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항불안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불안제는 불안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로, 불안의 본질, 유형, 원인, 역사, 종류, 작용 기전, 임상적 사용, 부작용 등에 대한 정보가 있다. 항불안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항우울제,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아자피론계 약물, 항경련제, 항정신병제, 베타 차단제 등으로 분류되며, 각 약물 종류별로 특징과 부작용이 다르다. 약물 치료 외에도 인지행동치료와 같은 대안적 치료법이 있으며, 약물 치료 시에는 부작용과 금단 증상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불안제 - 알프라졸람
    알프라졸람은 업존에서 개발되어 불안 및 공황 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항불안제이지만, 약물 의존성, 내성,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 항불안제 - 미르타자핀
    미르타자핀은 사환계 항우울제로, 주요 우울 장애 치료에 사용되며, 히스타민 및 특정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 작용을 통해 진정 효과를 나타내고, 항불안제, 수면제, 구토약, 식욕유발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수의학 분야에서도 사용된다.
항불안제
지도
기본 정보
다른 이름진정제, 소형 신경안정제
발음/ˌæŋksiəˈlɪtɪk, ˌæŋksioʊ-/
약물 분류항불안제
사용
치료 대상불안 장애
작용 방식
화학적 분류
관련 정보
Drugs.comDrugs.com 항불안제, 진정제, 수면제
추가 정보
관련 용어항불안제
참고 자료데이비드 힐리(2009), 208쪽
영국 국립 의료 기술 평가 기구(2011), 1.2.22-1.4.4쪽
세계 보건 기구 물질 남용 프로그램(1996), 17, 22쪽
애쉬튼(2002)
세계 보건 기구 물질 남용 프로그램(1996)
국제 마약 통제 위원회(2010), 40쪽
일본 우울증 학회, 일본 임상 정신 신경 약리학회, 일본 생물학적 정신 의학회, 일본 종합 병원 정신 의학회(2010)
관련 의학 용어항불안제

2. 불안의 본질

불안은 자연스러운 감정이자 반응이다. 개인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 불안은 불안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불안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방어적인 행동, 높은 경계 수준, 부정적 감정과 같은 공포 반응을 보일 수 있으며,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을 동반하기도 한다. 불안 장애는 여섯 가지 임상 평가를 통해 분류된다.[2]

2. 1. 불안 장애의 유형

다양한 유형의 불안 장애는 각각의 고유한 증상을 가지면서도 일부 일반적인 증상을 공유한다.

유형설명
범불안장애불안 증상은 일반적으로 지속적이고 끊임없다. 이 장애 환자는 6개월 이상, 대개 장기간 과도한 불안을 경험할 수 있으며, 증상은 특정한 원인 없이 발생할 수 있다.
공황장애이 장애는 특히 공황 발작과 반복적인 발작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한다. 공포증 환자(밀폐된 장소에서 벗어나기 어려워하는 두려움)에서 흔히 발견된다. 공황 발작은 일반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이유로 불안 수준이 갑자기 치솟는 것이다.
사회공포증이는 사람들 사이에서 공개적으로 관찰받거나 대중 앞에서 공연하는 등의 사회적 상황에서 무대에 서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한다. 두려움은 종종 설명할 수 없고 지속적이다. 또한 부족한 수행이나 어색한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 앞에서 굴욕을 당할 가능성에도 기인할 수 있다.
특정 공포증유형 또는 무형의 특정 대상에 대한 지속적인 두려움. 이는 그 대상을 피할 수 없거나 그 대상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생각이나 엄청난 수준의 불안 속에서 그 대상을 견뎌야 함을 의미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PTSD는 심각한 외상이나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을 경험함으로써 발생한다. 특정 증상으로는 유사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외상 사건에 대한 플래시백과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 포함된다. 사건을 다시 경험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무력감이나 공포감과도 관련이 있다.
강박 장애강박 장애가 있는 사람은 강박적인 충동을 제거하려는 강박적인 충동을 경험한다. 일반적인 예로는 불순물이나 오염에 대한 강박이 있다. 그 사람은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환경을 살균하는 강박이나 충동을 가질 것이다. 또 다른 예는 질서 정연함에 대한 강박이다. 그 사람은 강박을 완화하기 위해 시각적 프레젠테이션을 포함한 주변 환경을 조작할 것이다.


3. 원인

불안 장애의 병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아동기 불안, 중추성 흥분제에 의한 약물 유발, 대사 질환 또는 우울 장애 등은 불안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증명되지 않은 요인들이다.[2]

4. 역사

1940년대, 로슈(F. Hoffmann-La Roche) 제약의 레오 슈타른바흐(Leo Sternbach)는 염료를 목적으로 키나졸린 화합물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벤조디아제핀을 발견하였다.[66] 1958년, 클로르디아제폭시드는 미국에서 특허를 받았고, 1960년대에 리브리움(Librium)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었다.[66]

1960~70년대, 생물학적 정신의학의 거장들은 불안 장애 환자들에게 우울증이 동반되어 있으며, 항불안제보다 항우울제 치료가 적절하다고 주장하였다.[66]

1980년대, 맬컴 레이더(Malcolm Lader)는 벤조디아제핀의 장기 복용에 따른 중독 문제를 제기하였다.[66] 1980년대 후반, 벤조디아제핀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불안 장애의 배경에 우울증이 있다는 것을 근거로 SSRI가 판매되었다.[66]

1996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사용을 30일 이내로 제한하는 것을 권고하였다.[66]

5. 항불안제의 종류

항불안제는 불안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에 작용한다.[3] 항불안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여러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3][4]

약물 종류예시
항우울제SSRI (예: 플루옥세틴, 세르트랄린); SNRI (예: 벤라팍신); TCA; MAOI
벤조디아제핀계 약물로라제팜, 디아제팜, 알프라졸람
아자피론계 약물부스피론, 게피론, 탄도스피론
항경련제가바펜틴, 프레가발린, 티아가빈, 발프로에이트
항정신병제올란자핀, 리스페리돈
베타 차단제프로프라놀롤, 아테놀롤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빠른 효과를 보이지만 약물 의존성 위험이 있어 주로 단기 치료에 사용된다.[4] 아자피론계 약물인 부스피론은 일반화 불안 장애에 사용되며, 효과는 느리게 나타나지만 진정 작용과 금단 증상이 적다.[5] 이 외에도 항경련제, 항정신병제, 베타 차단제 등이 특정 불안 증상 완화에 사용될 수 있다.

5. 1. 항우울제

항우울제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삼환계 항우울제(TCA),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가 포함된다. SSRI는 모든 유형의 불안 장애에 사용되며, SNRI는 일반화 불안 장애(GAD)에 사용된다. 이 두 가지 모두 1차 항불안제로 간주된다. TCA는 1차 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더 크기 때문에 2차 치료제로 사용된다.[4]

최초의 MAOI인 이프로니아지드는 새로운 결핵 치료제인 이소니아지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 이 약물은 환자에게 행복감을 유발하고 식욕과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6]

최초의 TCA인 이미프라민은 당시의 다른 1세대 항히스타민제인 프로메타진과 함께 항히스타민제로 개발 및 연구되었다.[7] TCA는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의 재흡수 수송 단백질을 억제하여 이들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8]

세로토닌 작용제에 대한 효과를 높이고 항콜린성 및 항히스타민성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SSRI가 연구되어 불안 장애 치료에 도입되었다. 최초의 SSRI인 플루옥세틴(프로작)은 1974년에 발견되었고 1987년에 FDA의 승인을 받았다. 그 후 설트랄린(졸로프트), 파록세틴(팍실), 에스시탈로프람(렉사프로)과 같은 다른 SSRI들이 시장에 출시되었다.[7]

최초의 SNRI인 벤라팍신(에펙소르)은 1993년에 시장에 출시되었다.[7]

SSRI와 SNRI는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나 삼환계 항우울제(TCA)와 같은 기존 항우울제보다 부작용이 훨씬 적다. 따라서 SSRI와 SNRI는 장기적인 불안 장애 치료의 1차 약제이다.[9]

5. 2.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빠른 효과 발현으로 불안 장애의 응급 및 단기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약물 의존성 위험이 있다.[4] 공황 발작을 가라앉히기 위해 처방되며, 많은 항우울제에서 나타나는 효과 발생의 잠복기에 불안 장애에 대한 항우울제와 함께 처방되기도 한다.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면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상과 반동 현상의 위험이 있으며,[30] 내성과 의존성이 발생할 수 있다.[31] 이 계열 약물의 남용 위험은 바르비투르산염 계열보다 낮지만, 인지 및 행동 관련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32]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는 알프라졸람 (자낙스), 브로마제팜, 클로르디아제폭시드 (리브리움), 클로나제팜 (클로노핀), 디아제팜 (발륨), 로라제팜 (아티반), 옥사제팜, 테마제팜, 트리아졸람 등이 있다.

1940년대, 로슈(F. Hoffmann-La Roche) 제약의 레오 슈타른바흐(Leo Sternbach)는 염료를 목적으로 키나졸린 화합물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벤조디아제핀을 합성하였고, 항불안 작용이 발견되어 클로르디아제폭시드(chlordiazepoxide)로 명명되었다. 페노바르비탈과 같은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의 위험성이 인식되던 가운데, 클로르디아제폭시드는 1958년 5월 미국에서 특허가 승인되었고, 1960년대에 리브리움(Librium)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가 승인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 영국 모즐리 병원의 맬컴 레이더(Malcolm Lader)가 벤조디아제핀의 장기 복용에 따른 중독 문제를 제기하면서 언론에서 자주 다루어졌다. 1982년, 의학연구위원회(MRC)는 장기간의 알코올 중독과 유사한 뇌 위축이 나타난다는 보고를 받고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66] 1984년, 헤더 애쉬턴(Heather Ashton)은 국민보건서비스(NHS)에 약물 금단을 위한 클리닉을 설립하고, 이후 MRC에 벤조디아제핀의 장기적 영향을 보여주는 뇌 영상 및 인지 기능 검사 결과를 제출하였다.[66] 로슈(Roche)사와 존 와이스(John Wyeth)사에 대해 약 1만 7천 건의 집단 소송이 제기되었다.[66]

1996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사용을 30일 이내로 제한하는 것을 권고하였다.

5. 3. 아자피론계 약물

부스피론은 일반화 불안 장애(GAD)에 유용할 수 있지만, 공포증, 공황 장애 또는 사회 불안 장애 치료에는 특히 효과적이지 않다.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처럼 약물 의존성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에 더 안전한 선택이다.[5] 최근 벤조디아제핀 복용을 중단한 경우 부스피론의 효과가 떨어진다.[38] 부스피론 외에도 게피론, 탄도스피론 등이 아자피론계 약물에 속한다.

5. 4. 항전간제

항경련제불안장애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비표준 치료법으로 처방되는 경우가 드물다. 프리가발린은 일반화 불안 장애(GAD) 치료에 효과적이며 벤조디아제핀계 약물과 비슷한 효과를 보인다.[39][40] 프리가발린은 로라제팜, 알프라졸람, 벤라팍신과 비교했을 때 사용 1주일 후 항불안 효과가 나타나며, 정신적 및 신체적 불안 감소에 더 일관된 효과를 보인다.[39][40] 또한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과 달리 수면 구조를 방해하지 않으며, 인지 또는 정신운동 장애를 유발하지 않는다.[39][40]

5. 5. 항정신병제

올란자핀리스페리돈은 비정형 항정신병제로, 일반화 불안 장애(GAD)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에도 효과적이다.[9] 그러나 다른 항불안제보다 부작용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다.[9]

5. 6. 베타 차단제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은 원래 고혈압 및 심장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9] 또한, 떨림이나 심계항진과 같은 증상이 있는 불안을 치료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9] 프로프라놀롤은 신경계에 작용하여 증상을 완화시켜 준다.[9] 긴장되는 상황, 예를 들어 공개 연설 시에도 흔히 사용된다.[13]

5. 7. 기타

페니부트(Anvifen, Fenibut, Noofen)는 러시아에서 사용되는 항불안제이다.[42] 페니부트는 GABAB 수용체 작용제이자,[42] 가바펜틴프레가발린과 유사하게 α2δ 소단위체를 포함하는 전압 의존성 칼슘 채널(VDCCs)의 길항제이다.[44] 이 약물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지 못했지만, 건강기능식품으로 온라인에서 판매되고 있다.[45][46]

템기콜루릴(Mebicar)은 라트비아에서 생산되어 동유럽에서 사용되는 항불안제이다. 템기콜루릴은 변연-망상 활동의 구조, 특히 시상하부에 영향을 미치며,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 콜린, 세로토닌 및 아드레날린성 활동 등 네 가지 기본 신경 매개체 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친다.[47] 템기콜루릴은 노르아드레날린을 감소시키고 세로토닌을 증가시키지만, 도파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48]

파보모티졸(Afobazole)은 2000년대 초 러시아에서 출시된 항불안제이다. 작용 기전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GABA 작용성, NGF 및 BDNF 방출 촉진, MT₁ 수용체 작용제, MT₃ 수용체 길항제, 그리고 시그마 수용체 작용제의 작용이 어느 정도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49][50]

브로만탄(Bromantane)은 1980년대 후반 러시아에서 개발된, 항불안 효과를 가진 흥분제다. 브로만탄은 관련 효소(티로신 수산화효소(tyrosine hydroxylase, TH)와 방향족 L-아미노산 탈카르복실라아제(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AAAD))의 간접적인 유전체 상향 조절을 통해 도파민 생합성을 주로 촉진한다.[51][52]

엠옥시핀(Emoxypine)은 항산화제이며, 불안 해소제로서의 효능도 주장되고 있다.[53][54] 그 화학 구조는 비타민 B6의 한 형태인 피리독신(pyridoxine)과 유사하다.

발레리안산 멘틸(Menthyl isovalerate)은 향료 식품 첨가물로, 러시아에서는 ''발리돌''(Validol)이라는 이름으로 진정제 및 항불안제로 판매되고 있다.[55][56]

알피뎀(Alpidem)은 벤조디아제핀과 유사한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는 비벤조디아제핀계 항불안제이지만, 진정, 인지, 기억 및 운동 장애는 감소시킨다.[58] 프랑스에서 잠시 판매되었으나 간 독성(liver toxicity)으로 인해 시장에서 철회되었다.[58]

에티폭신(Etifoxine)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과 유사한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지만, 동일 수준의 진정 작용 및 운동실조를 유발하지 않는다.[59] 또한, 에티폭신은 기억력과 각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반동 불안, 약물 의존성 또는 금단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다.[59]

알코올(Alcohol)은 때때로 자가 치료의 목적으로 항불안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은 인간 뇌에서 알코올의 항불안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60]

6. 작용 기전

벤조디아제핀은 신경계에서 발견되며 신경 반응을 조절하는 GABA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벤조디아제핀은 GABA와 GABA 수용체 간의 결합을 개선하고 염화물 이온 통로의 개방을 향상시켜 세포 내로 염화물 이온 유입을 증가시킨다. 신경 세포 내 염화물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 신경의 탈분극이 더 어려워지고 추가적인 신경 신호 전달이 억제되어 신경의 흥분성이 감소하고 신경계가 느려진다. 따라서 이 약물은 불안 장애의 증상을 완화하고 사람을 덜 불안하게 만들 수 있다.[9]

6. 1. SSRIs and SNRIs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는 모두 신경 신호 전달 물질인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이다.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은 기분 조절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은 신경섬유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의 축적을 피하기 위해 신경에 의한 재흡수를 통해 조절된다. 신경전달물질을 재흡수함으로써 신경 활동 수준은 감소하고 새로운 신경 신호의 흥분에 따라 다시 증가할 준비를 한다.[9]

그러나 불안 장애 환자의 경우 신경전달물질 수준이 일반적으로 낮거나, 신경섬유가 신경전달물질에 둔감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SSRI와 SNRI는 재흡수 통로를 차단하여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을 증가시킨다. 신경섬유는 수준 증가에 따라 신경전달물질의 추가 생성을 억제한다. 그러나 장기간 증가하면 결국 신경의 감수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SSRI와 SNRI 모두 완전한 효과를 발휘하는 데 4~6주가 걸린다.[2][9]

6. 2. 벤조디아제핀

벤조디아제핀은 신경계에서 발견되며 신경 반응을 조절하는 수용체 단백질인 GABA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한다.[9] 벤조디아제핀은 GABA와 GABA 수용체 간의 결합을 개선하고 염화물 이온 통로의 개방을 향상시켜 세포 내로 염화물 이온 유입을 증가시킨다.[9] 신경 세포 내 염화물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 신경의 탈분극이 더 어려워지고 추가적인 신경 신호 전달이 억제되어 신경의 흥분성이 감소하고 신경계가 느려진다.[9] 따라서 이 약물은 불안 장애의 증상을 완화하고 사람을 덜 불안하게 만들 수 있다.[9]

7. 임상적 사용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불안 장애 치료에 1차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16] SSRI는 세로토닌성 자동 수용체를 통한 음성 피드백 때문에 초기에는 불안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 때문에 SSRI의 항불안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벤조디아제핀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18]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약물들이 불안 장애 치료에 사용된다.


  •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벤라팍신(서방형)과 둘록세틴범불안장애 치료에 사용된다.[23] SNRI는 SSRI와 비슷한 효과를 보인다.[23]
  • 삼환계 항우울제(TCA): 항불안 효과가 있지만, 부작용이 심하거나 과다 복용 시 위험할 수 있다. 이미프라민, 독세핀, 아미트립틸린, 노르트립틸린, 데시프라민 등이 있다.[24][25]
  • 사환계 항우울제: 미르타자핀은 SSRI와 비슷한 항불안 효과를 가지며, 효과가 더 빨리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27]
  •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 불안 치료에 효과적인 1세대 항우울제이나, 식이 제한, 부작용, 새로운 약물 등장으로 사용이 제한적이다.[28] 페넬진, 이소카르복사지드, 트라닐시프로민, 피를린돌(식이 제한 없는 가역적 MAOI) 등이 있다.[28]
  • 바르비투르산염: 강력한 항불안제이나 남용 및 중독 위험이 높아, 벤조디아제핀이나 비벤조디아제핀이 효과 없을 때 심각한 불면증의 단기 치료에만 사용된다.[29]
  •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공황 발작 완화 및 항우울제의 효과 발생 전 불안 장애에 사용된다. 갑작스러운 중단은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상과 반동 현상을 유발하며, 내성과 의존성이 생길 수 있다.[30][31] 알프라졸람, 브로마제팜, 클로르디아제폭시드, 클로나제팜, 디아제팜, 로라제팜, 옥사제팜, 테마제팜, 트리아졸람 등이 있다.
  • 교감신경억제제: 교감신경계 활동을 억제하는 항고혈압제로, 베타 차단제(프로프라놀롤, 옥스프레놀롤, 메토프롤롤)는 심박수와 떨림을 줄여 불안감을 감소시킨다.[33][34] 프라조신(알파-1 길항제)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35] 클로니딘과 구안파신(알파-2 작용제)은 불안 해소 및 유발 효과를 모두 보인다.[36]

7. 1.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우울증, 불안 장애, 강박증, 그리고 일부 인격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한 종류이다.[14][15] 세로토닌은 기분 향상에 중요한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이며, 세로토닌 수치를 높이면 불안 완화 효과가 나타난다.[17] SSRI는 우울증과 불안 장애 모두에 대한 급성 반응과 장기 유지 치료 모두에 유익하다.[16] 파록세틴에스시탈로프람미국 FDA에서 일반화된 불안 장애 치료제로 승인받았다.[13]

7. 1. 1. 치료적 사용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우울증, 불안 장애, 강박증, 그리고 일부 인격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한 종류이다.[14][15] SSRI는 불안 장애 치료의 1차 약물이다.[16] 세로토닌은 기분 향상에 중요한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이며, 세로토닌 수치를 높이면 불안 완화 효과가 나타난다.[17] SSRI는 다른 수용체나 이온 채널과 상호 작용하지 않고 세로토닌성 시스템의 세로토닌 재흡수 펌프를 억제하여 뇌의 세로토닌 수치를 증가시킨다. SSRI는 우울증과 불안 장애 모두에 대한 급성 반응과 장기 유지 치료 모두에 유익하다.[16]

SSRI는 세로토닌성 자동 수용체를 통한 음성 피드백으로 인해 초기에는 불안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SSRI의 항불안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벤조디아제핀을 병용할 수 있다.[18]

파록세틴에스시탈로프람미국 FDA에서 일반화된 불안 장애 치료제로 승인받았다.[13]


7. 1. 2. 부작용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의 일반적인 초기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설사, 두통, 어지러움, 불면증이 있다.[21]

성기능 장애, 무월경, 발기부전, 성욕 감퇴는 SSRI의 일반적인 부작용이다. 때때로 이러한 증상은 치료 중단 후에도 지속될 수 있다.[21]

SSRI를 갑자기 중단하면 어지러움, 두통, 독감 유사 증상(피로, 근육통, 설사)과 같은 금단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뇌는 특히 파록세틴과 같이 반감기가 짧은 약물 복용 중단 후에는 수용체를 충분한 수준으로 증가시킬 수 없다. 플루옥세틴과 그 활성 대사체는 반감기가 길기 때문에 금단 증상이 가장 적다.[16][22]

7. 2.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에는 벤라팍신둘록세틴이 포함된다. 벤라팍신(서방형)과 둘록세틴은 범불안장애 치료에 사용된다.[23] SNRI는 SSRI와 불안 장애 치료 효과가 동등하다.[23]

7. 3. 삼환계 항우울제(TCA)

최초의 삼환계 항우울제(TCA)인 이미프라민은 항히스타민제로 개발 및 연구되었다.[7] 삼환계 항우울제는 노르에피네프린세로토닌의 재흡수 수송 단백질을 억제하여 이들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8] 대부분의 삼환계 항우울제는 노르에피네프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졸음과 기억 상실과 같은 부작용으로 이어진다.

7. 3. 1. 치료적 사용

삼환계 항우울제(TCA)는 항불안 효과가 있지만, 부작용이 더 심하거나 심각할 수 있으며 과다 복용은 위험하다. 효과적이라고 여겨지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부작용을 일으키는 항우울제로 대체되었다.[24][25] 이미프라민, 독세핀, 아미트립틸린, 노르트립틸린, 데시프라민 등이 그 예이다.[24][25]

약물적응증흔한 부작용
이미프라민
클로미프라민[20]


7. 3. 2. 금기

삼환계 항우울제는 저혈압, 심혈관 질환 및 부정맥 환자에게 약물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26]

7. 4. 사환계 항우울제

미르타자핀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비슷한 항불안 효과를 보이는 반면, 불안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경우는 드물다. 미르타자핀의 불안 감소 효과는 SSRI보다 훨씬 빠르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27]

7. 5.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

최초의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인 이프로니아지드는 이소니아지드 개발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 이 약물은 환자에게 행복감을 유발하고 식욕과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6] MAOI는 불안 치료에 효과적인 1세대 항우울제이지만, 식이 제한, 부작용, 그리고 새로운 약물의 등장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이다.[28] MAOI에는 페넬진, 이소카르복사지드, 트라닐시프로민이 포함된다. 피를린돌은 식이 제한이 없는 가역적 MAOI이다.[28]

7. 6. 바르비투르산염

바르비투르산염은 강력한 항불안제이지만 남용 및 중독의 위험이 높다. 많은 전문가들은 불안 치료에는 이 약물이 구식이라고 생각하지만, 벤조디아제핀이나 비벤조디아제핀이 효과가 없을 경우에만 심각한 불면증의 단기 치료에 유용하다고 생각한다.[29]

7. 7.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여 졸음, 과진정, 어지럼증 등을 유발한다. 특히 노인에게서 기억력 장애, 과다 타액 분비, 운동실조, 발음 부정확, 정신 운동 효과 등이 흔하게 나타날 수 있다.[2]

7. 7. 1. 치료적 사용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공황 발작을 가라앉히기 위해 처방된다. 또한 많은 항우울제(AD)에서 나타나는 효과 발생의 잠복기에 불안 장애에 대한 항우울제와 함께 처방되기도 한다. 벤조디아제핀을 갑자기 중단하면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상과 반동 현상의 위험이 있다.[30] 내성과 의존성이 발생할 수 있다.[31] 이 계열 약물의 남용 위험은 바르비투르산염 계열보다 낮다. 인지 및 행동 관련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32]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는 알프라졸람 (자낙스), 브로마제팜, 클로르디아제폭시드 (리브리움), 클로나제팜 (클로노핀), 디아제팜 (발륨), 로라제팜 (아티반), 옥사제팜, 테마제팜, 트리아졸람이 있다.

약물적응증일반적인 부작용
로라제팜
디아제팜
알프라졸람


7. 7. 2. 부작용

항불안제를 복용하면 졸리거나 머리가 멍해지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점차 부작용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언급된 바 있다.[90]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공황 발작을 가라앉히기 위해 처방된다. 또한 많은 항우울제(AD)에서 나타나는 효과 발생의 잠복기에 불안 장애에 대한 항우울제와 함께 처방되기도 한다. 벤조디아제핀을 갑자기 중단하면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상과 반동 현상의 위험이 있다.[30] 내성과 의존성이 발생할 수 있다.[31] 이 계열 약물의 남용 위험은 바르비투르산염 계열보다 낮다. 인지 및 행동 관련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32]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벤조디아제핀은 중추신경계 억제를 유발하여 졸음, 과진정, 어지럼증과 같은 일반적인 부작용을 일으킨다. 특히 노인에게서 기억력 장애, 과다 타액 분비, 운동 실조, 발음 부정확, 정신 운동 효과가 흔한 부작용일 수 있다.[2]

7. 8. 교감신경억제제

교감신경억제제는 교감신경계의 활동을 억제하는 항고혈압제의 한 종류이다. 베타 차단제는 심박수를 낮추고 떨림을 예방함으로써 불안감을 감소시킨다. 베타 차단제에는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옥스프레놀롤(oxprenolol), 메토프롤롤(metoprolol)이 포함된다.[33][34] 알파-1 길항제인 프라조신(prazosin)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에 효과적일 수 있다.[35] 알파-2 작용제인 클로니딘(clonidine)과 구안파신(guanfacine)은 불안 해소 및 불안 유발 효과 모두를 보여주었다.[36]

8. 약물 치료의 대안

인지행동치료(CBT)는 공황장애, 사회불안장애, 광장공포증, 강박장애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노출요법은 불안 관련 공포증에 권장되는 치료법이다. 의료 제공자는 자가 치료 자료를 참고하여 불안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안내할 수 있다.[61] 약물 치료와 정신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단일 치료보다 효과가 더 낫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62]

9. 진료 지침

영국 국립보건기술평가연구소(NICE)(NICE)의 2011년 불안장애 관련 가이드라인에서는 범불안장애(GAD) 치료에서 단기적인 대책을 제외하고는 벤조디아제핀을 사용하지 않으며, 항정신병약 또한 마찬가지이다.[76] 공황장애에서는 진정 항히스타민제나 항정신병약, 그리고 장기간의 벤조디아제핀 투약은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 않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질환에 대해 장기간의 효과가 있는 것은 항우울제뿐이다.[76]

세계보건기구는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합리적인 사용”은 30일까지의 단기간이라고 밝히고 있다.

10. 유효성

2014년 발표 편향을 제외한 메타분석 결과, 항우울제 파록세틴(Paroxetine)의 효과 크기는 공황장애에 대해 0.36, 전반적 불안 장애에 대해 0.20으로, 위약(플라시보)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7]

발표 편향을 조사한 결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된 임상시험 57건 중 72%인 41건이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78] 그중 발표된 연구는 45건이며, 96%가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여 편향이 확인되었지만, 발표된 연구만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해도 데이터가 크게 왜곡되지는 않았다.[78]

11. 부작용

항불안제를 복용하면 졸리거나 머리가 멍해지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점차 부작용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90] 항우울제는 투여 직후부터 자살 위험이 있는 흥분증후군의 위험성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이 자살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육된 일본원숭이에게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인 디아제팜을 투여했을 때, 절반은 상처 수가 줄었고 절반은 증가했다.[79]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불안장애를 악화시킬 수 있다.

2012년 미국 불안장애협회 연례 회의에서는 벤조디아제핀계 항불안제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환자의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계(HPA) 축을 억제하여 스트레스 증상을 악화시키고, 공포 반응 학습 및 기억을 무효화하여 노출 요법의 효과를 떨어뜨린다는 보고가 있었다.[80][81]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암[82]치매 위험을 높인다.[83] 항우울제나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1개월 이내에 복용한 경우 자동차 사고 위험이 커진다.[84] 고령자의 경우 항우울제나 벤조디아제핀(특히 장시간 작용형) 복용은 낙상 위험을 높인다.[85]

11. 1. 사망 위험 증가

항불안제·수면제 복용은 사망률을 높인다. 약 1만 5천 명을 18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사용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불안제·수면제 복용군은 남성의 경우 3.1배, 여성의 경우 2.7배였고, 교란 요인을 조정한 후에는 각각 1.7배와 1.5배였다.[86] 13년간의 추적 조사에서는 항불안제·수면제 복용군이 3.22배였고, 조정 후에는 1.36배였다.[87]

11. 2. 금단 증상

항우울제나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모두 복용 중단으로 인해 금단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갑작스러운 중단은 권장되지 않는다. 만약 항우울제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함께 복용하고 있다면, 두 약물 모두 복용을 중단하는 경우 먼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복용을 중단하고 1개월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장기간 복용하면 효과가 약해지는 내성이 생긴다. 이 때문에 약물을 추가하여 다제 처방이 되고, 고용량 복용이 지속될 경우 갑작스러운 복용 중단은 심각한 금단 증상으로 인해 위험해진다.

1960년대에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중단할 때 고용량으로 사용된 경우 금단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이후 치료 용량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금단 증상에는 해리성 장애, 우울증, 불면증, 두근거림, 불안, 혼란, 위장 장애, 지속적인 이명, 불수의 근경련, 감각 이상, 발작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감기가 짧은 약물에서 금단 증상이 더 잘 나타난다. 또한 원래 질환과의 구별이 어렵다.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이나 항우울제의 경우, 애쉬튼(Ashton)에 따르면 이러한 금단 증상은 장기간 지속될 수 있으므로, 심각한 금단 증상을 피하기 위해 디아제팜과 같은 저력가의 장시간 작용형 약물로 등가 환산하여 대체하고, 개별 상태에 맞춰 1~2주마다 또는 그보다 더 느리게 이전보다 10%씩 줄이는 등 최대 6개월 이상에 걸쳐 점진적으로 감량하는 방법이 권장된다.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상과 항우울제 SSRI의 금단 증상은 매우 유사하다.[88]

참조

[1] 의학용어사전 Antianxiety agent
[2] 서적 Clinical pharmacy and therapeutics http://worldcat.org/[...] Elsevier 2018-08-07
[3] 웹사이트 Anxiolytics and you: How anxiety medications can help. https://my.cleveland[...] 2024-01-15
[4] 웹사이트 Anxiety: Pharmacotherapy https://www.camh.ca/[...] 2024-01-15
[5] 학술지 Psychopharmacology of anxiety disorders 2002
[6] 학술지 The Tuberculosis-Depression Syndemic and Evolution of Pharmaceutical Therapeutics: From Ancient Times to the Future 2021-06-01
[7] 학술지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antidepressant drugs: From monoamines to glutamate. http://dx.doi.org/10[...]
[8] 백과사전 Tricyclic Antidepressant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01-15
[9] 서적 Rang and Dale's Pharmacology 7th Edition Preface http://dx.doi.org/10[...] Elsevier 2022-03-16
[10] 웹사이트 Benzodiazepines: What They Are, Uses, Side Effects & Risks https://my.cleveland[...] 2024-01-15
[11] 웹사이트 BuSpar For Anxiety: Is It Right For Me? Klarity https://www.klaritya[...] 2022-11-23
[12] 웹사이트 What is the Best Anticonvulsant for Anxiety? https://psychcentral[...] 2014-10-28
[13] 학술지 Pharmacotherapy of Anxiety Disorders: Current and Emerging Treatment Options 2020
[14] 학술지 Although antidepressants and anxiolytics are frequently used together to treat depression in the acute phase, how effective is the concomitant use of these drugs?
[15] 서적 Abnormal Psychology: An Integrative Approach Wadsworth Cengage Learning
[16] 백과사전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03-16
[17] 웹사이트 Serotonin: What Is It, Function & Levels https://my.cleveland[...] 2024-01-15
[18] 학술지 Combination Treatment With Benzodiazepines and SSRIs for Comorbid Anxiety and Depression: A Review 2008
[19] 서적 Stahl's essential psychopharmacology : the prescriber's guide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20] 서적 British National Formulary. http://worldcat.org/[...] Pharmaceutical Press 2014
[21] 웹사이트 Side effects -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https://www.nhs.uk/m[...] 2021-02-15
[22] 학술지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http://dx.doi.org/10[...] 2017-06
[23] 서적 Anxiety Disorders: A Pocket Guide For Primary Car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06-19
[24] 서적 Antidepressants : Pharmacology, Health Effects and Controversy Nova Science Publishers 2012
[25] 웹사이트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s) https://www.mayoclin[...]
[26] 학술지 Tricyclic antidepressant poisoning : cardiovascular toxicity https://pubmed.ncbi.[...] 2005
[27] 학술지 Considerations when selecting an antidepressant: a narrative review for primary care providers treating adults with depression 2023-07-04
[28] 학술지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two reversible monoamine oxidase A inhibitors, pirlindole and moclobemide,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https://pubmed.ncbi.[...] 1997-08
[29] 서적 Lehne's pharmacology for nursing care 2015-01-29
[30] 학술지 Psychopharmacology of anxiety disorders 2002
[31] 서적 Psychiatry Oxford
[32] 학술지 Withdrawing benzodiazepines in primary care
[33] 학술지 Beta-blockers in anxiety disorders https://zenodo.org/r[...]
[34] 학술지 Beta-Adrenergic Receptor Blocking Drugs in Psychiatry
[35] 학술지 High-dose prazosin for the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36] 논문 Effects of Clonidine on Anxiety Disorders
[37] 서적 Annual Reports in Medicinal Chemistry, Volume 32 p. 319 https://books.google[...]
[38] 논문 Prior benzodiazepine use and buspirone response in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https://pubmed.ncbi.[...] 2000-02-01
[39] 논문 Pregabalin for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novel pharmacologic intervention
[40] 논문 Pregabalin: Its efficacy, safety and tolerability profile in generalized anxiety
[41]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Hydroxyzine in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42] 논문 Phenibut (β-Phenyl-GABA): A Tranquilizer and Nootropic Drug 2001
[43] 웹사이트 Феномен аминофенилмасляной кислоты http://www.rmj.ru/ar[...] 2018-12-19
[44] 논문 R-phenibut binds to the α2–δ subunit of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s and exerts gabapentin-like anti-nociceptive effects 2015-10-01
[45] 논문 Phenibut (4-amino-3-phenyl-butyric acid): Availability, prevalence of use, desired effects and acute toxicity 2016
[46] 논문 Quantity of phenibut in dietary supplements before and after FDA warnings 2021-09-22
[47] 웹사이트 Adaptol.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http://olainfarm.lv/[...] 2015-07-24
[48] 논문 Characteristics of the psychotropic spectrum of action of mebicar
[49] 논문 Clinical study of the selective anxiolytic agent afobazol
[50] 논문 Gabaergic mechanism of cerebrovascular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afobazole and picamilon
[51] 논문 Ladasten induces the expression of genes regulating dopamine biosynthesis in various structures of rat brain
[52] 논문 The effect of ladasten on gene expression in the rat brain
[53]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nxiolytic Effects of 3-Hydroxypyridine and Succinic Acid Derivatives
[54] 논문 Antioxidant Treatment of Ischemic Brain Lesions
[55] 백과사전 Validol http://encyclopedia2[...]
[56] 웹사이트 Farmak Product Information - Validol http://farmak.ua/ass[...] 2013-04-09
[57] 논문 Piracetam and Piracetam-Like Drugs
[58] 논문 Anxioselective anxiolytics: on a quest for the Holy Grail 2012-11-01
[59] 논문 An update on the anxiolytic and neuroprotective properties of etifoxine: from brain GABA modulation to a whole-body mode of action (Review)
[60] 논문 Why We Like to Drink: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of the Rewarding and Anxiolytic Effects of Alcohol
[61]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62] 논문 Combined pharmacotherapy and cognitive-behavioural therapy for anxiety disorders
[63] 서적 CMA & AMA Home medical guides 2012 & 2014 2018-03-01
[64] 웹사이트 向精神薬に関する条約 https://web.archive.[...]
[65] 보고서 Special Report: Availability of Internationally Controlled Drugs: Ensuring Adequate Access for Medical and Scientific Purposes http://www.incb.org/[...] 국제마약통제위원회 2010
[66] 뉴스 Drugs linked to brain damage 30 years ago http://www.independe[...] 2013-03-10
[67] 논문 Withdrawing benzodiazepines in primary care
[68] 서적 Hager's Handbuch der Pharmazeutischen Praxis, Vols. 2-6 Springer-Verlag
[69] 논문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icacy of Scutellaria lateriflora in healthy volunteers. http://www.ncbi.nlm.[...]
[70] 논문 Antidepressant and anxiolytic effects of hydroalcoholic extract from Salvia elegans http://www.sciencedi[...] 2006-08-01
[71] 논문 Coriandrum sativum: evaluation of its anxiolytic effect in the elevated plus-maze
[72] 논문 Inositol treatment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73] 논문 Double-blind, controlled, crossover trial of inositol versus fluvoxamine for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74] 웹사이트 膜輸送体OCTN1による神経細胞の機能制御機構とうつ病治療への応用に関する研究 https://kaken.nii.ac[...] 2015
[75] 논문 Cannabidiol as an antipsychotic drug http://www.scielo.br[...]
[76] 논문 Samtidig bruk av ulike benzodiazepiner http://tidsskriftet.[...]
[77] 논문 The Efficacy of Paroxetine and Placebo in Treating Anxiety and Depression: A Meta-Analysis of Change on the Hamilton Rating Scales http://journals.plos[...]
[78] 논문 Reporting Bias in Clinical Trials Investigating the Efficacy of Second-Generation Antidepressants in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79] 논문 The physiology and neurochemistry of self-injurious behavior: a nonhuman primate model http://www.bioscienc[...]
[80] 뉴스 Long-Term Benzodiazepines for Anxiety Linked to Adverse Events http://www.clinicalp[...] 2012-04-27
[81] 웹사이트 Benzodiazepine Use and CBT http://www.abstracts[...] 2012-04-13
[82] 논문 Benzodiazepine Use Possibly Increases Cancer Risk
[83] 논문 Benzodiazepine use and risk of dementia: prospective population based study
[84] 논문 Psychotropic Drugs and Risk of Motor Vehicle Accidents: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85] 논문 Psychotropic Drug-Induced Falls in Older People
[86] 논문 Use of anxiolytic or hypnotic drugs and total mortality in a general middle-aged population
[87] 논문 Mortality hazard associated with anxiolytic and hypnotic drug use in the National Population Health Survey http://publications.[...]
[88] 논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dependence and withdrawal reactions? A comparison of benzodiazepines and selective serortonin re-uptake inhibitors http://www.ncbi.nlm.[...]
[89] 사전 antianxiety agent
[90] 뉴스 우울증도 고친다…정신질환의 오해와 진실 http://news.jtbc.joi[...] 2016-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