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퍼클립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이퍼클립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이 독일의 과학 기술력을 활용하기 위해 실시한 비밀 작전이다. 이 작전은 독일 과학자, 기술자 및 그 가족들을 미국으로 데려와 군사 및 과학 연구에 참여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45년 7월에 시작된 오버캐스트 작전에서 파생되었으며, 로켓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들은 주로 V-2 로켓 개발과 관련된 인물들로, 미국의 우주 개발 및 군사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나치당과의 연관성 등, 이들의 과거 행적에 대한 논란과 조사가 뒤따르기도 했다. 페이퍼클립 작전은 소련의 유사 작전에 대응하기 위한 측면도 있었으며, 항공 우주 분야 외에도 다양한 과학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국은 나치 독일의 첨단 과학 기술과 핵심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전쟁의 승패와 전후 세계 질서에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1945년 2월, 연합군 원정군 최고 사령부(SHAEF)는 독일의 과학 기술 및 산업 시설을 조사하고 활용하기 위해 T-Force라는 특별 부대를 창설했다. T-Force는 6월까지 2,000명 이상으로 규모가 커졌으며, 합성 고무, 신형 장갑 설계, V-2, 제트 및 로켓 추진 항공기, 해군 장비, 항공 의학 연구 등 5,000개 이상의 목표를 조사하며 독일의 과학 및 산업 분야 핵심 인물들을 찾아 나섰다.[1]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군은 독일의 첨단 과학 기술과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을 시작했다. 1945년 2월 창설된 연합군 원정군 최고 사령부(SHAEF) 소속 T-Force는 독일 내 주요 연구 시설과 산업 목표를 조사하며 V-2 로켓, 제트 추진 항공기 등 첨단 기술과 관련 전문가 확보에 나섰다.[1] 연합군 진격 과정에서 확보된 독일 과학자들은 초기에는 파리 근교, 이후 프랑크푸르트 외곽 크란스베르크 성에 마련된 캠프 더스트빈과 같은 시설에서 관리 및 심문을 받았다.
2. 배경 및 오버캐스트 작전
1945년 4월 말, 연합군이 독일 본토로 진격하면서 다수의 독일 과학자들이 발견되기 시작했다. 이에 T-Force 산하에 적군 인력 활용 부서가 신설되어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심문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부서는 처음에는 파리 근처에, 이후에는 프랑크푸르트 외곽의 크란스베르크 성에 캠프 더스트빈이라는 구금 및 심문 시설을 운영했다.
태평양 전쟁을 조기에 종결시키고 전후 미국의 군사 연구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합동 참모 본부(JCS)는 1945년 7월 20일, Operation Overcasteng(오퍼레이션 오버캐스트)라는 이름의 비밀 프로그램을 승인했다. 이 작전명은 처음 독일 과학자들과 그 가족들이 바이에른에 마련된 임시 수용소에 붙인 이름에서 유래했다. 오버캐스트 작전을 통해 독일의 우수한 과학자들을 선별하여 미국으로 데려오려는 계획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미국 육군 병기청의 로버트 B. 스타버(Robert B. Staver) 소령은 이 작전의 초기 단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는데, 그는 1945년 5월 22일 미국 전쟁부에 전문을 보내 확보한 독일 과학자 중 100명을 태평양 전쟁에 활용하기 위해 미국으로 즉시 이송해야 한다고 건의하기도 했다.[11] 오버캐스트 작전 대상자 대부분은 발트해 연안의 페네뮌데에서 V-2 로켓 개발에 참여했던 기술자들이었으며, 이들은 처음 란츠후트에 수용되었다.[12]
1945년 늦여름, JCS는 오버캐스트 작전과 이후의 후속 작전을 직접 감독하기 위해 합동 정보 목표국(Joint Intelligence Objectives Agency, JIOA)을 설립했다. JIOA에는 육군, 해군, 공군의 정보 책임자와 미국 국무부 대표가 참여했다.
그러나 "오버캐스트 캠프"라는 이름이 점차 외부로 알려지면서 작전의 비밀 유지가 어려워지자, 1945년 11월 작전명은 Operation Paperclipeng(페이퍼클립 작전)으로 변경되었다. 이 새로운 이름은 미국 육군 병기 부대 장교들이 미국으로 데려올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과학자의 서류에 페이퍼클립을 꽂아 표시했던 것에서 유래했다.
초기에 페이퍼클립 작전은 임박한 냉전 구도 속에서 소련을 직접적으로 겨냥했다기보다는, 독일의 고급 과학 기술이 전쟁 중 중립을 지켰던 제3국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데 더 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 아래 진행된 작전을 Project Safehaveneng(프로젝트 세이프헤이븐)이라고도 부른다.[2][15] 미국은 특히 1945년 7월 1일부로 소련 점령 지역이 될 예정이었던 작센과 튀링겐 지역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베를린을 비롯한 여러 지역의 독일 연구 시설과 인력들이 전쟁 막바지에 이곳으로 피난했기 때문이다. 미국은 이 지역의 과학 기술 인력을 소련보다 먼저 확보하기 위해 서둘러 '대피 작전'을 개시하여, 1947년까지 약 1,800명의 기술자와 과학자, 그리고 3,700명에 달하는 그들의 가족들을 미군 점령 지역으로 이동시켰다.[17] 이에 대응하여 소련 역시 1946년 10월 22일 오소아비아힘 작전을 통해 2,200명 이상의 독일 전문가와 그 가족들을 소련으로 이주시켰다.[3]
과학자 확보 및 활용에 대한 법적 근거도 마련되었다. 1946년 4월 26일, 합동 참모 본부는 아이젠하워 장군에게 JCS 1067/14 지침을 하달하여, 군사 연구 관련 기록, 문서, 장비 등을 확보하고, 전쟁 범죄자를 제외한 독일 과학자들을 정보 수집 목적으로 필요시 구금하도록 지시했다.[11][6]
1946년 9월 3일, 트루먼 대통령은 비밀 지령을 통해 페이퍼클립 작전을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그 규모를 독일 과학자 1,000명을 "임시적이고 제한적인 군사적 구금" 하에 두는 것까지 확대했다.[4] 이러한 은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페이퍼클립 작전의 존재는 1946년 12월 초 언론 보도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5][11][10][13]
2. 1. 오젠베르크 리스트
제2차 세계 대전 후반기, 독일은 바르바로사 작전(1941년 6월~12월)과 청색 작전(1942년 6월~1943년 2월)을 통해 소련 정복에 실패하면서 물류 측면에서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 전쟁이 장기화되고 자원이 고갈되면서 독일의 군산 복합체는 붉은 군대의 서진을 막아낼 준비가 부족했다.[58] 이에 독일 정부는 1943년 초부터 소련과의 장기전에 대비하고 방어력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 개발에 투입할 과학자, 엔지니어, 기술자들을 전투 부대에서 소환하기 시작했다. 이전까지는 과학자나 기술자에 대한 징병 유예 제도가 없었다. 이 조치로 최전선에서 싸우던 많은 기술 인력들이 연구 현장으로 복귀했으며, 대표적으로 독일 북동부 해안의 페네뮌데로 4,000명의 로켓 과학자들이 돌아왔다.[21][7] 당시 상황에 대해 디터 K. 후젤은 "하룻밤 사이에, 박사 학위 소지자들은 군대 내 잡무에서 해방되었고, 과학 석사들은 정리병에서 소환되었으며, 수학자들은 제빵소에서 끌려나왔고, 정밀 기계공들은 트럭 운전사를 그만두게 되었다"고 기록했다.
정부는 소환할 인재를 식별하고 그들의 정치적, 이념적 신뢰성을 확인해야 했다. 이 임무는 국방 연구 협회(Wehrforschungsgemeinschaftde)를 이끌던 하노버 대학교의 공학자 베르너 오젠베르크가 맡았다.[52] 그는 정치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 과학자들의 이름을 목록으로 만들었는데, 이것이 바로 오젠베르크 리스트이다. 이 명단에 오른 인물들은 우선적으로 연구 개발 업무에 복귀할 수 있었다.[8]
1945년 3월, 본 대학교에서 일하던 한 폴란드인 실험실 기술자가 제대로 내려가지 않은 화장실 변기에서 잘게 찢어진 오젠베르크 리스트의 조각들을 우연히 발견했다.[54] 이 명단은 영국 비밀 정보부인 MI6에 전달되었고, MI6는 다시 이를 미국 정보 기관에 넘겼다.[9][11] 미국 육군 병기청 연구 및 정보국의 제트 추진 부서장이었던 로버트 B. 스타버(Robert B. Staver) 소령은 이 오젠베르크 리스트를 입수하여, 연합군이 체포하고 심문할 독일 과학자들의 명단, 이른바 "블랙리스트"를 작성하는 데 활용했다. 이 블랙리스트의 최상단에는 독일 최고의 로켓 과학자로 평가받던 베르너 폰 브라운의 이름이 있었다.[10][53]
3. 작전의 전개
독일 과학자 확보의 핵심적인 계기는 '오젠베르크 리스트'였다. 1943년부터 독일은 전쟁 수행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 인력을 확보했는데, 이때 작성된 정치적으로 신뢰할 만한 과학자 명단이 바로 오젠베르크 리스트였다.[8] 이 명단이 1945년 3월 연합군 손에 들어가면서[9][11], 미국 육군 소령 로버트 B. 스타버는 이를 활용해 확보 대상 독일 과학자 명단을 작성했고, 여기에는 베르너 폰 브라운과 같은 핵심 로켓 과학자들이 포함되었다.[10]
1945년 7월 20일, 미국 합동 참모 본부(JCS)는 태평양 전쟁 종결을 앞당기고 전후 군사 연구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독일 과학자들을 미국으로 데려오는 비밀 프로그램 '오퍼레이션 오버캐스트'를 승인했다. '오버캐스트'는 과학자 가족들이 머물던 임시 수용소 이름에서 유래했으나, 이름이 노출되자 1945년 11월, 대상자의 서류에 페이퍼클립을 꽂아 분류하던 관행을 따라 '오퍼레이션 페이퍼클립'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작전의 효율적인 감독을 위해 육군, 해군, 공군 정보 책임자와 국무부 대표가 참여하는 합동 정보 위원회(JIOA)가 설립되었다.
초기 페이퍼클립 작전은 소련을 직접 겨냥하기보다는, 독일 과학자들이 스페인이나 아르헨티나 등 중립국으로 이주하여 연구를 계속하는 것을 막는 데 주력했다.[2] 이를 위한 '프로젝트 세이프헤이븐'이라는 별도 작전도 존재했다.[2][15] 그러나 냉전 구도가 형성되면서 소련과의 기술 경쟁이 중요해졌고, 특히 1945년 7월 소련 점령 예정 지역이던 작센과 튀링겐의 과학자들을 서둘러 확보하는 것이 중요 과제가 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소련 역시 1946년 10월 오소아비아힘 작전을 통해 대규모로 독일 전문가들을 자국으로 이주시켰다.[3]
1946년 4월 26일, JCS는 아이젠하워 장군에게 JCS 1067/14 지침을 하달하여 독일의 군사 연구 자료 확보 및 전범을 제외한 과학자 구금을 지시했다.[11][6] 이어 1946년 9월 3일, 트루먼 대통령은 비밀 지령으로 페이퍼클립 작전을 공식 승인하고 대상 인원을 1,000명으로 확대했다.[4] 이 프로그램의 존재는 1946년 12월 초 언론 보도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5]
페이퍼클립 작전 외에도 연합군은 독일의 과학 기술 및 인력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다.3. 1. 과학자들의 식별 및 확보
1943년 초, 독소전 장기화에 직면한 나치 독일 정부는 전쟁 수행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방어력 증강에 집중했다. 이를 위해 전투 부대에 배치되었던 과학자, 엔지니어, 기술자들을 후방의 연구 개발 분야로 다시 불러들이기 시작했다. 이전까지는 과학 기술 인력에 대한 징병 유예 제도가 없었기 때문에, 이는 중요한 정책 변화였다.[21][7][58] 독일 북동부 해안의 페네뮌데로 복귀한 4,000명의 로켓 과학자들이 대표적인 예이다.[21][7]하룻밤 사이에, 박사 학위 소지자들은 군대 내 잡무에서 해방되었고, 석사 학위 소지자들은 정리병에서 소환되었으며, 수학자들은 제빵소에서 끌려나왔고, 정밀 기계공들은 트럭 운전사를 그만두게 되었다.
— 디터 K. 후젤, ''페네뮌데에서 캐나베럴까지''
정부는 소환할 인력을 식별하고 그들의 정치적, 이념적 신뢰성을 검증해야 했다. 국방 연구 협회(Wehrforschungsgemeinschaftde)를 이끌던 공학자 베르너 오젠베르크는 정치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인물들의 명단을 작성했는데, 이것이 바로 '오젠베르크 리스트'이다.[8][52]
1945년 3월, 본 대학교에서 일하던 한 폴란드인 실험실 기술자가 화장실에서 우연히 오젠베르크 리스트의 조각들을 발견했다. 이 리스트는 영국 정보기관인 MI6를 거쳐 미국 정보기관에 전달되었다.[9][11][54] 미국 육군 병기청 연구 및 정보국의 제트 추진 부서장이었던 미 육군 소령 로버트 B. 스타버는 이 리스트를 활용하여 연합군이 체포하고 심문할 독일 과학자들의 명단, 이른바 '블랙 리스트'를 작성했다. 독일 최고의 로켓 과학자였던 베르너 폰 브라운은 이 명단의 최상위에 있었다.[10][53]
한편, 1945년 2월, 연합군 원정군 최고 사령부(SHAEF)는 독일의 첨단 기술과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T-Force라는 특별 부서를 창설했다. T-Force는 합성 고무, 오일 촉매, V-2(로켓) 무기, 제트 및 로켓 추진 항공기, 해군 장비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 정보와 "과학 및 산업 인물"을 확보하기 위해 독일 내 5,000개 목표 지점을 조사했다.[1]
1945년 4월 말부터 연합군이 진격하면서 다수의 독일 과학자들이 발견되기 시작하자, T-Force 내에 적군 인력 활용 부서가 신설되어 이들을 관리하고 심문했다. 이 부서는 파리 근처에 처음 구금 시설을 마련했고, 이후 프랑크푸르트 외곽의 크란스베르크 성에 캠프 더스트빈이라는 이름의 시설을 운영했다.
스타버 소령의 원래 계획은 단순히 과학자들을 인터뷰하는 것이었으나, 그들의 잠재적 가치를 파악하면서 작전의 목표가 수정되었다. 1945년 5월 22일, 그는 미국 전쟁부에 전보를 보내 자신이 관리하던 독일 과학자 중 100명을 미국으로 이송할 것을 긴급히 요청했다. 이들이 태평양 전쟁 종결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11][54]
이에 따라 미국 합동 참모 본부(JCS)는 1945년 7월 20일, "태평양 전쟁을 단축하고 전후 군사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비밀리에 독일 과학자들을 모집하는 프로그램인 '오퍼레이션 오버캐스트'를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오버캐스트'라는 이름은 독일 과학자 가족들이 바이에른에서 머물렀던 주택 캠프에 붙여진 이름에서 유래했다. 1945년 늦여름, JCS는 오퍼레이션 오버캐스트와 이후의 오퍼레이션 페이퍼클립을 직접 감독하기 위해 합동 정보 위원회(JIOA)를 설립했다. JIOA에는 육군, 해군, 공군의 정보 책임자와 미국 국무부 대표가 포함되었다. 1945년 11월, '오버캐스트'라는 이름이 널리 알려지자, 미국으로 데려올 로켓 전문가들의 서류에 페이퍼클립을 꽂아 표시하던 미국 육군 병기 부대 장교들의 관행에서 이름을 따 '오퍼레이션 페이퍼클립'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V-2 로켓 개발을 이끌었던 베르너 폰 브라운과 그의 동료 1,000명 이상은 진격해오는 소련군을 피해 1945년 6월 20일 미군에 항복하기로 결정했다. 한 기술자는 당시 상황에 대해 "우리는 프랑스를 경멸하고, 소련을 몹시 두려워하며, 영국이 우리를 감당할 수 있다고 믿지 않습니다. 그래서 남은 것은 미국뿐입니다."라고 회상했다.[14] 이들은 처음 독일 남부 란츠후트에 있는 주택 단지에 가족들과 함께 수용되었다.[12]
페이퍼클립 작전은 처음에는 소련을 직접 겨냥한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독일 과학자들이 전쟁 중 중립을 지켰던 국가로 이주하여 연구를 계속할 가능성을 차단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2] 이러한 목적의 작전은 '프로젝트 세이프헤이븐'이라는 암호명으로도 불렸다.[2][15] 미국은 특히 1945년 7월 1일부로 소련 점령 지역이 될 예정이었던 작센과 튀링겐 지역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베를린 등지에서 피난 온 많은 독일 연구 시설과 인력들이 이 지역에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은 이 지역의 과학 기술 전문 지식이 소련의 손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소련군 점령 전에 서둘러 과학자들과 그 가족들을 서방 점령 지역으로 "대피시키는 작전"을 개시했다.군정 명령에 따라, 귀하는 가족과 짐을 챙겨 내일 정오 1300시(1945년 6월 22일 금요일)에 비터펠트 시 광장으로 올 수 있는 만큼 가져오십시오. 겨울옷을 가져올 필요는 없습니다. 가족 서류, 보석 등 쉽게 휴대할 수 있는 소지품을 가져오십시오. 귀하는 차량으로 가장 가까운 기차역으로 이송될 것입니다. 거기에서 서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 편지를 가져온 사람에게 가족이 얼마나 되는지 알려주십시오.
이 대피 작전을 통해 1947년까지 약 1,800명의 기술자와 과학자, 그리고 3,700명의 가족 구성원들이 서방 측으로 확보되었다.[17] 이는 1946년 10월 22일 소련이 오소아비아힘 작전을 통해 하룻밤 사이에 2,200명 이상의 나치 전문가와 그 가족(총 6,000명 이상)을 소련으로 이주시킨 것에 대한 미국의 대응 성격도 있었다.[3]
1946년 4월 26일, 합동 참모 본부는 아이젠하워 장군에게 JCS 1067/14 지침을 하달하여, 독일의 군사 연구 관련 기록, 계획, 문서 등 모든 정보를 확보하고, 전쟁 범죄자를 제외한 독일 과학자들을 정보 수집 목적으로 필요시 구금하도록 지시했다.[11][6]
1946년 9월 3일, 트루먼 대통령은 비밀 지침을 통해 오퍼레이션 페이퍼클립을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임시적이고 제한적인 군사 구금" 하에 미국으로 데려올 독일 과학자의 수를 1,000명으로 확대했다.[4] 이 프로그램의 존재는 1946년 12월 초 언론 보도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5]
확보된 과학자들 중 특별한 기술이나 지식을 가진 사람들은 캠프 더스트빈과 같은 심문 센터로 보내져 몇 달 동안 구금 상태에서 심문을 받았다.[18] 오버캐스트 작전으로 수집된 과학자들 중 다수는 당장 연구 시설이나 일자리가 없는 시골 마을로 보내졌으며, 수당을 지급받는 대신 일주일에 두 번 경찰 본부에 출두해야 하는 등 이동이 제한되었다. 합동 참모 본부의 지침에 따르면, 이들은 "모든 관련 기관이 그들로부터 원하는 모든 정보가 확보되었다고 만족한 후에만" 석방될 수 있었다.
1947년 11월 5일, 점령 독일 서부를 관리하던 미국 군정청(OMGUS)은 회의를 열어 대피자들의 법적 지위, 미국에 대한 금전적 청구권 문제, 그리고 "미국의 전쟁법 또는 육상전 규정 위반 가능성" 등을 검토했다. OMGUS 정보 국장 로버트 L. 월시는 이들을 제3세계 국가에 재정착시키는 프로그램을 추진하려 했으나 (독일인들은 이를 Urwald-Programm|우어발트-프로그람de, 즉 "정글 프로그램"이라고 불렀다), 실행되지는 않았다. 1948년, 대피자들은 미국으로부터 총 6,950만 Reichsmarks의 보상을 받았는데, 곧이어 서독에서 Deutsche Mark가 도입되는 통화 개혁이 단행되면서 이 보상금의 가치는 크게 하락했다.[19]
역사학자 존 짐벨(John Gimbel)은 미국이 독일 최고의 과학 기술 인력들을 3년 동안 붙잡아 둠으로써, 독일의 전후 경제 회복에 필요한 그들의 전문성을 활용하지 못하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20]
3. 2. 체포 및 구금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독일은 독소전쟁 장기화로 물류 면에서 불리한 상황에 처했다. 이에 독일 정부는 1943년 초부터 소련과의 장기전에 대비하여 방위력 강화를 위해, 연구 개발에 참여시킬 과학자, 엔지니어, 기술자들을 전투 부대에서 소환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는 페네뮌데로 복귀한 4,000명의 로켓 과학자들도 포함되었다.[21][7] 독일 국방 연구 협회를 이끌던 공학자 베르너 오젠베르크는 정치적으로 신뢰할 만한 인물들의 명단인 '오젠베르크 명단'을 작성하여 이들을 연구 현장으로 복귀시켰다.[8]
1945년 3월, 본 대학교에서 한 폴란드 실험실 기술자가 우연히 오젠베르크 명단의 조각을 발견했고, 이 명단은 MI6를 거쳐 미국 정보기관에 전달되었다.[9][11] 미국 육군 병기청 연구 및 정보국 제트 추진 부서장이었던 로버트 B. 스타버 소령은 이 명단을 활용하여 체포 및 심문 대상 독일 과학자 명단을 작성했으며, 여기에는 독일 최고의 로켓 과학자로 꼽히던 베르너 폰 브라운의 이름도 있었다.[10]
한편, 연합군 원정군 최고 사령부(SHAEF)는 1945년 2월 특별 부대인 T-Force를 창설하여 독일의 과학 및 산업 시설과 관련 인력을 확보하는 임무를 수행하도록 했다.[1] 연합군이 진격하면서 독일 과학자들이 속속 발견되자, 1945년 4월 말에는 이들을 관리하고 심문하기 위한 적군 인력 활용 부서가 설립되었다. 이 부서는 처음에는 파리 근처에 구금 시설을 마련했고, 나중에는 프랑크푸르트 외곽의 크란스베르크 성으로 옮겨 캠프 더스트빈을 운영했다.[1]
1945년 7월 20일, 미국 합동 참모 본부(JCS)는 태평양 전쟁 종결을 앞당기고 전후 군사 연구를 지원할 목적으로 비밀리에 과학자 모집 프로그램인 '오퍼레이션 오버캐스트'를 개시했다. 이 명칭은 독일 과학자 가족들이 바이에른에 마련된 주택 캠프에 붙였던 이름에서 유래했다. 1945년 11월, 프로그램의 이름은 '오퍼레이션 페이퍼클립'으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미국 육군 병기 부대 장교들이 미국으로 데려오고자 하는 로켓 전문가들의 서류에 페이퍼클립을 꽂아 표시했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미국의 초기 주요 목표 중 하나는 독일 과학자들이 중립국으로 이주하여 연구를 지속하는 것을 막는 것이었으며, 이를 위해 '프로젝트 세이프헤이븐'이라는 작전이 수행되기도 했다.[2][15] 연합 정보 목표 소위원회(CIOS)는 T-Force가 과학, 군사, 산업 시설과 관련 인력을 표적으로 삼아 기술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특히 일본과의 전쟁에 활용 가능한 첨단 기술 확보가 우선 순위였다.
미국은 1945년 7월 1일 소련 점령 구역이 될 예정이었던 작센과 튀링겐 지역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많은 독일 연구 시설과 인력이 이 지역으로 피난해 있었기에, 미국은 소련이 이들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는 것을 견제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 이 지역의 과학 인력을 확보하고자 "대피 작전"을 개시했다. 당시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전달된 명령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 군정 명령에 따라, 귀하는 가족과 짐을 챙겨 내일 정오 1300시(1945년 6월 22일 금요일)에 비터펠트 시 광장으로 올 수 있는 만큼 가져오십시오. 겨울옷을 가져올 필요는 없습니다. 가족 서류, 보석 등 쉽게 휴대할 수 있는 소지품을 가져오십시오. 귀하는 차량으로 가장 가까운 기차역으로 이송될 것입니다. 거기에서 서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 편지를 가져온 사람에게 가족이 얼마나 되는지 알려주십시오.
이 대피 작전을 통해 1947년까지 약 1,800명의 기술자 및 과학자와 그 가족 3,700명이 미군 점령 지역으로 이동했다.[17] 이들 중 특별한 기술이나 지식을 가진 사람들은 "더스트빈"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린 심문 센터로 이송되어 몇 달간 구금 상태에서 심문을 받았다.[18] 일부 과학자들은 오버캐스트 작전을 통해 직접 모집되었으나, 다수는 연구 시설이나 일자리가 없는 시골 마을로 보내져 수당을 받으며 지내야 했다. 이들은 당국의 감시 아래 일주일에 두 번 경찰 본부에 출석하여 보고해야 했고, 관련 기관이 필요한 모든 정보를 확보했다고 판단할 때까지 석방되지 않았다.
1946년 4월 26일, 합동 참모 본부는 아이젠하워 장군에게 JCS 1067/14 지침을 하달하여, 군사 연구 관련 기록, 계획, 문서 등을 확보하고 전쟁 범죄자를 제외한 독일 과학자들을 정보 수집 목적으로 필요시 구금하도록 지시했다.[11][6] 1946년 9월 3일, 트루먼 대통령은 비밀 지침을 통해 오퍼레이션 페이퍼클립을 공식 승인했으며, 대상 인원을 독일 과학자 1,000명으로 확대했다.[4] 이 프로그램의 존재는 1946년 12월 초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졌다.[5]
1947년 11월 5일, 미국 군정청(OMGUS)은 회의를 개최하여 확보된 독일인들의 법적 지위, 그들이 미국에 제기한 금전적 청구 문제, 그리고 전쟁법 위반 가능성 등을 검토했다. OMGUS 정보 국장 로버트 L. 월시는 이들을 제3세계 국가에 재정착시키려는 계획, 이른바 "정글 프로그램"(Urwald-Programm|우르발트-프로그람de)을 추진했으나 실행되지는 못했다. 1948년, 확보된 독일인들은 미국으로부터 총 6,950만 라이히스마르크에 달하는 보상을 받았으나, 이는 곧 서독에서 도이치 마르크가 도입되면서 시행된 통화 개혁으로 인해 그 가치가 크게 절하되었다.[19] 역사가 존 짐벨(John Gimbel)은 미국이 독일의 우수 과학 기술 인력들을 3년간 붙잡아 둠으로써, 독일의 전후 경제 회복에 필요한 전문 인력 활용 기회를 박탈했다고 평가했다.[20]
4. 미국으로의 이주
1945년 5월, 미국 해군은 Hs 293 미사일의 발명가인 헤르베르트 A. 바그너(Herbert A. Wagner)를 확보했다. 그는 처음 2년 동안 롱아일랜드의 캐슬 굴드와 헴스테드 하우스에 있는 특수 장치 센터에서 근무했으며, 1947년에는 해군 항공 기지 포인트 무구(Naval Air Station Point Mugu)로 이동했다.[56] 같은 달, 오버캐스트 작전의 초기 책임자였던 스테이버 소령은 독일 과학자들을 단순 심문하는 것을 넘어, "태평양 전쟁 수행에 중요"하다는 이유로 100명의 과학자를 미국으로 이송할 것을 미국 전쟁부에 제안했다.[11][54] 이는 연합군이 독일 과학 기술과 인력을 확보하려는 경쟁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소련이 이들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도 있었다.[55]
1945년 6월 20일, 베르너 폰 브라운을 포함한 V-2 로켓 개발팀은 진격하는 소련군을 피해 미군에게 항복하기로 결정했다.[14] 이들은 처음에는 독일 남부 란츠후트에 가족들과 함께 수용되었다.[12] 1945년 7월 19일, 미국 합동 참모 본부(JCS)는 이들 과학자들을 관리하기 위해 오버캐스트 작전을 시작했다. 그러나 과학자들이 머물던 숙소가 "캠프 오버캐스트"로 알려지면서, 1945년 11월 작전명은 페이퍼클립 작전으로 변경되었다.[22][53] 이는 서류에 페이퍼클립을 꽂아 대상자를 표시했던 것에서 유래했다.[54]
1945년 8월, 미 육군 병기 부대 연구 개발부 로켓과의 책임자인 홀거 토프토이(Holger Toftoy) 대령은 로켓 과학자들에게 1년 계약을 제안했고, 가족을 돌봐주겠다는 약속 하에 127명이 이를 수락했다. 1945년 9월, 베르너 폰 브라운, 에리히 W. 노이버트, 테오도르 A. 포펠, 윌리엄 아우구스트 슐체, 에버하르트 리스, 빌헬름 융거트, 발터 슈비데츠키 등 첫 7명의 로켓 과학자들이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항구 롱아일랜드의 포트 스트롱에 도착했다.[11][54]
1945년 말부터 세 그룹의 로켓 과학자들이 "육군 특별 고용인" 신분으로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와 뉴멕시코주 화이트 샌즈 발사 기지에 도착하여 근무를 시작했다.[21][22][58] 이들의 초기 임무는 확보된 V-2 로켓을 조립하고 시험하는 것이었다. 은폐 시도에도 불구하고, 언론은 그해 말 여러 과학자들과 인터뷰를 진행했다.[11][10][13]
1946년 9월 3일,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페이퍼클립 작전을 공식 승인하고, 대상 인원을 1,000명으로 확대했으며, 이들을 "임시적이고 제한적인 군사 구금" 하에 두도록 지시했다.[4][11][6] 같은 해 미국 광산국은 미주리주 루이지애나의 피셔-트롭쉬 화학 공장에서 일할 독일 합성 연료 과학자 7명을 고용했다.[23]피셔-트롭쉬 아카이브 또한 항공역학 전문가 86명은 라이트 필드로 이송되었다.[60]
1947년까지 독일에서 진행된 과학자 "대피 작전"을 통해 약 1,800명의 기술자와 과학자, 그리고 3,700명의 가족 구성원이 미국 점령 지역으로 이동했다.[17] 특별한 기술을 가진 이들은 프랑크푸르트 외곽 크란스베르크 성에 위치한 "더스트빈" 심문 센터로 보내져 수개월간 심문을 받았다.[18] 1948년, 이들 대피자들은 미국으로부터 총 6,950만 라이히스마르크의 보상을 받았으나, 이는 서독의 통화 개혁으로 인해 가치가 크게 하락했다.[19] 역사가 존 짐벨은 미국이 독일의 최고 과학자들을 3년간 억류함으로써 독일의 전후 경제 회복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빼앗아갔다고 비판했다.[20]
1949년 6월 1일, 미 육군 병기 참모장은 앨라배마주 헌츠빌의 레드스톤 조병창을 로켓 연구 개발 시설로 지정했다. 1950년 4월 1일, 폰 브라운과 130명 이상의 페이퍼클립 요원들을 포함한 포트 블리스의 미사일 개발팀이 레드스톤 조병창으로 이전되었다. 1950년 초, 일부 과학자들은 멕시코 시우다드 후아레스의 미국 영사관을 통해 비자를 발급받아 합법적으로 미국에 입국하는 절차를 밟았다.[21][10][53]
1945년부터 1952년까지 미국 공군은 가장 많은 260명의 페이퍼클립 과학자를 후원했다.[56] 미 육군 통신대는 물리학자 게오르그 고바우, 군터 구트바인, 게오르그 하스, 호르스트 케데시, 쿠르트 레호베크, 물리 화학자 루돌프 브릴, 에른스트 바르스, 에버하르트 보트, 지구 물리학자 헬무트 바이크만, 광학 기술자 게르하르트 슈베징거, 엔지니어 에두아르트 게르버, 리하르트 귄터, 한스 지글러 등 24명의 전문가를 고용했다.[24]페이퍼클립 작전과 포트 먼마우스 또한 슈만 공명으로 알려진 빈프리트 오토 슈만 박사도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으로 이주한 인물 중 하나이다.
1959년에는 프리드바르트 빈터베르크와 프리드리히 비강을 포함한 94명의 페이퍼클립 요원이 추가로 미국으로 건너왔다.[56]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으로 온 과학자 중에는 나치 정권 하에서의 활동으로 논란이 되는 인물들도 포함되었다. 아르투어 루돌프는 미텔바우-도라 강제 수용소에서의 V-2 로켓 생산과 관련이 있었고, 헤르만 괴링의 항공성 항공 의학 연구소 소장이었던 후베르투스 슈트루크홀트는 저체온 및 고고도 비행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다하우 강제 수용소 등에서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인체 실험을 수행했다는 의혹을 받았다.[59] 이는 "전쟁 범죄자를 제외한다"는 초기 지침[6]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기술적 우위 확보라는 명목 하에 이들의 과거 행적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거나 묵인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 페이퍼클립 작전은 1990년까지 이어졌으며, 이를 통해 미국과 영국은 총 1,600명의 독일 과학 기술 인력을 확보했다. 이들의 지식과 기술은 미국에 약 100억달러 상당의 가치를 지닌 특허와 산업 공정 형태의 "지적 배상"으로 평가되었다.[56][25][61]
5. 주요 성과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으로 영입된 독일 및 오스트리아의 과학자들은 항공우주, 로켓 공학, 물리학, 화학, 통신, 지구물리학 등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했다. 특히 베르너 폰 브라운을 비롯한 로켓 전문가들은 미국의 초기 탄도 미사일 개발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 개발 계획, 대표적으로 아폴로 계획 성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의 공로는 미국 정부와 여러 학술 기관으로부터 인정받았으며, 이는 다수의 수상과 명예의 전당 헌액 등으로 나타났다.[26][27][28][30]
5. 1. 항공 우주 분야
아돌프 부제만 박사는 1935년 볼타 회의에서 고속 비행 시 날개에 후퇴익을 적용하면 항력을 줄일 수 있다는 이론을 처음 발표했다.[32]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으로 건너가 후퇴익 이론 연구를 계속했다.
베르너 폰 브라운은 나치 독일 시절 V-2 로켓 개발을 주도한 핵심 인물이다. 그는 1934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를린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34] 페네뮌데 육군 연구 센터에서 로켓 개발팀을 이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그는 자신의 팀과 함께 미군에 항복했고,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으로 이송되었다.[12][33]
미국에서 폰 브라운과 그의 팀은 처음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와 뉴멕시코주 화이트 샌즈 발사 기지에서 미 육군을 위해 미사일 기술을 연구했다.[21][22] 1945년 9월, 폰 브라운을 포함한 7명의 로켓 과학자들이 첫 번째 그룹으로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항의 포트 스트롱에 도착했다.[11] 1950년에는 앨라배마주 헌츠빌의 레드스톤 조병창으로 옮겨 연구를 계속했다. 1960년, 그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산하 마셜 우주 비행 센터(MSFC)의 초대 소장으로 임명되어 미국의 우주 개발 프로그램을 이끌었다.[34]
그러나 폰 브라운은 논란이 많은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1937년 나치당에 가입했고 1940년에는 친위대(SS) 장교가 되었다.[34] 특히 V-2 로켓 생산 과정에서 미텔바우-도라의 수감자들이 강제 노동에 동원된 사실과 관련하여[33] 그의 책임 문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 아르투어 루돌프 역시 V-2 로켓 제조 공장이 있던 미텔바우-도라와 관련이 있었다.

독일에서 개발된 V-2 로켓 기술은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으로 이전되어 초기 로켓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46년 뉴멕시코주에서 V-2 로켓 시험 발사가 시작되었으며, 개조된 V-2 로켓은 약 186.68km 상공까지 도달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 로켓들은 우주 환경이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초파리나 씨앗을 싣고 발사되기도 했으며, 약 160.93km 상공에서 지구를 촬영한 최초의 사진을 남기기도 했다.[35]

1960년 설립된 마셜 우주 비행 센터(MSFC)는 폰 브라운을 중심으로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온 독일 과학자들과 미국 기술자들로 구성되었다.[33][35] MSFC는 아폴로 계획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며, 특히 달 탐사선과 새턴 로켓 개발을 주도했다.[33]
Hs 293 미사일 개발자인 헤르베르트 A. 바그너 역시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으로 건너가 해군 항공 기지 포인트 무구 등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페이퍼클립 작전 출신 과학자 중 다수는 미국 항공 우주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베르너 폰 브라운, 쿠르트 데부스, 에버하르트 리스, 아르투어 루돌프, 에른스트 가이슬러 등은 NASA 공로 훈장을 받았다. 지크프리트 크네메이어는 국방부 공로 민간인상을 수상했다. 또한 베르너 폰 브라운, 한스 폰 오하인, 크라프트 아르놀트 에리케는 미국 항공우주학회(AIAA)가 수여하는 최고 영예인 고다드 우주 항공상을 받았다.[26] 미국 우주 캠프 명예의 전당에는 베르너 폰 브라운 (2007), 게오르크 폰 티센하우젠 (2007), 오스카 홀더러 (2008) 등이 이름을 올렸으며, 뉴멕시코 우주사 박물관의 국제 우주 명예의 전당에는 베르너 폰 브라운 (1976)과 에른스트 슈타인호프 (1979)가 헌액되었다.[27][28] 후베르투스 스트루골트는 나치 시절 인체 실험 관여 의혹으로 인해 1978년 헌액되었다가 2006년에 자격이 박탈되었다. 달 표면의 데부스 분화구와 폰 브라운 분화구는 각각 쿠르트 데부스와 베르너 폰 브라운의 이름을 딴 것이다.
5. 2. 기타 분야
1946년, 미국 광산국은 미주리주 루이지애나에 있는 피셔-트롭쉬 화학 공장에서 일곱 명의 독일 합성 연료 과학자를 고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23]미 육군 통신대 역시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24명을 영입했다. 여기에는 물리학자 게오르그 고바우, 군터 구트바인, 게오르그 하스, 호르스트 케데시, 쿠르트 레호베크, 물리 화학자 루돌프 브릴, 에른스트 바르스, 에버하르트 보트, 지구 물리학자 헬무트 바이크만, 광학 기술자 게르하르트 슈베징거, 그리고 엔지니어 에두아르트 게르버, 리하르트 귄터, 한스 지글러 등이 포함되었다.[24] 이들은 통신 기술 및 지구 물리학 연구 등에 기여했다.
6. 논란 및 조사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페이퍼클립 작전에 대한 공식 승인을 16개월 동안 망설였다.[4] 몇 년 후인 1963년, 트루먼은 당시 소련과의 관계 때문에 "이것은 해야 했고, 이루어졌다"고 회상하며 작전 승인에 망설임이 없었다고 주장했다.[37]
페이퍼클립 작전으로 미국에 온 과학자들 중 일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당과의 연관성 및 전쟁 범죄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 공식적으로 재판에 회부된 과학자는 게오르크 리케이가 유일했으나, 1947년 독일에서 열린 도라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미국이나 독일에서 페이퍼클립 작전 관련 과학자가 유죄 판결을 받은 사례는 없다.[38]
1951년, 미국 도착 직후 발터 슈라이버는 ''보스턴 글로브'' 보도를 통해 쿠르트 블로메가 라벤스브뤼크 강제 수용소에서 자행한 인체 실험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그는 미군의 도움을 받아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1984년, 아르투어 루돌프는 미텔바우-도라 강제 수용소의 강제 노동을 이용한 V-2 로켓 생산 책임자로서의 역할과 관련하여 기소될 위기에 처하자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서독으로 이주했다. 서독 정부는 그에게 시민권을 부여했다.[39]
베르너 폰 브라운 역시 나치당 및 SS 가입 전력으로 인해 조사를 받았다. 1961년 FBI는 그가 학문적 경력을 쌓고 투옥을 피하기 위해 나치당에 가입했다고 결론지었다.[40]
"우주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우주복 및 생명 유지 시스템 개발 등 우주 의학 분야에 기여한 후베르투스 슈트루홀트는 그의 이름을 딴 슈트루홀트 상이 항공우주 의학 협회 산하 우주 의학 협회에서 50년간 최고 영예로 수여될 만큼 존경받았다.[41] 그러나 2012년 ''월 스트리트 저널'' 기사를 통해 제2차 세계 대전 중 인체 실험과의 연관성이 폭로되면서 논란이 일었고, 결국 2013년 10월 슈트루홀트 상은 폐지되었다.[41][42]
알버트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여러 저명인사들은 페이퍼클립 작전에 대해 공개적으로 항의하기도 했다.
2014년 작가 애니 제이콥슨은 자신의 저서에서 페이퍼클립 작전으로 영입된 주요 과학자 21명 중 15명이 나치당 활동 회원이었고, 10명은 SS나 SA 같은 준군사조직에서 복무했으며, 6명은 뉘른베르크 재판에 회부되었다고 밝혔다.[5]
7. 한국과의 관계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으로 영입된 베르너 폰 브라운과 같은 독일 과학자들은 V-2 로켓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의 로켓 및 미사일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4][33] 이들은 포트 블리스와 앨라배마주 헌츠빌의 마셜 우주 비행 센터 등에서 활동하며 NASA의 초기 우주 프로그램과 군사 기술 개발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33][35]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주요 무기였던 V-2 로켓 기술은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으로 이전되었으며[33], 이는 냉전 시대 미국의 군사 및 우주 기술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35]
8. 유사 작전
페이퍼클립 작전 외에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연합국과 소련은 독일의 과학 기술과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다.
'''미국 주도 및 관련 작전'''
- '''애플파이 작전'''(Operation APPLEPIE영어): 소련의 산업과 경제에 정통한 주요 국방군, RSHA AMT VI, 참모 장교들을 체포하여 심문한 프로젝트.[43]
- 블러드스톤 작전(Operation Bloodstone): 동유럽에서 반공주의를 조장하기 위해 인력을 모집하고 활용한 프로젝트.[43]
- '''세이프헤이븐'''(Safehaven영어): 이클립스 계획의 일부로, 연합군 점령 하 독일에서 나치 과학자들이 다른 국가, 특히 라틴 아메리카 등으로 탈출하는 것을 막기 위한 미국의 프로젝트.[10][53]
- 기술 야전 정보국(FIAT, Field Information Agency, Technical영어): 독일의 과학 기술을 활용하여 연합국(유엔)의 과학 발전, 생산 및 생활 수준 개선을 목표로 한 미국 육군 기관. 페이퍼클립 작전이 본격화된 1947년에 활동을 종료했다.[44]
- '''국가 이익/프로젝트 63'''(National Interest/Project 63영어): 록히드, 마틴 마리에타, 노스 아메리칸 항공 등 미국의 항공기 및 방위 산업체에 전 나치 엔지니어들을 취업시킨 프로그램. 이는 미국의 항공우주 엔지니어들이 해고되던 시기에 진행되었다는 비판이 있다.[56]
- LUSTY 작전(Operation LUSTY, '''Lu'''ftwaffe '''S'''ecret '''T'''echnolog'''y''영어): 독일 공군(Luftwaffe)의 장비, 기술,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미국의 작전.
- 기술 항공 정보 부대: 일본 항공기를 회수하기 위해 구성된 연합군 군사 정보 부대.
- '''특수 임무 V-2'''(Special Mission V-2영어): 1945년 4~5월, 소련군 점령 예정 지역 내 미텔베르크 지하 공장에서 V-2 부품 및 장비를 회수한 미국의 작전. 미하엘 윌리엄 브롬리(Michael William Bromley) 소령이 지휘했으며, 제임스 P. 해밀(James P. Hamill) 소령은 제144 차량 정비 중대의 지원을 받아 소련군 도착 직전 노르트하우젠에서 에르푸르트까지 장비를 철도로 수송했다.[48][53] (관련 작전: 블러섬 작전, 헤르메스 계획, 샌디 작전, 푸시 오버 작전)
- '''JCS 지령 1067/14'''(JCS Directive 1067/14영어): 1946년 4월 26일 미국 합동참모본부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에게 발령한 지침. 군사 연구 관련 독일 조직의 기록, 계획, 문서 등 정보 자산을 확보하고, 전쟁 범죄자를 제외한 독일 과학자들을 정보 수집 목적으로 필요시 구금하도록 지시했다.[11][6][64]
'''영국 주도 및 관련 작전'''
- 백파이어 작전: 로켓 및 항공우주 기술을 회수하고 독일 쿠스하펜에서 로켓을 조립 및 시험한 영국의 작전.
- 페든 미션: 독일의 첨단 항공기 및 추진 시스템에 대한 기술 정보를 얻기 위한 영국의 임무.
- 서전 작전(Operation Surgeon): 독일 항공 전문가들이 소련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고, 영국의 연구 발전을 위해 이들을 활용하려 한 영국의 작전.[47][69]
- '''매치박스 작전'''(Operation MATCHBOX영어): 영국이 독일 기술자들을 호주로 보낸 작전. 국민 감정 등을 고려한 조치였으며, 최소 127명의 독일 과학자와 기술자가 보내진 것으로 알려졌다.[67][68]
'''소련 주도 및 관련 작전'''
- 오소아비아힘 작전(Operation Osoaviakhim): 1946년 10월 22일, 소련이 독일의 기술자, 관리자, 숙련 노동자 및 그 가족 2,200명 이상(총 6,000명 이상)을 소련으로 강제 이주시킨 작전. 페이퍼클립 작전에 대한 소련의 대응으로 여겨진다.[3][46]
- '''러시아 알소스'''(Russian Alsos영어): 소련의 유사한 기술자 확보 작전에 대해 서방 측이 붙인 코드명.
'''영미 공동 또는 다국적 작전'''
- 캠프 더스트빈(Camp Dustbin): 캠프 애시칸(Camp Ashcan)과 유사하게 독일 과학자 및 산업 전문가들을 심문하기 위해 영국과 미국이 운영한 군사 심문 캠프. 처음에는 파리 근처에, 나중에는 프랑크푸르트 외곽의 크란스베르크 성에 설립되었다.[65][66]
- '''이클립스 작전'''(Operation ECLIPSE영어): 1944년 계획되었으나 실행되지 않은 작전으로, 전후 유럽에서 V-1 및 V-2 미사일을 파괴하기 위한 공중 군축 계획.[44][45][62][63]
- 알소스 미션, 빅 작전, 엡실론 작전: 독일의 핵무기 관련 기밀 정보, 장비,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미국, 영국 등의 작전.
- TICOM (Target Intelligence Committee영어): 독일 암호학 전문가를 활용하기 위한 영국-미국 공동 프로젝트.
9. 대중 매체에서의 묘사
페이퍼클립 작전은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소재로 활용되었다.
'''드라마'''
- 엑스파일: 시즌 3 제51화(File No. 302) "페이퍼클립" 에피소드에서 몇몇 가상의 나치 독일 출신 과학자가 등장한다.
- 나치 헌터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서 배포된 드라마로, 페이퍼클립 작전이 스토리의 핵심적인 요소로 다루어진다.
'''다큐멘터리'''
- 잃어버린 제2차세계대전 필름들: 관련 내용이 언급된다.
'''영화'''
-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주인공 스트레인지러브 박사는 한때 나치 독일의 과학자였으며,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으로 건너와 귀화했다는 설정이다.
- 북극의 기지/잠항 대작전: 작중 영국인 등장인물은 "우리 독일인 과학자에 의해 만들어진 우리 카메라와 당신의 독일인 과학자에 의해 만들어진 당신의 필름은, 그들의 독일인 과학자에 의해 만들어진 그들의 인공위성에 러시아인이 놓았다."라고 말한다. 이는 당시 강대국들의 과학 기술 발전에 제2차 세계 대전 후 흩어진 독일인 과학자들이 깊이 관여했음을 시사하며, 페이퍼클립 작전을 간접적으로 언급한다. ('우리'는 영국, '당신'은 미국, '그들'은 소비에트 연방을 의미)
- 굿바이, 베를린: 미국인 종군 기자가 페이퍼클립 작전의 초기 명칭인 오버캐스트 작전의 일면을 밝히는 내용이 포함된다.
- 필사의 도전: 미국의 우주 과학자가 "우리 독일인은 그들 독일인보다 우수하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는 미국과 소련으로 각각 흡수된 독일 과학자들 간의 경쟁 구도를 암시한다.
-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영화의 주요 설정 및 사건 전개에 페이퍼클립 작전이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한다.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베르너 폰 브라운을 모델로 한 나치 출신 과학자 위르겐 푈러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소설'''
- 어린 시절의 끝: 작가 아서 C. 클라크는 소설 서문에서 페이퍼클립 작전을 언급한다. 미국에서 일하는 독일인 로켓 공학자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비에트 연방에 협력하기 위해 동쪽으로 향한 옛 동료 과학자를 회상하는 내용이다. 작전명 자체는 명시되지 않는다.
- SPACE|우주로의 여행eng: 제임스 A. 미치너의 소설로, 페이퍼클립 작전을 허구적으로 묘사한다.
- 대량 학살의 흉조: 사토 다이스케의 소설로, 페이퍼클립 작전에 참여하기 위해 독일 본토로 파견된 미군 중위가 등장한다.
'''만화'''
참조
[1]
웹사이트
Chapter XVII: Zone and Sector
https://www.history.[...]
2024-11-10
[2]
웹사이트
The OSS and Project SAFEHAVEN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3]
웹사이트
Operation "Osoaviakhim"
http://www.russiansp[...]
2020-12-29
[4]
서적
The Paperclip Conspiracy: The Hunt for the Nazi Scientists
[5]
뉴스
Willkommen: 'Operation Paperclip,' by Annie Jacobsen
https://www.nytimes.[...]
2014-02-28
[6]
학술지
German Scientist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Allied Occupation Policy
[7]
서적
Space Travel: A History
Harper & Row
[8]
서적
National Military Establishments and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Kluwer Academic Publishers
[9]
서적
MI6: Inside the Covert World of Her Majesty's Secret Intelligence Service
[10]
서적
The Rocket Team
Thomas Y. Crowell
[11]
서적
Crossbow and Overcast
https://archive.org/[...]
W. Morrow
[12]
서적
An Ordinary Guy, Operation Saponify
2020-09-07
[13]
뉴스
Project Paperclip
http://www.airforce-[...]
Air Force Association
2007-06
[14]
웹사이트
The Rest of the Rocket Scientists
https://www.smithson[...]
2023-12-21
[15]
서적
U. S. and allied efforts to recover and restore gold and other assets stolen or hidden by Germany During World War II
https://fcit.usf.edu[...]
U S Govt. Printing Office
1997
[16]
서적
Taking Nazi Technology: allied exploitation of german science after the second world war.
Johns Hopkins Univ Press
2021
[17]
서적
Rocket science: from fireworks to the photon drive
[18]
서적
Spying on Science: Western Intelligence in Divided Germany 1945-1961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9]
서적
Ten years of German unification: transfer, transformation, incorporation?
University of Birmingham, University Press
2002
[20]
학술지
U.S. Policy and German Scientists: The Early Cold War
[21]
서적
Peenemünde to Canaveral
Prentice Hall
[22]
서적
German Rocketeers in the Heart of Dixie: Making Sense of the Nazi Past During the Civil Rights Era
Yale University Press
2015
[23]
웹사이트
Fischer-Tropsch.org
http://www.fischer-t[...]
Fischer-Tropsch.org
2011-12-22
[24]
웹사이트
Operation Paperclip and Camp Evans
http://www.campevans[...]
Campevans.org
2011-12-22
[25]
서적
Science Technology and Reparations: Exploitation and Plunder in Postwar Germany
[26]
웹사이트
Goddard Astronautics Award
https://www.aiaa.org[...]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17-08-22
[27]
웹사이트
International Space Hall of Fame – Wernher von Braun
http://www.nmspacemu[...]
New Mexico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
2017-08-22
[28]
웹사이트
International Space Hall of Fame – Ernst A. Steinhoff
http://www.nmspacemu[...]
New Mexico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
2017-08-22
[29]
웹사이트
International Space Hall of Fame – Willy Ley
http://www.nmspacemu[...]
New Mexico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
2017-08-22
[30]
웹사이트
International Space Hall of Fame – Hermann J. Oberth
http://www.nmspacemu[...]
New Mexico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
2017-08-22
[31]
뉴스
Adolf Busemann, 85, Dead; Designer of the Swept Wing
https://www.nytimes.[...]
1986-11-05
[32]
서적
Memorial Tributes: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Volume 3
http://www.nap.edu/c[...]
National Academies Press
1989-01-01
[33]
서적
Power to Explore: A History of Marshall Space Flight Center 1960-1990
https://history.nasa[...]
NASA
[34]
웹사이트
Wernher von Braun - NASA
https://www.nasa.gov[...]
NASA
2023-12-28
[35]
웹사이트
V-2 Missile {{!}} National Air and Space Museum
https://airandspace.[...]
2023-10-13
[36]
웹사이트
75 Years Ago: First Launch of a Two-Stage Rocket - NASA
https://www.nasa.gov[...]
2023-05-12
[37]
논문
Personal Interview, President Harry S. Truman
Lasby (1975)
1963-06-03
[38]
서적
Von Braun: Dreamer of Space, Engineer of War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Inc.
[39]
학술지
NASA's Nazis
http://www.english.u[...]
1987-05-23
[40]
웹사이트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fbi memorandum emil julius klaus fuchs espionage r september 26 1949 top secret fbi foia
http://dx.doi.org/10[...]
2023-10-24
[41]
웹사이트
Strughold Award
https://spacemedicin[...]
2014-06-23
[42]
뉴스
A Scientist's Nazi-Era Past Haunts Prestigious Space Prize
https://www.wsj.com/[...]
2012-12-01
[43]
웹사이트
List Of Terms, Code Names, Operations, and Other Search Terminology To Assist Review and Identification Activities Required by the Act
https://www.archives[...]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08-12-19
[44]
서적
The U.S. Army in the Occupation of Germany 1944–1946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12
[45]
서적
Flying Bomb
Charles Scribner's Sons
[46]
학술지
The East German Communists and the Origins of the Berlin Blockade Crisis
http://www.daniellaz[...]
2010-06-29
[47]
뉴스
UK 'fears' over German scientists
http://news.bbc.co.u[...]
2006-03-31
[48]
서적
Top Secret Tales of World War II
Wiley
[49]
잡지
Indiana Jones 5 Will Pit Indy Against Nazis Again, In 1969
https://www.empireon[...]
2022-11-21
[50]
웹사이트
The Nazi NASA Scientists on 'Hunters' Are Based on the True Story of Operation Paperclip
https://www.esquire.[...]
2023-12-22
[51]
웹사이트
Joint Intelligence Objectives Agency
http://www.archives.[...]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08-04-12
[52]
서적
National Military Establishments and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Kluwer Academic Publishers
[53]
서적
The Rocket Team
[54]
서적
Crossbow and Overcast
W. Morrow
[55]
서적
The Russians in Germany; A History of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1945-1949
Harva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Secret Agenda: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Nazi Scientists, and Project Paperclip, 1945 to 1990
St.Martin's Press
[57]
뉴스
Reach for the Stars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58-02-17
[58]
서적
Peenemunde to Canaveral
Prentice Hall
[59]
서적
Peenemunde to Canaveral
Prentice Hall
[60]
웹사이트
The End of World War II
http://www.historyin[...]
A&E
2005-02-17
[61]
서적
The Russians in Germany
(Naimark cites Gimbel, John ''Science Technology and Reparations: Exploitation and Plunder in Postwar Germany'')
[62]
서적
The U.S. Army in the Occupation of Germany 1944-1946
http://www.army.mil/[...]
US Army
[63]
서적
Flying Bomb
Charles Scribner’s Sons
[64]
웹사이트
German Scientist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Allied Occupation Policy
http://links.jstor.o[...]
1982-09-01
[65]
웹사이트
http://www.army.mil/[...]
[66]
웹사이트
The New Form of Government: Bombocracy
http://www.currentco[...]
Dr. Annemarie Buchholz, historian, Switzerland
[67]
웹사이트
UK arranged transfer of Nazi scientists to Australia
https://www.theguard[...]
1999-08-17
[68]
웹사이트
Catalogue description Operation MATCHBOX: master lists of German scientists and technicians: correspondence
https://discovery.na[...]
1948-1949
[69]
웹사이트
UK 'fears' over German scientists
http://news.bbc.co.u[...]
BBC News UK
2006-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