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러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러 관계는 대한민국과 러시아 간의 외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관계를 포괄하며, 역사적으로 복잡한 양상을 보여왔다. 러시아 제국 시기에는 수교를 맺고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으나, 러일전쟁 이후 단절되었다. 소련 시기에는 냉전 이념 대립으로 적대적 관계였으나,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관계 개선의 계기를 마련, 1990년 수교를 통해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러시아 연방 수립 이후 경제, 문화,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대한민국이 대러시아 제재에 동참하면서 관계가 악화되었다. 현재 북러 군사 협력 강화로 인해 한반도 안보에 새로운 위협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한국 관계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러시아-한국 관계 - 요나라
    요나라는 907년 야율아보기가 건국하여 거란족과 한족을 이원적으로 통치하며 불교, 유교, 도교, 샤머니즘이 융합된 문화를 형성했고, 북송과 대립하다가 금나라에 멸망했다.
  • 항공 정보 - 한미 관계
    한미 관계는 1882년 수교 이후 정치, 경제, 안보 등 다방면에서 협력과 경쟁을 거듭하며 발전해왔으나, 불평등 조약, 무력 충돌, 주한미군 문제, 경제적 이권 다툼, 북핵 문제 등으로 갈등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 항공 정보 - 버진 사모아
    버진 사모아는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홀딩스와 사모아 정부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피지, 사모아 등 섬들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항했으나, 사모아 정부의 투자 철수로 2017년 운항을 중단했다.
한러 관계
대한민국-러시아 관계
러시아와 대한민국 위치
러시아와 대한민국 위치
대사관주한 러시아 대사관
사절 계급대사
사절 (러시아)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사절 (대한민국)이도훈
역사
수교1990년 9월 30일
소련과의 관계대한민국-소련 관계
제재
러시아의 비우호국 지정대한민국은 러시아의 비우호국으로 지정됨.

2. 역사

나선 정벌 당시 조선군은 청나라군과 함께 러시아군과 싸웠으며, 이때 러시아는 아라사라고 불렸다.[35]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아이훈 조약(1858년)과 베이징 조약(1860년)을 통해 외만주를 차지하면서 녹둔도가 조선에 통보 없이 러시아 영토가 되었고, 두만강 하류를 경계로 양국은 국경을 맞대게 되었다. 러시아는 함경도 지역을 관측하며 조선에 수교를 요구했고, 조선인들의 연해주 이주 문제도 양국 간 현안이었다.

러시아는 동북아시아에서 대체로 수세적인 위치에 있었고, 한반도 정책은 안보·전략적 고려에서 수행되었다. 러시아는 다른 지역에서는 팽창 정책에 성공했지만, 동북아시아에서는 경쟁 해양세력 국가들의 견제를 받았고, 우방 국가 없이 고립되어 있었다. 따라서 러시아는 한반도에 접근할 때, 19세기 말이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처럼 자신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 수준에 만족했고, 한반도 자체에 대한 패권적인 기도는 하지 않았다.[36]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청나라와 함께 조선에 영향력을 키우면서 한러 관계가 본격화되었다. 1884년 조선러시아 제국은 조·러 통상 조약을 체결하여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후 대한제국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아관파천(1896~97년)을 계기로 러시아는 조선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러시아는 군사고문단 등을 통해 대한제국의 정치에 적극 개입하며 일본의 침략 정책에 제동을 걸었다. 1903년에는 러시아가 평안도 용암포를 무단 점령하고 조차를 요구하는 용암포 사건이 발생했다. 러일전쟁 직후인 1904년 2월 12일, 러시아 공사가 철수하면서 대한제국과 러시아는 국교가 단절되었다.[37] 러일 전쟁(1904년 2월 8일~1905년 가을)에서 일본이 승리한 후, 포츠머스 조약(1905년 9월 5일)을 통해 러시아는 일본의 조선 지배를 인정했다.[4]

소련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지원하며 일제강점기에 항일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그러나 스보보드니 학살 사건과 같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군을 학살하는 일도 벌어졌다.[46][47][48] 냉전 시대에는 이념적 대립으로 인해 대한민국과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특히 한국 전쟁(1950~1953년) 당시 소련은 북한을 지원하여 대한민국과 직접적인 군사적 충돌을 빚었다.[46][47][48] 1950년 1월 29일, 북조선 주재 소련 대사 테렌티 스티코프는 대한민국 정부의 비공개회의 내용을 외무부에 보고했는데, 그 내용은 분쟁 발생시 미국의 지원 가능성이 낮고, 미국의 대만 방어 의지가 약하며, 영국의 중국 승인이 서방의 북한 승인과 마찬가지라는 것이었다.[49]

한국전쟁 이후에도 소련은 북한과 조소 동맹조약을 체결하며 남한과 불편한 관계를 유지했고, 남한의 유엔가입에 계속 반대표를 던졌다.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은 양국 간 긴장을 더욱 심화시켰다.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개방 정책과 노태우 정부의 북방 정책은 양국 관계 개선의 계기를 마련했다.[5] 고르바초프는 1986년 7월 블라디보스토크 및 1988년 8월 크라스노야르스크 연설에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표명했다.[5] 한국은 소련의 경제 위기 완화를 위해 직접 투자, 합작 투자, 무역 등을 통해 협력하고자 했다.[5]

1988년 서울 올림픽은 양국 관계 개선의 주요 촉매제 역할을 했다. 6,000명 이상의 소련인이 한국을 방문했고, 소련 관광선이 부산과 인천에 왔으며, 아에로플로트 비행기가 서울에 착륙했다.[5] 1988년 11월 10일, 소련 정치국은 처음으로 한국과의 관계를 재검토했다.[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소련 상공회의소는 1988년에 무역 양해 각서를 교환하고, 1989년에 각각 무역 사무소를 개설했다.[5] 대우, 선경, 럭키금성 등 주요 한국 기업들은 1990년에 소련과 직접 무역을 했다.[5]

김영삼은 1989년 6월 모스크바를 방문했고, 크렘린은 사할린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의 한국 귀환을 허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 1990년 6월, 노태우샌프란시스코에서 고르바초프와 첫 정상 회담을 가졌고, 1990년 9월 30일, 대한민국과 소련은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5]

소련 붕괴 이후 대한민국과 러시아는 1991년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1992년 11월 20일, 양국은 국방 관계자와 해군 함정의 정기적인 상호 방문을 규정하는 의정서를 체결했다.[6] 1997년 7월 23일에는 양국 대통령 공식 관저 사이에 특별 통신망을 구축하는 "핫라인" 협정이 체결되었다.[7]

김대중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2001년)


노무현 대통령은 2004년 9월 모스크바를 방문했다.[9] 대한민국과 러시아는 북핵 문제에 관한 6자 회담의 참여국이다.

이명박 대통령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009년 5월 25일 핵실험을 실시한 이후, 이명박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당시 러시아 대통령은 전화 통화에서 유엔의 조치를 포함한 강력한 국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러시아는 새로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결의안에 대해 서울과 협력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문제에 대한 국제 회담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3년 11월, 러시아와 대한민국은 사증 면제 협정을 체결했다.[10]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 두마에서 연설하는 모습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러시아를 국빈 방문하여 국가 두마에서 연설했는데, 이는 러시아 의회에서 연설한 최초의 대한민국 지도자였다.[11]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회담을 갖고 자유 무역 지역 설립을 위한 문건에 서명했다.[12]

2018년 8월 28일, 양국 공군 간의 직통 통신 회선 설치에 합의했다.[1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러시아는 대한민국을 비우호 국가 명단에 올렸다.[14]

2024년 6월, 북한과 러시아는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했다.[15] 이에 대한민국은 우크라이나에 군사 장비 지원을 고려하겠다고 밝혔으며,[16] 푸틴은 대한민국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을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17] 6월 22일, 대한민국은 러시아 대사를 초치하여 항의했다.[18]

대한민국은 북한이 유엔 결의안 위반으로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한 혐의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 러시아 대사를 소환했다.[19]

2. 1. 러시아 제국 시기

나선 정벌 당시 조선군은 청나라군과 함께 러시아군과 싸운 경험이 있었다. 이때 러시아는 아라사라고 불렸다.[35]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아이훈 조약(1858년)과 베이징 조약(1860년)을 통해 외만주를 차지하면서 녹둔도가 조선에 통보 없이 러시아 영토가 되었고, 두만강 하류를 경계로 양국은 국경을 맞대게 되었다. 러시아는 함경도 지역을 관측하며 조선에 수교를 요구했고, 조선인들의 연해주 이주 문제도 양국 간 현안이었다.

러시아는 동북아시아에서 대체로 수세적인 위치에 있었고, 한반도 정책은 안보·전략적 고려에서 수행되었다. 러시아는 다른 지역에서는 팽창 정책에 성공했지만, 동북아시아에서는 경쟁 해양세력 국가들의 견제를 받았고, 우방 국가 없이 고립되어 있었다. 따라서 러시아는 한반도에 접근할 때, 19세기 말이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처럼 자신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 수준에 만족했고, 한반도 자체에 대한 패권적인 기도는 하지 않았다.[36]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청나라와 함께 조선에 영향력을 키우면서 한러 관계가 본격화되었다. 1884년 조선러시아 제국은 조·러 통상 조약을 체결하여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후 대한제국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아관파천(1896~97년)을 계기로 러시아는 조선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러시아는 군사고문단 등을 통해 대한제국의 정치에 적극 개입하며 일본의 침략 정책에 제동을 걸었다. 1903년에는 러시아가 평안도 용암포를 무단 점령하고 조차를 요구하는 용암포 사건이 발생했다. 러일전쟁 직후인 1904년 2월 12일, 러시아 공사가 철수하면서 대한제국과 러시아는 국교가 단절되었다.[37] 러일 전쟁(1904년 2월 8일~1905년 가을)에서 일본이 승리한 후, 포츠머스 조약(1905년 9월 5일)을 통해 러시아는 일본의 조선 지배를 인정했다.[4]

2. 2. 소련 시기

소련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지원하며 일제강점기에 항일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그러나 스보보드니 학살 사건과 같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군을 학살하는 일도 벌어졌다.[46][47][48] 냉전 시대에는 이념적 대립으로 인해 대한민국과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특히 한국 전쟁(1950~1953년) 당시 소련은 북한을 지원하여 대한민국과 직접적인 군사적 충돌을 빚었다.[46][47][48] 1950년 1월 29일, 북조선 주재 소련 대사 테렌티 스티코프는 대한민국 정부의 비공개회의 내용을 외무부에 보고했는데, 그 내용은 분쟁 발생시 미국의 지원 가능성이 낮고, 미국의 대만 방어 의지가 약하며, 영국의 중국 승인이 서방의 북한 승인과 마찬가지라는 것이었다.[49]

한국전쟁 이후에도 소련은 북한과 조소 동맹조약을 체결하며 남한과 불편한 관계를 유지했고, 남한의 유엔가입에 계속 반대표를 던졌다.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은 양국 간 긴장을 더욱 심화시켰다.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개방 정책과 노태우 정부의 북방 정책은 양국 관계 개선의 계기를 마련했다.[5] 고르바초프는 1986년 7월 블라디보스토크 및 1988년 8월 크라스노야르스크 연설에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표명했다.[5] 한국은 소련의 경제 위기 완화를 위해 직접 투자, 합작 투자, 무역 등을 통해 협력하고자 했다.[5]

1988년 서울 올림픽은 양국 관계 개선의 주요 촉매제 역할을 했다. 6,000명 이상의 소련인이 한국을 방문했고, 소련 관광선이 부산과 인천에 왔으며, 아에로플로트 비행기가 서울에 착륙했다.[5] 1988년 11월 10일, 소련 정치국은 처음으로 한국과의 관계를 재검토했다.[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소련 상공회의소는 1988년에 무역 양해 각서를 교환하고, 1989년에 각각 무역 사무소를 개설했다.[5] 대우, 선경, 럭키금성 등 주요 한국 기업들은 1990년에 소련과 직접 무역을 했다.[5]

김영삼은 1989년 6월 모스크바를 방문했고, 크렘린은 사할린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의 한국 귀환을 허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 1990년 6월, 노태우샌프란시스코에서 고르바초프와 첫 정상 회담을 가졌고, 1990년 9월 30일, 대한민국과 소련은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5]

2. 3. 러시아 연방 시기

소련 붕괴 이후 대한민국과 러시아는 1991년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1992년 11월 20일, 양국은 국방 관계자와 해군 함정의 정기적인 상호 방문을 규정하는 의정서를 체결했다.[6] 1997년 7월 23일에는 양국 대통령 공식 관저 사이에 특별 통신망을 구축하는 "핫라인" 협정이 체결되었다.[7]

노무현 대통령은 2004년 9월 모스크바를 방문했다.[9] 대한민국과 러시아는 북핵 문제에 관한 6자 회담의 참여국이다.

2013년 11월, 러시아와 대한민국은 사증 면제 협정을 체결했다.[10]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러시아를 국빈 방문하여 국가 두마에서 연설했는데, 이는 러시아 의회에서 연설한 최초의 대한민국 지도자였다.[11]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회담을 갖고 자유 무역 지역 설립을 위한 문건에 서명했다.[12]

2018년 8월 28일, 양국 공군 간의 직통 통신 회선 설치에 합의했다.[1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러시아는 대한민국을 비우호 국가 명단에 올렸다.[14]

2024년 6월, 북한과 러시아는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했다.[15] 이에 대한민국은 우크라이나에 군사 장비 지원을 고려하겠다고 밝혔으며,[16] 푸틴은 대한민국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을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17] 6월 22일, 대한민국은 러시아 대사를 초치하여 항의했다.[18]

대한민국은 북한이 유엔 결의안 위반으로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한 혐의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 러시아 대사를 소환했다.[1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009년 5월 25일 핵실험을 실시한 이후, 이명박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당시 러시아 대통령은 전화 통화에서 유엔의 조치를 포함한 강력한 국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러시아는 새로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결의안에 대해 서울과 협력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문제에 대한 국제 회담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3. 정치·외교 관계

소련과 대한민국은 1990년 9월 30일까지 외교 관계가 없었으나,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 연방이 소련을 승계하면서 관계가 이어졌다.

2023년 현재 러시아는 서울에 대사관, 부산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모스크바에 대사관, 상트페테르부르크, 이르쿠츠크, 블라디보스토크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1990년대 초 수교 이후 양국은 활발히 교류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제재에 동참하면서 관계가 경색되었다.[14] 러시아는 대한민국을 비우호 국가 명단에 포함했다.[14]

2024년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여 양국 간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하면서 한반도 안보 지형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15]

3. 1. 대한민국-소련 수교 과정

노태우 정부북방 정책은 소련의 대한 외교 정책 변화와 맞물려 실행되었다. 북방 정책은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 수립 이후, 궁극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및 소련과의 외교 관계 수립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은 1988년 하계 올림픽에 사회주의 국가들을 초청하였고,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소련 대표팀은 금메달 55개로 종합 1위를 차지하였다.[46][47][48]

1990년 6월 4일 노태우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대통령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역사적인 한국·소련 정상회담을 가졌고, 9월 30일 한국·소련 국교 정상화를 이루었다.[49] 1990년 12월 14일에는 노태우 대통령이 소련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한국·소련 정상회담을 갖고 모스크바 선언을 채택했다. 1991년 4월 19일에는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대한민국 제주도를 방문하여 한반도의 냉전 종식 및 한소 경제 협력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한국·소련 정상회담을 가졌다.

수교 이후 양국은 각자의 수도에 대사관을 설치하였으며, 총영사관 및 영사관 또한 설치하였다. 주소련 대한민국 대사관 초대 대사는 공로명이었다. 한-소 수교 당시 대한민국은 소련에 30억달러의 차관을 제공하기로 합의하였다.[50]

3. 2. 수교 이후 양국 관계 발전

1990년 9월 30일 한국과 소련의 국교 정상화 이후, 대한민국과 러시아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확대해왔다. 양국은 각자의 수도에 대사관을 설치하였으며, 총영사관 및 영사관도 설치하였다.[50]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초대 대사는 공로명이었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된 이후 러시아 연방이 소련의 국가 승계를 주장하면서, 한소 관계는 한러 관계로 개편되었다. 오늘날 두 나라는 경제, 문화, 군사, 우주 개발, 정치에서 대폭적인 협력을 이루고 있다. 한국은 러시아와의 불곰사업을 통해서 자체 유도미사일과 기갑 차량 장비의 현대화를 추진할 수 있었다.[50]

2010년 9월 30일, 한러수교 20주년을 맞이했다. 지난 17년간 한러간 교역량은 52배 증가했다.[51] 2009년 4월 11일에는 러시아산 천연가스가 가스공사 통영생산기지를 통해 국내에 최초로 도입되었고,[52] 2010년 1월 GS칼텍스는 한국 최초로 러시아산 원유(ESPO) 75만 배럴을 수입했다.[53]

2010년 6월 3일 대우조선해양은 극동 블라디보스토크 지역에 기존의 군함 건조용 쯔베즈다 조선소를 확충하여 상선, 해양, 특수선 분야를 모두 갖춘 러시아 최대 규모 조선소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54] 2010년 9월 21일에는 현대자동차가 15만대 규모인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을 준공했다. 시제품에는 정몽구 회장을 태우고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가 직접 운전을 하기도 했다.[55]

2000년대 후반부터는 의료관광을 목적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하는 러시아인들이 많아졌다.[56] 2014년 1월 1일부터는 대한민국과 러시아 간 무비자 관광이 시행되어 양국 국민은 비자 없이 상대국을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57][58]

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양국 관계는 악화일로를 겪고 있다.

3. 3. 최근 양국 관계의 변화와 과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제재에 동참하면서 양국 관계는 경색되기 시작했다.[14] 러시아는 대한민국을 비우호 국가 명단에 올렸다.[14]

2024년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여 양국 간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했다.[15] 이는 북러 정상회담을 통해 체결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으로,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을 포함하고 있어 한반도 안보 지형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장비 지원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16] 푸틴은 대한민국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을 하지 말라고 경고하며, 그렇지 않으면 "현 대한민국 지도부를 기쁘게 할 것 같지 않은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17]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이 유엔 결의안을 위반하고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한 혐의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며 러시아 대사를 초치했다.[18][19] 보도에 따르면 북한 특수부대가 러시아에서 훈련을 받았으며, 군복을 받는 영상이 공개되었다.[19]

더불어민주당윤석열 정부의 외교 정책 실패가 북러 밀착을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비판하며,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균형 외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4. 경제 협력

대한민국과 러시아는 러시아 극동 지역의 나홋카 자유 경제 구역에 양국 간 산업 단지 건설, 이르쿠츠크 가스전 개발에 협력하고 있다.[21][22] 러시아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통해 한국의 유럽 수출품을 운송하는 통로가 되는 것에 관심을 표명했다.[21][22]

4. 1. 주요 경제 협력 분야

에너지 분야에서는 천연가스, 원유 도입 등 자원 개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해주 지역의 광물 자원 공동 개발도 진행 중이다. 인프라 건설 분야에서는 항만, 도로, 철도 건설에 협력하고 있다. 특히, 남북 철도를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연결하는 사업은 한국의 유럽 수출품 운송에 중요한 통로가 될 수 있어 러시아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21][22]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우주 개발, 기초 과학 공동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연해주 지역 농업 개발 협력이 활발하다. 경상남도는 2010년 6월부터 연해주 미하일로프카군에 50ha 규모의 경남농장을 운영하며 콩을 재배하고 있다.[59][60] 현대중공업도 연해주에 대규모 농지를 마련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러시아는 철도 사업과 같은 북한과의 공동 투자 사업을 통해 한국에 대한 17억 달러의 부채를 상환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23]

5. 인적 교류

러시아에는 15만 명의 고려인들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19세기조선에서 이주한 사람들의 후손이다. 이들은 주로 연해주에 거주했으며, 러시아어를 습득하고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면서 정착했다. 그러나 스탈린에 의해 1930년대 후반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를 당했다.[26]

사할린 한인은 사할린 섬에 존재하는 별도의 한국인 공동체이다. 이들은 일제강점기경상도전라도에서 이주해 왔으며,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을 채우기 위해 일본 정부에 의해 강제로 징용되어 탄광에서 일했다.[27]

대한민국에는 1만 명 이상의 러시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1990년대부터 대한민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으며, 주로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다.[28]

2014년부터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는 무비자로 60일 동안 러시아에 입국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 또한 러시아 여권 소지자에게 60일 동안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있다.[29][30]

5. 1. 고려인

러시아에는 15만 명의 고려인들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19세기조선에서 이주한 사람들의 후손이다. 이들은 주로 연해주에 거주했으며, 러시아어를 습득하고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면서 정착했다. 그러나 스탈린에 의해 1930년대 후반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를 당했다.[26] 소련 붕괴 이후 고려인들은 재이주했는데, 거의 대부분 한국어를 모르지만 한국 문화는 보존하면서 한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고려인은 구 소련 국가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민족 한국인들이 자신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명칭이다. 이들은 19세기 후반 러시아 극동에 살았던 한국인들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그들 중 대부분은 1910년 일제의 한국 강점 이후 러시아로 피신했다. 대부분의 고려인은 스탈린의 "국경 정화" 정책의 일환으로 1937년 소련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로 강제 이주되었다.

현재 구 소련(USSR)에는 약 50만 명의 고려인이 있으며, 주로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에 거주하고 있다. 1990년 이후 많은 수의 고려인이 러시아 또는 대한민국으로 돌아왔다. 현재 대규모 고려인 공동체는 러시아 남부 (볼고그라드 주변), 코카서스, 그리고 우크라이나 남부에 거주하고 있다.

5. 2. 재러 한인

고려인은 구 소련 국가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민족 한국인들이 자신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명칭이다. 이들은 19세기 후반 러시아 극동 지역에 살았던 한국인들로부터 시작되었다.[26] 1910년 일제의 한국 강점 이후 많은 한국인들이 러시아로 피신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1937년 스탈린의 "국경 정화" 정책으로 소련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로 강제 이주되었다.

현재 구 소련에는 약 50만 명의 고려인이 있으며, 주로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에 거주한다. 1990년 이후 많은 고려인이 러시아 또는 대한민국으로 돌아왔다. 현재 대규모 고려인 공동체는 러시아 남부 (볼고그라드 주변), 코카서스, 우크라이나 남부에 있다.

사할린 한인은 사할린 섬에 존재하는 별도의 한국인 공동체이다. 일부는 스스로를 고려인으로 여기지만, 많은 이들이 그렇지 않다. 사할린 한인들의 조상은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초 일제강점기경상도전라도에서 이주해 왔으며,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을 채우기 위해 일본 정부에 의해 강제로 징용되어 탄광에서 일했다.[27]

2014년부터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는 무비자로 60일 동안 러시아에 입국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 또한 러시아 여권 소지자에게 60일 동안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있다.[29][30]

5. 3. 재한 러시아인

대한민국에는 1만 명 이상의 러시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1990년대부터 대한민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으며, 주로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다.[28] 노동자, 학자, 의사로 일하러 오는 사람들도 있으며, 일부는 한국인과 결혼한 사람들도 있다. 2009년에는 부산에서 부산러시아학교가 개교되기도 했다. 주로 슬라브족 혈통을 가진 사람들이나 독일인, 타타르족, 유대인, 우크라이나인, 고려인 등 소수민족의 혈통을 가진 사람들도 거주하고 있다.

6. 문화 교류

한국과 러시아 양국 간의 문화 교류는 공식적인 외교 관계 수립 이전부터 이루어졌다. 1970년대까지 한국 고전 소설이 러시아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31] 2018년을 기준으로 한국어는 러시아에서 세 번째로 인기 있는 외국어이며, 러시아는 대학교 수준의 한국어 및 한국학 강좌와 프로그램 수가 네 번째로 많은 국가이다.[32]

19세기 말 러시아 정교회가 조선에 전파되어 한국 정교회의 기원이 되었다.[1]

6. 1. 한국 문화의 러시아 전파

한국과 러시아 양국 간의 문화 교류는 공식적인 외교 관계가 수립되기 이전부터 이루어진 사례가 있었다. 1970년대까지 한국 고전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 문학이 러시아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31]

2018년을 기준으로 한국어는 러시아에서 세 번째로 인기 있는 외국어이다. 러시아는 대학교 수준의 한국어 및 한국학 강좌와 프로그램 수가 네 번째로 많은 국가이기도 하다.[32]

6. 2. 러시아 문화의 한국 전파

러시아 정교회는 19세기 말 조선에 전파되어 한국 정교회의 기원이 되었다.[1]

참조

[1] 뉴스 Russia adds Japan to "unfriendly" countries, regions list in sanctions countermeasure https://mainichi.jp/[...] 2023-09-23
[2] 뉴스 Russia ends WTO talks with S. Korea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7-05-28
[3] 간행물 Economic Relations between Russia and South Korea in the New Northern Policy http://www.keia.org/[...] Korea Economic Institute of America
[4] 웹사이트 Россия - Корея: взгляд из прошлого в настоящее (Russia – Korea: a view from the past into the present) http://www.torkunov.[...]
[5] 간행물 Relations with the Soviet Union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1990-06-01
[6] 문서 Chronology of principal defenceand security-related agreements and initiatives involving the Russian Federation and Asian countries, 1992–99
[7] 문서 Chronology of principal defence and security-related agreements and initiatives involving the Russian Federation and Asian countries, 1992–99
[8] 뉴스 Russia makes up lost ground with Korean proposals http://www.atimes.co[...] Asia Times 2007-05-29
[9] 뉴스 South Korean president's visit to boost ties with Russia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7-05-28
[10] 웹사이트 Russia, S. Korea Sign Visa-Free Agreement http://en.ria.ru/wor[...]
[11] 웹사이트 Президент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Мун Чжэ Ин выступил в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Думе http://duma.gov.ru/n[...]
[12] 뉴스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in Russia to Boost Economic Ties https://www.news18.c[...]
[13] 뉴스 S. Korea, Russia to Install Direct Air force Communication Line http://world.kbs.co.[...] kbs.co.kr 2018-08-30
[14] 웹사이트 Russia to bar people from a growing list of "unfriendly" nations as sanctions over Putin's Ukraine war bite https://www.cbsnews.[...] 2022-10-28
[15] 웹사이트 Russia and North Korea sign partnership deal that appears to be the strongest since the Cold War https://apnews.com/a[...] 2024-06-22
[16] 웹사이트 South Korea blasts Russia-North Korea deal, says it will consider possible arms supplies to Ukraine https://www.voanews.[...] 2024-06-22
[17] 웹사이트 Putin warns South Korea against arming Ukraine https://www.bbc.com/[...] 2024-06-22
[18] 웹사이트 South Korea summons Russian ambassador as tensions rise with North Korea https://apnews.com/a[...] 2024-06-22
[19] 뉴스 South Korea summons Russian envoy over North Korean troop deployment https://abcnews.go.c[...] 2024-10-21
[20] 웹사이트 Генеральное Консульство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в г.Владивостоке https://overseas.mof[...]
[21] 뉴스 Putin pledges support for reconciliation on Korean Peninsula http://www.findartic[...] Kyodo 2007-05-29
[22] 뉴스 Russia, South Korea close to Railroad Agreement MosNews 2006-02-27
[23] 학술지 Russia, China, Japan, and South Korea to launch new sea route linking China and Japan http://www.jamestown[...] 2007-05-29
[24] 웹사이트 韩国总统表示韩俄两国将继续进行太空合作 (The Korea president said that South Korea and Russia will continue to cooperate in space) https://news.ifeng.c[...] 2024-09-14
[25] 웹사이트 [视频]韩国首位宇航员:太空之旅令人难忘_cctv.com提供 (The Korea president said that South Korea and Russia will continue to cooperate in space.) http://news.cctv.com[...] 2024-09-14
[26] 서적 Overseas Koreans Jimoondang
[27] 뉴스 Koreans in Russia: Historical Perspective http://times.hankook[...] Korea Times 2006-11-20
[28] 뉴스 A taste of Russia in heart of Seoul http://english.seoul[...] Korea JoongAng Daily 2007-05-28
[29] 웹사이트 О вступлении в силу Соглашения между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о взаимной отмене визовых требований - Новости - Министерство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archive.mid.[...] 2024-09-14
[30] 웹사이트 Президенты РФ и Южной Кореи договорились о безвизовом режиме https://www.rg.ru/20[...] 2024-09-14
[31] 학술지 러시아어권으로 소개된 한국문학- 70년대까지 고전중심으로 활발히 소개, 80년대부터 급감 http://www.daesan.or[...] 2011-09-20
[32] 웹사이트 Challenges and Prospec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Russia https://sinonk.com/2[...] 2023-05-08
[33] 웹인용 Russian government approves list of unfriendly countries https://tass.com/pol[...] Russian News Agency TASS 2022-09-15
[34] 웹인용 Russian government approves list of unfriendly countries and territories https://tass.com/pol[...] Russian News Agency TASS 2022-09-15
[35] 웹인용 [이덕일의 칼날 위의 歷史] #11. "명나라 군대 주둔은 절대 불가하옵니다" https://www.sisajour[...] 시사저널 2024-06-21
[36] 백과사전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7] 뉴스 1904년 러일전쟁 서막 연 제물포해전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04-02-00
[38] 서적 한반도 평화체제: 자료와 해제 https://repo.kinu.or[...] 통일연구원 2007-00-00
[39] 웹인용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 북한-러시아 간 무기 이전 https://ipdefensefor[...] 2024-06-21
[40] 웹인용 [단독] “북, 러시아에 KN-23 60기 수출…우크라 전쟁 판도 바꿨다” https://news.kbs.co.[...] 2024-06-21
[41] 웹인용 “전쟁 불사하겠다”더니 핵심 무기 수출…북한의 아이러니 https://www.joongang[...] 2024-06-21
[42] 웹인용 북러 "전쟁상태 처하면 지체없이 군사원조"…조약 전문 공개(종합2보) https://www.hankyung[...] 2024-06-21
[43] 웹인용 북러 '상호 군사 원조' 못 박아… 연합 훈련 넘어 자동개입으로 가나 https://m.hankookilb[...] 2024-06-21
[44] 웹인용 [사설] ‘군사동맹 조약’ 맺은 북·러, 여야 초당적 해법 모색해야 https://m.khan.co.kr[...] 2024-06-21
[45] 웹인용 [자막뉴스] 北 위협하는 中 묘한 기류...흔들리는 '삼각관계' https://www.ytn.co.k[...] 2024-06-21
[46] 웹인용 Multiple Perspectives on the Korean War https://koreanwarleg[...] 2024-06-21
[47] 웹인용 러시아의 6.25 관련문서, 김일성이 한국전쟁 주도 https://news.kbs.co.[...] 2024-06-21
[48] 웹인용 동북아역사넷 < 동북아역사재단 http://contents.nahf[...] 2024-06-21
[49] 뉴스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2>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4-07-22
[50] 서적 북방정책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00-00
[51] 뉴스 韓-러시아, 교역 지난 17년간 52배 증가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0-09-29
[52] 뉴스 러시아산 천연가스 국내 첫 도입 https://news.naver.c[...] 내일신문 2009-04-10
[53] 뉴스 GS칼텍스, 러시아산 원유 첫 도입 http://www.e2news.co[...] 이투뉴스 2010-02-08
[54] 뉴스 대우조선해양 러시아에 합작조선소 설립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0-06-03
[55] 뉴스 현대차, 러시아 공장 준공‥푸틴 총리 ‘쏠라리스’ 시운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9-21
[56] 뉴스 대형병원에 러시아 환자 ‘북적’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2-06
[57] 뉴스 내일부터 60일간 러시아 무비자로 방문가능 https://news.naver.c[...]
[58] 뉴스 한·러 무비자 관광…여행·의료업계 ‘기대’ https://news.naver.c[...]
[59] 뉴스 https://news.naver.c[...]
[60] 뉴스 https://news.naver.c[...]
[61] 뉴스 https://news.naver.c[...]
[62] 뉴스 대한항공, 이르쿠츠크 신규 취항 https://web.archive.[...] 경북일보 2011-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