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폴리텍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폴리텍대학은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라 설립된 직업 교육 훈련 기관이다. 취업을 원하는 청소년, 미취업자, 실직자 등을 대상으로 기능사 양성을 목표로 하며, 국가 기간 산업 및 신산업 분야의 기술 인력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1968년 중앙직업훈련원 설립을 시작으로 2006년 기능대학과 직업전문학교의 통합을 거쳐 현재 8개 대학, 35개 캠퍼스, 1개 대안학교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직업 교육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1992년 개교한 사립대학교로, 직업훈련교사 양성을 목표로 실험·실습 중심 교육과 높은 취업률을 특징으로 하며, 산학협력을 강조하는 IPP 제도 등을 통해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직업 교육 - 전문대학
전문대학은 직업 및 전문 기술 교육을 제공하는 고등 교육 기관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전문학사 학위와 학사 학위 전공심화과정, 전문기술석사 과정 등을 운영하며 교명 자율화에도 불구하고 2020년 기준 137개 대학이 운영되고 있다. - 공공기관 (고용노동부 소관) -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공단은 1977년 설립된 고용노동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산재보험, 임금채권보장, 퇴직연금,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등 근로자 복지 사업을 수행하며 전국에 지역본부와 병원을 운영한다. - 공공기관 (고용노동부 소관)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1992년 개교한 사립대학교로, 직업훈련교사 양성을 목표로 실험·실습 중심 교육과 높은 취업률을 특징으로 하며, 산학협력을 강조하는 IPP 제도 등을 통해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 한국폴리텍대학 - 한국폴리텍V대학
한국폴리텍V대학은 호남권에 위치한 국책 특수대학으로, 광주를 중심으로 전북과 전남에 캠퍼스를 운영하며 산업학사 및 기능사 과정을 통해 현장 중심의 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지역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 - 한국폴리텍대학 - 한국폴리텍대학 반도체융합캠퍼스
죄송합니다. 제공된 개요가 내용이 없는 임시 텍스트라서, 한국폴리텍대학 반도체융합캠퍼스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할 수 없습니다. 실제 위키백과 본문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요약을 해드리겠습니다.
한국폴리텍대학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2006년 |
학교 유형 | 직업학교 |
소재지 | 서울특별시 |
국가 | 대한민국 |
웹사이트 | www.kopo.ac.kr |
학교법인 정보 | |
계열 학교 | |
계열 학교 | 한국폴리텍I대학 한국폴리텍II대학 한국폴리텍III대학 한국폴리텍IV대학 한국폴리텍V대학 한국폴리텍VI대학 한국폴리텍VII대학 한국폴리텍대학 항공캠퍼스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 한국폴리텍대학 영남융합기술캠퍼스 한국폴리텍대학 로봇캠퍼스 한국폴리텍다솜고등학교 |
2. 설립 취지
한국폴리텍대학은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에 근거하여 취업을 원하는 학업 중단 청소년, 고학력 미취업자, 실직자 등을 대상으로 기능 인력(기능사)을 양성한다.[1] 민간 부분에서 담당하기 어려운 국가 기간 산업과 신산업 분야의 다기능 기술자, 기능장 등 중간 기술 인력을 양성한다.[1] 근로자의 평생 직업 능력 개발, 산학 협력 사업 및 지역 산업 인력 개발 등 국가 인적 자원 개발 사업을 수행한다.[1] 이외에도 향상 훈련, 훈련 정보 개발·보급, 기업에 대한 훈련 상담·기술 지도, 기타 정부 위탁 사업 수행 등 다양한 교육 훈련 서비스를 제공한다.[1]
한국폴리텍대학은 전국 8개 대학, 34개 캠퍼스 및 1개 대안학교(한국폴리텍다솜고등학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대학은 3~5개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22개 캠퍼스는 산업학사 학위과정을, 12개 캠퍼스는 전문기술과정을 주로 운영한다. 학위과정 연간 모집인원은 7,700여 명이며, 컴퓨터응용기계과, 메카트로닉스과, 산업디자인과 등 68종 156개 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졸업학점은 90학점으로 일반 전문대학(80학점)과 다르며, 산업체 연계 현장중심 학사제도(F·L System)를 운영한다. 학위과정 외에도 기능사과정, 재직자직무능력향상훈련, 실업자훈련 등을 운영하고 있다.[1]
3. 연혁
날짜 내용 1967년 1월 16일 직업훈련법 제정(법률 제1880호) 1968년 6월 25일 중앙직업훈련원 설립(현 한국폴리텍2대학 인천캠퍼스) 1973년 2월 1일 재단법인 정수직업훈련원 설립(현 한국폴리텍1대학 서울정수캠퍼스) 1977년 7월 23일 기능대학법 제정(법률 제3009호) 1977년 11월 19일 창원기능대학 설립(현 한국폴리텍7대학 창원캠퍼스) 1997년 12월 24일 기능대학법 개정(법률 제5475호) 산업학사 학위 부여 근거 마련 1998년 2월 5일 학교법인 한국능력개발학원 설립 1999년 1월 1일 학교법인 한국능력개발학원을 학교법인 기능대학으로 명칭 변경 2006년 3월 1일 기능대학(24개)과 인력공단 직업전문학교(21개)를 통폐합하여 한국폴리텍대학 출범 및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 개교 2008년 3월 6일 학교법인 기능대학을 학교법인 한국폴리텍으로 명칭 변경 2012년 3월 2일 한국폴리텍 다솜고등학교 개교 2016년 3월 한국폴리텍대학 분당융합기술교육원 개원 2020년 3월 한국폴리텍대학 광명융합기술교육원 개원 2020년 6월 한국폴리텍대학 석유화학공정기술교육원 개원 2021년 3월 한국폴리텍대학 로봇캠퍼스 개교
4. 캠퍼스 현황
4. 1. 대학별 캠퍼스
한국폴리텍대학은 전국에 8개 대학, 35개 캠퍼스와 1개 대안학교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5년에는 한국폴리텍대학 파주캠퍼스가 개교할 예정이다.[1] 각 대학별 캠퍼스는 다음과 같다.
대학 | 캠퍼스 |
---|---|
한국폴리텍Ⅰ대학 | 서울정수, 서울강서, 성남, 제주 |
한국폴리텍Ⅱ대학 | 인천, 남인천, 화성 |
한국폴리텍Ⅲ대학 | 춘천, 원주, 강릉 |
한국폴리텍Ⅳ대학 | 대전, 청주, 아산, 홍성, 충주 |
한국폴리텍Ⅴ대학 | 광주, 김제, 목포, 고창, 익산, 순천 |
한국폴리텍Ⅵ대학 | 대구, 구미, 달성, 포항, 영주 |
한국폴리텍Ⅶ대학 | 창원, 부산, 울산, 동부산, 진주 |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 | 바이오, 반도체융합, 항공, 로봇 |
4. 2. 대안학교
한국폴리텍다솜고등학교가 있다.[1]5. 학사 제도
2006년 기존의 전문대학과 기술전문학교를 통합하여 한국폴리텍대학이 개교하였으며, 졸업 시 2년제 산업학사 학위가 수여된다. 졸업학점은 90학점으로 일반 전문대학(80학점)과 다르다. 산업체와 연계한 현장중심의 학사제도(F·L System, Factory Learning System)도 운영 중이다. 학위과정 이외에도 기능사과정, 산업체 근로자를 위한 재직자직무능력향상훈련, 취약계층을 위한 실업자훈련 등을 운영하고 있다.
5. 1. 개설 학과
한국폴리텍대학의 학위과정 연간 모집인원은 7,700여 명이다. 개설학과는 컴퓨터응용기계과, 메카트로닉스과, 산업디자인과, 정보통신시스템과, 바이오생명정보과, 항공정비과 등 68종 156개 학과가 있다.6. 역대 이사장
대수 | 이름 | 임기 |
---|---|---|
1 | 최송촌 | 1997년 12월 ~ 2001년 1월 |
2 | 손일조 | 2001년 1월 ~ 2004년 1월 |
3, 4 | 박용웅 | 2004년 3월 ~ 2008년 8월 |
5 | 허병기 | 2008년 8월 ~ 2011년 8월 |
6 | 박종구 | 2011년 8월 ~ 2014년 8월 |
7 | 이우영 | 2014년 10월 ~ 2017년 12월 |
8 | 이석행 | 2017년 12월 ~ 2021년 5월 |
9 | 조재희 | 2021년 5월 ~ 2023년 3월 |
10 | 이철수 | 2024년 4월 ~ |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관련 사건 타임라인
“저축은행도 AI 활용합니다”…챗GPT ‘열공’한다
중장년 일자리 1,600개 열린다…서울 DDP서 이틀간 박람회
4세 고시·7세 고시 악순환 끊으려면 [노정혜 칼럼]
솔트웨어, 정부공공 IT 행사에서 AI 챗봇 서비스 소개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