토스에 노출될 때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는 효소의 생산을 늘리고, 항상 이러한 효소를 만드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효소 활성 조절에 대한 연구는 작은 분자가 효소 분자 자체에 미치는 (알로스테릭) 작용에 대한 이론을 통해 진행되었지만(켜거나 끄는 방식), 효소 생산을 제어하는 방법은 당시 잘 이해되지 않았다.

DNA의 구조와 중요성이 이전에 결정되면서, 모든 단백질이 유전 암호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생성되고 있으며, 이 단계가 주요 제어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자코브와 모노는 위에 요약된 락토스 시스템의 경우(세균 ''Escherichia coli'') DNA의 전사를 억제하는 특정 단백질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핵심적인 실험적, 이론적 발견을 했다. DNA가 전사되면 RNA가 만들어지고, 이는 다시 해독되어 단백질이 된다.

이 억제자(lac 억제자)는 모든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제어하는 유전자에서 DNA에 직접 결합하여 전사 장치가 DNA에 접근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한다. 락토스가 존재하면, 락토스의 일부가 알로락토스로 변환되어 억제자에 결합하여 더 이상 DNA에 결합할 수 없게 되며, 전사 억제가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락토스를 소화하는 단백질이 필요할 때만 만들어지도록 하는 강력한 피드백 루프가 구성된다.

자코브와 모노는 이 억제자 모델을 모든 생물의 모든 유전자로 확장했다. 유전자 활성 조절은 분자 생물학의 매우 큰 하위 분야로 발전했으며, 실제로 메커니즘과 여러 수준의 복잡성에서 엄청난 다양성을 보인다. 현재 연구자들은 유전 정보를 표현하는 과정의 모든 수준에서 조절 현상을 발견한다. 빵 효모의 비교적 단순한 유전체(''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6,419개의 유전자 중 405개가 전사 조절에 직접 관여하며, 효소는 1,938개이다.

앙드레 르보프 아래에서 미생물학을 연구했고, 자크 모노와 함께 대장균의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를 진행하여, mRNA를 통한 유전 정보의 전이와 피드백에 의한 발현 조절(오페론 설) 모델을 제시하여 분자 유전학의 기초를 다졌다. 또한 단백질의 알로스테릭 조절 연구도 수행했다.[1]

3. 연구 업적

프랑수아 자코브는 자크 모노와 함께 대장균의 유전자 발현 조절을 연구하여 분자 유전학의 기초를 다졌다.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1]


  • mRNA를 통한 유전 정보의 전이 모델 제시
  • 피드백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 모델 제시 (오페론 설)
  • 단백질의 알로스테릭 조절 연구[1]


자코브와 모노의 연구는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3. 1. 오페론 설

1961년 자코브와 모노는 세포 내 효소발현 수준 조절이 DNA 서열의 전사 조절 결과라는 아이디어를 탐구했다. 그들의 실험과 아이디어는 분자 발생 생물학 분야, 특히 전사 조절 분야에 자극을 주었다.

세균과 다른 세포들이 외부 조건에 반응하여 주요 대사 효소의 수준 및/또는 이러한 효소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다. 예를 들어, 세균이 더 간단한 당인 포도당 대신 락토스가 포함된 배양액에 있는 경우, 1) 락토스를 수입하고, 2) 락토스를 구성 성분인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분해하고, 3) 갈락토스를 포도당으로 전환해야 하는 필요성에 적응해야 한다. 세포는 락토스에 노출될 때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는 효소의 생산을 늘리고, 항상 이러한 효소를 낭비적으로 생산하지 않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효소 활성 조절에 대한 연구는 작은 분자가 효소 분자 자체에 미치는 (알로스테릭) 작용에 대한 이론을 통해 진행되었지만(켜거나 끄는 방식), 효소 생산을 제어하는 방법은 당시 잘 이해되지 않았다.

DNA의 구조와 중심적인 중요성이 이전에 결정되면서, 모든 단백질이 유전 암호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생성되고 있으며, 이 단계가 주요 제어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자코브와 모노는 위에 요약된 락토스 시스템의 경우(세균 ''Escherichia coli'') DNA의 전사를 RNA로 억제하고, 이는 다시 해독되어 단백질이 되는 특정 단백질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핵심적인 실험적, 이론적 발견을 했다.

이 억제자(lac 억제자)는 모든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제어하는 유전자에서 DNA에 직접 결합하여 전사 장치가 DNA에 접근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한다. 락토스가 존재하면, 락토스의 일부가 알로락토스로 변환되어 억제자에 결합하여 더 이상 DNA에 결합할 수 없게 되며, 전사 억제가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락토스를 소화하는 단백질 제품의 세트가 필요할 때만 만들어지도록 하는 강력한 피드백 루프가 구성된다.

자코브와 모노는 이 억제자 모델을 초기 열정으로 모든 생물의 모든 유전자로 확장했다. 유전자 활성 조절은 분자 생물학의 매우 큰 하위 분야로 발전했으며, 실제로 메커니즘과 여러 수준의 복잡성에서 엄청난 다양성을 보인다. 현재 연구자들은 유전 정보를 표현하는 과정의 모든 상상 가능한 수준에서 조절 이벤트를 발견한다. 빵 효모의 비교적 단순한 유전체(''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6,419개의 유전자 중 405개가 전사 조절에 직접 관여하며, 효소는 1,938개이다.

자크 모노와 함께 대장균의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를 진행하여, mRNA를 통한 유전 정보의 전이와 피드백에 의한 발현 조절(오페론 설) 모델을 제시하여 분자 유전학의 기초를 다졌다.[1]

3. 2. 전령 RNA (mRNA) 발견

1961년 자코브모노는 세포 내 효소발현 수준 조절이 DNA 서열의 전사 조절의 결과라는 아이디어를 연구하였다. 이들의 실험과 아이디어는 분자 발생 생물학 분야, 특히 전사 조절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

세균과 다른 세포들이 외부 조건에 반응하여 주요 대사 효소의 수준 및/또는 이러한 효소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다. 예를 들어, 세균이 포도당 대신 락토스가 포함된 배양액에 있는 경우, 1) 락토스를 수입하고, 2) 락토스를 구성 성분인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분해하고, 3) 갈락토스를 포도당으로 전환해야 하는 필요성에 적응해야 한다. 세포는 락토스에 노출될 때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는 효소의 생산을 늘리고, 항상 이러한 효소를 낭비적으로 생산하지 않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효소 활성 조절에 대한 연구는 작은 분자가 효소 분자 자체에 미치는 (알로스테릭) 작용에 대한 이론을 통해 진행되었지만(켜거나 끄는 방식), 효소 생산을 제어하는 방법은 당시 잘 이해되지 않았다.

DNA의 구조와 중심적인 중요성이 이전에 결정되면서, 모든 단백질이 유전 암호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생성되고 있으며, 이 단계가 주요 제어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자코브와 모노는 락토스 시스템의 경우(세균 ''Escherichia coli'') DNA의 전사를 제품(RNA, 이는 다시 해독되어 단백질이 됨)으로 억제하는 데 전념하는 특정 단백질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핵심적인 실험적, 이론적 발견을 했다.

이 억제자(lac 억제자)는 모든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제어하는 유전자에서 DNA에 직접 결합하여 전사 장치가 DNA에 접근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한다. 락토스가 존재하면, 락토스의 일부가 알로락토스로 변환되어 억제자에 결합하여 더 이상 DNA에 결합할 수 없게 되며, 전사 억제가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락토스를 소화하는 단백질 제품의 세트가 필요할 때만 만들어지도록 하는 강력한 피드백 루프가 구성된다.

자코브와 모노는 이 억제자 모델을 초기 열정으로 모든 생물의 모든 유전자로 확장했다. 유전자 활성 조절은 분자 생물학의 매우 큰 하위 분야로 발전했으며, 실제로 메커니즘과 여러 수준의 복잡성에서 엄청난 다양성을 보인다. 현재 연구자들은 유전 정보를 표현하는 과정의 모든 상상 가능한 수준에서 조절 이벤트를 발견한다. 빵 효모의 비교적 단순한 유전체(''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6,419개의 유전자 중 405개가 전사 조절에 직접 관여하며, 효소는 1,938개이다.

자코브는 모노와 함께 대장균의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를 진행하여, mRNA를 통한 유전 정보의 전이와 피드백에 의한 발현 조절(오페론 설) 모델을 제시하여 분자 유전학의 기초를 다졌다.[1]

3. 3. 알로스테릭 조절

1961년 자코브와 모노는 세포 내 효소발현 수준 조절이 DNA 서열 전사 조절의 결과라는 아이디어를 탐구했다. 세균과 다른 세포들이 외부 조건에 반응하여 주요 대사 효소의 수준 및/또는 이러한 효소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다. 효소 활성 조절에 대한 연구는 작은 분자가 효소 분자 자체에 미치는 (알로스테릭) 작용에 대한 이론을 통해 진행되었다.

DNA의 구조와 중심적인 중요성이 이전에 결정되면서, 모든 단백질이 유전 암호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생성되고 있으며, 이 단계가 주요 제어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자코브와 모노는 락토스 시스템의 경우(Escherichia coli) DNA의 전사를 RNA로, 이는 다시 해독되어 단백질이 되는 것을 억제하는 데 전념하는 특정 단백질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핵심적인 실험적, 이론적 발견을 했다.

이 억제자(lac 억제자)는 모든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제어하는 유전자에서 DNA에 직접 결합하여 전사 장치가 DNA에 접근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한다. 락토스가 존재하면, 락토스의 일부가 알로락토스로 변환되어 억제자에 결합하여 더 이상 DNA에 결합할 수 없게 되며, 전사 억제가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락토스를 소화하는 단백질 제품의 세트가 필요할 때만 만들어지도록 하는 강력한 피드백 루프가 구성된다.

자코브와 모노는 이 억제자 모델을 초기 열정으로 모든 생물의 모든 유전자로 확장했다. 유전자 활성 조절은 분자 생물학의 매우 큰 하위 분야로 발전했으며, 실제로 메커니즘과 여러 수준의 복잡성에서 엄청난 다양성을 보인다. 현재 연구자들은 유전 정보를 표현하는 과정의 모든 상상 가능한 수준에서 조절 이벤트를 발견한다. 빵 효모의 비교적 단순한 유전체(''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6,419개의 유전자 중 405개가 전사 조절에 직접 관여하며, 효소는 1,938개이다. 또한 단백질의 알로스테릭 조절 연구도 수행했다.[1]

4. 수상 경력 및 회원

연도수상 및 회원
1962년샤를 레오폴드 마이어 대상(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수여)[22], 멘델 메달
1964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14]
1965년앙드레 르보프,[4] 자크 모노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1969년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15] 미국 철학회 회원[16]
1973년왕립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6][22]
1982년Sir Hans Krebs Medal|한스 크레브스 경 메달영어
1996년루이스 토마스 상, 아카데미 프랑세즈 38번 좌석


5. 저서


  • Sexuality and the Genetics of Bacteria영어. E. L. 울만 공저. Academic Press, 1961.
  • The Possible & The Actual영어. Pantheon Books, 1982.
  • The Statue Within: An Autobiography영어. Basic Books, 1988. (1987년 프랑스어판 번역)
  • The Logic of Life영어. 1993. (1976년 프랑스어판 번역)
  • Of Flies, Mice and Men영어. 1998. (프랑스어판 번역)
  • 자코브, F.; 페린, D.; 산체스, C.; 모노, J.; 에델슈타인, S. "오페론: 연산자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 집단"(The operon: A group of genes with expression coordinated by an operator). Comptes rendus biologies프랑스어 328 (6): 514–520. 2005.
  • 울만, A.; 자코브, F.; 모노, J. "야생형과 보완된 대장균 베타-갈락토시다아제의 소단위 구조에 관하여"(On the subunit structure of wild-type versus complemented beta-galactosidase of Escherichia coli). Journal of Molecular Biology영어 32 (1): 1–13. 1968.
  • 울만, A.; 자코브, F.; 모노, J. "대장균 베타-갈락토시다아제의 구조 유전자에서 연산자 근위 영역에 해당하는 펩타이드의 체외 보완을 통한 특성화"(Characterization by in vitro complementation of a peptide corresponding to an operator-proximal segment of the beta-galactosidase structural gene of Escherichia coli). Journal of Molecular Biology영어 24 (2): 339–343. 1967.
  • 울만, A.; 페린, D.; 자코브, F.; 모노, J. "대장균 베타-갈락토시다아제의 펩타이드 분획의 체외 보완 및 정제를 통한 확인"(Identification, by in vitro complementation and purification, of a peptide fraction of Escherichia coli beta-galactosidase). Journal of Molecular Biology영어 12 (3): 918–923. 1965.
  • 윌슨, C.; 페린, D.; 콘, M.; 자코브, F.; 모노, J. "대장균 '유당' 시스템의 조절 유전자의 비유도 돌연변이"(Non-Inducible Mutants of the Regulator Gene in the "lactose" System of Escherichia Coli). Journal of Molecular Biology영어 8 (4): 582–592. 1964.
  • 자코브, F.; 울만, A.; 모노, J. "프로모터, 오페론의 발현에 필요한 유전 요소"(The Promotor, A Genetic Element Necessary to the Expression of an Operon).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eances de l'Academie des sciences프랑스어 258: 3125–3128. 1964.
  • 자코브, F.; 모노, J. "세균 세포에서 조절의 생화학적 및 유전적 메커니즘"(Biochemical and Genetic Mechanisms of Regulation in the Bacterial Cell). Bulletin de la Societe de chimie biologique프랑스어 46: 1499–1532. 1964.
  • 모노, J.; 샹죄, J.; 자코브, F. "알로스테릭 단백질과 세포 제어 시스템"(Allosteric proteins and cellular control systems). Journal of Molecular Biology영어 6 (4): 306–329. 1963.
  • 자코브, F.; 서스만, R.; 모노, J. "용원성 세균의 면역성을 보장하는 억제제의 본질에 관하여"(On the nature of the repressor ensuring the immunity of lysogenic bacteria).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eances de l'Academie des sciences프랑스어 254: 4214–4216. 1962.
  • 자코브, F.; 모노, J. "단백질 합성에 있어서 유전적 조절 메커니즘"(Genetic regulatory mechanisms in the synthesis of proteins). Journal of Molecular Biology영어 3 (3): 318–356. 1961.
  • 모노, J.; 자코브, F. "세포 대사, 성장 및 분화에서 텔레오노믹 메커니즘"(Teleonomic mechanisms in cellular metabolism, growth, and differentiation). Cold Spring Harbor symposia on quantitative biology영어 26: 389–401. 1961.
  • 페린, D.; 자코브, F.; 모노, J. "유도 물질에 대한 친화성을 나타내지 않는 유전자 변형 단백질의 유도 생합성"(Induced biosynthesis of a genetically modified protein not presenting affinity for the inductor).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eances de l'Academie des sciences프랑스어 251: 155–157. 1960.
  • 부틴, G.; 자코브, F.; 모노, J. "대장균 K 12에서 람다 박테리오파지 발달 후 갈락토키나아제의 구성적 합성"(Constituent synthesis of galactokinase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lambda bacteriophages in Escherichia coli K 12).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eances de l'Academie des sciences프랑스어 250: 2471–2473. 1960.
  • 자코브, F.; 페린, D.; 산체스, C.; 모노, J. "오페론: 연산자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 집단"(L'opéron : groupe de gènes à expression coordonnée par un opérateur).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eances de l'Academie des sciences프랑스어 250 (6): 1727–1729. 1960년 2월.
  • 자코브, F.; 모노, J. "단백질 생합성에 있어서 구조 유전자와 조절 유전자"(Genes of structure and genes of regulation in the biosynthesis of proteins).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eances de l'Academie des sciences프랑스어 249: 1282–1284. 1959.
  • 파디, A.; 자코브, F.; 모노, J. "대장균 접합체에서 베타-갈락토시다아제의 합성에 있어서 유도성 대립 유전자와 구성적 대립 유전자의 역할"(The role of the inducible alleles and the constitutive alleles in the synthesis of beta-galactosidase in zygotes of Escherichia coli).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eances de l'Academie des sciences프랑스어 246 (21): 3125–3128. 1958.
  • 자코브, F.; 토리아니, A.; 모노, J. "대장균에서 갈락토시다아제 생합성과 T2 박테리오파지 증식에 대한 자외선 효과"(Effect of ultraviolet rays on the biosynthesis of galactosidase and on the multiplication of T2 bacteriophage in Escherichia coli).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eances de l'Academie des sciences프랑스어 233 (20): 1230–1232. 1951.

6. 참고문헌


  • 자코브, 프랑수아; E. L. 울만. ''세균의 성과 유전학''(Sexuality and the Genetics of Bacteria). Academic Press, 1961.[1]
  • 자코브, 프랑수아. ''가능성과 현실''(The Possible & The Actual). Pantheon Books, 1982.[2]
  • 자코브, 프랑수아. ''내부의 조각상: 자서전'', 1987년 프랑스어판을 프랑클린 필립이 번역. Basic Books, 1988.[3]; 신판:[4]
  • 자코브, 프랑수아. ''생명의 논리''(The Logic of Life). 1976년 프랑스어판 번역,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1993.[5]
  • 자코브, 프랑수아. ''파리, 쥐, 그리고 인간에 관하여''(Of Flies, Mice and Men), 프랑스어판 번역,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98.[6]
  • 자코브, F.; 페린, D.; 산체스, C.; 모노, J.; 에델슈타인, S. "오페론: 연산자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 집단(The operon: A group of genes with expression coordinated by an operator). C.R.Acad. Sci. 파리 250 (1960) 1727–1729". ''생물학 아카데미 회보(Comptes Rendus Biologies)'' 328 (6): 514–520. 2005.[7]
  • 울만, A.; 자코브, F.; 모노, J. "야생형과 보완된 대장균 베타-갈락토시다아제의 소단위 구조에 관하여(On the subunit structure of wild-type versus complemented beta-galactosidase of Escherichia coli)". ''분자 생물학 저널(Journal of Molecular Biology)'' 32 (1): 1–13. 1968.[8]
  • 울만, A.; 자코브, F.; 모노, J. "대장균 베타-갈락토시다아제의 구조 유전자에서 연산자 근위 영역에 해당하는 펩타이드의 체외 보완을 통한 특성화(Characterization by in vitro complementation of a peptide corresponding to an operator-proximal segment of the beta-galactosidase structural gene of Escherichia coli)". ''분자 생물학 저널(Journal of Molecular Biology)'' 24 (2): 339–343. 1967.[9]
  • 울만, A.; 페린, D.; 자코브, F.; 모노, J. "대장균 베타-갈락토시다아제의 펩타이드 분획의 체외 보완 및 정제를 통한 확인(Identification, by in vitro complementation and purification, of a peptide fraction of Escherichia coli beta-galactosidase)". ''분자 생물학 저널(Journal of Molecular Biology)'' 12 (3): 918–923. 1965.[10]
  • 윌슨, C.; 페린, D.; 콘, M.; 자코브, F.; 모노, J. "대장균 '유당' 시스템의 조절 유전자의 비유도 돌연변이(Non-Inducible Mutants of the Regulator Gene in the 'lactose' System of Escherichia Coli)". ''분자 생물학 저널(Journal of Molecular Biology)'' 8 (4): 582–592. 1964.[11]
  • 자코브, F.; 울만, A.; 모노, J. "프로모터, 오페론의 발현에 필요한 유전 요소(The Promotor, A Genetic Element Necessary to the Expression of an Operon)". ''과학 아카데미 회보 주간(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258: 3125–3128. 1964.[12]
  • 자코브, F.; 모노, J. "세균 세포에서 조절의 생화학적 및 유전적 메커니즘(Biochemical and Genetic Mechanisms of Regulation in the Bacterial Cell)". ''생물학 화학회 회보(Bulletin de la Société de Chimie Biologique)'' 46: 1499–1532. 1964.[13]
  • 모노, J.; 샹죄, J.; 자코브, F. "알로스테릭 단백질과 세포 제어 시스템(Allosteric proteins and cellular control systems)". ''분자 생물학 저널(Journal of Molecular Biology)'' 6 (4): 306–329. 1963.[14]
  • 자코브, F.; 서스만, R.; 모노, J. "용원성 세균의 면역성을 보장하는 억제제의 본질에 관하여(On the nature of the repressor ensuring the immunity of lysogenic bacteria)". ''과학 아카데미 회보 주간(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254: 4214–4216. 1962.[15]
  • 자코브, F.; 모노, J. "단백질 합성에 있어서 유전적 조절 메커니즘(Genetic regulatory mechanisms in the synthesis of proteins)". ''분자 생물학 저널(Journal of Molecular Biology)'' 3 (3): 318–356. 1961.[16]
  • 모노, J.; 자코브, F. "세포 대사, 성장 및 분화에서 텔레오노믹 메커니즘(Teleonomic mechanisms in cellular metabolism, growth, and differentiation)". ''콜드 스프링 하버 양적 생물학 심포지아(Cold Spring Harbor Symposia on Quantitative Biology)'' 26: 389–401. 1961.[17]
  • 페린, D.; 자코브, F.; 모노, J. "유도 물질에 대한 친화성을 나타내지 않는 유전자 변형 단백질의 유도 생합성(Induced biosynthesis of a genetically modified protein not presenting affinity for the inductor)". ''과학 아카데미 회보 주간(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251: 155–157. 1960.[18]
  • 부틴, G.; 자코브, F.; 모노, J. "대장균 K 12에서 람다 박테리오파지 발달 후 갈락토키나아제의 구성적 합성(Constituent synthesis of galactokinase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lambda bacteriophages in Escherichia coli K 12)". ''과학 아카데미 회보 주간(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250: 2471–2473. 1960.[19]
  • 자코브, F.; 페린, D.; 산체스, C.; 모노, J. "오페론: 연산자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 집단(L'opéron : groupe de gènes à expression coordonnée par un opérateur)". ''과학 아카데미 회보 주간(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250 (6): 1727–1729. 1960년 2월.[20]
  • 자코브, F.; 모노, J. "단백질 생합성에 있어서 구조 유전자와 조절 유전자(Genes of structure and genes of regulation in the biosynthesis of proteins)". ''과학 아카데미 회보 주간(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249: 1282–1284. 1959.[21]
  • 파디, A.; 자코브, F.; 모노, J. "대장균 접합체에서 베타-갈락토시다아제의 합성에 있어서 유도성 대립 유전자와 구성적 대립 유전자의 역할(The role of the inducible alleles and the constitutive alleles in the synthesis of beta-galactosidase in zygotes of Escherichia coli)". ''과학 아카데미 회보 주간(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246 (21): 3125–3128. 1958.[22]
  • 자코브, F.; 토리아니, A.; 모노, J. "대장균에서 갈락토시다아제 생합성과 T2 박테리오파지 증식에 대한 자외선 효과(Effect of ultraviolet rays on the biosynthesis of galactosidase and on the multiplication of T2 bacteriophage in Escherichia coli)". ''과학 아카데미 회보 주간(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233 (20): 1230–1232. 1951.

참조

[1] 저널 L'opéron : groupe de gènes à expression coordonnée par un opérateur http://www.weizmann.[...] 1960-02-00
[2] 저널 The Birth of the Operon
[3] 저널 François Jacob (1920–2013) French freedom fighter who helped to uncover how genes are regulated
[4] 저널 Andre Michel Lwoff. 8 May 1902–30 September 1994
[5] 웹사이트 Nobel-winning biologist Francois Jacob dies at 92 http://www.rawstory.[...] The Raw Story 2013-04-22
[6] 저널 François Jacob. 17 June 1920 – 19 April 2013
[7] 서적 The Statue Within
[8] 서적 The Statue Within
[9] 서적 The Statue Within
[10] 서적 The Statue Within
[11] 서적 The Statue Within
[12] 서적 The Statue Within
[13] 서적 Nobel Lectures, Physiology or Medicine 1963–1970 World Scientific Pub Co Inc
[14] 웹사이트 Francois Jacob https://www.amacad.o[...] 2022-09-13
[15] 웹사이트 Francois Jacob http://www.nasonline[...] 2022-09-13
[16]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09-13
[17] 저널 L'opéron : groupe de gènes à expression coordonnée par un opérateur http://www.weizmann.[...] 2017-10-12
[18] 저널 The Birth of the Operon
[19] 저널 François Jacob (1920–2013) French freedom fighter who helped to uncover how genes are regulated
[20] 저널 Andre Michel Lwoff. 8 May 1902–30 September 1994
[21] 웹인용 Nobel-winning biologist Francois Jacob dies at 92 http://www.rawstory.[...] The Raw Story 2013-04-22
[22] 저널 François Jacob. 17 June 1920 – 19 April 2013 Royal Society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