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 밤의 꿈 (오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여름 밤의 꿈》은 1960년 올드버러 음악제 개관을 기념하여 작곡된 벤자민 브리튼의 오페라이다. 셰익스피어의 동명 희곡을 바탕으로, 요정, 연인, 직공의 세 계층을 음악적으로 묘사한다. 오베론, 티타니아, 퍽 등의 인물과 숲을 배경으로 사랑의 혼란과 화해를 그린다. 1960년 초연 이후 코벤트 가든 등에서 공연되었으며, 20세기 중반 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등 다양한 연출로 재해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여름 밤의 꿈을 바탕으로 한 작품 - 한여름 밤의 꿈 (악곡)
펠릭스 멘델스존이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바탕으로 작곡한 "한여름 밤의 꿈"은 1826년에 작곡된 서곡과 1843년에 작곡된 부수 음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부수 음악에 포함된 "결혼 행진곡"은 결혼식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곡이다. - 벤저민 브리튼의 오페라 - 빌리 버드 (오페라)
빌리 버드는 1951년 런던에서 초연된 벤자민 브리튼의 오페라로, 허먼 멜빌의 소설을 바탕으로 1797년 영국 해군 군함을 배경 삼아 선과 악의 갈등을 다루며, 전원 남성 출연진으로 구성된다. - 벤저민 브리튼의 오페라 - 피터 그라임스
벤자민 브리튼이 작곡하고 몽태규 슬레이터가 대본을 쓴 3막 오페라 피터 그라임스는 어촌 마을에서 견습생의 죽음으로 의심받는 어부의 이야기를 다루며 1945년 런던에서 초연되어 브리튼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한여름 밤의 꿈 (오페라) | |
---|---|
작품 정보 | |
제목 | 한여름 밤의 꿈 |
원어 제목 | A Midsummer Night's Dream |
장르 | 오페라 |
작곡가 | 벤저민 브리튼 |
대본 | 벤저민 브리튼 피터 피어스 |
언어 | 영어 |
원작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 |
초연일 | 1960년 6월 11일 |
초연 장소 | 올드버러 페스티벌 |
![]() |
2. 작품 배경
오페라 《한여름 밤의 꿈》은 작곡가 벤자민 브리튼이 1960년 올드버러 페스티벌의 주빌리 홀 재개관을 기념하여 위촉받아 작곡한 작품이다. 브리튼은 페스티벌 개막에 맞춰 1959년 8월부터 작곡을 시작하여 이듬해 1960년 4월에 전곡을 완성했다.[2]
wikitext
벤자민 브리튼의 오페라 《한여름 밤의 꿈》은 셰익스피어의 동명 희곡 한여름 밤의 꿈을 원작으로 삼고 있다. 브리튼은 원작의 대사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단축하고 재편성하여 대본을 구성했다.[2]
이 작품은 셰익스피어의 동명 희곡을 바탕으로 하며, 원작의 대사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축약하고 재구성하여 대본을 만들었다. 특히 브리튼은 '꿈'과 '잠'이라는 주제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는 작품 전반의 환상적인 분위기와 심리 묘사에 반영되었다. 화성, 동기, 음색 등 다양한 음악적 기법을 통해 '꿈'의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다.[2][3] 브리튼은 이후에도 《녹턴》(Op. 60)이나 기타를 위한 《녹터널》(Op. 70) 등 '밤'이나 '꿈'과 관련된 주제의 작품을 계속 작곡했는데, 이는 그가 이 주제에 상당한 애착을 가졌음을 보여준다.[3]
초연은 1960년 6월 11일, 영국 올드버러의 주빌리 홀에서 올드버러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작곡가인 브리튼이 직접 지휘를 맡았고, 연출은 존 크랭코가 담당했다. 초연 당시 주요 출연진으로는 오베론 역에 알프레드 델러, 티타니아 역에 제니퍼 비비안, 라이샌더 역에 피터 피어스, 퍽 역에 존 카를라일 등이 참여했다. 초연 후 1960년에 부지 앤 호크스 출판사에서 총보와 피아노 악보가 출판되었다.
3. 등장인물
요정들 배역 음역 역할 오베론 카운터테너 요정의 왕 티타니아 소프라노 (콜로라투라) 요정의 여왕, 오베론의 왕비 퍽 대사 역 (화자) 오베론을 섬기는 장난꾸러기 요정 거미줄 보이 소프라노 티타니아를 따르는 요정 콩꽃 보이 소프라노 티타니아를 따르는 요정 겨자씨 보이 소프라노 티타니아를 따르는 요정 나방 보이 소프라노 티타니아를 따르는 요정 아테네 궁정 인물 배역 음역 역할 테세우스 베이스 아테네의 공작 히폴리타 콘트랄토 아마존의 여왕, 테세우스의 약혼녀 네 연인들 배역 음역 역할 라이샌더 테너 헤르미아를 사랑하는 젊은이 드미트리우스 바리톤 처음에는 헤르미아를, 나중에는 헬레나를 사랑하게 되는 젊은이 헤르미아 메조소프라노 라이샌더를 사랑하는 젊은 여성 헬레나 소프라노 드미트리우스를 사랑하는 젊은 여성 직공들 (Rude Mechanicals) 배역 음역 역할 (극중극에서의 배역) 보텀 베이스 바리톤 직조공 (피라무스) 퀸스 베이스 목수 (프롤로그, 연출가) 플루트 테너 풀무 수리공 (티스베) 스너그 베이스 가구 제작공 (사자) 스나우트 테너 땜장이 (벽) 스타블링 바리톤 재봉사 (달빛)
이 외에 요정들의 합창(소년 합창)도 포함된다.
4. 줄거리
기본적인 줄거리는 셰익스피어의 원작을 따르지만, 브리튼은 몇 가지 중요한 차이를 두었다. 특히 원작 희곡의 제1막 내용을 상당히 축소하고, 대신 아테네 근교의 숲과 그곳에 사는 요정들의 세계에 더 큰 비중을 두어 신비롭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강조했다. 오페라의 주요 무대는 원작과 동일하게 아테네 근교의 숲과 테세우스의 궁정이다. 상세한 줄거리는 각 막별 내용을 따른다.
4. 1. 제1막: 숲
요정 왕 오베론과 여왕 티타니아는 인도 소년 시종을 누가 데려갈지를 두고 다툰다. 오베론은 계략을 꾸며 요정 퍽에게 '사랑의 꽃' 즙을 가져오라고 명령한다. 이 즙은 잠든 사람의 눈꺼풀에 바르면 깨어났을 때 처음 본 존재를 사랑하게 만드는 효능이 있다.
아테네의 젊은 연인 라이샌더와 헤르미아가 등장한다. 헤르미아의 아버지는 그녀가 데메트리우스와 결혼하기를 원하지만, 헤르미아는 이를 거부하고 라이샌더와 함께 숲으로 도망친다. 그들은 "진실한 사랑의 길은 결코 순탄치 않다"고 노래하며 서로의 사랑을 확인한다. 라이샌더와 헤르미아가 떠난 후, 데메트리우스와 그를 짝사랑하는 헬레나가 나타난다. 헬레나는 데메트리우스에게 사랑을 갈구하지만 그는 냉담하다.
퍽이 사랑의 꽃 즙을 가져오자, 오베론은 사향초 둑에서 잠든 티타니아의 눈에 먼저 즙을 바른다. 그리고 데메트리우스와 헬레나의 대화를 엿들은 오베론은 퍽에게 아테네 청년 데메트리우스의 눈에도 즙을 발라 헬레나를 사랑하게 만들라고 지시한다. 한편, 마을의 직공들은 아테네 대공 시시어스의 결혼 축하연에서 상연할 '피라모스와 티스베' 연극 연습을 위해 숲에서 만나기로 한다.
길을 잃은 헤르미아와 라이샌더가 다시 등장한다. 라이샌더는 함께 잠들자고 제안하지만 헤르미아는 거절하고, 둘은 거리를 두고 잠이 든다. 퍽이 나타나 잠든 라이샌더를 데메트리우스로 착각하고 그의 눈에 사랑의 즙을 바른다. 데메트리우스를 쫓아온 헬레나가 잠든 라이샌더를 발견하고 깨운다. 깨어난 라이샌더는 가장 먼저 헬레나를 보고 사랑에 빠져 열렬히 구애하며 그녀를 뒤쫓아간다. 홀로 남겨진 헤르미아는 잠에서 깨어나 라이샌더가 사라진 것을 발견하고 불안해한다.
4. 2. 제2막: 숲
장인들이 연극 연습을 하는 동안, 피라무스 역을 맡은 보텀이 덤불 뒤에서 등장 순서를 기다릴 때 퍽이 나타나 그의 머리를 당나귀 머리로 바꿔 버린다. 갑작스럽게 나타난 당나귀 머리 괴물에 놀란 다른 장인들은 뿔뿔이 흩어져 도망친다. 한편, 잠에서 깨어난 요정 여왕 티타니아는 마법의 약 효능으로 인해 처음 본 존재인 당나귀 머리의 보텀에게 반하게 된다.
이 광경을 지켜보던 요정 왕 오베론은 만족스러워하지만, 곧 데메트리우스를 쫓아 헤르미아가 나타나면서 퍽이 엉뚱한 사람에게 마법의 약을 발랐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오베론은 퍽이 라이샌더에게 실수로 약을 바른 것을 깨닫고, 퍽에게 헬레나와 라이샌더를 찾아오도록 명령한 뒤 데메트리우스의 눈꺼풀에 묘약을 바른다.
퍽이 헬레나와 라이샌더를 데려오지만, 라이샌더는 이미 헬레나에게 열렬히 구애하고 있다. 이때 잠에서 깬 데메트리우스마저 헬레나에게 반해 사랑을 고백한다. 자신에게 냉담했던 두 남자가 갑자기 사랑을 고백하고, 헤르미아까지 나타나자 헬레나는 이 모든 것이 자신을 조롱하기 위한 세 사람의 공모된 장난이라고 생각하며 분노한다. 이전까지 헤르미아를 두고 다투던 라이샌더와 데메트리우스는 이제 헬레나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결투를 벌이려 하고, 결판을 내기 위해 각자 숲 속으로 사라진다.
오베론은 이 모든 혼란을 일으킨 퍽을 꾸짖고 사태를 수습하라고 명령한다. 퍽은 밤안개를 피우고 네 연인의 목소리를 흉내 내어 그들을 혼란에 빠뜨린 뒤, 지쳐 잠들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퍽은 라이샌더의 눈꺼풀에 해독 효과가 있는 약초의 즙을 발라 원래대로 헤르미아를 사랑하도록 되돌려 놓는다.
4. 3. 제3막: 숲, 궁전
숲 속에서 오베론은 당나귀 머리를 한 보텀과 함께 잠든 티타니아를 발견한다. 그는 원하던 인도의 시동을 얻어 만족했고, 티타니아에게 걸었던 마법을 풀어준다. 잠에서 깬 티타니아는 오베론과 화해한다. 팩이 아침을 알리는 뿔피리를 불자, 헤르미아, 헬레나, 라이샌더, 드미트리우스 네 연인도 잠에서 깨어난다. 이들의 엇갈렸던 사랑도 제자리를 찾게 된다. 당나귀 머리였던 보텀 역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온다. 한편, 마을의 직공들은 보텀이 사라져 연극을 할 수 없을까 걱정하지만, 보텀이 돌아오자 모두 기뻐하며 안도한다.
장면은 아테네의 궁전으로 바뀐다. 테세우스 대공 앞에 헤르미아와 라이샌더, 헬레나와 드미트리우스 두 쌍의 연인이 나타나 율법을 어기고 도망치려 했던 것을 용서해달라고 청한다. 테세우스는 이들의 사랑을 인정하고 용서하며, 자신의 결혼식 날에 이들의 합동 결혼식도 함께 열기로 결정한다. 결혼 축하연에서 직공들은 보텀이 주연을 맡아 우스꽝스러운 비극 피라무스와 티스베를 공연한다. 연극이 끝나고 마을 사람들이 베르가마스크 무곡을 추며 즐거워한다. 모든 인간들이 잠자리에 들자, 오베론과 티타니아 부부, 그리고 팩을 비롯한 요정들이 나타나 새로 맺어진 세 쌍의 부부(테세우스와 히폴리타, 헤르미아와 라이샌더, 헬레나와 드미트리우스)를 축복하는 노래를 부른다. 마지막으로 팩 혼자 남아 관객들에게 작별 인사를 고하며 막이 내린다.
5. 분석
브리튼은 등장인물들을 세 계층으로 나누어 음악적 특징을 부여했다. 시골뜨기(직공)들에게는 민속적이고 단순한 음악을, 연인들에게는 낭만적인 음향 세계를, 요정들에게는 매우 몽환적인 음악을 사용하여 각 계층의 성격을 뚜렷하게 나타냈다. 오페라의 배경은 대부분 아테네 주변 숲이며, 요정들이 극의 중심 역할을 맡는다.
이 오페라의 가장 혁신적인 부분 중 하나는 주역 남성인 오베론 역할을 카운터테너가 맡는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 오페라에서는 매우 드문 시도였다. 브리튼은 카운터테너 알프레드 델러의 독특한 목소리에 영감을 받아 오베론 역을 작곡했으며, 델러의 목소리는 현대 카운터테너보다 다소 낮은 음역대를 가졌지만, 특유의 몽환적인 음색으로 요정 세계를 효과적으로 표현했다. 오베론의 음악은 카운터테너에게 극단적인 고음이나 강한 소리(forte|포르테it)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오베론이 등장할 때는 하프와 첼레스타의 독특한 음색이 항상 함께하며, 이는 퍽의 등장을 알리는 트럼펫과 스네어 드럼 소리와 대조를 이룬다.
오페라 후반부에 직공들이 공연하는 극중극 '피라무스와 티스베'는 19세기 이탈리아 오페라, 특히 도니체티의 오페라에 나오는 '광란의 장면'을 유쾌하게 패러디한 것이다. 티스베의 아리아는 오블리가토 플루트 반주와 함께 도니체티의 유명한 장면("Il dolce suono")을 떠올리게 하며 극에 재미를 더한다.
브리튼은 이 작품에서 순수함과 그 상실이라는 주제를 깊이 탐구한다. 오페라는 소프라노 소년들이 부르는 티타니아의 시녀 요정들의 합창 "언덕 위로, 골짜기 위로"로 시작하는데, 이 소년 합창은 순수함을 상징한다. 이 어린 요정들은 극의 마지막에 네 연인들의 정욕적인 혼란을 잠재우며 "잭은 질을 가질 것이고 / 아무것도 잘못되지 않을 것이며 / 남자는 다시 그의 암말을 가질 것이고 / 모든 것이 잘 될 것이다"라고 노래한다. 이 노래는 단순한 해피엔딩을 넘어 브리튼이 평생 동안 매료되었던 순수함과 순결의 이상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사랑의 광기라는 원작의 핵심 주제에도 주목했다. 브리튼은 티타니아와 당나귀로 변한 보텀의 기이한 관계를 오페라 2막의 중심에 배치하여 이 주제를 강조했다. 브리튼 오페라의 여성 인물들이 종종 극단적인 모습(강하거나 약하거나)으로 그려지는 경향이 있는데, 티타니아는 이 두 가지 면모를 모두 가진 복합적인 인물로 나타난다. 그녀는 보텀을 지배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오베론과 퍽의 장난에 의해 완전히 조종당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녀의 화려한 콜로라투라는 사랑의 묘약에서 풀려나기 전까지는 악마적인 면모를 드러내기도 한다.
브리튼은 오페라의 관습을 재치있게 비틀기도 했다. 예를 들어, 오페라는 합창으로 시작하지만, 변성기 이전 소년들의 목소리로 부르는 합창이라는 점이 독특하다. 남성 주역은 바그너적인 헬덴테너와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헨델 시대의 카스트라토에 가까운 카운터테너이다. 이러한 선택들은 작품 전체에 바로크 시대 판타지 같은 분위기를 부여한다. 퍽의 묘사 역시 전통적인 오페라의 조수 역할(주로 바리톤)과 달리, 노래하지 않고 말하고 재주를 넘는 청소년으로 설정하여 관습을 벗어난다. 브리튼은 퍽을 "전적으로 비도덕적이지만 순수하다"고 보았으며, 스웨덴의 어린이 곡예사들에게서 영감을 받아 이 캐릭터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셰익스피어 원작과 비교했을 때, 오페라는 1막의 내용을 상당 부분 생략하고 "너를 데메트리우스와 결혼시키겠다"는 대사 하나로 압축하여, 숲과 요정의 세계에 훨씬 더 큰 비중을 두었다. 이는 브리튼이 '꿈'의 세계와 그 심리적 구성을 탐구하고 표현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2] 브리튼은 실제로 '꿈'과 '잠'이라는 주제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는 《녹턴》(작품 60, 테너, 현악과 7개의 악기를 위한)이나 기타를 위한 《녹터널》(작품 70) 같은 후속 작품들에서도 이어진다.[3]
6. 공연 역사
''한여름 밤의 꿈 (오페라)''는 1960년 6월 11일 영국 올드버러의 주빌리 홀에서 올드버러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초연되었다. 이 공연은 올드버러 음악제의 주빌리 홀 재건을 기념하기 위해 작곡된 오페라의 첫 무대였으며, 작곡가 브리튼이 직접 지휘하고 존 크랭코가 연출을 맡았다. 초연 출연진에는 피어스, 알프레드 델러, 제니퍼 비비안, 존 카를라일 등이 포함되었다.
초연 이후 오페라는 대체로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하워드 타우브먼은 올드버러 초연에 대한 평론에서 악보의 관현악 색채가 흔들림 없는 "고조된 환상"을 전달한다고 평가하며 다음과 같이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셰익스피어가 제기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 브리튼 씨는 매우 많은 것을 이루었기에 그의 최신이자 가장 행복한 오페라가 널리 유행할 것이라고 안전하게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브리튼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옛 협력자 W. H. 오든은 1961년 런던 공연을 본 후 스티븐 스펜더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작품을 "끔찍하다! 순수한 켄싱턴 가든"이라고 혹평하기도 했다.
초연 이후 이 오페라는 세계 여러 도시에서 상연되었다. 1961년에는 런던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 코벤트 가든에서 존 길구드가 연출하고 게오르그 솔티가 지휘하는 프로덕션이 공연되었으며, 이 프로덕션은 1984년까지 여섯 차례나 재공연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이후 함부르크, 베를린, 밀라노, 취리히 등 유럽 주요 도시와 도쿄에서도 공연되었다. 일본 초연은 1962년 5월 31일 도쿄 니키카이에 의해 이루어졌다.[1]
잉글리시 오페라 그룹은 1980년 스네이프 몰팅스에서 크리스토퍼 렌쇼 연출, 로빈 돈 디자인으로 이 오페라를 상연했으며, 이 프로덕션은 1986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다시 공연되었다. 2005년에는 로열 오페라 하우스의 린버리 스튜디오 극장에서 올리비아 푹스가 연출하고 티핀 소년 합창단이 참여한 새로운 버전이 제작되었다. 이 공연에서는 윌리엄 타워스가 오베론, 질리언 키스가 티타니아 역을 맡았다.
2011년 잉글리시 국립 오페라는 크리스토퍼 알덴 연출로 현대적인 해석을 가미한 프로덕션을 선보였다. 이 공연은 오페라의 배경을 20세기 중반의 학교로 설정하여 오베론(이에스틴 데이비스)과 티타니아(안나 크리스티)를 교사로, 퍽과 요정들을 학교 소년들로 묘사했다. 특히 오베론과 퍽(제이미 맨튼)의 관계에 노골적인 성적 긴장감을 부여하고, 퍽이 오베론의 새로운 관심사인 체인지링 소년에 대해 분노와 절망을 느끼는 것으로 표현하여 주목받았다. 또한, 극 내내 침묵하며 사건을 지켜보는 노인이 마지막에 테세우스(폴 윌란)로 밝혀지는데, 일부 평론가들은 이를 테세우스 자신이 과거 오베론의 총애를 받았던 인물이며 역사의 반복을 지켜보는 것이거나, 혹은 히폴리타와의 결혼을 앞두고 오페라의 사건들을 백일몽처럼 꾸는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했다.
7. 대한민국 초연
(내용 없음)
8. 악기 편성
참조
[1]
웹사이트
昭和音楽大学オペラ研究所 オペラ情報センター
http://opera.tosei-s[...]
[2]
서적
最新名曲解説全集20
[3]
간행물
CDのブックレッ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