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핀란드 민주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 민주 공화국은 1939년 12월 1일, 겨울 전쟁 발발 하루 뒤 소련이 점령한 핀란드 테리요키(현재 젤레노고르스크)에서 건국을 선포한 국가이다. 오토 빌레 쿠시넨을 수반으로 하는 이 국가는 핀란드 공산당 인사와 소련인으로 구성된 인민 정부를 구성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핀란드를 점령하려는 의도를 보였다. 그러나 핀란드 국내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소련과의 모스크바 평화 조약 체결 이후 1940년 3월 12일 카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흡수되어 소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신론 국가 - 소련
    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991년 해체되었다.
  • 무신론 국가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8년 공산당 쿠데타로 수립되어 1960년 공식 명칭이 되었고, 1969년 연방제로 개편, 공산당 일당 독재와 중앙 계획 경제를 거쳐 1989년 벨벳 혁명으로 붕괴 후 1990년 연방 공화국으로,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었다.
  • 소련의 위성국 -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은 1978년 사우르 혁명으로 수립된 공산주의 국가로, 소련의 지원 아래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이슬람 세력의 반발과 내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1992년 붕괴되었다.
  • 소련의 위성국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의 영향으로 세워진 공산주의 국가로,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즈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독재 통치, 인권 침해, 경제적 긴축 정책을 겪었으며 1989년 혁명으로 몰락 후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되었으나 공산주의 시대에 대한 논란이 남아있다.
  • 핀란드의 역사 - 겨울 전쟁
    겨울 전쟁은 1939년 11월부터 1940년 3월까지 소련이 레닌그라드 안보 확보와 영토 확장을 위해 핀란드를 침공했으나, 핀란드의 저항에 부딪혀 결국 핀란드가 영토를 할양하고 끝난 전쟁이다.
  • 핀란드의 역사 - 파리 조약 (1947년)
    파리 조약(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추축국(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핀란드)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전쟁 상태 종결, 영토 변경, 전쟁 배상, 정치 조항 등을 포함하며 냉전 초기 국제 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핀란드 민주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핀란드 민주 공화국의 예상 영토 변화
핀란드 민주 공화국의 예상 영토 변화 (녹색: 핀란드에 할양, 적색: 소련에 할양)
기본 정보
일반 명칭핀란드 민주 공화국
정부 형태일당제사회주의 국가 스탈린주의전체주의독재
상태괴뢰 국가
소속 제국소비에트 연방
시대제2차 세계 대전
존속 기간1939년 12월 1일 ~ 1940년 3월 12일
계승핀란드
후계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도헬싱키
테리요키
정치
수반 직함인민 정부 의장
수반오토 빌레 쿠시넨
수반 임기1939년–1940년
역사
건립1939년 12월 1일
멸망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됨, 1940년 3월 12일
기타
현재 국가러시아

2. 탄생 배경

핀란드 민주공화국은 겨울전쟁 발발 하루 뒤인 1939년 12월 1일, 핀란드 국경 도시 테리요키(현재 러시아 젤레노고르스크)에서 건국을 선포했다. 오토 빌레 쿠시넨이 정부수반인 내각주석직을 맡았으며, 각료들은 핀란드 내전 당시 러시아 SFSR로 도피했던 좌익 핀란드인들과 소련인들로 구성되었다.[28]

건국 선언은 소련 통신사 타스(TASS)를 통해 배포되었다. 이 선언에서 인민내각은 임시정부이며, 수도 헬싱키에 도착하는 즉시 재조직될 것이고, 최종 구성은 보통, 평등, 직접, 비밀선거 원칙하에 선출된 의회 승인을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24]

소련 외무인민위원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핀란드 민주공화국 건국 선언 하루 전인 11월 30일, 소련 주재 독일 대사를 불러 이 정부는 소비에트식이 아닌 민주공화국이 될 것이며, 레닌그라드 안보 관련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정부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25]

3. 소련과의 관계

소련 정부는 핀란드 민주 공화국과 즉시 외교 관계를 맺었다. 핀란드 민주 공화국은 소련에 항코 반도 임차, 카렐리야 지협 영토 할양, 핀란드만 섬과 칼라스탸사렌토 판매에 동의했다.[28] 1939년 12월 2일, 쿠시넨몰로토프모스크바에서 상호원조협약과 비밀 의정서에 조인했다.[26] 이 모스크바 협약 초안은 그보다 열흘 전 페트로자보츠크에서 소련 측 안드레이 즈다노프와 핀란드 민주 공화국 측 쿠시넨이 조인한 것이었다.[27] 1997년, 핀란드-러시아 공동조사작업 결과 러시아의 올레그 르제셉스키 교수가 크렘린에서 이 이면의정서를 발굴했다.[27]

4. 핀란드 국내외 반응

소련은 핀란드 민주공화국이 핀란드 노동자들의 지지를 받을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이는 빗나갔다. 오히려 외세의 침략에 맞서 핀란드 사회는 "겨울전쟁 정신"으로 더욱 강하게 단결했다. 핀란드 민주공화국은 소련 외에는 그 어느 국가에게도 정식 국가로 인정받지 못했다.[28] 소련의 괴뢰국이었던 몽골 인민공화국투바 인민공화국만이 예외였다.[31]

자와할랄 네루, 조지 버나드 쇼, 마르틴 안데르센 넥쇠, 존 스타인벡 등 좌파 활동가/작가들은 핀란드 민주공화국을 지지했다.[29] 나치 독일은 독소불가침조약 때문에 국영신문을 통해 핀란드 민주공화국을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29]

스탈린은 첩보기관을 통해 핀란드 내부의 정치적 상황을 잘 알고 있었다. 따라서 핀란드 민주공화국이 수립되더라도 혁명적 행동이나 민중봉기가 일어나 핀란드 공화국 정부에 저항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30]

5. 멸망

모스크바 평화 조약으로 핀란드 공화국과 소련이 정전하면서, 핀란드 민주공화국은 1940년 3월 12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RSFSR)의 일부인 카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카렐리야 ASSR)에 흡수되어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K-F SSR)을 형성함과 동시에 1개 공화국으로 승격했다.

소련은 겨울 전쟁 중 핀란드 정부와의 데탕트를 모색하기 시작했고, 쿠시넨 정권은 점차 지지를 잃어갔다. 소련은 카렐리야 지협의 3분의 2를 점령했지만 사상자가 매우 많았고, 다가오는 해빙기가 그들의 공세를 위협했다. 양측 모두 전쟁으로 지쳐 있었지만, 소련이 우위를 점했고, 핀란드를 소련의 조건으로 평화를 맺도록 압박하는 데 성공했다. 1940년 3월 12일, 모스크바 강화 조약이 핀란드와 소련 사이에 체결되어 다음 날 아침 적대 행위가 종료되었다. 조약에 따라 핀란드는 영토의 9%를 소련에 할양했지만, 소련의 핀란드 정복 시도는 실패했다. 그 후, 핀란드 민주 공화국은 무의미해졌고, RSFSR 내의 카렐리야 ASSR과 통합되어 새로운 카렐로-핀란드 SSR을 형성했는데, 이는 소련 공화국의 독립적인 공화국이었다.

3월 18일, 소련 외상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핀란드 민주 공화국 임시 정부는 불필요한 유혈 사태와 핀란드인의 부담을 고려하여 전쟁 종결에 동의하고 해산했다"라고 발표했다.[19] 소멸의 정확한 날짜는 불명이다. 현실적으로는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재의 러시아 연방카렐리야 공화국)에 흡수 합병되어 자연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장은 오토 쿠시넨이 계속 맡게 되었다.

6. 핀란드 인민내각 각료

핀란드 인민내각 각료 명단 (1939년 12월 2일 ~ 1940년 3월 12일)[32]
직책성명재임 기간
인민내각 주석 겸 외무장관오토 빌레 쿠시넨1939년 12월 2일 – 1940년 3월 12일
인민내각 부주석 겸 재무장관마우리츠 로젠베르크1939년 12월 2일 – 1940년 3월 12일
방위장관악셀리 안틸라1939년 12월 2일 – 1940년 3월 12일
내무장관투레 레헨1939년 12월 2일 – 1940년 3월 12일
농무장관아르마스 애이키애1939년 12월 2일 – 1940년 3월 12일
교육장관잉케리 레흐티넨1939년 12월 2일 – 1940년 3월 12일
카리알라 전담장관파보 프로코넨1939년 12월 2일 – 1940년 3월 12일


6. 1. 인민내각 주석 겸 외무장관

오토 빌레 쿠시넨은 1939년 2월 12일부터 1940년 12월 3일까지 인민 내각 주석 겸 핀란드 외무장관을 역임했다.[32]

6. 2. 인민내각 부주석 겸 재무장관

마우리츠 로젠베르크는 1939년 2월 12일부터 1940년 12월 3일까지 핀란드 민주공화국의 인민내각 부주석 겸 재무장관을 역임했다.[32]

6. 3. 방위장관

악셀리 안틸라는 1939년 2월 12일부터 1940년 12월 3일까지 핀란드 민주공화국의 방위장관을 역임하였다.

6. 4. 내무장관

투레 레헨은 1939년 2월 12일부터 1940년 12월 3일까지 핀란드 민주공화국의 내무장관을 역임하였다.

6. 5. 농무장관

아르마스 애이키애는 1939년 2월 12일부터 1940년 12월 3일까지 핀란드 민주공화국의 농무장관을 역임했다.[32]

6. 6. 교육장관

장관재임 기간
잉케리 레흐티넨1939년 2월 12일 – 1940년 12월 3일


6. 7. 카리알라 전담장관

파보 프로코넨은 1939년 2월 12일부터 1940년 12월 3일까지 핀란드 민주공화국의 카리알라 전담장관을 역임했다.[32]

참조

[1] 서적 Suurvallan rajamaa: Neuvosto-Karjala Neuvostovaltion politiikassa 1920—1941 Pohjois-Suomen Historiallinen Yhdistys
[2] 서적 The Winter War: Finland Against Russia, 1939–1940, Volume 312 Stan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A Frozen Hell: The Russo-Finnish Winter War of 1939–1940 Algonquin Books
[4] 서적 Soviet Strategic Thought, 1917–91 MIT Press
[5] 서적 The Nordic Way: A Path to Baltic Equilibrium Howells House
[6] 서적 Russia, Finland and the Baltic Lawrence & Wishart 1940
[7] 서적 Stalin's Wars: From World War to Cold War, 1939–1953 Yale University Press 2006
[8] 서적 Finland Fights G. Harrap 1940
[9] 서적 The Hundred Day Winter War: Finland's Gallant Stand against the Soviet Army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13
[10] 문서 Eagle & Paananen 1985
[11] 웹사이트 Kansan vallan vaihtoehto Terijoen hallituksen lehdistössä 1939–1940 http://users.jyu.fi/[...] 2013-05-15
[12] 서적 Terijoen hallitus 1939–40 WSOY 1985
[13] 웹사이트 Lev Nikolayevich Lopukhovskiy, Boris Konstantinovich Kavalerchik. Iyun' 1941: zaprogrammirovannoye porazheniye. / Glava 4. KRASNAYA ARMIYA V VOYENNYKH KONFLIKTAKH V 1939-1940 gg. http://www.razlib.ru[...] 2014-03-05
[14] 서적 The USSR and Finland— Historical, Economic, Political Facts and Documents Soviet Russia Today
[15] 서적 Suurvallan rajamaa: Neuvosto-Karjala Neuvostovaltion politiikassa 1920—1941 Pohjois-Suomen Historiallinen Yhdistys
[16] 서적 物語 フィンランドの歴史 中公新書 2017-10-25
[17] 문서 <研究資料>「冬戦争」にいたるソ連・フィンランド関係に関する補足的ノート 百瀬宏
[18] 뉴스 フィンランドとの不可侵条約廃棄を通告 『朝日新聞』 1939-11-30
[19] 뉴스 除名は連盟の敗北、とタス通信 『朝日新聞』 1939-12-17
[20] 서적 The Winter War: Finland Against Russia, 1939-1940, Volume 312 Stan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A Frozen Hell: The Russo-Finnish Winter War of 1939-1940 Algonquin Books
[22] 서적 Soviet Strategic Thought, 1917-91 MIT Press
[23] 서적 The Nordic Way: A Path to Baltic Equilibrium Howells House
[24] 서적 Russia, Finland and the Baltic Lawrence & Wishart
[25] 서적 Stalin's Wars: From World War to Cold War, 1939-1953 Yale University Press
[26] 문서 Manninen 2002
[27] 문서 Manninen 2002
[28] 문서 Eagle & Paananen 1985
[29] 웹사이트 Kansan vallan vaihtoehto Terijoen hallituksen lehdistössä 1939-1940 http://users.jyu.fi/[...]
[30] 서적 Terijoen hallitus 1939–40 WSOY 1985
[31] 웹사이트 Лев Николаевич Лопуховский, Борис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Кавалерчик. Июнь 1941: запрограммированное поражение. / Глава 4. КРАСНАЯ АРМИЯ В ВОЕННЫХ КОНФЛИКТАХ В 1939–1940 гг. http://www.razlib.ru[...]
[32] 서적 The USSR and Finland— Historical, Economic, Political Facts and Documents Soviet Russia Toda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