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드릭 제임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드릭 제임슨(1934–2024)은 미국의 마르크스주의 문학 평론가이자 문화 이론가로, 포스트모더니즘과 후기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해버퍼드 칼리지에서 학사 학위를, 예일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듀크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제임슨은 문학, 문화, 역사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을 제시하며, 특히 『정치적 무의식』, 『포스트모더니즘, 또는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 등의 저서를 통해 역사주의적 접근과 포스트모더니즘 비판을 펼쳤다. 그의 이론은 전 세계적으로 문학, 문화 연구, 사회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홀베르그 국제 기념상, MLA 평생 공로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소비주의자 - 허먼 데일리
    허먼 데일리는 정상 상태 경제 이론의 선구자이자 지속 가능한 경제 후생 지수(ISEW) 개발에 기여한 경제학자로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 반소비주의자 - 앙리 르페브르
    앙리 르페브르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로서, 일상생활 비판, 공간의 사회적 생산, 도시에 대한 권리 등 도시, 공간 관련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SF 비평가 - 듀나
    대한민국의 SF 작가이자 영화 평론가인 듀나는 PC통신 활동을 시작으로 소설집과 영화 평론집을 발표하며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사회 비판적이고 독창적인 작품 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대표로도 활동하고 있고, 신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 SF 비평가 - H. P. 러브크래프트
    H. P. 러브크래프트는 크툴루 신화를 창시하고 코즈미시즘을 특징으로 하는 미국의 괴기 소설 작가이며, 사후에 재평가되어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마르크스주의자 - 프레드 햄프턴
    프레드 햄프턴은 미국의 흑표당 일리노이주 지부 의장이자 무지개 연합 창립자로, 뛰어난 조직력과 연설 능력으로 전국적 지도자로 성장했으나 FBI 정보 제공자의 협조 하에 시카고 경찰의 급습으로 살해되어 FBI의 불법적인 COINTELPRO 프로그램 개입 의혹과 인권 침해 논란을 야기하며 흑인 해방 운동에 기여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 미국의 마르크스주의자 - 에릭 올린 라이트
    에릭 올린 라이트는 미국의 마르크스주의 사회학자로, 계급 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 사회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사회적 협동 민주주의에 기반한 사회주의적 대안을 모색하며 미국 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프레드릭 제임슨
기본 정보
이름프레드릭 제임슨
출생 이름프레드릭 러프 제임슨
출생일1934년 4월 14일
출생지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사망일2024년 9월 22일
사망지미국 코네티컷주 킬링워스
배우자수전 윌리스
자녀3명
학력
모교해버퍼드 대학교 (학사)
예일 대학교 (박사)
박사 학위 논문 제목사르트르 스타일의 기원
박사 학위 논문 년도1959년
박사 지도 교수에리히 아우어바흐
제자
주요 제자킴 스탠리 로빈슨
사라 다니우스
존 베벌리
경력
소속 기관하버드 대학교 (1959–1967)
UC 샌디에이고 (1967–1976)
예일 대학교 (1976–1983)
UC 산타크루즈 (1983–1985)
듀크 대학교 (1985–2024)
철학적 관점
학파서구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 해석학
주요 관심사
주요 관심사마르크스주의 문화 분석, 유토피아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 역사
포스트모더니즘
구조주의
문화 연구
과학 소설
모더니즘
내러티브
변증법
주요 사상
주요 사상대안적 근대성
인지 지도 제작
국가 우화
정치적 무의식
사라지는 매개자
기타
수상프레드릭 제임슨 평생 공로상
웹사이트듀크 대학교 교수진 소개 페이지
관련 웹사이트역사적 유물론

2. 생애와 경력



프레드릭 제임슨은 1934년 4월 14일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태어났다.[8][69] 아버지 프랭크 S. 제임슨은 뉴욕주 출신의 개인 의원이었고, 어머니 버니스 제임슨은 미시간주 출신으로 바너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가정주부로 지냈다.[9][10][11] 1939년, 그의 가족은 50달러(2024년 기준 약 1130달러)가 넘는 비임금 소득을 올렸다.[12] 1935년 4월에는 뉴저지주 글로스터 시티로 이사했고,[12] 1949년에는 인근 중산층 교외 지역인 뉴저지주 해든 하이츠에 있는 집으로 이사했다.[12] 그는 1950년에 무어스타운 프렌즈 스쿨을 졸업했다.[13][70]

해버퍼드 칼리지에서 프랑스어로 학사 학위를 최우등으로 받았다.[14] 주니어 때 파이 베타 카파 명예 학회에 선출되기도 했다.[15] 해버퍼드 칼리지에서 그의 교수진에는 웨인 부스가 포함되어 있으며,[16] 그의 저서 『특이한 근대성』(2002)은 웨인 부스에게 헌정되었다. 1954년 졸업 후 잠시 유럽을 여행하며 엑상프로방스, 뮌헨, 베를린에서 공부했는데, 이때 구조주의를 포함한 대륙 철학의 새로운 발전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이듬해 미국으로 돌아와 예일 대학교에서 에리히 아우어바흐 밑에서 박사 학위 과정을 밟았으며, 1959년 '사르트르 문체의 기원'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7][18]

제임슨은 수잔 윌리스와 결혼하여 세 딸을 두었다.[1] 그는 2024년 9월 22일, 90세의 나이로 코네티컷주 킬링워스 자택에서 사망했다.[1][5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프레드릭 제임슨은 1934년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태어났다.[69] 1950년 무어스타운 프렌즈 스쿨을 졸업하고,[70] 1954년에는 해버퍼드 칼리지를 최우등(magna cum laude)으로 졸업하며 파이 베타 카파(Phi Beta Kappa)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해버퍼드 칼리지에서 웨인 부스(Wayne Booth) 등에게 사사했다. 졸업 후 유럽으로 건너가 엑상프로방스, 뮌헨, 베를린 등지에서 유학하며 구조주의를 비롯한 대륙 철학을 접했다.[1]

1959년 예일 대학교에서 에리히 아우어바흐의 지도 아래 "사르트르 문체의 기원"(Sartre: The Origins of a Style)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 아우어바흐는 독일 고전학 전통에 뿌리를 둔 학자로, 그의 문학 양식 역사 연구는 문학 형식을 사회사 내에서 분석했다. 제임슨은 이러한 영향을 받아 장 폴 사르트르의 작품에서 시, 역사, 고전학, 철학의 연결을 조사했다. 박사 학위 논문은 사르트르 저술의 스타일과 그의 실존주의 철학의 정치적, 윤리적 입장 사이의 관계를 탐구했으며, 이후 제임슨의 마르크스주의 철학 연구의 기반이 되었다.[1] 비록 당시 영미 학계의 주류 경향과는 달랐지만, 이 논문으로 제임슨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얻게 되었다.[1]

2. 2. 학문 경력

프레드릭 제임슨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프랑스어와 비교문학을 가르쳤다.[19] 1967년부터 1976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에서 허버트 마르쿠제와 함께 일했으며, 킴 스탠리 로빈슨필립 K. 딕 연구 초기 지도교수를 맡았다.[3]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 프랑크푸르트 학파, 프랑스 소설과 프랑스 시, 그리고 장-폴 사르트르에 관한 수업을 가르쳤다. 그 후 1976년 폴 드 망을 통해 예일 대학교에 고용되었고, 1983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에 고용되었다.

1985년 듀크 대학교 문학과 로망스 연구 교수로 부임하여 문학 연구 프로그램을 설립하고 윌리엄 A. 레인 비교문학 석좌교수를 역임했다.[20] 1985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1]

3. 주요 이론 및 사상

프레드릭 제임슨의 사상은 마르크스주의에 깊이 뿌리박고 있으며, 특히 문학문화 분석에 있어 역사주의적 접근과 포스트모더니즘 비판으로 잘 알려져 있다.

== 마르크스주의 문학 이론 ==

제임슨은 사르트르 연구를 통해 마르크스주의 문학 이론을 심도 있게 연구했다.[71] 초기 저작에서 사르트르의 재평가를 수행했고,[1] 그의 저술 스타일과 실존주의 철학의 정치적, 윤리적 입장 사이의 관계를 탐구했다.[73] 사르트르 작품의 마르크스주의적 측면은 이후 10년 동안 제임슨의 주요 연구 주제가 되었다.

제임슨의 마르크스주의 연구는 뉴 레프트평화주의 운동, 그리고 쿠바 혁명과 같은 정치적 사건들의 영향을 받았다.[22][72] 그는 비판 이론에 주목하여, 아도르노, 벤야민, 루카치, 블로흐, 알튀세르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사상가들이 문화 비평을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핵심 요소로 간주했다는 점을 강조했다.[23][24] 1969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에서 마르크스주의 문학 그룹을 공동 설립했다.[23]

정통 마르크스주의가 문화적 "상부 구조"가 경제적 "기반"에 의해 완전히 결정된다고 주장한 반면, 제임슨을 포함한 서구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문화를 경제적 생산 및 분배, 정치적 권력 관계와 함께 역사적, 사회적 현상으로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이들은 헤겔의 내재적 비판 개념, 즉 텍스트 자체의 용어로 내적 모순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문화를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4]

== 역사주의적 접근 ==

프레드릭 제임슨은 문학과 문화 분석에서 역사를 "궁극의 지평"으로 강조하며, "항상 역사화하라"는 슬로건을 제시했다.[1][74] 『정치적 ''무의식'' – ''사회적 상징행위로서의'' 서사』(1981)에서 그는 문학 텍스트 자체보다는 그것을 구성하는 해석적 틀에 주목했다.[25] 이 저서는 문학적 서사에 관한 새로운 활동을 위한 선언문으로, 조나단 컬러에 따르면 문학적 서사를 해석하는 대안적인 방법으로 등장했다.[25] 제임슨은 이 책에서 구조주의 전통과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문화 연구에서 개념을 차용하고, 이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의 노동(블루칼라든 지식인이든) 분석과 결합했다.[74][26]

제임슨은 작가의 명시적 형식 및 주제 선택과 그 이면의 무의식적 틀을 모두 활용하여, 예술적 선택을 역사적 문학 관행 및 규범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예술가에게 부과된 제약을 체계적으로 목록화하고자 했다.[74][26] 그는 또한 사회 계급 간의 투쟁을 드러내기 위해 "사회 계급의 본질적으로 적대적인 집단 담론의 가장 작은 이해 가능한 단위"인 이데올로젬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26]

제임슨은 이러한 분석을 통해 예술적 생산양식 개념을 중심으로 한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을 문학 이해를 위한 가장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이론적 틀로 확립하고자 했다.[74][28] 빈센트 B. 라이트에 따르면, 『정치적 무의식』의 출판은 "제임슨을 미국의 주요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가로 만들었다."

==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

제임슨은 포스트모더니즘을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로 규정하고 변증법적으로 분석했다.[75] 1984년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문학 및 의식사 교수로 재직하던 중 New Left Review 저널에 "포스트모더니즘, 또는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는데,[34] 이 논문은 이후 그의 대표 저서로 확장되었다.

제임슨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으로 파스티슈와 역사성의 위기를 지적했다.[36] 그는 패러디(도덕적 판단이나 사회적 규범과의 비교를 의미함)가 파스티슈(규범적 근거가 없는 콜라주 및 기타 형태의 병치)로 대체되었다고 주장했다.[36] 모더니즘이 종종 다른 문화와 역사적 시대를 "인용"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 문화 텍스트는 이러한 요소들을 무차별적으로 흡수하여 비판적 또는 역사적 거리감을 없애 순수한 파스티슈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37] 이와 관련하여 제임슨은 포스트모던 시대가 역사성의 위기를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36]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우는 [...] 역사와 신문과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현재의 다국적 고층건물 스태그플레이션 도시 사이에는 더 이상 유기적인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38]

제임슨은 포스트모던의 " 메타 서사에 대한 회의론"을 후기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에 의해 부과된 지적 노동 조건에서 비롯된 "경험 양식"으로 보았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영역" 또는 삶의 분야(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상업적) 사이의 복잡한 분화가 극복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제임슨은 이러한 현상이 모더니스트 프레임워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반박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이 사유의 변증법적 세련미의 갑작스러운 단절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제임슨의 견해에 따르면, 포스트모더니티가 모든 담론을 미분화된 전체로 병합한 것은 이전 모더니즘 시대에 최소한 부분적인 자율성을 유지했던 문화 영역이 새롭게 조직된 거대 자본주의에 의해 식민화된 결과였다.[35] 테오도르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의 문화 산업 분석을 따라 제임슨은 건축, 영화, 서사, 시각 예술에 대한 그의 비판적 논의뿐만 아니라 그의 엄격한 철학적 작업에서도 이 현상을 논의했다.[35]

제임슨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도덕적 비판을 거부하고, 헤겔의 내재적 비판을 통해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진화를 재앙과 진보의 양면으로 파악했다.[75][39][29]

== 기타 주요 개념 ==

제임슨은 케빈 A. 린치의 개념을 차용하여 자본주의 세계화 시대에 대중문화에 의해 매개되는 계급의식을 설명하는 "인지 지도"라는 개념을 제시했다.[40] 또한, 그는 "사라지는 매개자",[41] 전체성을 음모로 보는 관점,[42] 브릭스(BRICS)의 정치적 프로젝트와 연결되는 포스트식민주의적 개념으로서 자본주의의 독특한 지역적 경로를 설명하는 "대안적 근대성",[43] 그리고 전체화의 원리로서의 적대감[44] 등의 개념을 제시했다.

분류:마르크스주의 이론가

분류:포스트모더니즘

분류:문학 평론가

분류:문화 이론가

분류:미국의 마르크스주의자

3. 1. 마르크스주의 문학 이론

제임슨은 사르트르 연구를 통해 마르크스주의 문학 이론을 심도 있게 연구했다.[71] 초기 저작에서 사르트르의 재평가를 수행했고,[1] 그의 저술 스타일과 실존주의 철학의 정치적, 윤리적 입장 사이의 관계를 탐구했다.[73] 사르트르 작품의 마르크스주의적 측면은 이후 10년 동안 제임슨의 주요 연구 주제가 되었다.

제임슨의 마르크스주의 연구는 뉴 레프트평화주의 운동, 그리고 쿠바 혁명과 같은 정치적 사건들의 영향을 받았다.[22][72] 그는 비판 이론에 주목하여, 아도르노, 벤야민, 루카치, 블로흐, 알튀세르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사상가들이 문화 비평을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핵심 요소로 간주했다는 점을 강조했다.[23][24] 1969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에서 마르크스주의 문학 그룹을 공동 설립했다.[23]

정통 마르크스주의가 문화적 "상부 구조"가 경제적 "기반"에 의해 완전히 결정된다고 주장한 반면, 제임슨을 포함한 서구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문화를 경제적 생산 및 분배, 정치적 권력 관계와 함께 역사적, 사회적 현상으로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이들은 헤겔의 내재적 비판 개념, 즉 텍스트 자체의 용어로 내적 모순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문화를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4]

3. 2. 역사주의적 접근

프레드릭 제임슨은 문학과 문화 분석에서 역사를 "궁극의 지평"으로 강조하며, "항상 역사화하라"는 슬로건을 제시했다.[1][74] 『정치적 ''무의식'' – ''사회적 상징행위로서의'' 서사』(1981)에서 그는 문학 텍스트 자체보다는 그것을 구성하는 해석적 틀에 주목했다.[25] 이 저서는 문학적 서사에 관한 새로운 활동을 위한 선언문으로, 조나단 컬러에 따르면 문학적 서사를 해석하는 대안적인 방법으로 등장했다.[25] 제임슨은 이 책에서 구조주의 전통과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문화 연구에서 개념을 차용하고, 이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의 노동(블루칼라든 지식인이든) 분석과 결합했다.[74][26]

제임슨은 작가의 명시적 형식 및 주제 선택과 그 이면의 무의식적 틀을 모두 활용하여, 예술적 선택을 역사적 문학 관행 및 규범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예술가에게 부과된 제약을 체계적으로 목록화하고자 했다.[74][26] 그는 또한 사회 계급 간의 투쟁을 드러내기 위해 "사회 계급의 본질적으로 적대적인 집단 담론의 가장 작은 이해 가능한 단위"인 이데올로젬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26]

제임슨은 이러한 분석을 통해 예술적 생산양식 개념을 중심으로 한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을 문학 이해를 위한 가장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이론적 틀로 확립하고자 했다.[74][28] 빈센트 B. 라이트에 따르면, 『정치적 무의식』의 출판은 "제임슨을 미국의 주요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가로 만들었다."

3. 3.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제임슨은 포스트모더니즘을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로 규정하고 변증법적으로 분석했다.[75] 1984년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문학 및 의식사 교수로 재직하던 중 New Left Review 저널에 "포스트모더니즘, 또는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는데,[34] 이 논문은 이후 그의 대표 저서로 확장되었다.

제임슨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으로 파스티슈와 역사성의 위기를 지적했다.[36] 그는 패러디(도덕적 판단이나 사회적 규범과의 비교를 의미함)가 파스티슈(규범적 근거가 없는 콜라주 및 기타 형태의 병치)로 대체되었다고 주장했다.[36] 모더니즘이 종종 다른 문화와 역사적 시대를 "인용"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 문화 텍스트는 이러한 요소들을 무차별적으로 흡수하여 비판적 또는 역사적 거리감을 없애 순수한 파스티슈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37] 이와 관련하여 제임슨은 포스트모던 시대가 역사성의 위기를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36]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우는 [...] 역사와 신문과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현재의 다국적 고층건물 스태그플레이션 도시 사이에는 더 이상 유기적인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38]

제임슨은 포스트모던의 " 메타 서사에 대한 회의론"을 후기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에 의해 부과된 지적 노동 조건에서 비롯된 "경험 양식"으로 보았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영역" 또는 삶의 분야(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상업적) 사이의 복잡한 분화가 극복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제임슨은 이러한 현상이 모더니스트 프레임워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반박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이 사유의 변증법적 세련미의 갑작스러운 단절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제임슨의 견해에 따르면, 포스트모더니티가 모든 담론을 미분화된 전체로 병합한 것은 이전 모더니즘 시대에 최소한 부분적인 자율성을 유지했던 문화 영역이 새롭게 조직된 거대 자본주의에 의해 식민화된 결과였다.[35] 테오도르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의 문화 산업 분석을 따라 제임슨은 건축, 영화, 서사, 시각 예술에 대한 그의 비판적 논의뿐만 아니라 그의 엄격한 철학적 작업에서도 이 현상을 논의했다.[35]

제임슨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도덕적 비판을 거부하고, 헤겔의 내재적 비판을 통해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진화를 재앙과 진보의 양면으로 파악했다.[75][39][29]

3. 4. 기타 주요 개념

제임슨은 케빈 A. 린치의 개념을 차용하여 자본주의 세계화 시대에 대중문화에 의해 매개되는 계급의식을 설명하는 "인지 지도"라는 개념을 제시했다.[40] 또한, 그는 "사라지는 매개자",[41] 전체성을 음모로 보는 관점,[42] 브릭스(BRICS)의 정치적 프로젝트와 연결되는 포스트식민주의적 개념으로서 자본주의의 독특한 지역적 경로를 설명하는 "대안적 근대성",[43] 그리고 전체화의 원리로서의 적대감[44] 등의 개념을 제시했다.

4. 영향 및 평가

듀크 대학교 문학 프로그램의 책임자였던 주 레이는 2011년에 제임슨에게 평생 업적상을 수여하면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더욱 널리 알려지고 자주 인용되며, 더 오랜 기간 동안 국내외 비평가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은 인문학 학자를 찾기는 프레드릭 제임슨보다 어려울 것이다."라고 평가했다.[7]

2024년 『자코빈』에 실린 로버트 T. 탈리 주니어의 서평에서는 제임슨을 "그의 전성기에 독창적인 대안을 제시했으며…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미국, 아니 전 세계에서 선도적인 마르크스주의 문학 및 문화 비평가였다"라고 묘사했다.[66]

마르크스주의 학술지 『역사적 유물론: 비판적 마르크스주의 이론 연구』 편집팀은 추모 글에서 제임슨을 "지적 거장"이라고 칭하며, "수많은 사상가, 활동가, 학자들에게 영감을 준 지속적인 유산"을 남겼다고 평가했다.[4] 그들은 제임슨의 "문화 텍스트에서 투쟁과 혁명, 유토피아와 해방의 순간을 유물론적으로 해석하려는 투쟁적인 헌신"을 칭찬했다.[4]

『네이션』의 추모 글에서는 제임슨이 "자신의 분야에서 가장 인상적인 업적을 이룬 인물일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비판을 교사와 제자, 작품과 대중 사이의 담론으로 여긴 인물"로 부상했다고 언급했다.[33]


  • 윌리엄 C. 다우링, ''제이미슨, 알튀세르, 마르크스: 정치적 무의식 서론'' (Jameson, Althusser, Marx: an Introduction to the Political Unconscious). 아이타카: 코넬대학교 출판부, 1984.
  • 윌리엄 C. 다우링, 辻麻子 역, ''제이미슨, 알튀세르, 마르크스: 정치적 무의식 입문 강좌'' (ジェイムスン、アルチュセール、マルクス 『政治的無意識』入門講座). 미라이샤(未来社) 「포이에시스(ポイエーシス) 총서, 1993년.
  • 더글러스 켈너 편, ''제이미슨/포스트모더니즘/비판'' (Jameson/Postmodernism/Critique). 워싱턴 D.C.: 메종뇌브 프레스, 1989.
  • 페리 앤더슨, 각다 후미유키, 아사미 마사에, 타나카 히토시 역, ''포스트모더니티의 기원'' (ポストモダニティの起源). 코부시 서방, 2002년.
  • 션 호머, ''프레드릭 제이미슨: 마르크시즘, 해르메네우티크, 포스트모더니즘'' (Fredric Jameson: Marxism, Hermeneutics, Postmodernism). 옥스퍼드: 블랙웰, 1998.
  • 아담 로버츠, ''프레드릭 제이미슨'' (Fredric Jameson). 뉴욕: 라우틀리지, 2000.
  • 마이클 하르트와 카시 위크스 편, ''제이미슨 리더'' (The Jameson Reader). 옥스퍼드: 블랙웰, 2000.
  • 캐런 이르와 이언 부캐넌 편, ''제이미슨에 관하여: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세계화까지'' (On Jameson: From Postmodernism to Globalization). 올버니: 뉴욕 주립대학교 출판부, 2005.
  • 이언 부캐넌, ''프레드릭 제이미슨: 라이브 이론'' (Fredric Jameson: Live Theory). 런던과 뉴욕: 컨티뉴엄, 2006.
  • 로버트 T. 탤리, ''프레드릭 제이미슨: 변증법적 비판의 프로젝트'' (Fredric Jameson: The Project of Dialectical Criticism). 런던: 플루토, 2014.
  • 클린트 번햄, ''프레드릭 제이미슨과 월가의 늑대'' (Fredric Jameson and the Wolf of Wall Street). 블룸즈베리 USA 아카데믹, 2016.

4. 1. 국제적 영향

제임슨의 이론은 전 세계적으로 문학, 문화 연구, 사회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그의 비판적 분석은 해당 분야의 논의를 주도하며 획기적인 업적으로 평가받는다.[7][66] 2008년에는 사회 형성과 문화 형식 간의 관계에 대한 평생에 걸친 연구를 인정받아 홀베르그 국제 기념상을 수상했다.[60] 상금은 약 64만 8천 달러(460만 노르웨이 크로네(NOK))였으며, 2008년 11월 26일 노르웨이 베르겐에서 노르웨이 교육연구부 장관 토라 아슬란드(Tora Aasland)가 제임슨에게 수여했다.[61]

제임슨은 중국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이론화에 significant한 영향을 미쳤다. 1985년 중반, 문화 열풍(1985년 초부터 1989년 천안문 사건) 초기, 베이징대학교와 선전대학교에서 강의를 통해 중국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개념을 논의했다.[63][64] 이 강의는 장이우와 장수동 등 중국에서 포스트모더니티 분석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65] 1987년, 제임슨은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 이론"(Hòuxiàndàizhǔyì yǔ wénhuà lǐlùn/后现代主义与文化理论중국어)을 출판했고, 이는 중국 지식인들의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에 핵심적인 교재로 사용되었다.[64] 학자 왕닝은 그 영향은 과대평가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64] 다만, 왕차오화는 제임슨의 저술이 주로 지지와 칭찬에 사용되었고, 이는 제임슨에 대한 근본적인 오독으로 이어졌다고 비판했다.[63]

제임슨의 이론은 1994년부터 1997년까지 중국 본토 안팎의 중국 지식인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런던의 조이헝, 미국의 서번, 그리고 듀크 대학교에서 제임슨의 지도하에 박사 과정을 밟은 장수동이 중요한 공헌을 했다.[63]

마르크스주의 학술지 『역사적 유물론: 비판적 마르크스주의 이론 연구』 편집팀은 제임슨을 "지적 거장"이라고 묘사하며, "수많은 사상가, 활동가, 학자들에게 영감을 준 지속적인 유산"을 남겼다고 평가했다.[4] 『네이션』에 실린 추모 글에서는 제임슨이 "자신의 분야에서 가장 인상적인 업적을 이룬 인물일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비판을 교사와 제자, 작품과 대중 사이의 담론으로 여긴 인물"로 평가했다.[33]

4. 2. 한국에서의 영향

제임슨의 이론은 한국의 진보 진영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사회의 문화 현상을 분석하는 중요한 틀을 제공했다. 그의 저작들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으며, 학계와 비평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자본주의 발전을 이해하는 데 있어 제임슨의 이론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했다.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사회 변혁 운동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제임슨의 이론이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4. 3. 수상 내역

프레드릭 제임슨은 미국 현대 언어 학회(MLA)를 비롯한 여러 학술 단체에서 그의 업적을 인정받아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1971년에는 MLA 윌리엄 라일리 파커 상을,[7] 1991년에는 『포스트모더니즘, 또는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로 MLA 제임스 러셀 로웰 상을 받았다.[57] 이 책은 출판 이후 해당 분야의 획기적인 저서로 평가받으며,[58] 2024년 현재까지 듀크대학교 출판부의 베스트셀러이다.[59]

2008년에는 사회 형성과 문화 형식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인정받아 홀베르그 국제 기념상을 수상했다.[60] 상금은 약 64만 8천 달러(460만 노르웨이 크로네)였으며, 2008년 11월 26일 노르웨이 베르겐에서 수여되었다.[61]

2009년에는 북미 유토피아 연구 학회에서 라이먼 타워 사전트 명예 학자상을 받았다.[58] 이는 월터 벤야민, 허버트 마르쿠제, 에른스트 블로흐의 유토피아 이론을 영어권 독자들에게 소개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였다.[58]

2012년에는 MLA 평생 공로상을 받았다.[59]

5. 저서

프레드릭 제임슨은 다양한 저서를 출판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사르트르: 스타일의 기원》(Sartre: the Origins of a Style), 1961.[67]
  • 《마르크스주의와 형식: 20세기 변증법적 문학 이론》(Marxism and Form: Twentieth-century Dialectical Theories of Literature), 1971.[67]
  • 《언어의 감옥: 구조주의와 러시아 형식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The Prison-house of Language: A Critical Account of Structuralism and Russian Formalism), 1972.[67]
  • 《공격의 우화: 현대주의자이자 파시스트였던 윈덤 루이스》(Fables of Aggression: Wyndham Lewis, the Modernist as Fascist), 1979.[67]
  • 《정치적 무의식: 사회적 상징적 행위로서의 서사》(The Political Unconscious: Narrative as a Socially Symbolic Act), 1981.[67]
  • 《이론의 이데올로기. 1971-1986년 에세이. 제1권: 이론의 상황》(The Ideologies of Theory. Essays 1971-1986. Volume 1: Situations of Theory), 1988.[67]
  • 《이론의 이데올로기. 1971-1986년 에세이. 제2권: 역사의 구문론》(The Ideologies of Theory. Essays 1971-1986. Volume 2: The Syntax of History), 1988.[67]
  • 《후기 마르크스주의: 아도르노, 또는 변증법의 지속》(Late Marxism: Adorno, or, the Persistence of the Dialectic), 1990.[67]
  • 《보이는 것들의 서명》(Signatures of the Visible), 1990.[67]
  • 《포스트모더니즘, 또는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1991.[67]
  • 《지정학적 미학: 세계 시스템에서의 영화와 공간》(The Geopolitical Aesthetic: Cinema and Space in the World System), 1992.[67]
  • 《시간의 씨앗》(The Seeds of Time), 1994.[67]
  • 《브레히트와 방법》(Brecht and Method), 1998.[67]
  • 《문화적 전환: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선집, 1983-1998》(The Cultural Turn: Selected Writings on the Postmodern, 1983-1998), 1998.[67]
  • 《특이한 현대성: 현재의 존재론에 관한 에세이》(A Singular Modernity: Essay on the Ontology of the Present), 2002.[67]
  • 《미래의 고고학: 유토피아라 불리는 욕망과 다른 공상과학 소설들》(Archaeologies of the Future: the desire called utopia and other science fictions), 2005.
  • 《현대주의 논문》(The Modernist papers), 2007.
  • 《변증법의 원자가》(Valences of the dialectic), 2009.
  • 《헤겔 변주곡: 정신현상학에 관하여》(The Hegel Variations: o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2010.
  • 《자본의 표상: 제1권에 대한 주석》(Representing Capital: a commentary on volume one), 2011.
  • 《리얼리즘의 반의론》(The Antinomies of Realism), 2013.
  • 《고대인과 포스트모더니스트들: 형식의 역사성에 관하여》(The Ancients and the Postmoderns: On the Historicity of Form’s), 2015.
  • 《레이먼드 챈들러: 전체성의 탐정》(Raymond Chandler: The Detections of Totality), 2016.
  • 《풍유와 이데올로기》(Allegory and Ideology), 2019.
  • 《벤야민 파일》(The Benjamin Files), 2020.


그의 저서는 일본어로도 번역, 출간되었다.

  • 《사르트르: 회귀하는 유물론》(サルトル――回帰する唯物論), 1999.
  • 《변증법적 비평의 모험: 마르크스주의와 형식》(弁証法的批評の冒険――マルクス主義と形式), 1980.
  • 《언어의 감옥: 구조주의와 러시아 포르말리즘》(言語の牢獄――構造主義とロシア・フォルマリズム), 1988.
  • 《정치적 무의식: 사회적 상징 행위로서의 이야기》(政治的無意識――社会的象徴行為としての物語), 1989/2010.
  • 《나중에 태어날 자들에게: 포스트모더니즘 비판으로의 길 1971-1986》(のちに生まれる者へ――ポストモダニズム批判への途1971-1986), 1993.
  • 《보이는 것의 서명: 제임슨 영화론》(目に見えるものの署名――ジェイムソン映画論), 2015.
  • 《아도르노: 후기 마르크스주의와 변증법》(アドルノ 後期マルクス主義と弁証法), 2013.
  • 《문학=이미지의 변용: 문화 이론: 릿쿄 강좌》(文学=イメージの変容 Theory of Culture: Rikkyo Lectures), 2000.
  • 《시간의 씨앗: 포스트모던과 냉전 이후의 유토피아》(時間の種子――ポストモダンと冷戦以後のユートピア), 1998.
  • 《브레히트와 방법》(ブレヒトと方法), 2002-2006.
  • 《컬처럴 턴》(カルチュラル・ターン), 2006.
  • 《근대라는 기묘함: 현재의 존재론에 관한 시론》(近代という不思議――現在の存在論についての試論), 2005.
  • 《미래의 고고학 제1부 유토피아라는 이름의 욕망》(未来の考古学 第一部 ユートピアという名の欲望), 2011.
  • 《미래의 고고학 제2부 사상이 도달할 수 있는 한계》(未来の考古学 第二部 思想の達しうる限り), 2012.
  • 《헤겔 변주곡: 《정신현상학》을 둘러싼 11장》(ヘーゲル変奏――『精神の現象学』をめぐる11章), 2011.
  • 《21세기에 자본론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21世紀に、資本論をいかによむべきか?), 2015.
  • 《미국의 유토피아: 이중 권력과 국민 징병제》(アメリカのユートピア――二重権力と国民皆兵制), 2018.

참조

[1] 웹사이트 Swedish Academy news https://www.complete[...] 2014-12-22
[2] 서적 Aspects of Góngora's "Soledades" https://archive.or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3] 서적 Treinta años de estudios literarios/culturales latinoamericanistas en Estados Unidos. Memorias, testimonios, reflexiones críticas https://books.google[...] Instituto Internacional de Literatura Iberoamericana
[4] 웹사이트 Fredric R. Jameson (1934–2024) https://www.historic[...] 2024-09-22
[5] 서적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Duke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Fredric Jameson https://scholars.duk[...] 2023-06-02
[7] 웹사이트 Fredric Jameson to Receive Lifetime Achievement Award http://today.duke.ed[...] 2011-12-04
[8] 뉴스 Fredric Jameson, Critic Who Linked Literature to Capitalism, Is Dead at 90 https://www.nytimes.[...] 2024-09-25
[9] 미국 인구 조사 Frederick Jameson https://web.archive.[...] 2024-09-25
[10] 미국 인구 조사 Frederic Jameson https://web.archive.[...] 2024-09-25
[11] 간행물 Obituaries https://archive.org/[...]
[12] 간행물 Brother, Can You Spare a Dime? The 1940 Census: Employment and Income https://www.archives[...]
[13] 웹사이트 Moorestown Friends School Alum Wins Capote Award for Book on Realism; Frederic Jameson won $30,000 for his book ''The Antinomies of Realism.'' https://patch.com/ne[...] Moorestown Patch 2014-11-11
[14] 간행물 Honors https://archive.org/[...]
[15] 간행물 Honor Societies https://archive.org/[...]
[16] 서적 The Jameson Reader Wiley-Blackwell
[17] 웹사이트 The Origins of Sartre's Style https://www.proquest[...] 2024-09-24
[18] 웹사이트 Fredrick Jameson https://provost.duke[...] 2024-06-03
[19] 웹사이트 Jameson, Fredric https://sf-encyclope[...] 2022-09-12
[20] 웹사이트 Fredric Jameson https://scholars.duk[...] Duke University
[21] 웹사이트 Fredric R. Jameson https://www.amacad.o[...] 2024-09-24
[22] 서적 Interview with Srinivas Aramudan and Ranjanna Khanna Duke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MLG http://mlg.eserver.o[...]
[24] 서적 Marxism and Form https://press.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The Political Unconscious by Fredric Jameson https://www.cornellp[...]
[26] 서적 The Political Unconscious: Narrative as a Socially Symbolic Act Cornell UP
[27] 서적 Desire in Language: A Semiotic Approach to Literature and Art Columbia UP
[28] 서적 The Political Unconscious: Narrative as a Socially Symbolic Act Cornell University Press
[29] 잡지 Glimmers of Totality: Fredric Jameson at Ninety https://harpers.org/[...]
[30] 서적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Modules on Jameson: On Late Capitalism https://www.cla.purd[...] Purdue University
[32] 웹사이트 Unpacking late capitalism https://www.sydney.e[...] 2022-12-20
[33] 잡지 The Gifts of Fredric Jameson (1934–2024) https://www.thenatio[...] 2024-09-26
[34] 잡지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https://sites.duke.e[...]
[35] 웹사이트 Fredric Jameson https://pages.gseis.[...]
[36] 웹사이트 Modules on Jameson: On pastiche https://www.cla.purd[...] 2024-09-28
[37] 서적 The Icon Critical Dictionary of Postmodern Thought https://archive.org/[...] Icon Books 1998
[38] 웹사이트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https://web.educatio[...] 2023-11-21
[39] 서적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Duke University Press 1991
[40] 논문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https://sites.duke.e[...]
[40] 논문 Marxism and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41] 논문 The Vanishing Mediator: Narrative Structure in Max Weber https://arditiesp.wo[...]
[42] 서적 The Geopolitical Aesthetic: Cinema and Space in the World System Indiana University Press
[43] 서적 A Singular Modernity: Essay on the Ontology of the Present Verso
[44] 웹사이트 Larger Than Life https://slavoj.subst[...]
[45] 웹사이트 About Fredric R. Jameson http://www.holbergpr[...] Holberg Prize
[46] 서적 Postmodernism
[47] 서적 The Antinomies of Realism
[48] 서적 A Singular Modernity
[49] 서적 The Modernist Papers
[50] 서적 Archaeologies of the Future
[51] 뉴스 Fredric Jameson receives Truman Capote Award http://now.uiowa.edu[...] 2014-05-23
[52] OCLC
[53] 웹사이트 The Hegel Variations: O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https://www.versoboo[...]
[54] 논문 Fredric Jameson: Representing Capital: A Reading of Volume One https://doi.org/10.1[...] 2013
[55] 뉴스 On Fredric Jameson http://www.jacobinma[...] 2014-03-05
[56] 웹사이트 For Fredric Jameson https://www.theresti[...] 2024-09-22
[57] 웹사이트 James Russell Lowell Prize Winners https://www.mla.org/[...]
[58] 웹사이트 Lyman Tower Sargent Award for Distinguished Scholarship https://utopian-stud[...] 2013-04-06
[59] 웹사이트 Farewell to Fredric Jameson https://dukeupress.w[...] 2024-09-23
[60] 뉴스 Professor Fredric R. Jameson awarded Holberg Prize 2008 http://www.norway.or[...] Norway.org 2008-09-16
[61] 뉴스 American cultural theorist awarded the Holberg Prize http://www.norway.o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Norway)
[62] 논문 On some motifs in the Chinese "Cultural Fever" of the late 1980s: social change, ideology, and theory Duke University Press 1994
[63] 서적 One China, Many Paths https://books.google[...] Verso 2005-05-17
[64] 서적 Postmodernism and China Duke University Press
[65] 서적 One China, many paths https://books.google[...] Verso
[65] 논문 Fire at the castle gate http://newleftreview[...] New Left Review 2000-11-12
[66] 웹사이트 How Fredric Jameson Remade Literary Criticism https://jacobin.com/[...] 2024-09-03
[67] 웹사이트 Books by Fredric Jameson https://www.lib.uci.[...]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 Libraries
[68] 웹사이트 For Fredric Jameson https://www.theresti[...] 2024-09-22
[69] 서적 Fredric Jameson (Routledge Critical Thinkers) Routledge
[70] 뉴스 Moorestown Friends School Alum Wins Capote Award for Book on Realism https://patch.com/ne[...] 2014-11-11
[71] 서적 Fredric Jameson: Live Theory Continuum 2006
[72] 서적 Jameson on Jameson: Conversations on Cultural Marxism Duke University Press 2007
[73] 서적 Marxism and Form https://press.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10-23
[74] 서적 The Political Unconscious: Narrative as a Socially Symbolic Act Cornell University Press 1981
[75] 서적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Duke University Press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