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회별신굿탈놀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안동 하회마을에서 전승되는 중요 무형 문화재 제69호로, 마을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별신굿의 일부로 행해지는 가면극이다. 500년의 역사를 가지며,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불규칙적으로 열린다. 주지놀음, 파계승 놀이, 양반선비놀이, 혼례 마당 등 8개의 마당으로 구성되며, 사자춤, 파계승의 타락, 양반과 상민의 갈등, 혼례 등 다양한 내용을 풍자와 해학으로 표현한다. 하회탈은 국보 제12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주지, 각시, 양반 등 다양한 등장인물의 탈이 존재한다.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사회 비판과 해학을 통해 공동체의 화합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하회마을에서 정기적으로 공연이 열리고 있으며, 보존 및 전승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국가무형유산 - 차전놀이
차전놀이는 후삼국시대 고창 전투의 승리를 기념하며 정월 대보름에 안동 지역에서 동·서편으로 나뉘어 나무 묶음(동채)을 메고 싸우는 대한민국의 전통 놀이로, 동채 제작 시 금기가 따르고 동채 머리를 땅에 닿게 하거나 대장을 끌어내려 승패를 결정한다. - 경상북도의 국가무형유산 - 김천금릉빗내농악
김천금릉빗내농악은 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기원하는 동제와 관련된 농악으로,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 제75호로 지정되었으며, 꽹과리, 징, 장구, 북 등의 악기를 사용하여 12가지 가락을 연주하고 영남 농악의 특징과 '진굿'과 같은 독특한 가락을 가진다. - 하회마을 - 안동 병산서원
조선 시대 문신 류성룡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안동 병산서원은 풍악서당에서 시작하여 1614년 개칭되었고, 서원철폐령에도 보존되어 류성룡과 그의 아들이 배향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하회탈 및 병산탈 등 다수의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 하회마을 - 안동 하회마을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 류씨 집성촌으로, 15세기 조선 시대에 형성되어 씨족 마을 형태를 유지하며, 류성룡 형제가 태어난 곳으로 2010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하회탈춤 등 다양한 민속 예술과 조선 시대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하회별신굿탈놀이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하회별신굿탈놀이 |
로마자 표기 | Hahoe Byeolsingut Talnori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국가무형문화재 |
지정 번호 | 69 |
지정일 | 1980년 11월 17일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 |
관리 |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
참고 | 무형문화재 / 전통 공연·예술/ 연희 |
2. 유래 및 역사
한국의 부락제는 그 연원이 오래되었으며, 동맹과 팔관회 등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 부락제의 명칭은 여러 가지이나,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남성 중심으로 유교식 축문을 읽는 '동제'이고, 다른 하나는 여성 중심으로 무당이 주재하는 '도당굿'이다. 이 외에도 축문 없이 제주가 조용히 정성을 드리는 '산제'가 있는데, 이는 유식동제보다 원초적인 형태이다. 즉, 산제, 당제, 동제가 부락제의 기본 유형이 된다.
하회별신굿탈놀이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례로, 연례 행사로 치러지는 '동제'와 비정기적으로 열리는 '별신굿'으로 나뉜다. 동제는 부적을 붙이고 기도를 올리는 의식으로 가면극은 포함되지 않지만,[1] 별신굿은 가면극을 포함하는 특별한 의식이다.
이러한 부락제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현재 서낭가면이 전해지고 있는 경북 안동시 하회마을의 하회별신굿탈놀이이다. 하회동의 서낭신은 '무진생서낭님'이며, 이곳에서 평상시에 지내는 서낭제는 보통 동제라 부른다.[7]
3. 의례
3. 1. 별신굿
한국의 부락제는 그 연원이 오래되었으며, '동맹' 등과 '팔관회' 등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 부락제는 남성 중심의 유교식 제사인 '동제'와 여성 중심으로 무당이 주재하는 '도당굿'으로 나눌 수 있다.
안동시 하회동의 서낭신은 '무진생서낭님'이며, 이곳의 서낭제는 평상시에 동제라 불린다. 별신굿은 서낭신을 달래기 위해 12월 말과 1월 초에 불규칙적으로 거행되는 특별한 의식이다. 이는 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중요 무형 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었다.[1][4]
별신굿의 첫 과장은 '주지놀음'이다. '주지'는 사자(獅子)를 의미하며, 붉은 보자기로 전신을 가린 광대 두 명이 춤을 추는 벽사 의식무이다. 2과장은 무녀가 주연하는 '삼석놀음'이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본격적인 놀이는 3과장 파계승 놀이부터 시작하여, 9과장 신방과장으로 이어진다. 각 과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별신행사는 정월 보름날 헛천굿(거리굿)을 거행하고, 당제를 지낸 후 서낭대를 봉납하고 하당과 삼신당에 차례로 제를 올리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산주와 광대들은 15일 만에 근신합숙에서 풀려 집으로 돌아간다.
3. 1. 1. 가면극의 구성
하회별신굿탈놀이는 8개의 마당으로 구성된다.[4]
# 무동 마당
# 주지 마당
# 백정 마당
# 할미 마당
# 파계승 마당
# 양반과 선비 마당
# 혼례 마당
# 신방 마당
음악 반주와 함께하는 이 춤극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사자들이 싸우고 성행위를 흉내 내는 등 상당한 외설성을 보여준다. 백정은 황소의 심장과 고환을 팔려고 시도하기 전에 황소 희생을 연기한다. 늙은 과부는 베틀 앞에서 슬프게 혼자 사는 삶을 노래한다. 음탕한 파계승은 젊고 요염한 여성 또는 댄서인 푼이가 소변을 보는 동안 그녀를 만나고, 흥분하여 땅 냄새를 맡은 후 그녀와 함께 도망간다. 양반과 선비는 푼이의 호의를 얻기 위해 훌륭한 혈통과 배움을 자랑하는 반면, 그녀는 그들의 이의를 죽임으로써 차례로 그들을 유혹하고, 세금 징수인이 절차를 방해하기 전에 이어서 결혼식 재현과 그에 따른 신혼 첫날밤이 매우 생생하여 미성년자와 여성은 관람이 금지된다.[1]
4. 탈
하회탈은 오리나무에 종이를 입히고 옻과 안료를 두세 겹 칠해서 만든다.[8] 현재 남아있는 하회탈 11점과 병산탈춤에서 제작된 탈 2점은 1964년에 대한민국의 국보 제121호로 지정되었다.[5] 축제용 탈은 일반적으로 박이나 종이로 만들어지며, 축제가 끝나면 태워지는 경우가 많지만, 이 탈들은 칠을 한 오리나무로 만들어졌으며, 턱은 끈으로 따로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다.[5]
4. 1. 하회탈의 종류
하회탈은 오리나무에 종이를 입히고 옻과 안료를 두세 겹 칠해서 만든다.[8] 현재 남아있는 하회탈 11점과 병산탈춤에서 제작된 탈 2점은 대한민국의 국보 (제121호, 1964년 지정)로 지정되었다.[5] 축제용 탈은 일반적으로 박이나 종이로 만들어지며, 축제가 끝나면 태워지는 경우가 많지만, 이 탈들은 칠을 한 오리나무로 만들어졌으며, 턱은 끈으로 따로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다.[5] 이 탈들은 현재 하회탈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6]탈 이름 | 설명 | 놀이 시 복장 |
---|---|---|
주지 | 사자탈로, 첫 과장에서 잡귀를 쫓는 데 쓰인다. 2개가 있다. | 붉은 보자기로 전신을 가리고 주지머리를 손에 들고 춤을 추면서 사방으로 휘두른다. |
각시 | 셋째 과장에서 처녀역으로 쓴다. | 노랑 저고리와 다홍 치마를 입는다. |
중 | 셋째 과장에서 파계승 역으로 착용한다. | 지팡이를 짚고 가사와 장삼을 입는다. |
양반 | 넷째 과장 양반과 선비놀이에서 양반역에 착용된다. | 도포에 정자관(程子冠)을 쓴다. |
선비 | 넷째 과장에서 선비역이 착용한다. | 도포를 입고 갓을 쓰며 담뱃대를 든다. |
초랭이 | 양반의 하인역으로 경망하게 까부는 성격이다. | 바지 저고리 위에 붉은 쾌자를 입고, 두 어깨와 허리에 걸쳐 청홍색 띠를 두른다. |
이매 | 선비의 하인역으로 바보탈이라고도 한다. | 평민의 남자 복색에 벙거지를 쓴다. |
부네 | 양반과 선비의 소첩(小妾)역을 맡는 젊은 여인 가면이다. | 젊은 부인의 복색으로 옥색 저고리와 검정 치마 등을 입는다. |
백정 | 소를 잡는 백정역이 쓴다. | 천인(賤人)의 복색을 하고 3색 띠를 두르고 도끼와 칼을 지닌다. |
할미 | 노파역이 착용한다. | 평민계급의 노파 복색으로 흰 저고리와 회색 치마를 입고 쪽박을 들고 나온다. |
4. 2. 병산탈
병산탈은 하회탈과 함께 1964년에 대한민국의 국보 제121호로 지정되었다.[5]4. 3. 보관
대한민국의 국보 제121호(1964년 지정)인 하회탈과 병산탈은 오리나무로 제작되었으며, 턱이 끈으로 연결되어 움직여진다.[5] 축제용 탈은 박이나 종이로 만들어져 축제가 끝나면 태워지지만, 이 탈들은 보존 가치를 인정받았다. 현재 남아있는 하회탈 11점은 주지(사자탈) 2점, 백정탈, 할미탈, 중탈(승려), 부네탈(젊은 여자), 양반탈, 선비탈, 각시탈(신부), 초랭이탈(하인), 이매탈(바보)이다. (총각탈은 분실된 것으로 추정)[5][6] 이 탈들은 현재 하회탈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6]5. 종교적 의미
전통 농경 사회에서 풍년 농사는 마을 공동체의 존립에 필수적이었다. 풍년은 인간의 힘을 초월하는 자연 현상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곧 신의 뜻에 달려 있다고 여겨졌다. 따라서 풍성한 수확과 마을의 안녕은 마을을 수호하는 동신(洞神)에 의해 결정된다고 믿었다. 마을마다 동신을 모시고 정성을 다해 제사를 지냈으며, 이러한 제사를 동제(洞祭) 또는 당제(堂祭)라 불렀다. 제사는 주로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는 정월(음력 1월) 대보름에 이루어졌는데, 이는 정월의 달이 가장 신성하고 소망을 이루어준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별신굿은 매년 지내는 동제와 달리 10년, 5년 또는 신탁이 있을 때 등 일정 주기로 열렸다. 이는 시간이 흐르면 마을 수호신의 영험이 줄어들어 마을에 나쁜 일이 생긴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별신굿은 무당을 불러 굿을 하거나 마을 주민들이 주도하여 큰굿을 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는데, 하회의 경우는 후자에 해당한다.
동제에는 부적과 기도의 낭독이 포함되지만, 가면극은 없다.[1] 별신굿탈놀이 또는 별신 굿놀이는 서낭신을 달래기 위해 12월 말과 1월 초에 불규칙적으로 거행된다. 이는 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중요 무형 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었다.[1][4]
6. 풍자와 해학 (사회적 의미)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지배 계층인 양반과 선비의 허구성을 폭로하여 계층 간의 관계를 극적으로 다루고, 중의 파계를 통해 당시 불교의 타락상과 종교의 허구성을 비판하며, 상민들의 삶의 애환을 풍자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상민들은 별신굿탈놀이를 통해 세상살이를 풍자하고, 억눌린 감정을 마음껏 발산할 수 있었다.[1]
신분 질서가 엄격했던 당시 사회에서 지배 계층 비판으로 일관된 탈놀이가 하회라는 양반 마을에서 양반들의 묵인 또는 경제적 지원 속에 연희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상민들은 탈놀이를 통해 억눌린 감정과 불만을 해소하고, 양반들은 상민들의 비판과 풍자를 통해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 불만을 해소함으로써 갈등과 저항을 줄여 상하 간의 조화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었다.
별신굿이라는 마을 공동체 신앙에 포함되어 연희되던 탈놀이 과정은 공동체 내부에 내재된 계급 간의 모순과 갈등을 완충하고, 기존 체계를 강화하는 기능을 했다.
7. 현대의 하회별신굿탈놀이
현대의 하회별신굿탈놀이는 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980년 국가무형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었다.[1][4] 12월 말과 1월 초에 서낭신을 달래기 위해 비정기적으로 거행된다.[1] 정화와 격리 기간을 거친 후, 행렬이 진행되며 다음과 같이 8개의 주요 장면(''마당'')으로 구성된 가면극이 이어진다.[4]
순서 | 제목 | 내용 |
---|---|---|
1 | 무동 마당 | |
2 | 주지 마당 | |
3 | 백정 마당 | 백정이 황소의 심장과 고환을 팔려고 하기 전에 황소 희생을 연기한다. |
4 | 할미 마당 | 늙은 과부가 베틀 앞에서 슬프게 혼자 사는 삶을 노래한다. |
5 | 파계승 마당 | 음탕한 파계승은 젊은 여성 푼이가 소변을 보는 것을 보고 흥분하여 그녀와 함께 도망간다. |
6 | 양반과 선비 마당 | 양반과 선비는 푼이의 호의를 얻기 위해 경쟁하고, 세금 징수인이 등장한다. |
7 | 혼례 마당 | |
8 | 신방 마당 |
음악 반주와 함께하는 이 춤극은 사자들이 싸우고 성행위를 흉내 내는 등 외설적인 모습을 보여준다.[1] 결혼식 재현과 신혼 첫날밤은 매우 생생하여 미성년자와 여성은 관람이 금지된다.[1]
7. 1. 공연 안내
하회마을에서는 한겨울(1월~2월)에는 매주 주말(토요일, 일요일)에, 봄, 여름, 가을 및 초겨울(3~12월)에는 월, 화요일을 제외한 매일(주 5일) 오후 2시에 탈춤 특설공연장에서 공연한다.참조
[1]
서적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y: Masked Performances in Asia (1986 Symposium)
Tokyo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
웹사이트
Heritage Information – General Search (search term: hahoe)
http://english.cha.g[...]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2-05-03
[3]
웹사이트
Historic Villages of Korea: Hahoe and Yangdong
https://whc.unesco.o[...]
UNESCO
2012-05-03
[4]
웹사이트
Heritage Information – General Search –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69
http://english.cha.g[...]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2-05-03
[5]
웹사이트
Heritage Information – General Search – National Treasure 121
http://english.cha.g[...]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2-05-03
[6]
웹사이트
Hahoe Mask Museum
http://www.mask.kr/c[...]
Hahoe Mask Museum
2012-05-03
[7]
문화재청문화재
[8]
서적
1992-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