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시아로사 100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치아로사 1000(Frecciarossa 1000)은 봄바디어 제피로 300을 기반으로 제작된 이탈리아의 고속열차이다. 2000년대 중반 이탈리아 국영 철도에서 유로스타 알타 벨로치타 프레치아로사 서비스를 위해 발주되었으며, 안살도브레다와 봄바디어의 제휴로 생산되었다. 최고 속도 360km/h로 설계되었으며, 이탈리아 국내선뿐만 아니라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여러 국가에서도 운행하고 있다. 2015년 밀라노 엑스포 개최와 함께 상업 운행을 시작했으며, 2020년 리브라 탈선 사고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전동차 - 뉴펜돌리노
    뉴펜돌리노는 알스톰에서 제작한 피아트 펜돌리노 계열의 고속 열차로, 틸팅 기술을 통해 곡선 구간에서도 빠른 속도로 운행하며, 250km/h의 속도를 낼 수 있고, 여러 국가에서 운행되며 유럽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높였다.
  • 이탈리아의 전동차 - FS ETR 500급
    FS ETR 500급은 이탈리아 국철이 300km/h 주행을 목표로 개발한 고속 열차로, 여러 시험 운행과 하위 시리즈를 거쳐 이탈리아 고속철도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프레치아로사로 운행되며 속도 기록을 경신했고, 후속 모델로 ETR 1000 열차가 도입될 예정이다.
  • 이탈리아의 고속철도 차량 - 펜돌리노
    펜돌리노는 이탈리아에서 개발된 차체 틸팅 기술을 활용하여 곡선 구간에서 속도를 유지하며 운행하는 고속철도 차량이다.
  • 이탈리아의 고속철도 차량 - AGV (열차)
    AGV는 알스톰이 TGV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동력 분산 방식의 고속열차로, 가감속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이탈리아 NTV에서 '이탈로'라는 브랜드로 운행될 예정이다.
  • 히타치 레일 이탈리아의 철도 차량 - 봄바디어 제피로
    봄바디어 제피로는 다양한 모델로 구성된 단층 고속 열차 제품군으로, 2021년 알스톰의 봄바디어 인수로 관련 사업 활동은 히타치 레일로 이전되었다.
  • 히타치 레일 이탈리아의 철도 차량 - NSB 72
    NSB 72는 노르웨이 국영 철도가 노후 차량 교체 및 여객 수요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1990년대 후반에 도입한 이탈리아 안살도브레다 제작, 핀인파리나 디자인의 4량 1편성 전동차로, 기술적 문제 등으로 인도 및 운행이 지연되었으나 현재 고-어헤드 노르웨이가 36대를 운영하고 있다.
프레시아로사 1000
개요
이탈리아 철도 트렌이탈리아 ETR400 15
이탈리아 철도 트렌이탈리아 ETR400 15
차량 종류고속 열차
서비스고속 철도
제조사히타치 레일 이탈리아 (2021년부터 단독 제작) 트라파가의 알스톰 전기 모터}}
공장피스토이아 (히타치 레일 이탈리아) 안살도브레다 ; 바도 리구레 (봄바르디어 이탈리아)
계열ETR 1000 (IT), Serie 109 (ES), 상업용 프레시아로사 1000
대체해당 사항 없음
제작 연도2013년–현재
운행 시작2015년부터
퇴역 연도해당 사항 없음
제작 수량50량
운행 번호해당 사항 없음
보존 수량해당 사항 없음
폐차 수량해당 사항 없음
편성4M4T; 1 Executive car, 1 Business car, 1 Business car with a bar-bistro, 1 Premium car, 4 Standard cars
수용량457 (Executive, 10; Business, 69; Premium, 76; Standard, 300; 휠체어, 2)
운행 기관트렌이탈리아
이료
노선이탈리아:
토리노-밀라노-볼로냐-피렌체-로마-나폴리-살레르노-(포텐차-타란토)
베네치아-파도바-볼로냐-피렌체-로마-나폴리-살레르노
스페인:
마드리드–사라고사–바르셀로나
세비야-코르도바-마드리드
발렌시아-쿠엥카-마드리드
국제:
파리-리옹-샹베리-모다네-토리노-밀라노
차체알루미늄 합금
차량 길이202m
차량 폭2924mm
차량 높이4080mm
바닥 높이1240mm
출입문 수28개 (총)
차륜 직경920mm
최대 속도영업:
300km/h
설계 (영업 속도):
360km/h
설계 (최대 속도):
400km/h
중량500t
축중17t
견인수냉식 IGBT–VVVF 인버터 제어
견인 모터16 × 3상 AC 유도 전동기
출력9800-10000kW
견인력370kN
가속도0.7m/s²
감속도1.2m/s²
전력 공급해당 사항 없음
전기 시스템25 kV 50 Hz, 15 kV AC (설치됨, 작동 안 함), 3 kV DC, 1,500 V DC 가공선
집전 방식팬터그래프
UIC 분류Bo′Bo′+2′2′+Bo′Bo′+2′2′+2′2′+Bo′Bo′+2′2′+Bo′Bo′
대차해당 사항 없음
제동 장치회생 제동, 유체, 전자 공기
안전 장치ERTMS, ETCS, SCMT, ASFA, LZB
연결기해당 사항 없음
중련 운전해당 사항 없음
궤간표준궤
설계자마이크 로빈슨 및 베르토네

2. 역사 및 디자인

wikitext

2000년대 중반, 이탈리아 국영 철도 운영사인 페로비에 델로 스타토는 토리노-밀라노-피렌체-로마-나폴리 구간 유로스타 알타 벨로치타 프레치아로사 서비스용 새 초고속 열차 구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5] 안살도브레다와 봄바디어 운송은 2008년 제휴하여 열차를 생산하기로 결정했다.[1]

새 디자인은 분산 추진 방식을 채택한 200m 길이의 8량 비관절식 단층 열차로, 최대 350km/h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1] 이 열차는 봄바디어의 제피로안살도브레다의 기존 V250 설계를 기반으로 했다.[1] 봄바디어는 개발의 개념 및 상세 설계 단계, 추진 장비 및 보기 제공, 형식 승인, 테스트, 처음 다섯 대 열차 시운전을 담당했고, 안살도브레다는 차체, 내부, 신호 및 기타 시스템을 포함한 열차의 산업 디자인을 개발하고, 시리즈 생산 열차의 최종 조립 및 시운전을 수행했다. 두 회사 모두 상세 설계 및 엔지니어링 활동에 참여했다.[1]

구르포 베르토네는 열차의 외관 디자인을 담당했으며,[1] 국제 철도 표준을 준수하면서도 우아함과 속도를 강조하는 디자인을 목표로 했다.[1] 베르토네의 디자인은 풍동등 다양한 테스트를 거쳤으며, 능동 현가 장치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1]

이 차량 설계는 공식적으로 제피로 300으로 지정되었으며,[1] 초기 사양은 유럽 고속철도 기술 표준을 충족하고, 설계 상업 속도는 360km/h였으며, 초기에는 300km/h로 운행, 400km/h로 테스트될 예정이었다.[16] 또한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 및 스위스의 철도 시스템을 포함하여 7개 유럽 국가에서 운행할 수 있어야 했다.[1][17]

최대 속도는 초기 설계를 초과했기 때문에, 설계 팀은 6개월 동안 설계를 수정했다.[1] 열차에는 ERTMS 레벨 2와 기존 이탈리아 신호 시스템만 장착될 예정이었지만, 다른 여러 신호 시스템에 대한 수동적인 조항도 찾아야 했다.[1]

프레시아로사 1000은 이탈리아의 고속 철도인 프레시아로사 및 프레시아르젠토 브랜드로 운행되고 있다. 2009년에 트레니탈리아가 고속 신선에서 360km/h 주행 (장래 400km/h 주행)이 가능한 기재로 도입을 계획했다.

봄바디어-안살도브레다 연합은 2010년 8월에 50편성을 수주했다. 심사는 기술적인 면과 가격의 양면에서 이루어졌고, 알스톰이 1편성당 350만 유로를 제안한 데 비해 봄바디어-안살도브레다 연합은 308만 유로였고, 기술적인 면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어 선정되었다[33] .

계획 초기에는 ETR1000으로 불렸지만 형식명은 유럽의 번호 체계에 적합한 ETR400이 되었다. 이 차량은 제피로의 한 형식이며, 제조사 호칭은 V300ZEFIRO이고[34], V250의 기술도 기반이 되어 개발·생산 분담 비율은 봄바디어 40 %, 안살도브레다 60%이다. 베르토네 디자인이 차내외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내장에 대해서는 동사의 인간공학 팀도 포함하여 크게 관여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35] .

이 기체는 동력 집중 방식이었던 ETR500에서 16개의 주 전동기에 의한 동력 분산 방식의 8량 고정 편성으로 변경하여 점착 중량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시동 가속도 0.7 m/s2, 300 km/h까지 약 4분 만에 가속 가능, 악천후에도 가속력 확보가 가능하다는 성능을 갖추었다[36] .

2010년 8월, 트레니탈리아는 봄바디어/안살도 합작 회사의 제안을 채택했다. 이 제안은 알스톰이 제시한 열차당 3,500만 유로보다 저렴한 열차당 3,080만 유로였다.[18][19] 합작 회사는 선정 발표 직후 상세 설계 단계에 들어갔다.[1]

2012년 8월, 리미니에서 열차의 실물 크기 모형이 공개되었고, 공식 명칭은 '프레시아로사 1000'으로 결정되었다.[1][20] 2013년 3월 26일, 피스토이아에 있는 안살도-브레다 시설에서 첫 번째 열차가 공개되었으며, 이탈리아의 정치인이자 운동 선수였던 피에트로 멘네아의 이름을 따서 ''피에트로 멘네아''라고 명명되었다.[1]

ETR400은 2013년 3월 26일에 안살도브레다의 피스토이아 공장에서 첫 번째 편성이 롤아웃되었고, 기념식에서는 피에트로 멘네아를 기리는 "Pietro Mennea"라는 차량명이 붙여졌다.[1] 그 후 7월에는 봄바르디아의 바르도 리그레 공장에서 시험이 시작되었고, 그 후 9월에는 바르도 리그레 - 사보나 구간이나 체코 국내 시험선 등에서 시운전이 시작되었다.[39]

열차는 이탈리아 고속철도 네트워크에서 360 km/h로 운행하기 위한 인증을 받기 위해 광범위한 테스트를 거쳤다.[1] 2014년 1월부터 고속 신선에서 시운전을 시작, 2015년 4월 14일에 300 km/h 주행 승인을 받았으며,[40] 6월 14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41] 2015년 4월 25일, 개발의 테스트 단계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고 발표되었으며, 이를 기념하는 특별 시운전이 밀라노와 로마 사이에서 진행되었다.[1][21]

2015년 11월 23일에는 밀라노 - 토리노 간 고속 신선에서 360 km/h 영업 운전을 위한 시운전을 실시했을 때 385.5 km/h의 이탈리아 철도 최고 속도를 기록했으며,[40] 12월 6일에는 390.7 km/h, 2016년 2월 25일에는 393.8 km/h를 기록했다.[42]

2019년에는 오픈 액세스 오퍼레이터화의 진전에 따른 이탈리아 국외에서의 운행도 염두에 둔 증비로 국내 증발용 10편성, 프랑스 진입용 4편성의 도입이 계획되었으며[31], 봄바르디아 트랜스포테이션과 히타치 레일에 14편성 및 그 10년간의 보수가 총액 5억 7500만 유로로 발주되었으며,[43] 그 후 스페인 국내에서의 운용을 위해, 트레니탈리아에 의해 ETR109가 23편성, 8억 유로로 마찬가지로 봄바르디아 트랜스포테이션과 히타치 레일에 발주되었다.[44]

2023년 11월 8일에는 트레니탈리아에 의해 확정 30편성, 옵션 10편성을 각각 8억 6100만 유로, 2억 8700만 유로로 도입하는 계약이 히타치 레일과의 사이에 체결되어, 이에 따라 2026년 봄부터 연간 8~10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37]

제피로 300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된 고속열차인 프레시아로사 1000은 2015년 밀라노 세계 박람회 개최와 함께 상업 운행을 시작했다.[77] 초기에는 이탈리아 고속철도 네트워크에서 300km/h로 운행되었다.[24] 트랜이탈리아는 2010년 8월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과 안살도브레다 (현, 히타치 레일 이탈리아)에 50편성을 발주했으며, 2015년까지 총 50편성이 도입되었다.[77]

2013년 3월 26일, 안살도브레다 주관으로 피스토이아에서 최초로 공개된 열차 명칭은 이탈리아의 정치인이자 운동 선수를 지낸 피에트로 멘네아란 명칭이 지어졌다.[77] 2015년 4월 14일에 300 km/h 주행 승인을 받았으며,[40] 6월 14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41]

ETR 1000의 도입으로 트레니탈리아는 기존의 ETR 500 고속 열차를 밀라노 - 베네치아 및 아드리아 해안과 같은 다른 노선으로 재배치할 수 있게 되었다.[1]

2016년 2월 26일, 토리노 ~ 밀라노 구간에서 최고 영업 속도 393.8km/h를 기록했다.[25] 2015년 11월 26일, 시험 운행 중 389km/h의 속도에 도달했으며,[24] 2016년 2월 25일에는 393.8 km/h를 기록했다.[42]

2019년에는 오픈 액세스화의 진전에 따른 이탈리아 국외에서의 운행도 염두에 둔 증비로 국내 증발용 10편성, 프랑스 진입용 4편성의 도입이 계획되었으며,[31] 2021년 12월 파리와 밀라노 간의 프레치아로사 1000 운행이 시작되었다.[27][28]

2023년 11월 8일에는 트레니탈리아에 의해 확정 30편성, 옵션 10편성을 각각 8억 6100만 유로, 2억 8700만 유로로 도입하는 계약이 히타치 레일과의 사이에 체결되어, 이에 따라 2026년 봄부터 연간 8~10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37]

프레시아로사 1000은 프랑스 및 스페인 등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운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70][71][72] 2021년 12월, 트레니탈리아의 프랑스 자회사인 테로(Thello)는 프랑스 국내 운행 대응 장비를 갖춘 본 형식의 열차를 사용하여 파리와 밀라노 간 국제 노선 운행을 시작했다.[72] 이 열차는 파리에서 LGV 남동선과 토리노-밀라노 고속선을 경유하여 밀라노까지 약 6시간 45분 만에 연결한다.[71]

트레니탈리아와 스페인의 항공사인 에어 노스트럼의 합작 회사인 ILSA는 2020년 5월 11일 스페인 철도 인프라 관리 기관인 ADIF와 스페인에서의 고속 운행에 관해 합의했다.[73] 2022년 11월부터 "Iryo"라는 브랜드명으로 마드리드 - 바르셀로나 간 운행을 시작했고,[74] 12월부터는 마드리드 - 발렌시아 간 운행을 시작했다.[74]

2. 1. 초기 개발

2000년대 중반, 이탈리아 국영 철도 운영사인 페로비에 델로 스타토는 토리노-밀라노-피렌체-로마-나폴리 구간 유로스타 알타 벨로치타 프레치아로사 서비스용 새 초고속 열차 구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5] 안살도브레다와 봄바디어 운송은 2008년 제휴하여 열차를 생산하기로 결정했다.[1]

새 디자인은 분산 추진 방식을 채택한 200m 길이의 8량 비관절식 단층 열차로, 최대 350km/h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1] 이 열차는 봄바디어의 제피로안살도브레다의 기존 V250 설계를 기반으로 했다.[1] 봄바디어는 개발의 개념 및 상세 설계 단계, 추진 장비 및 보기 제공, 형식 승인, 테스트, 처음 다섯 대 열차 시운전을 담당했고, 안살도브레다는 차체, 내부, 신호 및 기타 시스템을 포함한 열차의 산업 디자인을 개발하고, 시리즈 생산 열차의 최종 조립 및 시운전을 수행했다. 두 회사 모두 상세 설계 및 엔지니어링 활동에 참여했다.[1]

구르포 베르토네는 열차의 외관 디자인을 담당했으며,[1] 국제 철도 표준을 준수하면서도 우아함과 속도를 강조하는 디자인을 목표로 했다.[1] 베르토네의 디자인은 풍동등 다양한 테스트를 거쳤으며, 능동 현가 장치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1]

이 차량 설계는 공식적으로 제피로 300으로 지정되었으며,[1] 초기 사양은 유럽 고속철도 기술 표준을 충족하고, 설계 상업 속도는 360km/h였으며, 초기에는 300km/h로 운행, 400km/h로 테스트될 예정이었다.[16] 또한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 및 스위스의 철도 시스템을 포함하여 7개 유럽 국가에서 운행할 수 있어야 했다.[1][17]

최대 속도는 초기 설계를 초과했기 때문에, 설계 팀은 6개월 동안 설계를 수정했다.[1] 열차에는 ERTMS 레벨 2와 기존 이탈리아 신호 시스템만 장착될 예정이었지만, 다른 여러 신호 시스템에 대한 수동적인 조항도 찾아야 했다.[1]

프레시아로사 1000은 이탈리아의 고속 철도인 프레시아로사 및 프레시아르젠토 브랜드로 운행되고 있다. 2009년에 트레니탈리아가 고속 신선에서 360km/h 주행 (장래 400km/h 주행)이 가능한 기재로 도입을 계획했다.

봄바디어-안살도브레다 연합은 2010년 8월에 50편성을 수주했다. 심사는 기술적인 면과 가격의 양면에서 이루어졌고, 알스톰이 1편성당 350만 유로를 제안한 데 비해 봄바디어-안살도브레다 연합은 308만 유로였고, 기술적인 면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어 선정되었다[33] .

계획 초기에는 ETR1000으로 불렸지만 형식명은 유럽의 번호 체계에 적합한 ETR400이 되었다. 이 차량은 제피로의 한 형식이며, 제조사 호칭은 V300ZEFIRO이고[34], V250의 기술도 기반이 되어 개발·생산 분담 비율은 봄바디어 40 %, 안살도브레다 60%이다. 베르토네 디자인이 차내외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내장에 대해서는 동사의 인간공학 팀도 포함하여 크게 관여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35] .

이 기체는 동력 집중 방식이었던 ETR500에서 16개의 주 전동기에 의한 동력 분산 방식의 8량 고정 편성으로 변경하여 점착 중량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시동 가속도 0.7 m/s2, 300 km/h까지 약 4분 만에 가속 가능, 악천후에도 가속력 확보가 가능하다는 성능을 갖추었다[36] .

2. 2. 선정 및 인도

2010년 8월, 트레니탈리아는 봄바디어/안살도 합작 회사의 제안을 채택했다. 이 제안은 알스톰이 제시한 열차당 3,500만 유로보다 저렴한 열차당 3,080만 유로였다.[18][19] 합작 회사는 선정 발표 직후 상세 설계 단계에 들어갔다.[1]

2012년 8월, 리미니에서 열차의 실물 크기 모형이 공개되었고, 공식 명칭은 '프레시아로사 1000'으로 결정되었다.[1][20] 2013년 3월 26일, 피스토이아에 있는 안살도-브레다 시설에서 첫 번째 열차가 공개되었으며, 이탈리아의 정치인이자 운동 선수였던 피에트로 멘네아의 이름을 따서 ''피에트로 멘네아''라고 명명되었다.[1]

ETR400은 2013년 3월 26일에 안살도브레다의 피스토이아 공장에서 첫 번째 편성이 롤아웃되었고, 기념식에서는 피에트로 멘네아를 기리는 "Pietro Mennea"라는 차량명이 붙여졌다.[1] 그 후 7월에는 봄바르디아의 바르도 리그레 공장에서 시험이 시작되었고, 그 후 9월에는 바르도 리그레 - 사보나 구간이나 체코 국내 시험선 등에서 시운전이 시작되었다.[39]

열차는 이탈리아 고속철도 네트워크에서 360 km/h로 운행하기 위한 인증을 받기 위해 광범위한 테스트를 거쳤다.[1] 2014년 1월부터 고속 신선에서 시운전을 시작, 2015년 4월 14일에 300 km/h 주행 승인을 받았으며,[40] 6월 14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41] 2015년 4월 25일, 개발의 테스트 단계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고 발표되었으며, 이를 기념하는 특별 시운전이 밀라노와 로마 사이에서 진행되었다.[1][21]

2015년 11월 23일에는 밀라노 - 토리노 간 고속 신선에서 360 km/h 영업 운전을 위한 시운전을 실시했을 때 385.5 km/h의 이탈리아 철도 최고 속도를 기록했으며,[40] 12월 6일에는 390.7 km/h, 2016년 2월 25일에는 393.8 km/h를 기록했다.[42]

2019년에는 오픈 액세스 오퍼레이터화의 진전에 따른 이탈리아 국외에서의 운행도 염두에 둔 증비로 국내 증발용 10편성, 프랑스 진입용 4편성의 도입이 계획되었으며[31], 봄바르디아 트랜스포테이션과 히타치 레일에 14편성 및 그 10년간의 보수가 총액 5억 7500만 유로로 발주되었으며,[43] 그 후 스페인 국내에서의 운용을 위해, 트레니탈리아에 의해 ETR109가 23편성, 8억 유로로 마찬가지로 봄바르디아 트랜스포테이션과 히타치 레일에 발주되었다.[44]

2023년 11월 8일에는 트레니탈리아에 의해 확정 30편성, 옵션 10편성을 각각 8억 6100만 유로, 2억 8700만 유로로 도입하는 계약이 히타치 레일과의 사이에 체결되어, 이에 따라 2026년 봄부터 연간 8~10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37]

2. 3. 상업 운행

제피로 300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된 고속열차인 프레시아로사 1000은 2015년 밀라노 세계 박람회 개최와 함께 상업 운행을 시작했다.[77] 초기에는 이탈리아 고속철도 네트워크에서 300km/h로 운행되었다.[24] 트랜이탈리아는 2010년 8월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과 안살도브레다 (현, 히타치 레일 이탈리아)에 50편성을 발주했으며, 2015년까지 총 50편성이 도입되었다.[77]

2013년 3월 26일, 안살도브레다 주관으로 피스토이아에서 최초로 공개된 열차 명칭은 이탈리아의 정치인이자 운동 선수를 지낸 피에트로 멘네아란 명칭이 지어졌다.[77] 2015년 4월 14일에 300 km/h 주행 승인을 받았으며,[40] 6월 14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41]

ETR 1000의 도입으로 트레니탈리아는 기존의 ETR 500 고속 열차를 밀라노 - 베네치아 및 아드리아 해안과 같은 다른 노선으로 재배치할 수 있게 되었다.[1]

2016년 2월 26일, 토리노 ~ 밀라노 구간에서 최고 영업 속도 393.8km/h를 기록했다.[25] 2015년 11월 26일, 시험 운행 중 389km/h의 속도에 도달했으며,[24] 2016년 2월 25일에는 393.8 km/h를 기록했다.[42]

2019년에는 오픈 액세스화의 진전에 따른 이탈리아 국외에서의 운행도 염두에 둔 증비로 국내 증발용 10편성, 프랑스 진입용 4편성의 도입이 계획되었으며,[31] 2021년 12월 파리와 밀라노 간의 프레치아로사 1000 운행이 시작되었다.[27][28]

2023년 11월 8일에는 트레니탈리아에 의해 확정 30편성, 옵션 10편성을 각각 8억 6100만 유로, 2억 8700만 유로로 도입하는 계약이 히타치 레일과의 사이에 체결되어, 이에 따라 2026년 봄부터 연간 8~10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37]

2. 4. 국제 운행

프레시아로사 1000은 프랑스 및 스페인 등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운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70][71][72] 2021년 12월, 트레니탈리아의 프랑스 자회사인 테로(Thello)는 프랑스 국내 운행 대응 장비를 갖춘 본 형식의 열차를 사용하여 파리와 밀라노 간 국제 노선 운행을 시작했다.[72] 이 열차는 파리에서 LGV 남동선과 토리노-밀라노 고속선을 경유하여 밀라노까지 약 6시간 45분 만에 연결한다.[71]

트레니탈리아와 스페인의 항공사인 에어 노스트럼의 합작 회사인 ILSA는 2020년 5월 11일 스페인 철도 인프라 관리 기관인 ADIF와 스페인에서의 고속 운행에 관해 합의했다.[73] 2022년 11월부터 "Iryo"라는 브랜드명으로 마드리드 - 바르셀로나 간 운행을 시작했고,[74] 12월부터는 마드리드 - 발렌시아 간 운행을 시작했다.[74]

3. 기술 사양

ETR400은 8량 고정 편성으로, 각 차량은 DM1, TT2, M3, T4, T5, M6, TT7, DM8의 기호로 불린다.[49] 차축 배치는 Bo'Bo'+2'2'+Bo'Bo'+2'2'+2'2'+Bo'Bo'+2'2'+Bo'Bo'이다. 차체는 대형 압출형재를 사용한 알루미늄제 더블 스킨 구조이며, 선두부는 대차단빔에서 전방으로 충격 흡수 구조의 충돌 빔을 뻗어 크래셔블 존으로 충돌에 대비하고 있다.

측면 창문은 대형의 고정식으로 2,120 m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문은 유효 폭 900 mm로 전기 구동, 편개 슬라이드식 플러그 도어이며, 문창 아래에 LED식 안내 표시기를 설치하고 있다. 바닥 하부 기기는 커버로 덮여 있으며, 양쪽 선두부의 대차 상부에도 커버가 설치되지만, 제거된 채로 운행되는 경우도 있다.

선두부는 제피로 시리즈의 디자인을 이어받은 유선형이며, 선두 하부에서 전면 창 유리 좌우를 거쳐 지붕까지 이르는 Cross-Wind Edge라고 불리는 고속 주행 시의 공기 정류용 에지를 설치하여 주행 시의 소음 저감 대책으로 하고 있다.[50] 전면 창문은 1장 곡면 유리로, 그 하부 중앙과 전두부 좌우에 LED식 전조등 및 표지등이 설치되어 있다. TSI 기준에 규정된 300 km/h 주행 시 25 m 떨어진 지점에서의 소음을 91 dB(A)로 억제하기 위해 선두부의 Cross-Wind Edge에 더하여, 바닥 하부 기기 커버 단부에 Turbulatorplatte라고 불리는 정류 핀의 설치[51], 집전 장치 부근의 지붕 상부 기기 커버 형상의 개선[52], 이중 링식 방음 차륜의 채용 등의 설계가 각처에 이루어지고 있다.

각 차체는 바닥면 높이 1,240 mm로 각 차단부 연결면 쪽에 데크와 화장실, 승강문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기는 차체 부착식으로 2개의 공기관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으며, 좌우에 전기 연결기를 병설한 이탈리아 국철 표준의 자동 연결기로, 개폐식 커버 내에 설치되어 있다.

ETR400 주요 제원
항목형식ETR400
차량 번호100200300400500600700800
차종DM1TT2M3T4T5M6TT7DM8
궤간1,435 mm
전철화 방식AC 25 kV・50 Hz, DC 3,000 V(옵션: AC 15 kV・16 2/3 Hz, DC 1,500 V)
차축 배치BoBo+22+BoBo+22+22+BoBo+22+BoBo(8량 편성)
편성 길이202,000 mm
전장26300 mm24,900 mm26,300 mm
전폭2,924 mm
전고4,080 mm
바닥 높이1,240 mm
윤축 간격2,850 mm
차륜 직경동륜 920 mm, 종륜 850 mm(모두 신품 시)
자중편성: 446 t
정원편성457명
이그제큐티브10명-
비즈니스-71명(그 중 2석은 휠체어석)-
프리미엄-76명-
스탠다드-300명
주 제어 장치IGBT를 사용한 VVVF 인버터 제어
주 전동기농형 3상 유도 전동기
AC 25 kV정격 출력9,800 kW
최대 견인력370 kN(옵션 AC 15 kV, DC 1,500 V 시에도 동일)
최고 속도360 km/h(영업 운행), 400 km/h(최대)(옵션 AC 15 kV 시에는 300 km/h, DC 1,500 V 시에는 220 km/h[65]
DC 3,000 V정격 출력6,900 kW
최대 견인력370 kN
최고 속도300 km/h(영업 운행, 최대)
기동 가속도0.7 m/s2
최대 감속도1.2 m/s2
브레이크 장치회생 브레이크, 발전 브레이크, 공기 브레이크
신호 보안 장치이탈리아: RS4-Codici・SCMT, 유럽 공통: ETCS/ERTMS, 프랑스: TVM・KVB(일부 편성)
장비 일람운전실××××××
이그제큐티브×××××××
비즈니스××××××
프리미엄×××××××
스탠다드××××
회의실×××××××
비스트로・바×××××××
휠체어 대응
리프트/좌석/화장실
×××××××
화장실12휠체어22221
주 변압기×××××
주 제어 장치
보조 전원 장치
브레이크 저항기
××××
집전 장치×DC×ACAC×DC×
주 전동기4×4××4×4
colspan=10 style="text-align:left" |


3. 1. 객실 구성

프레시아로사 1000의 객실은 4개의 클래스와 비스트로 바(Bistro Bar)로 구성되어 있다.[53] DM1은 이그제큐티브 클래스, TT2와 M3의 반 실은 비즈니스 클래스, M3의 나머지 반 실은 비스트로 바, T4는 프리미엄 클래스, T5, M6, TT7, DM8은 스탠다드 클래스이다. M3의 비즈니스 클래스에는 휠체어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휠체어 승강용 광폭 및 리프트 부착 승강문과 휠체어 대응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35]

각 객실에는 좌석별 테이블, 서비스용 콘센트, LED식 실내등과 스포트라이트, 인터넷 접속용 Wi-Fi 설비, 차단부나 좌석 하부 등의 수하물 보관소, 천장에 여객 안내용 액정 디스플레이가 공통 설비로 설치되어 있다.[54] 객실은 레이아웃의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해 모듈화된 구성으로, 좌석을 바닥면에 배치한 레일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되어있으며, 보수성도 높은 구조로 되어있다.[35]

  • 이그제큐티브 클래스(테마 컬러: 갈색): 1+1열로 시트 피치 1,500 mm, 폭 740 mm의 회전식 크로스 시트 총 10석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은 가죽, 팔걸이, 다리 받침이 있으며 각 부분의 조정은 전동식이다. 5석의 좌석과 32인치 액정 모니터를 갖춘 회의실이 마련되어 있다.
  • 비즈니스 클래스(테마 컬러: 파란색): 2+1열로 폭 690 mm의 대면식 또는 집단 마주보기식 배치의 고정식 크로스 시트 총 71석(그 중 2석분은 접어서 휠체어 공간으로 사용 가능)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은 가죽으로 109도까지 리클라이닝 가능하다.
  • 프리미엄 클래스(테마 컬러: 빨간색): 2+2열의 대면식 또는 집단 마주보기식 배치의 크로스 시트 총 76석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은 가죽으로 109도까지 리클라이닝 가능하다.
  • 스탠다드 클래스(테마 컬러: 오렌지): 2+2열의 대면식 또는 집단 마주보기식 배치의 크로스 시트 총 300석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은 가죽이다.


비스트로 바는 바 카운터를 갖추고, 무료 웰컴 드링크와 신문 외에 각종 경식과 음료를 제공하며, 각 좌석까지의 케이터링도 한다. 카운터 내에는 캐비닛, 냉장 캐비닛, 냉장고, 제빙기, 급수기, 보냉실, 전자레인지 2대, 오븐 토스터, 커피 메이커, 싱크대, 환풍기, 케이터링용 카트 3대가 설비되어 있다.[35]

3. 2. 주행 장치

제어 방식은 주 변환 장치에 수냉식 IGBT를 사용한 컨버터・인버터 방식이며[58], 주 전동기는 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를 사용한다.[49] 가선 전압 AC 25 kV・50 Hz 시에는 정격 출력 9800 kW, 기동 시 가속도 0.7 m/s2, 견인력 370 kN, 최고 속도 360 km/h의 성능을 발휘한다.[59] 한편, 가선 전압 DC 3 kV 시에는 전류 용량의 관계상 출력이 제한되어, 정격 출력 6,900 kW, 기동 시 가속도 0.7 m/s2, 견인력 370 kN, 최고 속도 300 km/h로 성능이 제한된다.[59]

대차는 봄바디어 제 FLEXX 시리즈의 고속 철도용 타입인 FLEXX Speed[60]의 고정 축간 거리 2850 mm의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이 대차는 차륜 지름 920 mm / 850 mm (동력 대차 / 부수 대차)의 볼스터리스식 대차로, 枕 스프링은 공기 스프링으로 요 댐퍼와 종 댐퍼를 병설, 축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종 댐퍼 병설, 축상 지지 방식은 軸梁式이다. 또한, 볼스터와 대차 틀 사이에 침목 방향으로 액티브 서스펜션을 장착하고[61], 기초 제동 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로, 동력 대차는 차륜에 브레이크 디스크를 조립한 캘리퍼 브레이크 방식, 부수 대차는 각 차축에 3개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장착한다. 구동 장치는 포이트・터보 제 SE-390[62]으로, 대차 틀에 장착된 주 전동기로부터 기어 이음매를 거쳐 대차 틀과 동축 사이에 매달아 장착된 기어 박스로 전달되어, 1단 감속으로 동륜으로 전달된다.

집전 장치는 싱글 암 방식의 것이 총 4기 탑재되어 있으며, TT2, TT7의 것은 주선 폭 1,950 mm의 이탈리아 국내 DC 3,000 V용, T4, T5에는 주선 폭 1,450 mm의 이탈리아 국내 AC 25 kV・50 Hz용이지만, 모든 집전 장치가 모선에 의해 연결되어 전기 회로적으로 동일한 것이 된다.

브레이크 장치는 전기 브레이크로서 주 변환 장치에 의한 회생 제동발전 제동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 브레이크를 장착하고 있다. 공기 브레이크는 전공기 협조 제어 및 하중 감응 제어 기능을 갖춘 상용 계통과 이러한 기능이 없는 예비 계통의 2계통의 제어 계통을 갖는 외에, 브레이크 작용 장치도 전자 제어식과 공기 제어식의 2계통을 장착하여 이중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63]

보안 장치로, 유럽 표준의 신호 시스템인 ETCS level 2와 이탈리아 국내용 신호 시스템인 SCMT (Sistema di Controllo della Marcia del Treno) 를 탑재하고[54], 프랑스 국내 진입 대응 기기는 고속 신선용 신호 시스템인 TVM 및 재래선용 신호 시스템인 KVB (Contrôle Vitesse par Balise) 를 탑재한다.[31]

3. 3. 제동 장치

브레이크 장치는 주 변환 장치에 의한 회생 제동발전 제동 기능을 갖춘 전기 브레이크와 공기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한다.[63] 공기 브레이크는 전공기 협조 제어 및 하중 감응 제어 기능을 갖춘 상용 계통과 이러한 기능이 없는 예비 계통의 2계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작용 장치도 전자 제어식과 공기 제어식의 2계통을 갖추어 이중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63] 기초 제동 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로, 동력 대차는 차륜에 브레이크 디스크를 조립한 캘리퍼 브레이크 방식, 부수 대차는 각 차축에 3개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장착한다.

3. 4. 보안 장치

4. 운행 현황

4. 1. 이탈리아 국내

프레시아로사 1000은 이탈리아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 노선에 투입되어 운행되고 있다. 2015년 밀라노 엑스포 개최에 맞춰 2015년 여름 운행 계획부터 6개 편성으로 운행을 시작했으며[40], 이탈리아 해방 70주년 기념일인 4월 25일에는 대통령 세르조 마타렐라 등이 탑승한 특별 열차가 밀라노 중앙 - 로마 테르미니 구간에서 운행되었다.[42][66] 첫 영업 열차는 6월 14일 나폴리 - 토리노 구간에서 운행되었다.[41]

2015년 여름 운행 계획에서는 ETR400이 고속 신선을 경유하는 열차에 도입되어 최고 속도 300km/h로 운행되었다. 초기에는 6개 편성으로 시작했지만, 제조가 진행됨에 따라 2015년 8월에는 9개 편성, 9월에는 11개 편성, 12월에는 15개 편성이 운용되었다.[40] 운행 횟수도 2015년 6월 8왕복에서 시작하여 8월 16왕복, 9월 20왕복, 11월 22왕복으로 증가했으며, 그 다음 시간표 개정에서는 28왕복이 설정되었다.[40] 2018년까지 50개 편성이 도입되어 ETR500과 함께 모든 편성이 나폴리 중앙 기관구에 배치되었다.[31] 2017년 6월부터는 2개 편성 중련의 16량 편성으로 운행이 시작되었다.[36]

좌석은 4개 등급으로 나뉘며, 이그제큐티브 클래스와 비즈니스 클래스는 1등석, 프리미엄 클래스와 스탠다드 클래스는 2등석이다. 각 등급별로 차내 설비 및 서비스에 차이가 있다.[53]

당초 2016년부터 로마 - 밀라노 간 고속 신선에서 350km/h 운전을 시작할 계획이었으나, 2018년 5월 28일 350km/h 운전 연기와 속도 시험 중지가 발표되었다.[68] 이는 고속 주행 시 궤도 밸러스트 흡입 문제와 투자 대비 효과 미흡 등의 이유로, 속도 향상보다 정시성 확보를 우선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68][69]

4. 2. 프랑스 및 스페인

트레니탈리아는 프랑스 자회사인 테로(Thello)를 통해 파리-밀라노 간 국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70] 이 열차는 파리에서 LGV 남동선과 토리노-밀라노 고속선을 경유하여 밀라노까지 약 6시간 45분 만에 연결한다.[71] 2019년부터 5개 편성의 프랑스 운행 대응 개조가 이루어졌고, 2018년에는 ETR400.09 편성 및 ETR400.25 편성에 프랑스 운행 대응 개조를 실시했다.[31] 2020년부터 프랑스 국내에서 시운전이 실시되었고, 2021년 12월 18일에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72]

스페인에서는 트레니탈리아와 에어 노스트럼의 합작 회사인 이리요(ILSA)가 프레시아로사 1000을 기반으로 한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74] 2020년 5월 11일, ILSA는 아디프(ADIF)와 스페인에서의 고속 운행에 관해 합의하고, 2022년 이후 본 형식으로 인증을 취득하여 운행할 계획을 세웠다.[73] 2022년 11월부터 "Iryo"라는 브랜드명으로 마드리드 - 바르셀로나 간, 2022년 12월부터 마드리드 - 발렌시아 간 운행을 시작했다.[74]

스페인에서 운행 중인 S 109


5. 사건 사고

2020년 2월 6일, 21호차는 밀라노-볼로냐 고속선에서 운행 중이던 해당 날짜의 첫 열차 서비스에서 리브라가(로디)에서 고속 탈선 사고를 겪었다. 이 사고로 기관사 2명이 사망하고 31명이 부상을 입었다. 당시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고를 통해, 열차 안전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다.

참조

[1] 간행물 Spagna: ILSA, il primo operatore privato per AV ferroviaria avvia test per ETR1000 sulla linea Figueras-Perpignan https://www.ferpress[...] FerPress 2021-09-07
[2] 간행물 Hitachi and Bombardier awarded contract to supply 23 very high-speed Frecciarossa trains to Trenitalia for operation by ILSA on routes in Spain https://www.hitachi.[...] Hitachi 2020-08-10
[3] 웹사이트 Industrial Plan 2017 – 2026 http://www.fsitalian[...] 2017-01-23
[4] 웹사이트 Frecciarossa 1000 roadshow http://www.leonardoc[...] Leonardo-Finmeccanica 2016-07-06
[5] 웹사이트 Frecciarossa 1000, Trenitalia High Speed trains speeding toward the future https://www.fsitalia[...]
[6] 웹사이트 Frecciarossa 1000 http://www.finmeccan[...] 2014-09-03
[7] 간행물 FRECCIAROSSA 1000 http://www.fsnews.it[...] 2012-08-20
[8] 웹사이트 Frecciarossa 1000 http://www.ansaldobr[...]
[9] 웹사이트 Michael Robinson | LinkedIn https://www.linkedin[...] 2023-07-20
[10] 웹사이트 Innovative High Speed Solution – Hitachi Rail https://www.hitachir[...]
[11] 웹사이트 RFI – Circolabilità dei veicoli, disposizione di esercizio n. 19 del 31/10/2016 https://epodweb.rfi.[...]
[12] 웹사이트 RFI – Prospetto Informativo Rete 2021 https://www.rfi.it/c[...]
[13] 웹사이트 DEIF n. 4.11 07/06/2019 http://cubferrovie.a[...]
[14] 웹사이트 'Fastest series-built train in Europe' unveiled http://www.railwayga[...] 2013-03-27
[15] 웹사이트 Collaborating on the Red Arrow https://www.railengi[...] 2016-11-04
[16] 뉴스 AnsaldoBreda and Bombardier combine to offer V300 Zefiro http://www.railwayga[...] 2010-06-09
[17] 뉴스 Trenitalia unveils Frecciarossa 1000 http://www.railwayga[...] 2012-08-20
[18] 뉴스 Trenitalia awards contract for 50 high speed trains http://www.railwayga[...] 2010-08-05
[19] 웹사이트 Trenitalia signs V300ZEFIRO high speed train contract http://www.railwayga[...] 2010-09-30
[20] 뉴스 Trenitalia unveils ETR 1000 mock-up http://www.railjourn[...] 2012-08-30
[21] 웹사이트 Trenitalia launches Frecciarossa 1000 http://www.railjourn[...] 2015-04-27
[22] 뉴스 Nessun ritardo nel piano ETR 1000 http://iltirreno.gel[...] 2015-03-04
[23] 웹사이트 Trenitalia planning Paris – Brussels high speed service http://www.railwayga[...] 2015-10-28
[24] 웹사이트 ETR 1000 sets new Italian rail speed record https://www.railjour[...] 2015-11-26
[25] 웹사이트 Il Frecciarossa 1000 è ancora da record http://www.ferrovie.[...] 2016-02-26
[26] 뉴스 Alta velocità, addio ai 350 all'ora: il ministero blocca i test http://www.repubblic[...] 2018-05-28
[27] 뉴스 Trenitalia’s Frecciarossa trains finally approved by France https://www.business[...] 2021-07-01
[28] 뉴스 Frecciarossa tickets for Paris-Milan route now on sale https://www.business[...] 2021-12-13
[29] 웹사이트 Trenitalia sbarca in Spagna con gli ETR-Frecciarossa sulla linea Madrid-Barcellona https://www.ilsole24[...] 2022-11-19
[30] 뉴스 Italy train crash: Two dead in high-speed derailment https://www.bbc.co.u[...] 2020-02-06
[31] 서적 ITALIAN RAILWAYS LOCOMOTIVES, MULTIPLE UNITS 2019
[32] 웹사이트 Innovative High Speed Solutions{{!}} Global - Hitachi Rail {{!}} Hitachi Rail https://www.hitachir[...] 2022-01-13
[33] 웹사이트 イタリアの次期新幹線は最高速400km/h https://response.jp/[...] Response. 2010-08-05
[34] 서적 The ZEFIRO family
[35] 서적 THE MOST BEAUTIFUL TRAIN IN THE WORLD
[36] 웹사이트 Frecciarossa 1000 https://www.fsitalia[...] Ferrovie dello Stato Italiane 2021-09-21
[37] 간행물 Hitachi Rail: €861m deal with Trenitalia for 30 high speed trains https://www.hitachir[...] Hitachi Rail 2024-07-27
[38] 문서 『FRECCIAROSSA 1000』 p.5
[39] 문서 『FRECCIAROSSA 1000』p.7
[40] 간행물 Il Frecciarossa 1000 raggiunge 385,5 Km/h https://www.fsitalia[...] Ferrovie dello Stato Italiane 2021-09-21
[41] 문서 『ETR 400 im Planbetrieb』p.401
[42] 웹사이트 Frecciarossa 1000, quanto è veloce la “Ferrari dei treni” https://www.automoto[...] Automoto.it 2021-09-21
[43] 간행물 Hitachi and Bombardier will supply 14 very high-speed Frecciarossa 1000 trains to Italy https://www.hitachir[...] Hitachi Rail 2021-09-21
[44] 간행물 Trenitalia nel mercato AV in Spagna con 23 nuovi Frecciarossa 1000 https://www.fsitalia[...] Ferrovie dello Stato Italiane 2021-09-21
[45] 웹사이트 Rilancio area portuale Stretto Messina. Cancelleri: 500 mln PNRR per infrastrutture treni e navi, innovazione e sostenibilità ambientale https://www.ilgazzet[...] Il gazzettino di Sicilia 2021-09-22
[46] 웹사이트 Alstom to transfer Bombardier Transportation’s contribution to the V300 ZEFIRO very high-speed train to Hitachi Rail https://www.alstom.c[...] alstom 2022-01-13
[47] 간행물 Hitachi to acquire Bombardier Transportation’s contribution to the V300 ZEFIRO very high-speed train from Alstom https://www.hitachir[...] Hitachi Rail 2022-01-13
[48] 문서 アンサルドブレダの修理・修繕事業と[[V250 (鉄道車両)|V250]]など既受注案件の一部を除く事業は2015年に[[フィンメカニカ]]グループから日立グループに移って日立レールイタリアとなり、2019年に日立レールに改称された。
[49] 문서 『Frecciarossa 1000 für Trenitalia vorgestellt』p.395
[50] 문서 『The ZEFIRO family 』p.43
[51] 문서 『The ZEFIRO family』p.44
[52] 문서 『The ZEFIRO family 』p.41
[53] 웹사이트 Frecciarossa 1000 https://www.trenital[...] Trenitalia 2021-09-22
[54] 문서 『THE WORLD'S MOST STUNNING TRAIN, MADE IN ITALY』
[55] 문서 『The ZEFIRO family』p.17
[56] 문서 『ETR1000/V300ZEFIRO Il treno del futuro』p.10
[57] 문서 『ETR1000/V300ZEFIRO Il treno del futuro』p.9
[58] 문서 『Frecciarossa 1000 für Trenitalia vorgestellt』p.394
[59] 문서 『ETR1000/V300ZEFIRO Il treno del futuro』pp.6-7
[60] 문서 『The ZEFIRO family』p.42
[61] 문서 『ETR1000/V300ZEFIRO Il treno del futuro』p.13
[62] 웹사이트 Gear Units https://voith.com/co[...] Voith Turbo 2021-09-10
[63] 문서 『ETR1000/V300ZEFIRO Il treno del futuro』p.8
[64] 문서 『THE WORLD'S MOST STUNNING TRAIN, MADE IN ITALY』pp.4-7
[65] 문서 『ETR1000/V300ZEFIRO Il treno del futuro』p.6
[66] 간행물 Inaugurato il nuovo Frecciarossa 1000 disegnato da Bertone https://bertonedesig[...] Bertone Design 2021-09-21
[67] 문서 『Atiante ferroviario d'Italia 』p.133, 149, 155
[68] 웹사이트 欧州の鉄道「スピード最優先」の時代に終止符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1-09-22
[69] 웹사이트 鉄道「高速化競争」から欧州が離脱した理由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1-09-22
[70] 문서 2011年にトレニタリアとフランスに本拠を置く欧州の列車運行会社であるトランスデヴ (Transdev) の合弁会社として設立され、その後2016年にトレニタリアの100 %子会社となっており、現在はパリ - ヴェネツィア間の夜行列車とミラノ - ニース - マルセイユ間の列車を運行している。
[71] 문서 ERTMSを装備しないTGV車両はトリノ-ミラノ高速線を運行できないため、所要時間は約7時間9分となる。
[72] 웹사이트 FL’Alta Velocità del Frecciarossa sbarca sulla linea Parigi-Lione-Milano https://www.fsitalia[...] FS 2021-12-10
[73] 웹사이트 Frecciarossa 1000: prossima fermata Madrid https://www.fsnews.i[...] FS News 2020-08-12
[74] 서적 スペイン高速鉄道「イタリア勢」参入で戦国時代に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17-12-22
[75] 웹인용 Industrial Plan 2017 - 2026 http://www.fsitalian[...] 2017-01-23
[76] 웹인용 AnsaldoBreda and Bombardier combine to offer V300 Zefiro http://www.railwayga[...] 2017-08-04
[77] 웹인용 Nessun ritardo nel piano Etr 1000 http://iltirreno.gel[...] 2015-03-04
[78] 웹인용 Railway Gazette: Trenitalia signs V300ZEFIRO high speed train contract http://www.railwayga[...] 2010-10-01
[79] 웹인용 AnsaldoBreda and Bombardier combine to offer V300 Zefiro http://www.railwayga[...] 2017-08-04
[80] 웹인용 Trenitalia awards contract for 50 high speed trains http://www.railwayga[...] 2017-12-25
[81] 웹인용 Trenitalia signs V300ZEFIRO high speed train contract http://www.railwayga[...] 2017-08-04
[82] 웹인용 Trenitalia unveils ETR 1000 mock-up http://www.railjourn[...] 2012-08-30
[83] 웹인용 Trenitalia unveils Frecciarossa 1000 http://www.railwayga[...] 2017-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