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랑츠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랑츠어는 아네수, 카날라 등으로도 불리는 언어로, 뉴칼레도니아에서 사용된다. 로마자를 사용하며, 61개의 자소를 가진다. 1980년대 초 클레어 모이즈-포리가 표기법을 개발했다. 음운론적으로는 27개의 자음소, 17개의 구강 모음과 7개의 비모음, 그리고 각각에 대응하는 장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SVO 문장 구조를 따른다. 대명사는 독립형, 주격, 목적격, 소유격으로 나뉘며, 명사구 구조는 다른 오세아니아 언어와 비교해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항랑츠어는 공인된 교육 언어이며, 누메아 지역에서 사용되고, 유네스코는 소멸 위기 언어로 간주하지 않는다. 1975년 조지 윌리엄 그레이스의 사전과 1986년 클레어 모이즈-포리에의 사전이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항랑츠어 | |
---|---|
기본 정보 | |
이름 | 카날라어 |
원어 이름 | Xârâcùù (하라추) |
지역 | 카날라 |
사용 국가 | 누벨칼레도니 |
사용자 | 5,730명 (2009년 인구 조사) |
언어 코드 | |
ISO 639-3 | ane |
Glottolog | xara1244 (Xaracuu) |
언어 분류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1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1 | 오세아니아어군 |
어군2 | 남오세아니아어군 |
하위1 | 뉴칼레도니아 - 로열티 |
하위2 | 뉴칼레도니아어군 |
하위3 | 남뉴칼레도니아어군 |
하위4 | 남남뉴칼레도니아어군 |
하위5 | Xârâcùù-Xârâgurè (하라추-하라구레) |
음운 | |
IPA | /xɑ̃rɑ̃ʧɨː/ (현지) |
2. 별칭
- 아네수
- 카날라
- 하라네우
- 나아 자라추
- 자라치
3. 문자
항랑츠어는 로마자를 기반으로 표기하며, 발음 구별 기호와 이중음자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14] 총 61개의 자소가 사용된다.
3. 1. 알파벳
항랑츠어는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많은 발음 구별 기호와 이중음자를 포함하여 총 61개의 자소를 사용한다. 현재 사용되는 표기 체계는 1980년대 초반 언어학 연구소 LACITO의 클레어 모이즈-포리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 이전에는 선교사들이 주로 복음서나 교리 문답 등을 작성하기 위해 안지어어와 유사한 표기법을 사용했다.[14][4]항랑츠어의 철자법은 뉴칼레도니아의 다른 언어들과 유사한 원칙을 따른다. 예를 들어, 'b', 'd', 'g', 'j'와 같은 유성 자음 표기는 실제로는 비음화 자음을 나타낸다. 'bw', 'gw', 'ny'와 같은 이중음자는 각각 /ᵐbʷ/, /ᵑɡʷ/, /ɲ/ 음소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ch'는 프랑스어 철자법의 영향을 받아 /ʃ/ 소리를 나타낸다. 항랑츠어는 구별되는 모음의 수가 많고 모음군과 모음 길이의 구별이 중요하기 때문에, 악센트 기호와 같은 다양한 발음 구별 기호가 모음 표기에 활용된다.[1] 뉴칼레도니아의 다른 언어들처럼 비음 모음은 주로 회선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자소 | a | aa | ä | ää | â | ââ | b | bw | c | ch | d | rowspan="2" colspan="2" | | |
---|---|---|---|---|---|---|---|---|---|---|---|---|---|
발음 | ɑ | ɑː | ʌ̃ | ʌ̃ː | ɑ̃ | ɑ̃ː | ᵐb | ᵐbʷ | t͡ʃ | ʃ | ⁿd | ||
자소 | e | ee | é | éé | ë | ëë | è | èè | ê | êê | f | g | gw |
발음 | ɤ | ɤː | e | eː | ʌ | ʌː | ɛ | ɛː | ɛ̃ | ɛ̃ː | f | ᵑɡ | ᵑɡʷ |
자소 | i | ii | î | îî | j | k | kw | l | m | mw | n | ng | ny |
발음 | i | iː | ĩ | ĩː | ᶮɟ | k | kʷ | l | m | mʷ | n | ŋ | ɲ |
자소 | o | oo | ö | öö | ô | ôô | p | pw | r | s | t | rowspan="2" colspan="2" | | |
발음 | o | oː | ɔ | ɔː | ɔ̃ | ɔ̃ː | p | pʷ | r | ç | t | ||
자소 | u | uu | ü | üü | ù | ùù | û | ûû | v | w | x | xw | y |
발음 | u | uː | ɨ̃ | ɨ̃ː | ɨ | ɨː | ũ | ũː | v | w | x | xʷ | j |
4. 음운론
항랑츠어는 자음 음소 27개, 구강 모음 10개와 비모음 7개 및 이에 대응하는 장모음을 합쳐 총 34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14][1][4] 자음 중에는 오세아니아어군 언어에서 흔히 보이는 선비음화 파열음이 나타나며,[14][4] /l/ 소리는 외래어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14][4] 현재 연구에 따르면 음소 대립이 뚜렷하여 변이음적 변화의 여지는 적은 것으로 보인다.[1]
항랑츠어는 확립된 원 오세아니아어 형태의 규칙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아 음운론적 역사를 재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3]
4. 1. 자음
항랑츠어에는 27개의 자음 음소가 있다.[14][1][4] 이 중에는 오세아니아어군에서 흔히 나타나는 선비음화 파열음이 포함된다.[14][4] /l/ 소리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14][4]
4. 2. 모음
항랑츠어에는 17개의 단모음(구강 모음 10개, 비모음 7개)과 이에 대응하는 17개의 장모음이 있어, 총 34개의 모음소가 존재한다.[14][4]rowspan="2" |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구강 | 비음 | 구강 | 비음 | 구강 | 비음 | |
고모음 | i | ĩ | ɨ | ɨ̃ | u | ũ |
중고모음 / 반고모음 | e | ɤ | o | |||
중저모음 / 개반모음 | ɛ | ɛ̃ | ʌ | ʌ̃ | ɔ | ɔ̃ |
저모음 / 개모음 | a[14] / ɑ[4] | ã[14] / ɑ̃[4] |
5. 문법
항랑츠어는 예외가 거의 없는 엄격한 SVO 문장 구조를 가진다.
5. 1. 대명사
‡ 일부 양도 불가능 명사와 함께 사용.- 불변화사 rèane 뒤에 쓰여 모음동화를 일으킴. 예: nea rè+röane > nea rööane "당신의 칼"
5. 2. 명사구 구조
다른 오세아니아 언어와 비교했을 때, 항랑츠어의 명사구 구조는 약간 다르다. 항랑츠어의 대부분의 모음 수식어는 명사(머리, head) 앞에 온다.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관사로는 단수 ''a'', 쌍수 ''du'', 소수 ''ké'', 복수 ''mîî~mîrî'' 등이 있다.[1] '10'과 '15'를 나타내는 여러 다른 형태소가 있는데, 이는 오진법 수사 체계의 예시이다.항랑츠어 | 구성 | 의미 |
---|---|---|
kêrênürü mê bachéé | (5와 3) | '8' |
duchêêxê mê bachéé | (10과 3) | '13' |
acaa mê bachéé | (15와 3) | '18' |
5. 3. 수사
항랑츠어의 수사 체계는 몇 가지 수 분류사를 사용한다. 이 분류사는 숫자 '1' 뒤에는 접미사로 붙고, 그 외 다른 모든 수사 앞에는 접두사로 붙는 특징을 보인다.5. 4. 전치사
항랑츠어에는 알려진 전치사가 최소 17개 있으며, 이 중 최소 절반은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낸다. 세 개의 전치사는 서로 다른 유형의 공동격 관계를 나타낸다.[15][1]5. 5. 소유
항랑츠어는 다른 많은 오세아니아 언어처럼 직접 소유와 간접 소유 구문을 모두 사용한다.[1]직접 소유는 소유자와 분리될 수 없는 '불가분' 명사 (예: 신체 부위, 가족 관계)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 이 경우, 소유자를 나타내는 대명사나 명사를 소유된 명사 뒤에 접미사로 직접 붙인다.[1]
- ''nêêwâ-rö'': 너의 딸 (''nêêwâ'' 딸 + ''-rö'' 2인칭 단수 소유 접미사)
- ''nâxwâ-pârâ'': 뱀장어의 입 (''nâxwâ'' 입 + ''-pârâ'' 뱀장어)
간접 소유는 소유자와 소유물의 관계(친밀도, 분류)에 따라 두 가지 방식으로 표현되며, 소유 분류사나 특정 한정어를 사용한다.[1]
=== 분류사 사용 ===
7가지 소유 분류사가 있으며, 이 분류사가 소유 대명사 접미사를 받고 소유된 명사가 뒤따르는 구조를 가진다. 분류사는 다음과 같다.[1]
- ''nênê-'' (이형태 ''nânâ-''): 음식
- ''nèkê-'': 녹말 음식
- ''(nê)wînè'': 고기
- ''nèxêê-'': 씹어 먹는 음식
- ''(nê)wînyè-'': 음료
- ''nêngê-'': 심거나 수확하는 덩이줄기
- ''ngêê'' 또는 ''êê'': 재산
예시는 다음과 같다.[1]
- ''Nânâ-râ nô'': 나의 물고기 (먹을 것) (''nânâ'' 음식 분류사 + ''-râ'' 1인칭 단수 소유 접미사 + ''nô'' 물고기)
=== 한정어 사용 ===
3가지 다른 한정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는 소유된 명사가 먼저 오고 그 뒤에 한정어와 독립적인 형태의 소유자(대명사)가 온다. 한정어는 다음과 같다.[1]
- ''xû'': 이야기의 주제
- ''(rö)wâ'': 수동태
- ''rè'': 일반적인 소유
예시는 다음과 같다.[1]
- ''nô rè nâ'': 나의 물고기 (애완동물 등 일반 소유) (''nô'' 물고기 + ''rè'' 일반 한정어 + ''nâ'' 1인칭 단수 독립 대명사)
5. 6. 형태론
항랑츠어에는 몇 가지 동사 형태론이 존재한다. 여기에는 비생산적인 타동성 접미사 ''–ri'', 사역형 ''fa-'', 결과/상태형 ''mê-'', 자동사화 접두사 ''ù-''가 있다. 타동사 접미사가 존재하지만 그 수가 적어 이 언어는 형태론적 표기를 위해 엄격한 SVO 형식을 따른다.예를 들어, "Chaa xûûchi fa-mêgörö na vèè a"는 '한 아이가 이 유리를 깨뜨렸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fa-'는 사역형, 'mê-'는 결과/상태형 접두사이다. 어순을 바꾸어 "vèè a, chaa xûûchi fa-mêgörö na"라고 하면 '이 유리를, 한 아이가 깨뜨렸다'는 의미로, 목적어를 강조하는 표현이 된다.
5. 7. 동사구
항랑츠어의 동사구는 동사 앞에 주어 표지 대명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주어가 명사구일 경우에는 동사 앞의 주어 표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pa dopwa pia'' (젊은이들이 싸운다)와 같은 문장에서는 주어 'pa dopwa'(젊은이들)가 명사구이므로 동사 'pia'(싸우다) 앞에 별도의 주어 표지가 오지 않는다.[1] 동사 뒤에 화제화된 후치 주어가 오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어 표지 대명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i pia, ngê pa dopwa'' (그들은 서로 싸운다, 젊은이들)에서는 대명사 주어 표지 'ri'(그들)가 동사 앞에 오고, 명사구 주어 'pa dopwa'(젊은이들)는 문장 끝으로 이동했다.[1]또한, 문장 앞에 타동사 접미사 ''vèè a-''를 이동시켜 문장의 목적어를 화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능적 강화어 역할을 하는 중복 현상도 나타난다. 동사 형태론은 일부 존재한다.[1]
항랑츠어(자라쿠어)에서는 주어와 술어구의 순서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10개의 시제-상 표지가 있으며, 이들은 동사 앞이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동사구는 하나 이상의 수식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식어 역시 동사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1]
극성 의문문은 입자 ''kae''로 표시되며, ''kae''는 의문의 초점이 되는 구성 요소 바로 뒤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è xwa kae na âmu?'' (어제 비가 왔니?)에서는 문장 전체에 대한 질문이므로 동사 'xwa'(비) 뒤에 ''kae''가 오지만, ''è xwa na âmu kae?'' (비가 온 것은 어제였니?)에서는 'âmu'(어제)가 의문의 초점이므로 'âmu' 뒤에 ''kae''가 온다.[1]
누벨칼레도니 외부의 다른 많은 오세아니아어와 비교할 때, 항랑츠어(자라쿠어)는 명사에 대해 특이한 구문 구조를 사용한다. 수식어가 핵 명사를 선행하며, 그 뒤에는 지시어와 전체성 표지만 올 수 있다. 예를 들어, ''Mîî bachèè xuu pa xùùchî nä'' (저 세 명의 어린 아이들)에서 수식어 'Mîî bachèè xuu'(세 명의 작은)가 핵 명사 'pa xùùchî'(아이들) 앞에 오고, 지시사 'nä'(저)가 뒤에 온다.[1]
6. 사용 현황
항랑츠어는 공인된 교육 언어이며 누벨칼레도니 문화의 일부이다.[14][4] 누벨칼레도니의 수도인 누메아 지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 중 하나이며, 카날라 코뮌 주민의 90% 이상이 어느 정도 구사할 수 있기 때문에[14][4] 유네스코에서는 항랑츠어를 소멸위기언어로 간주하지 않는다.[14][4] 항랑츠어는 누벨칼레도니 카나크 원주민 언어 중 화자 수가 4번째로 많으며, 주로 가정에서 사용된다.[14][4]
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1980년부터 카날라의 카나크대중학교(Ecole Populaire Kanak Canala프랑스어, EPK)에서 초등 수준으로 가르치기 시작했다.[2] 이 학교는 마리아델 너셔로 은조레디에(Marie-Adele Néchérö Jorédié)가 설립했으며,[14] 2013년 기준으로도 카날라 지역에서 항랑츠어를 가르치는 유일한 초등 교육 기관이다.[2] EPK 학생들은 이후 공립 교육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2] 항랑츠어는 카날라 지역에서 유일하게 교육에 사용되는 언어로, 탁아소, 초등학교, 중등학교에서 가르친다.[14][4] 중등학교 과정은 사립 가톨릭 학교인 프란시스 루즈-티오와 공립 중등학교인 카날라에서 제공된다.[2] 그 밖에 티오 코뮌의 쿠아레 마을학교와 중등학교, 라포아 코뮌과 사라메아 코뮌의 유치원에서도 항랑츠어를 가르친다.[14][4]
7. 기록
항랑츠어는 공인된 교육 언어이자 뉴칼레도니아 문화의 일부이다. 주로 누메아 지역에서 사용되며, 해당 지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 중 하나이기에 유네스코에 의해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되지는 않았다.[4] 카날라 지역 주민의 90% 이상이 항랑츠어의 일부 형태를 구사할 수 있으며, 뉴칼레도니아 카낙 언어 중 네 번째로 많이 사용된다. 카날라 지역에 교육 기관이 있지만 주로 가정 내에서 사용된다.
항랑츠어 교육은 마리-아델 네체로 조르디에가 설립한 카낙 민중 학교(EPK, École Populaire Kanak프랑스어)를 통해 카날라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1980년부터 초등 교육이 시작되었으며, 2013년 기준으로도 유일하게 존재하는 EPK이다. 학생들은 EPK 이후 공립 교육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현재 항랑츠어는 카날라 지역의 유치원, 초등학교, 2개의 중등학교(사립 가톨릭 중등학교 프란시스 루즈-티오, 공립 중등학교 카날라), 티오(모성 쿠아레 마을 학교 및 중등학교), 라 포아와 사르라메아의 유치원에서 가르쳐지고 있다.[4][2]
지난 100년간 항랑츠어에 대한 주요 사전과 문법서가 출판되었다.
출판 연도 | 저자 | 제목 | 내용 |
---|---|---|---|
1975년 | 조지 윌리엄 그레이스 | 카날라 사전(뉴칼레도니아) | 영어/항랑츠어 사전 |
1986년 | 클레어 모이즈-포리에 | 항랑츠어-프랑스어 사전(누벨칼레도니) | 항랑츠어/프랑스어 사전 |
1995년 | 클레어 모이즈-포리에 | 르 항랑츠: 티오-카날라어(누벨칼레도니) | 문법서 |
참조
[1]
논문
Le xârâcùù: Langue de Thio-Canala (Nouvelle-Calédonie). Éléments de syntaxe
1997-06
[2]
웹사이트
Le xârâcùù « Sorosoro
http://www.sorosoro.[...]
2016-06-16
[3]
논문
Review of: ''Le xârâcùù: Langue de Thio-Canala (Nouvelle-Calédonie). Éléments de syntaxe''
1997-06
[4]
웹사이트
Xaracuu
https://www.alk.nc/l[...]
2016-06-15
[5]
문서
All English phrases are translated from French.
[6]
웹사이트
Corpus de la parole
http://corpusdelapar[...]
2016-06-16
[7]
문서
Story told by Mrs. Adelaide Kasovimoin-Nénûû, January 2008 at Mèrèdöxa, Kuöö, Canala region. Recorded by Annick Kasovimoin, responsible for the Xârâcùù Mission - ALK.
[8]
문서
新谷 (1992)。
[9]
문서
Hammarström et al. (2016).
[10]
문서
Lewis et al. (2015).
[11]
에스놀로그
Xârâcùù
https://www.ethnolog[...]
2015
[12]
논문
Le xârâcùù: Langue de Thio-Canala (Nouvelle-Calédonie). Éléments de syntaxe (Book Review)
1997-06-01
[13]
웹인용
Le xârâcùù « Sorosoro
http://www.sorosoro.[...]
2016-06-16
[14]
웹인용
Xaracuu
https://www.alk.nc/l[...]
2016-06-15
[15]
논문
Le xârâcùù: Langue de Thio-Canala (Nouvelle-Calédonie). Éléments de syntaxe
199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