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논산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논산시는 대한민국 충청남도에 위치한 도시이다. 삼한 시대에는 마한에 속했으며, 백제 시대에는 황등야군으로 불리며 계백 장군과 김유신 장군의 격전지였다. 조선 시대에는 충청도 은진현, 연산현, 노성현으로 구성되었고, 기호학파의 중심지였다. 1914년 논산군으로 통합되었으며, 1996년 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2읍, 11면, 2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남선과 호남고속도로 등이 지나간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쌀, 딸기, 인삼 등을 생산하며, 딸기는 논산의 대표 특산물이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백제군사박물관, 탑정저수지, 대둔산 등이 있으며, 딸기 축제, 젓갈 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논산시 - 백제군사박물관
    백제군사박물관은 충청남도 논산시 계백장군유적지에 위치하여 백제의 군사 활동, 무기, 논산 지역 역사, 특히 계백 장군의 활약상을 조명하며, 세 개의 전시실과 계백장군유적전승지로 구성되어 백제 시대 무기와 관련 자료들을 전시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 가능하다(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휴관).
  • 논산시 - 논산강경도서관
    논산강경도서관은 1994년 12월 9일에 개관하여 디지털방, 정보화마을, 전자도서관 등을 갖추고 있으며, 자료열람실과 일반열람실을 운영한다.
  • 논산시의 행정 구역 - 강경읍
    강경읍은 충청남도 논산시 서부에 위치하며 금강 수운 교통의 요지로 발전하여 번성했으나 일제강점기 이후 쇠퇴했고, 현재는 논산시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며 강경젓갈로 유명하다.
  • 논산시의 행정 구역 - 연무읍
    연무읍은 논산시에 위치한 읍으로, 한국전쟁 이후 피난민 정착과 육군훈련소의 존재로 발전했으며 견훤묘, 금곡서원, 해화산성 등의 명소가 있다.
  • 충청남도의 도시 - 당진시
    당진시는 충청남도에 위치하며, 현대제철을 포함한 여러 산업 시설이 있어 물류가 활발하며, 1914년 면천군과 통합되어 당진군이 되었다가 2012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충청남도의 도시 - 공주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수도 웅진으로서 번영을 누렸고, 충청 지역의 중심지, 충청도 감영 위치 등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도농복합시로서 백제 유적과 자연경관, 교육기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역사와 문화 관광 도시이다.
논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충청남도 논산시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논산시
한글 표기논산시
한자 표기論山市
로마자 표기Nonsan-si
맥쿤-라이샤워 표기Nonsan-si
위치대한민국 충청남도
지역호서
인구 (2024년 9월)108,883명
면적554.82 km²
인구 밀도220명/km²
행정 구역2읍, 11면, 2동
방언충청 방언
모토딸기의 도시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9)
논산시 휘장
논산시 휘장
논산시 기
논산시 기
행정 및 정치
시장백성현 (국민의힘)
상징
시의 나무느티나무
시의 꽃개나리
시의 새원앙
역사
논산 100주년http://www.nonsan.go.kr/history.do?mno=sub01_02

2. 역사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대한민국 보물 제1569호)


논산 지역은 삼한 시대 마한에 속했으며, 백제 시대에는 황등야군(黃等也郡)이었다. 신라가 백제를 병합한 후, 덕은(德殷)과 황산(黃山) 두 지역으로 나뉘었다. 고려 시대에는 지방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공주 임내에 편입되었다.

1911년 논산 평야에 철도가 완공되면서 기차역이 건설되었다.[4] 1914년 연산군, 은진군, 노성군, 석성군이 통합되어 논산군이 설치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 미군과 한국군은 논산에 포로수용소를 설치했다. 1953년 6월 18일, 논산, 부산, 마산, 광주 수용소에서 수천 명의 포로들이 북한 송환을 피해 탈출, 지역 주민들 속으로 섞여들었다.[5]

2. 1. 고대

삼한 시대에는 마한에 속했다. 백제 시대에는 황등야군(黃等也郡)으로 불렸다. 계백 장군이 이끄는 5천 결사대와 신라 김유신이 이끄는 5만 군대가 백제 최후의 결전을 벌인 곳이기도 하다.[43] 이후 신라 시대에는 덕은(Deogeun)과 황산(Hwangsan) 두 개의 마을로 나뉘었다.

2. 2. 조선 시대

조선 시대 논산 지역은 충청도 은진현, 연산현, 니산현(노성현)으로 구성되어 충청도 관찰사의 관할이었다. 1413년(태종 13) 공주목 관할로 연산현, 니산현, 은진현의 3개 지역을 포함했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총 가구 수는 1,268호, 인구는 4,795명이었다.

; 충청도 공주목 은진현(恩津縣)

: 덕은(德恩)은 본래 백제의 덕근군(德近郡)이었으나, 신라에서 덕은군(德殷郡)으로, 고려에서 덕은(德恩)으로 고쳤다. 시진(市津)은 본래 백제의 가지내현(加知柰縣)이었는데, 신라에서 현재 이름으로 고쳐 덕은군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고려 현종 9년(1018년)에 2현을 모두 공주 임내(任內)에 붙였다. 채운향(彩雲鄕)은 예전에 시진현에 붙였었는데, 조선 태조 6년(1397년)에 덕은, 시진, 채운향을 병합하여 덕은 감무(德恩監務)를 두었고, 세종 원년(1419년)에 은진 현감으로 고쳤다. 후백제견훤의 묘가 은진현 남쪽 12리 풍계촌(風界村)에 있다. 봉화가 2곳이니, 강경포(江景浦)와 노산(爐山)이다. 현의 북쪽에 관촉사(灌足寺)가 있고, 돌미륵이 있는데, 높이가 54척이다.[42]

; 충청도 공주목 연산현(連山縣)

: 백제의 황등야군(黃等也郡)이었는데, 신라에서 황산군(黃山郡)으로 고쳤다. 계백 장군이 이끄는 5천 결사대와 신라의 김유신이 이끄는 5만 군대가 백제 최후의 결전을 벌인 곳이다. 연산현 북쪽에 고려 태조 왕건이 백제를 평정하고 세운 개태사(開泰寺)가 있다. 고려에서 연산군(連山郡)으로 고쳤으며, 고려 현종 9년(1018년)에 공주 임내에 붙이었다가,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년) 현감(縣監)으로 고쳤다.[43]

; 충청도 공주목 니산현(尼山縣)→노성현(魯城縣)

: 백제의 열야산현(熱也山縣)이었는데, 신라에서 니산(尼山)으로 고쳐 웅천(熊川)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 현종 9년(1018년)에 공주 임내에 붙이었다가,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조선 태종 14년(1414년)에 석성(石城)에 합쳐 니성현(尼城縣)이라 하였다가, 태종 16년(1416년) 다시 갈라서 니산현감(尼山縣監)을 두었다.[44] 훗날 노성현(魯城縣)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경상도의 영남학파와 논산을 중심으로 한 충청도기호학파가 양대 주류를 형성하였다. 17세기 이후 논산은 김장생김집, 김현 등 당대 예학의 연원을 잇는 주자학의 선구자를 배출하며, 충청도기호학파를 대표하는 중심지로 정계와 학계의 주도권을 차지한다.[45] 노성의 윤증송시열, 유계와 그 장인 권시에게서 배워 예학에 밝았고 당시 소론의 영수로 조야의 관심을 끌었다. 강경의 죽림서원을 비롯하여 돈암서원, 충곡서원, 휴정서원, 효암서원, 행림서원, 노강서원 등에서 후학들이 학통을 계승하였다.

2. 3. 근현대


  • 1914년 4월 1일: 은진군, 연산군, 노성군과 석성군 일부를 통합하여 '''논산군'''을 설치하였다.[46]
  • 1917년 10월 1일: 대조곡면을 은진면으로 개칭하였다.[47]
  • 1931년 4월 1일: 강경면이 강경읍으로 승격하였다.[48]
  • 1938년 10월 1일: 논산면이 논산읍으로 승격하였다.[49]
  • 1963년 12월 21일: 구자곡면이 전라북도 익산군 황화면과 통합되어 연무읍으로 승격하였다.[50]
  • 1996년 3월 1일: 논산군이 논산시로 승격하였다.[52] 논산읍취암동부창동으로 분리되었고, 논산읍 소속 법정리들은 일괄 법정동으로 변경되었다.
  • 2003년 9월 19일: 두마면(계룡출장소)이 계룡시로 승격하여 논산시에서 분리되었다.


1911년 논산 평야를 지나는 철도가 완공되면서 기차역이 건설되었다.[4]

현대 논산시는 1914년 연산군, 은진군, 노성군, 석성군 등 4개의 군이 합쳐져서 설립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 미군과 한국군은 포로수용소를 설치했다. 1953년 6월 18일 논산 수용소를 비롯해 부산, 마산, 광주 수용소에서 수천 명의 포로들이 북한으로 송환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수용소를 탈출하여 지역 주민들 속으로 섞여들었다.[5]

'''논산'''은 조선시대에 금강을 따라 물자를 유통하는 하항 도시로 번영하여 평양과 대구와 함께 조선 3대 시장 중 하나로 여겨졌다. 1906년 일본인에 의해 여러 과일 나무의 시험 재배가 시작되어 좋은 성과를 거두었고[27], 메이지 시대 말에는 고바야시야마 향 등 일본인이 경영하는 농장이 많이 생겨났으며,[28] 다이쇼 시대에 이르러 호남선도 부설, 개업하였다.[29] 이러한 번영은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도 한동안 지속되었으나, 하구에 위치한 군산과 함께 쇠퇴하였다. 현재는 대전지방법원 논산지원, 대전지방검찰청 논산지청, 논산경찰서(구: 강경경찰서)가 위치하고 있다.

3. 지리

논산시는 충청남도 남부 중앙에 위치한다. 대둔산에서 발원한 논산천계룡산에서 발원하는 노성천, 연산천, 연무읍 고내리에서 발원한 강경천이 각기 금강 본류에 유입되는 지형을 따라 하천 유역을 중심으로 넓고 비옥한 논산평야가 형성되었다. 논산천 중앙에는 탑정저수지가 있다. 동남부의 대둔산(878m)에서 서쪽 방향으로 장재봉(487m)·작봉산(421m)·옥녀봉(410m)·함박봉(403m) 등 산맥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형적 특성이 있다.[53]

대둔산은 충청남도 논산시, 금산군과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의 경계에 있는 높이 878m의 산으로, 논산에 가장 많은 면적이 속해 있다. 대둔산은 산림청이 선정한 대한민국의 100대 명산으로 선정되었다. 기암괴석이 빼어나고, 경관이 아름다우며 케이블카, 구름다리 등이 설치되어 있다. 대둔산 자락 주봉인 바랑산(555m)을 비롯해 양촌 철쭉원, 오산소류지, 법계사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벌곡면에는 수락계곡과 선녀폭포, 군지폭포 등이 있고, 매년 수락계곡 얼음축제가 개최된다.[65]

논산은 국가 철도 시스템과 시내, 지역 및 국가 버스 노선의 서비스를 받는다. 고속도로가 논산을 대전 및 다른 도시와 연결한다.

3. 1. 인접 지역

4. 행정 구역

논산시의 행정 구역은 2읍(강경읍, 연무읍), 11면(성동면,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부적면, 연산면, 벌곡면, 양촌면, 가야곡면, 은진면, 채운면), 2행정동(취암동, 부창동), 11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54] 면적은 554.85km2이며, 인구는 2020년 12월 말 기준으로 57,826세대, 120,540명이다.[54]

읍면동한자면적세대인구
강경읍江景邑7.01km24,3938,471
연무읍鍊武邑59.45km26,84014,200
성동면城東面35.58km22,1834,552
광석면光石面34.02km22,1394,394
노성면魯城面35.78km21,5283,161
상월면上月面44.78km21,8783,722
부적면夫赤面30.72km21,9163,738
연산면連山面55km23,3626,311
벌곡면伐谷面69.71km21,4652,542
양촌면陽村面77.21km23,0386,618
가야곡면可也谷面45.3km21,9553,563
은진면恩津面22.53km22,2884,414
채운면彩雲面19.75km21,2072,302
취암동鷲岩洞10.46km216,04635,917
부창동富倉洞7.55km27,31016,635
논산시論山市554.85km257,826120,540



이름한글한자
강경읍강경읍江景邑
연무읍연무읍鍊武邑
성동면성동면城東面
광석면광석면光石面
노성면노성면魯城面
상월면상월면上月面
부적면부적면夫赤面
연산면연산면連山面
벌곡면벌곡면伐谷面
양촌면양촌면陽村面
가야곡면가야곡면可也谷面
은진면은진면恩津面
채운면채운면彩雲面
취암동취암동鷲岩洞
부창동부창동富倉洞



논산시 행정 구역도

5. 교통

논산은 국가 철도 시스템과 시내, 지역 및 국가 버스 노선의 서비스를 받는다. 고속도로는 논산을 대전 및 다른 도시와 연결한다. 많은 거리에는 인도와 차도를 공유하는 자전거 도로가 있다. 시내를 통과하는 하천은 항행이 불가능하지만 하류에서 금강과 합류하며, 도시 외곽의 한 지역은 중요한 어항으로 기능한다.

철도로는 호남선강경선이 지나며, 논산역, 강경역, 연산역을 지난다. 주요 간선도로는 논산대로, 득안대로, 계백로, 대백제로 등이 있다.

5. 1. 철도

호남선논산역, 강경역, 연산역을 지난다.[55]

1966년에 충남 논산~부여~서천을 잇는 충남선 건설을 계획하고 같은 해 11월 20일에 기공식을 거행했으나, 당시 공정률 약 2.6% 상태에서 차관 도입에 차질이 생겨 1968년 공사가 중단되었다.

충청권 광역철도 3단계에서 강경역을 시발점으로 하여 논산을 계룡, 대전, 청주와 연결하는 계획이 제시되어 있다.

5. 2. 도로

논산시를 지나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국도와 지방도는 다음과 같다.


5. 3. 버스



2013년 6월 논산 - 인천공항 (공주 경유) 노선을 개통하여 우등고속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논산시의 시내버스 업체는 덕성여객이 유일하다.

6. 산업

논산은 농업 도시이며, 이 가장 중요한 작물이다. 그 외에도 딸기, 인삼, 배추,[6] 수박, 등이 주요 농작물이다.

세실(Sesil)은 천연 해충 방제용 곤충 생산 분야에서 세계 3위 기업이다. 야쿠르트 본사가 논산에 있다. 농수산물유통공사는 지역 식품 공급 업체이다.[6]

논산 지역에는 대한민국 육군 훈련소가 있다.

6. 1. 농업

논산은 농업 도시이며, 가장 중요한 농작물은 이다. 다른 중요 농작물로는 딸기, 인삼, 배추, 수박, 가 있다.[6]

딸기는 논산의 대표 특산물이다. 논산은 재배 면적과 생산량에서 대한민국 최대 딸기 생산지이며, 맛과 향이 좋아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양촌면, 은진면, 연무읍, 광석면 일대에서 생산된다. 정부로부터 논산청정딸기산업특구와 양촌곶감특구를 지정받았다. '''논산딸기'''는 특허청이 승인하는 지리적 표시제 상표에 등록됐다.[59] 논산딸기는 전체 면적 820ha 규모로 재배하며, 1,889호 농가가 연간 1400억여 원의 수입을 획득하고 있다.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논산딸기시험장이 부적면에 있다.

축산업 가운데 양계업은 천연기념물인 약닭·오골계 사육을 중심으로 연산면에서 대규모로 행해진다. 연산 화악리의 오계천연기념물 제265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 외에 양돈업과 낙농업도 활기를 띠고 있다.

중앙일보》는 "논산에서 재배되는 딸기는 설향, 매향, 금향, 장희(아키히메), 육보(레드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처음 세 가지는 논산에서 개발되었고, 나머지 두 가지는 일본산이다. 장희는 한국에서 가장 흔하게 재배되는 품종이다. 그러나 설향이 가장 달다"고 말한다.[8]조선일보》에 따르면,[7] 농민들이 생산자의 허락 없이 일본에서 생산된 새로운 품종의 딸기를 재배하고 있다.

6. 2. 제조업

논산에는 다음과 같은 산업단지가 있다.

산업단지명주요 제조 업종
논산지방산업단지조립금속 제품, 전자부품, 기계 및 장비, 전기기계, 음식료품 제조업, 기타 제조업
논산2 일반산업단지유리공업, 산업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비금속 물제품, 금속가공제품,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전기장비, 기타 기계 및 식료품 제조업



야쿠르트의 본사가 논산에 있다.[6]

6. 3. 경제 지표

2012년 논산시의 지역내 총생산은 6.8943조으로 충청남도 내에서 2.4%를 차지한다.[60] 2014년 기준 산업별 종사자 현황은 다음과 같다.[61]

구분종사자 수비중
총계42,728명100%
농림어업 (1차산업)470명1.1%
광업 및 제조업 (2차산업)10,080명23.6%
상업 및 서비스업 (3차산업)32,120명75.2%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116,031명, 주간인구는 123,638명으로 주간인구지수는 107이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9,380명, 유출인구는 3,962명이며,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3,602명, 유출인구는 873명으로 전체 유입인구가 7,607명 더 많다.[62]

7. 교육

건양대학교

7. 1. 대학교

7. 2. 고등학교


논산에는 여자고등학교, 공업고등학교, 그리고 사립학교 두 곳을 포함하여 여러 고등학교가 있으며, 이들 학교는 도내외에서 학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10]

8. 문화·관광

논산시는 풍부한 문화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관광 도시이다.

미륵보살상


주요 관광 명소로는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거대한 불상인 은진미륵불과 그 불상이 있는 사찰인 관촉사[11], 백제군사박물관[12]이 있다.

봄에는 딸기 축제[13], 가을에는 강경 젓갈 축제[14]가 열려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논산의 팔경은 관촉사, 계백 장군 역사 유적지, 탑정호, 쌍계사, 노성산성 등이다.[15][16][17]

8. 1. 주요 관광지

강경포구는 논산천, 강경천이 논산평야를 가로질러 금강으로 유입되는 위치에 있어, 과거 황해의 수로를 통해 충남 내륙의 큰 포구로 번성하였다. 함경남도 원산시에 있는 동해안의 원산항과 더불어 '조선 2대 포구'로 불렸으며, 당시 100여 척의 배가 드나들 정도로 규모가 컸다.[63] 금강 유역에서 생산되는 농수산물을 금강 수운을 통해 전국으로 유통시키는 물류 수송의 중심지였으며, 강경포구에서 전국 각지의 상품을 하역하여 육로를 통해 금강 주변 지역으로 유통시키는 역할도 하였다.[63] 당시 강경장은 전국 3대 시장이었고, 조선 시대와 일제 강점기 초기까지 전성기를 누렸다.[63] 강경은 충청남도에서 최초로 전기가 들어온 역사적인 도시이며, 특산물로 젓갈이 유명하다.[63]

탑정저수지는 충청남도에서 두 번째로 큰 저수지로, 최대 3천만여 톤의 담수를 저장할 수 있다. 대둔산에서 발원한 논산천의 맑은 물이 양촌을 거치면서 담아낸 호반으로 호수 위의 일몰 풍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한국농어촌공사는 탑정호에 레저시설을 설치한 수변종합개발을 추진하고 있다.[64] 물이 맑고 깨끗하여 메기, 잉어, 쏘가리 등 어류가 많고 매년 철새들이 찾아오는 도래지이다. 낚시와 윈드서핑, 수상스키 등 수상 레포츠를 즐길 수 있다. 호수 주변에는 산책 길과 드라이브 코스가 유명하며, 카페, 맛집, 숙소 등도 있다. 탑정호수변생태공원도 조성되어 있다. 인근에 김장생 묘와 휴정서원, 돈암서원 등 유교 유적지가 많고, 계백장군의 묘역과 백제군사박물관이 있다.

백제군사박물관은 논산이 백제의 수도와 인접하고, 비옥한 평야가 있어서 삼국시대 군사적 요충지였던 점을 살려 부적면 계백장군유적지 내에 위치하고 있다. 백제시대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어, 백제시대 군사 문화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대둔산은 충청남도 논산시, 금산군과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의 경계에 있는 높이 878m의 산으로, 이중 논산에 가장 많은 면적이 속해 있다. 논산시 양촌면, 벌곡면, 금산군 진산면 일대가 충청남도 도립공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운주면 일대가 전북특별자치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대둔산은 산림청이 선정한 대한민국의 100대 명산으로 선정되었다. 기암괴석이 빼어나고, 경관이 아름다우며 케이블카, 구름다리 등이 설치되어 있다. 대둔산 자락 주봉인 바랑산(555m)를 비롯해 양촌 철쭉원, 오산소류지, 법계사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노령산맥으로부터 남서쪽으로 뻗어 내린 대둔산 줄기에 월성봉(月城峰: 650m)과 함께 자리잡고 있는 바랑산은 오산리 쪽으로 100여 미터가 넘는 바위가 직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장엄하고 조망이 좋아 산행코스로도 좋다.[65] 벌곡면에는 수락계곡과 선녀폭포, 군지폭포 등이 있고, 매년 수락계곡 얼음축제가 개최된다. 충남경찰청에서는 대둔산 승전탑을 세우고 매년 추모행사를 갖는다. 수락계곡에서 대둔산 정상인 마천대까지는 약 2시간 정도 소요된다. 대둔산도립공원 내에 오토캠핑장 조성이 완료되어 2013년 5월 20일에 개장했다.

양촌면 남산리 산12-4번지 405274m2에 산림휴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충청남도에서 양촌자연휴양림을 조성하였다.[66] 양촌자연휴양림의 주요 시설물로는 숲속 휴양관과 체험장, 황토맨발길 등이 있으며, 등산로와 산책로, 벤치, 파고라, 통나무집, 놀이터, 체육시설, 캠핑장, 잔디광장과 물놀이장, 자연눈썰매장 등이 각각 설치되어 가족단위나 단체행사에 적합하다. 특히 천연림에 둘러싸인 숲속의 집 내부는 향긋한 냄새와 피톤치드가 많이 나오는 편백나무로 자연과 호흡할 수 있어 각광을 받고 있다.[67] 인근의 양촌면 채광리 논산천 강변에는 양촌강변유원지가 조성되어 있다. 대둔산 산줄기와 어우러진 양촌면 논산천 계곡에서 캠핑과 야영을 하며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관촉동 관촉사에 위치한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968년(고려 광종 19)에 제작한 높이 18m의 동양 최대 석불입상이다. 은진미륵은 고려시대의 불교예술을 대표한다. 2018년 4월 20일자로 보물 제218호에서 국보 제323호로 승격되었다. 미륵보살 옆에는 오층석탑과 석등(보물 제232호)이 있다.

양촌면에 있는 쌍계사는 고려 초기 사찰로 추정되며, 대웅전은 대한민국 보물 제408호로 지정되어 있다. 연꽃, 모란 등 6가지 무늬로 새겨진 꽃무늬 창살로 유명하다.

  • '''개태사'''


연산면 천호산 자락에 있는 개태사는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 건국을 기념하여 지은 개국사찰이다. 개태사는 고려 “대호국사찰”의 기능을 갖고 있었으며, 태조의 영정을 모시는 신전이었다. 대웅전에는 태조왕건이 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후 조성했다는 삼존석물이 있다. 이 개태사의 삼존석불은 조선시대 이전의 불상 중 걸작에 속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는데, 키가 큰 주존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좌협시불, 우협시불이 있다. 중앙의 본전불은 좌우 230cm, 앞뒤 216cm 방대형 대좌 위에 입상으로 되어 있다. 미륵삼존불상은 대한민국 보물 제219호로 지정되어 있다. 왕건 어진은 1993년 개성에서 출토된 왕건 상과 고려사를 비롯한 많은 역사서 등 고증 작업을 거쳐 2013년 6월 어진전을 복원하고 어진을 봉안하였다.[68]개태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제219호)이 있다.

  • '''노성산성'''


백제시대 화강암의 석재를 이용하여 둘레 약 1km로 축성된 산성으로 사적 393호로 지정된 문화재이다.

  • '''견훤왕릉'''


연무읍 금곡리에 있는 후백제 시조 견훤의 능이다. 조선 초기 편찬된 고려사 지리지에도 견훤의 무덤이 충청도 은진군 풍계촌에 위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충청남도 기념물 제26호.

원우(院宇)서북쪽에 돈암이라는 큰 바위가 있어 서원의 이름을 돈암(遯巖)이라 하였다 한다. 사계선생께서 세상을 떠난후 제자들이 선생을 추모하며 기리기 위하여 사우를 건립한 뒤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내려오다가 사당앞에 강당을 세우고 선생의 학문을 배우며 서로 뜻을 이어 내려 왔다. 현재 광산김씨종중 소유이며 대표적인 건물로는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보물 제1569호)이 있다.

조선 현종 13년(1672)에 건립되고, 숙종 8년(1682) 사액된 서원으로 윤황, 윤문거, 윤선거, 윤증 4인을 배향하고 있다. 대표적인 건물로는 논산 노강서원 강당(보물 제1746호)이 있다.

'''명소'''

  • 관촉사(灌燭寺)

'''축제'''

  • 논산 딸기 축제

:4월 초에 개최되는 논산시의 특산품인 딸기 축제. 1997년부터 개최되고 있다.

  • 젓갈 축제(10월경)
  • 대추 축제(11월경)
  • 곶감 축제(11월경)

8. 2. 축제


  • '''딸기 축제''' : 논산은 대한민국 최대의 딸기 생산지로서, 논산청정딸기산업특구로 지정되어 있다. 매년 4월 초 논산천변에서 개최된다. 가족과 함께 딸기밭에서 직접 딸기를 따고, 딸기잼, 딸기 케이크, 딸기 떡, 딸기 비빔밥, 딸기 퐁듀, 딸기 식혜 등을 체험할 수 있다. 다양한 딸기 공예품도 전시된다.[69] 1997년부터 개최되고 있다.
  • '''강경 발효젓갈축제''' : 과거 문전성시를 이루었던 강경의 명성을 되찾고, 지역특산물을 홍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매년 10월경 개최된다.[14]
  • '''양촌 곶감축제''' : 양촌은 양촌곶감의 품질을 인정받아 2006년 정부로부터 곶감특구로 지정되었으며, 양촌 곶감은 충청남도 품질인증 Q마크를 획득하였다. 매년 11월 인천리 논산천 둔치에서 개최된다.
  • '''연산 대추축제''' : 연산은 대한민국 대추 유통량의 40%를 점유하고 있는 집산지이다. 매년 10월 개최된다.
  • '''상월 명품고구마축제''' : 매년 9월 개최된다.
  • '''대둔산 수락계곡 얼음축제''' : 얼음봅슬레이, 눈썰매, 이글루, 전통놀이체험, 눈놀이터, 얼음성미끄럼, 얼음기둥, 얼음조각, 눈조각, 얼음빙벽, 포토존, 놀뫼특산물 등이 있다.
  • 백제문화제 : 인근 공주부여 지역에서 개최되나, 이와 별개로 황산벌전투재현이 계백장군유적지내 잔디광장에서 매년 10월 개최된다.

9. 출신 인물


  • 이인제(정치인): 세 차례 대한민국 대통령 후보를 지냈으며,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당적을 자주 변경하여 비판받기도 한다.[22][23]
  • 염홍철: 전 대전광역시 시장[25]
  • 고수(배우): 영화 및 텔레비전 배우
  • 박범신: 작가
  • 안희정(전 정치인): 전 충청남도지사. 성폭력 사건으로 인해 제명 및 출당되었다.

10. 자매 도시 및 우호 교류 도시

논산시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 및 우호 교류 관계를 맺고 있다.[21]

국내 자매 도시로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동구, 대전광역시 중구, 충청북도 제천시, 경기도 양평군, 경상북도 문경시, 경기도 수원시가 있다. 국외 자매 도시로는 중화인민공화국랴오닝성 진저우시, 허베이성 랑팡시, 산둥성 지닝시, 일본시즈오카현 고텐바시, 오사카부 하비키노시, 중화민국타오위안시, 몽골울란바토르 날라이흐구, 인도네시아동자와주 말랑이 있다.

10. 1. 국내

도시협정일
서울특별시 서초구2004년 11월 24일
서울특별시 강동구2016년 11월 2일
대전광역시 중구2016년 11월 28일
충청북도 제천시2016년 9월 28일
경기도 양평군2018년 3월 28일
경상북도 문경시2019년 11월 6일
경기도 수원시2021년 5월 20일

[21]

10. 2. 국외

국가도시체결일
중화인민공화국랴오닝성 진저우시2001년 6월 21일
중화인민공화국허베이성 랑팡시2004년 4월 6일
중화인민공화국산둥성 지닝시2015년 5월 27일
일본시즈오카현 고텐바시2016년 7월 28일
일본오사카부 하비키노시2017년 2월 21일
중화민국타오위안시2016년 10월 25일
몽골울란바토르 날라이흐구2017년 5월 24일
인도네시아동자와주 말랑2017년 7월 18일



논산시는 위에 나열된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21]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9-01 #추정 날짜. 월만 제공되었으므로 1일로 설정
[2] 웹사이트 논산 100주년 http://www.nonsan.go[...] 2014-01-01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되었으므로 1월 1일로 설정.
[3] 서적 눈산의 어제이야기 Nonsan Moon-hoa ueon
[4] 서적 Landownership under Colonial Rule: Korea's Japanese Experience, 1900-193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5] 서적 The Unfinished War: Korea https://books.google[...] Algora
[6] 웹사이트 Grocery prices carousel never stops spinning http://koreajoongang[...]
[7] 웹사이트 朝鮮日報 Chosunilbo (Japanese Edition) http://japanese.chos[...]
[8] 기타 Let Me Take You down to Nonsan 2007-02-16
[9] 뉴스 Korean National Defense University relocation done: ministry http://english.yonha[...]
[10] 웹사이트 http://www.sp.cnems.[...]
[11] 뉴스 1천년 전 제작된 국내 최대 석불 '은진미륵' 국보 된다 http://www.yonhapnew[...] 2018-02-13
[12] 웹사이트 http://museum.nonsan[...] Government of Nonsan
[13] 웹사이트 http://english.visit[...]
[14] 웹사이트 http://ggfestival.co[...]
[15] 웹사이트 http://nonsan.grandc[...]
[16] 웹사이트 http://tour.nonsan.g[...]
[17] 웹사이트 Nonsan http://english.nonsa[...]
[18] 웹사이트 http://joongangdaily[...]
[19] 웹사이트 http://www.sangsangm[...] Sangsangmadang.com
[20] 웹사이트 S. Korea pushes to register Confucian academies on UNESCO heritage list http://english.yonha[...]
[21] 웹사이트 Friendship Cities http://www.nonsan.go[...] Nonsan
[22] 뉴스 Can Minor Candidates Become Major Leaguers? https://www.koreatim[...] 2007-11-20
[23] 웹사이트 UDP decides to leave Rhee on the outside http://koreajoongang[...]
[24] 뉴스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09-06-22
[25] 뉴스 Profiles of Winners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0-06-02
[2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7] 뉴스 朝鮮の副業 : 農業方面より見て 京城日報 1923-10-05
[28] 서적 現在の韓国 https://dl.ndl.go.jp[...] 東京堂[ほか]
[29] 뉴스 湖南線沿道より (一〜七) 大阪毎日新聞 1913-10-10 #기간이므로 시작일만 기록
[30]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31] 법률 道令第8号 1917-09-25
[32]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33]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97号 1938-09-27
[34]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35] 법률 읍 설치에 관한 법률 1962-11-21
[36] 법률 大統領令第6542号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37] 법률 大統領令第11027号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38] 법률 大統領令第12007号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1986-12-23
[39] 법률 法律第4994号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12-06
[4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1] 기타
[42] 서적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은진현 http://sillok.histor[...]
[43] 서적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연산현 http://sillok.histor[...]
[44] 서적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이산현 http://sillok.histor[...]
[45] 뉴스 대전/충남 돈암서원… 윤증고택… 연산향교… 등 충청권 기호유교문화 재조명한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4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7] 법률 도령 제8호 1917-09-25
[4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4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09-27
[50] 법률 법률 제1177호 읍 설치에 관한 법률
[51]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52] 법률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12-06
[53] 웹사이트 논산시 일반현황 http://www.nonsan.go[...]
[54] 웹인용 논산시의 일반현항 https://www.nonsan.g[...] 2021-06-28
[55] 기타
[56]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57] 기타
[58] 기타
[59] 뉴스 '논산딸기' 지리적표시 단체표장 등록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60]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61] 웹사이트 충청남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62] 웹사이트 충청남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63] 웹인용 [트래블]100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간 강경 근대여행 http://news.khan.co.[...] 경향신문사 2007-12-05
[64] 뉴스 충청 기행 논산 탑정호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65] 뉴스 양촌면 오산리 산촌체험… ‘햇빛촌 바랑산마을’ http://www.newscl.ne[...] 연합뉴스 2013-11-21
[66] 뉴스 충청남도 자연휴양림 조성·보완 68억원 투입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67] 뉴스 그곳에 가면...양촌자연휴양림 ‘힐링 휴가지로 각광’ http://www.ezonenews[...] e지역뉴스 2014-06-26
[68] 뉴스 논산 개태사에서 고려 태조 왕건 어진 점안식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69] 뉴스 대전/충남 지금 떠나요 - 충남 논산 딸기축제장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