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적당 (스웨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웨덴 해적당은 2006년 저작권 개혁을 목표로 창당된 정당이다. 2006년 총선에서 0.63%를 득표했으나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지만, 200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7.1%를 득표하여 의석을 얻었다. 이후 유럽연합의 지적 재산권 강화에 반발하며 당원 수가 급증하기도 했다. 해적당은 저작권, 특허, 개인 정보 보호 등의 개혁을 주장하며, 전 세계 해적당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 해적당 - 코피미즘 선교 교회
    코피미즘 선교 교회는 2003년 이사크 게르손에 의해 창시되어 정보의 자유로운 복제와 공유를 옹호하며 지적 재산권 제한과 인터넷의 신성함을 교리로 삼는 종교 단체이다.
  • 스웨덴의 정당 - 녹색당 (스웨덴)
    스웨덴 녹색당은 1981년 창당되어 환경 정책과 지속 가능한 사회를 추구하며 핵발전소 폐지, 에너지 전환, 환경 세금 정책 등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는 스웨덴의 환경 정당이다.
  • 스웨덴의 정당 - 자유당 (스웨덴)
    자유당은 스웨덴의 자유주의 정당으로, 사회자유주의 이념을 표방하며 혼합 경제와 시장 기반의 복지 국가를 지향하고 유럽 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가입을 지지한다.
  • 2006년 설립된 정당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2006년 설립된 정당 - 국가재건친박연합
    국가재건친박연합은 2012년 2월 29일 당명을 변경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제19대 총선에서 의석 획득에 실패하고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해적당 (스웨덴)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해적당 로고
해적당 로고
공식 명칭해적당
로마자 표기Piratpartiet
창립일2006년 1월 1일
해산일미해산
본부https://piratpartiet.se/
주요 인물
대표카타리나 스텐손
사무총장마티아스 루벤손
창립자리크 팔크빙에
이념 및 정책
정치적 이념해적 정치
전자 민주주의
정보 자유
녹색 자유주의
정치적 위치절충주의 정치
조직
국제 조직해적당 인터내셔널
유럽 정당유럽 해적당
유럽 의회녹색당-유럽 자유 연맹
청년 조직영 피라트
당원
당원 수1884명
당원 수 기준일2020년 3월 15일
관련 색상
색상보라색
의석수
스웨덴 의회 의석수0석 / 349석
유럽 의회 의석수0석 / 21석
주 의회 의석수0석 / 1696석
시 의회 의석수0석 / 12700석
기타
웹사이트https://piratpartiet.se/

2. 역사

해적당은 2006년 1월 1일 웹페이지 개설을 통해 창당했다. 창당 과정은 6단계로, 첫 단계는 2006년 총선 참여를 위한 유권자 2000명의 지지 서명을 받는 것이었다. 이 서명은 2월 4일 스웨덴 선관위에 제출되어 총선 참여 자격을 얻었다. 2단계부터 5단계는 선거관리위원회 등록, 의원후보 공천, 투표용지 인쇄 모금, 선거운동 조직 준비였다. 선거운동 조직 준비 단계에서는 인구 5만 명 이상 시군(2006년 당시 43개)에 지역선거조직을 꾸리고, 1백만 SEK 모금을 시작했다.

6단계는 선거였다. 해적당은 파일 공유자들을 80만에서 110만 명으로 보고, 이 중 최소 22만 5천 명(스웨덴 유권자의 4%)이 투표하여 의회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2006년 9월 17일 총선에서 34,918표(0.63%)를 얻어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2009년 4월 1일, 유럽연합의 지적 재산권 강화 지침 개정으로 파일 공유 및 저작권 위반 처벌이 강화되자, 이에 대한 반발로 당원 수가 급증했다. 같은 해 4월 17일 파이럿베이 판결 이후에도 지지자와 당원이 크게 늘었다. 판결 전 1만 5천여 명이던 당원 수는 판결 이후 4만여 명으로 증가했으나, 1년 후 당원 자격 미연장으로 2010년 4월 2만 5천 명, 6월 중순에는 1만 6천여 명으로 감소했다.

2009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해적당은 7.1%를 득표, 크리스티안 엥스트룀이 유럽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엥스트룀은 녹색당/유럽 자유동맹 교섭단체에서 활동했다. 리스본 조약 비준으로 스웨덴의 유럽의회 의석이 20석으로 늘면서 아멜리아 안데르스도터도 유럽의회 의원이 되었다.

2010년 스웨덴 의회 선거에서는 38,491표(0.65%)를 얻어 의회 진출에 실패했다.

2. 1. 창당 배경

2000년대 초반, 인터넷 발달과 함께 파일 공유가 확산되면서 저작권 침해 논란이 커졌다. 이에 각국 정부와 저작권 단체는 저작권 보호 강화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는 정보 공유의 자유를 제한하고 개인의 표현 자유를 위축시킨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스웨덴의 프로그래머 릭 팔크빙에는 2006년 1월 1일, 저작권법 개혁을 목표로 해적당을 창당했다.

릭 팔크빙에, 창당자이자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당 대표


리카르트 팔크빙에, 창당자 및 당대표(2006-2011)


2006년, 프로그래머였던 릭 팔크빙에 등 저작권법 개정을 문제 삼는 사람들이 모여 신당 "해적당"을 결성했다. 해적당 웹사이트는 2006년 1월 1일 20시 30분(CEST)에 개설되어 창당을 알렸다. 웹사이트에는 6단계가 제시되었는데, 1단계는 2,000개 이상의 서명(요구사항보다 500개 더 많음)을 수집하여 2월 4일 이전(스웨덴 선거 관리 위원회 등록 마감일은 2월 28일)까지 제출하여 9월 17일 총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웹사이트 개설 후 24시간 이내에 2,000개 이상의 서명(CEST 16시 05분 기준 2,268개)을 수집했다.[15]

1월 3일 아침, 당은 서명 수집을 마감했다. 약 36시간 만에 4,725개의 서명을 모았다. 스웨덴 선거법에 따라 신생 정당 지지자는 신원을 밝혀야 하므로, 국제 언론은 당의 성격을 고려할 때 이를 상당한 성과로 보도했다. 그러나 선거 당국에 제출된 서명은 자필로 작성해야 했다. 최소 1,500개의 자필 서명 수집 목표는 2월 10일에 달성되었으며, 3일 후 당국으로부터 최종 확인을 받았다. 당은 첫 달에 900명의 회원을 모집했으며, 각 회원은 5 스웨덴 크로나(약 US$0.69, 2006년 기준)의 회비를 SMS로 지불했다. (당은 이후 회원 등록을 무료로 변경했다).[15]

언론은 이 운동에 빠르게 주목했다. 2006년 1월 2일, 스웨덴의 유력 경제 신문인 ''다겐스 인더스트리''는 관련 기사를 게재했다. 오후 3시까지 언론은 웹사이트 소유자를 찾기 어렵다는 점에 불만을 표했으며, 일부 보도에서는 웹사이트를 홍보성으로 치부했다. 그러나 스웨덴 최대 타블로이드 신문인 ''아프톤블라데트''는 당 대표 릭 팔크빙에를 직장에서 찾아냈다. 하지만 팔크빙에는 직장에서 당의 입장을 설명할 수 없어 정보 수집 노력이 중단되었다.

2006년 1월 3일, 스웨덴의 모든 주요 뉴스 매체에서 당 관련 기사를 게재했다. ''아프톤블라데트''는 독자들이 당에 61%의 지지율을 보인다는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게시했고,[16] IDG는 오후에 팔크빙에와의 인터뷰를 게재했다. IDG 역시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게시했다.[17] 당 웹사이트는 또한 슬래쉬닷되었다.[18]

해적당 웹 서버는 첫날 100만 건, 다음 날 200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1월 4일, 국제 언론 및 라디오 방송국에서 이 기사를 다루었다. 스웨덴 주요 라디오 방송국은 이 계획이 예상치 못한 관심을 받은 것에 대해 팔크빙에와 인터뷰를 했다. 그 후 목요일에 BBC 월드 서비스 보도를 포함하여 더 많은 관심이 쏟아졌으며, 이는 해적당 계획에 대한 기사를 제작한 최초의 글로벌 라디오 방송국이었다.

첫 주가 끝날 무렵, 해적당 플랫폼은 500개 이상의 영어 매체와 600개 이상의 스웨덴어 매체에서 다루어졌다.

2. 2. 스웨덴 해적당의 활동

해적당은 2006년 1월 1일 웹페이지 개설을 통해 창당했다. 창당자이자 2011년까지 당 대표를 역임한 릭 팔크빙에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머 등 저작권법 개정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모였다.

2006년 9월 17일 실시된 2006년 스웨덴 총선에서 34,918표(0.63%)를 득표하여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지만, 원내 진출을 목표로 하는 소수 정당으로서 주목받았다.[38]

2009년 4월 1일, 유럽연합의 지적 재산권 강화 지침 개정에 따라 파일 공유 및 저작권 위반 처벌이 강화되자, 이에 대한 반발로 해적당 당원 수가 급증했다. 같은 해 4월 17일, 파이럿베이 판결 이후에도 지지자와 당원이 크게 늘어났다.

200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7.1%를 득표하여 크리스티안 엥스트룀이 유럽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엥스트룀은 녹색당/유럽 자유동맹 교섭단체에서 활동했다. 리스본 조약 비준으로 스웨덴에 할당된 유럽의회 의석이 늘어나면서 아멜리아 안데르스도터가 추가로 유럽의회 의원이 되었다.[56][57]

2010년 2010년 스웨덴 총선에서는 38,491표(0.65%)를 득표하여 의회 진출에 실패했다.

2011년 1월 1일, 릭 팔크빙에가 당 대표직에서 물러나고 안나 트로베리가 2대 당수로 선출되었다.

2014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의석을 잃었다.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스웨덴 녹색당, 스웨덴 좌익당 등 저작권 문제에 공감하는 소수 정당들과 폭넓게 협력했다.[55] 최종적으로는 중앙당과 정치 동맹을 맺는 데 성공했다. 또한 당 청년 조직인 영 파이러트는 스웨덴 최대 청년 조직으로 성장하여 청년층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20]

선거대표득표수득표율 (%)의석증감원내 그룹
2009년크리스티안 엥스트룀225,9157.131신규 진출녹색당/EFA
2014년불확실82,7632.230-2
2019년불확실26,5260.6400
2024년카타리나 스텐손15,4030.3700


2. 3. 국제적인 확산

스웨덴 해적당의 성공에 영향을 받아 전 세계 33개국에서 해적당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65] 각국의 해적당들은 해적당 인터내셔널을 통해 서로 협력하고 있다.[66]

독일 해적당의 경우 2009년 8월 뮌스터아헨 시의회 선거에서 의석을 획득했다. 2009년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2.0%의 득표를 얻어 최대 원외정당이 되었다. 2011년에는 여러 주 의회 선거에서 의석을 획득하여 주 의회에 진출했으며, 2014년 5월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한 명의 의원을 당선시켰다.

정당 요건을 충족하는 국가는 오스트리아, 체코,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룩셈부르크, 독일, 폴란드, 슬로바키아, 스페인, 영국, 스위스 12개국이다. 비공식적으로 활동이 계속되고 있는 국가는 미국, 아르헨티나, 호주, 벨기에, 브라질, 불가리아, 캐나다, 칠레, 에스토니아, 아일랜드, 이탈리아, 리투아니아,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러시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터키, 우크라이나, 일본이다.

일본에서는 2012년경부터 여러 해적당 관련 단체들이 통합되어 도쿄도 미나토구에 본부를 둔 "해적당"이 되었다. 이 해적당은 2013년 러시아에서 개최된 해적당 세계 대회에서 일본을 대표하는 해적당으로 승인되었다. 이들은 민주주의, 시민의 자유, 원전 재개 반대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2. 4. 대한민국에서의 해적당

일본에서는 2008년경부터 mixi 등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해적당 관련 모임이 생겨나기 시작했다.[65] 2010년경부터는 음악가, 저널리스트, 법률가 등이 참여하는 '해적 집회'가 일본 각지에서 활발하게 열렸다. 이들은 2012년경부터 점차 통합되어 도쿄도 미나토구에 본부를 둔 "해적당"으로 합쳐졌다.[66]

2013년 4월, 러시아에서 개최된 해적당 세계 대회에 이 "해적당"(본부 미나토구)이 일본 대표로 승인받았다. 이들은 민주주의, 인터넷에서의 시민 자유 옹호, 원전 재가동 반대 등의 정책을 내세웠다. 한편, "일본 해적당(공식)"을 자칭하는 다른 단체도 있었으나, 2014년 가을 무렵 소멸했다.

대한민국에서는 공식적인 해적당 창당 움직임은 없지만,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해적당의 이념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3. 정책

해적당은 원칙 선언 버전 3.2를 통해 자신들의 정책적 입장을 밝히고 있다.[67]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총론: 다양성과 개방성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화 사회를 위해 전 세계적인 법률 변화가 필요하며, 시민의 프라이버시 존중과 저작권 및 특허권 개혁을 요구한다.
  • 저작권: 현행 저작권 체제는 균형을 잃었으므로, 저작권법은 저작물의 상업적 이용에만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특허권: 사유화된 독점은 사회의 큰 문제 중 하나이므로, 특허권을 축소하고 점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고 본다. 의약품 특허와 관련하여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 확대를 주장한다.
  • 개인의 사생활: 시민의 권리와 사생활을 침해하는 모든 시도는 재검토되어야 하며, 강력한 저항에 부딪힐 것이라고 경고한다. 특히, 반테러법이 법적 절차를 무시하고 억압의 도구로 사용될 위험을 지적한다.


해적당은 자유로운 소통, 문화, 지식에 대한 접근이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믿는다. 현대 정보 기술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위해 행동하고 사회 발전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며,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은 사고, 문화 창조, 경제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고 본다.[11]

해적당은 저작권 보호 기간을 창작자 사후 70년에서 대폭 줄이는 것을 옹호하며, 비상업적인 저작물 공유는 자유롭게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상업적 목적이 아니라면 영화, 음반, 프로그램 등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해적당은 개인 정보 보호를 핵심 가치로 여기며, ACTA, IPRED, 통신 패키지, 국방무선통신소 (FRA) 관련 법률 개정에 비판적이다.

해적당은 데이터 보존 지침에 반대하고, 통신의 비밀을 일반적인 통신 비밀로 격상시키며, 헌법상 사생활 보호 권리를 만들고자 한다. 지적 재산권 중 저작권특허 관련 법률은 수정해야 하지만, 상표나 의장권 관련 법률은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해적당은 감시, 정부의 책임, 정치 및 기업 부패와 관련하여 개인의 시민적 권리를 옹호한다.

2010년 스웨덴 총선 이전에는 다른 정치 문제에 대해 중립적인 단일 의제 정당으로 여겨졌으나, 2010년 이후 더 넓은 정치적 의제를 다루기 시작했다. 2011년 새로운 원칙 선언문이 만들어졌고,[4] 2012년 봄 회원 회의에서는 학교, 연구, 의료 등 여러 분야에 대한 새로운 정책 입장이 결정되었다.[12][13]

해적당은 현재 불법인 모든 물질의 소비를 비범죄화하는 것을 지지하며, 대마초를 합법화하여 국가 독점 또는 면허를 통해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범죄 조직의 마약 판매 수입을 줄이고, 경찰 자원을 확보하여 인명 피해가 있는 범죄와 싸우는 데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한다.[14]

4. 정치적 영향

2006년 총선을 앞두고 녹색당이 저작권 정책을 바꾸고, 온건당좌파당 총리 후보도 인터넷 다운로드에 대한 입장을 변경하는 등 해적당은 스웨덴 정치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여러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해적당의 인기 상승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68][69][70] 토마스 보드스트룀 법무부 장관이 저작권 관련 법 개정에 대한 협상 여지를 밝혔다가 입장을 번복한 사건도 있었다.[71]

2006년 총선 이후 이 문제는 공적 논쟁에서 멀어졌지만,[68] 2008년에는 집권 온건당 의원들이 파일 공유 합법화를 주장하는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72]

2008년부터 2009년 사이, 해적당은 스웨덴 녹색당, 스웨덴 좌익당, 스웨덴 자유당, 스웨덴 기독교 민주당 등 저작권 문제에 공감하는 여러 정당과 협력 관계를 맺었다.[55] 나아가 중앙당의 지지를 얻어 정치 동맹을 맺는 데도 성공했다.

200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해적당은 스웨덴에서 7.13%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1석을 얻었고, 리스본 조약 발효 이후 2석으로 늘어났다.[56][57] 크리스티안 엥스트룀과 아멜리아 안데르스도터가 유럽 의원으로 활동했다.

스웨덴 해적당 창당은 전 세계적으로 유사 정당 운동을 촉발시켜, 33개국에서 해적당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은 해적당 인터내셔널을 통해 국제적으로 협력한다.[35][36] 독일 해적당은 지방 의회와 주 의회, 유럽 의회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일본에서도 해적당 관련 움직임이 나타나 2012년에는 "해적당"이 결성되어 국제적인 승인을 받았다.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리처드 스톨먼은 해적당의 저작권 기간 단축 주장이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73] 그는 저작권 기간이 5년으로 단축되면, 저작권이 만료된 자유 소프트웨어를 사유 소프트웨어 회사가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7]

4. 1. 스웨덴

해적당의 등장으로 2006년 총선을 1주일도 남기지 않았을 때 녹색당은 저작권 정책을 변경했다. 온건당좌파당의 총리 후보도 인터넷 다운로드에 대한 입장을 변경하며, 공개적으로 젊은이들의 파일 공유가 합법화되어야 한다고 밝혔다.[68] 몇몇 영향력 있는 전문가들은 이런 변화가 해적당과 그 인기의 상승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69][70]

당시 스웨덴 법무부 장관 토마스 보드스트룀은 6월 9일 저작권이 있는 파일의 다운로드를 불법으로 규정한 2005년 법 개정에 대해 협상의 여지가 있다고 밝혔으나, 후에 기존 입장을 번복했다.[71]

2006년 선거 이후 이 문제는 대중의 논의에서 멀어졌으나,[68] 2008년 1월, 집권 온건당 소속 의원 7명이 스웨덴 타블로이드 신문에 파일 공유 합법화를 주장하는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들은 "비상업적 파일 공유를 합법화하고, 시장이 적응하도록 하는 것은 최선책은 아니다. 그러나 인터넷에서 시민들이 하는 일을 더 광범위하게 통제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유일한 해결책이다."라고 기술했다.[72]

2006년, 프로그래머 릭 팔크빙에 등 저작권법 개정을 문제 삼는 사람들이 모여 해적당을 결성했다. 같은 해 스웨덴 총선에서 0.6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소수 정당으로 주목받았다.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스웨덴 녹색당, 스웨덴 좌익당, 스웨덴 자유당, 스웨덴 기독교 민주당 등 저작권 문제에 공감하는 소수 정당들과 폭넓게 협력했다.[55] 최종적으로 양대 정당 (온건당, 스웨덴 사회 민주 노동당)에 이어 의회 내 제3세력이었던 중앙당의 지지를 얻어 정치 동맹을 맺는 데 성공했다. 당 청년 단체 "젊은 해적 (Ung Pirat)"은 스웨덴 최대 청년 조직으로 성장하며 청년층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200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해적당은 스웨덴 투표구에서 7.13%의 득표율로 1석을 획득, 리스본 조약 통과 후 2석으로 늘었다.[56][57] 크리스티안 엥스트룀과 아멜리아 안데르스도터가 유럽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해적당 결성 당시 스웨덴 녹색당은 저작권법 벌칙 강화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58] 온건당과 스웨덴 좌익당 등도 다운로드 문제에 대한 주장을 수정했다.[59][60] 두 정당 총리 후보는 "(해적 행위 온상으로 여겨지는) 파일 공유 벌칙을 완화해야 한다"고 발언했다.[61] 여러 정치 평론가와 정치학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청년층 지지를 받는 해적당의 약진과 무관하지 않다고 지적했으며, IDG도 비슷한 보고서를 냈다.[62] 다겐스 뉘헤테르도 해적당이 정계에 미치는 영향을 기사화했다.[63]

토마스 보드스트룀이 인터넷 불법 다운로드 벌칙 강화 법안 수정 협의에 응한 것도 해적당 약진에 대한 위기감 때문일 수 있다는 지적이 있지만, 보드스트룀은 이를 부인했다.[64]

4. 2. 국제적 영향

스웨덴 해적당의 창당은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정당 운동을 촉발시켰다. 현재 33개국에서 해적당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은 해적당 인터내셔널을 통해 국제적으로 협력하고 있다.[35][36]

독일 해적당은 2009년 8월 뮌스터아헨 시의회 선거에서 의석을 획득했고,[65] 2009년 독일 연방 선거에서는 2.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66] 2011년 9월에는 베를린 주의회 선거에서 9%의 득표율로 주 의회에 처음으로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4년 5월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1명의 의원을 당선시켰다.

일본에서도 해적당 관련 움직임이 있었다. 2008년경부터 mixi 등에서 관련 커뮤니티들이 생겨났고, 2010년경부터는 음악가, 저널리스트, 법률가 등이 참여하는 다양한 해적 집회가 전국 각지에서 열렸다. 2012년경부터 이러한 움직임이 통합되어 도쿄도 미나토구에 본부를 둔 "해적당"이 결성되었고, 2013년 4월에는 러시아에서 열린 해적당 세계 대회에서 일본 대표로 승인받았다. 이들은 민주주의, 시민 자유 옹호, 탈원전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4. 3. 자유 소프트웨어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중심 인물인 리처드 스톨먼은 해적당이 목표로 하는 저작권 기간을 5년으로 줄이는 것이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위협할 것이라고 밝혔다.[73] 주로 GPL같은 많은 자유 소프트웨어 허가서는 장기적인 저작권에 기반하고 있다. 스톨먼은 저작권 기간을 5년으로 줄이면 사유 소프트웨어 회사가 저작권이 만료된 자유 소프트웨어를 그들의 사유 소프트웨어에 사용할 것이라 주장했다. 사유 소프트웨어는 저작권에 부과된 EULA를 통해 제약되고, 소스 코드도 공개하지 않아, 자유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저작권이 만료된 사유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스톨먼은 새 저작권법 아래에서는 사유 소프트웨어가 발표될 때, 소스 코드를 저장소에 보관하고, 저작권이 만료되면 자동적으로 공개하도록 할 것을 제안했다.[37]

참조

[1] 웹사이트 MEMBER COUNT HISTORY https://pirateweb.ne[...] Piratpartiet SE 2020-03-15
[2] 웹사이트 The Pirate Party | Piratpartiet https://web.archive.[...] Piratpartiet.se 2009-06-08
[3] 웹사이트 Vågmästarställning https://web.archive.[...] piratpartiet.se 2006-08-28
[4] 웹사이트 Nu breddas Piratpartiet! http://breddning.pir[...] Piratpartiet 2012-04-02
[5] 웹사이트 Sakpolitik https://web.archive.[...] Piratpartiet
[6] Webarchive Result of Verdict, for the Pirate Party http://www.blogpirat[...] Blog Pirate 2009-04-20
[7] 문서
[8] 웹사이트 Röster - Val 2009 https://web.archive.[...] Val.se 2010-11-25
[9] 뉴스 Piraterna in i EU-parlamentet | Inrikes | SvD http://www.svd.se/ny[...] Svd.se 2009-06-04
[10] 웹사이트 Ajöss och tack för fisken https://web.archive.[...] Anna Troberg 2014-12-01
[11] 문서
[12] 웹사이트 Vårmöte 2012 https://web.archive.[...] Piratpartiet
[13] 웹사이트 Tapiren #6 https://web.archive.[...] Piratpartiet
[14] 웹사이트 Election Manifesto 2022 https://piratpartiet[...] 2022-08-15
[15] 웹사이트 Välkommen till Piratpartiet och Ung Pirat https://pirateweb.ne[...] PirateWeb
[16] Webarchive Would you consider voting for the Pirate Party? http://www.aftonblad[...] Aftonbladet 2013-01-16
[17] Dead link Would you consider voting for a pirate party? http://www.idg.se/gl[...] IDG 2019-04
[18] Webarchive Swedish Filesharers Start 'The Piracy Party' http://yro.slashdot.[...] slashdot.org 2011-06-06
[19] Webarchive Pictures from the piracy demonstration http://piratewatch.b[...] Pirate Watch 2006-06-23
[20] Webarchive Medlemsantal http://www.piratpart[...] piratpartiet.se 2012-09-19
[21] 웹사이트 Announcement on the official website, in Swedish https://web.archive.[...] Piratpartiet.se
[22] Webarchive M tappar opinionsstöd http://www2.unt.se/a[...] unt.se 2009-05-25
[23] 웹사이트 Pirate Party hosting Pirate Bay in pro-P2P political gesture https://arstechnica.[...] Ars Tehnica 2010-05-18
[24] 웹사이트 Piratpartiet sköter Wikileak-servrar http://www.dn.se/nyh[...] DN.se 2010-08-17
[25] 웹사이트 After five years I'm stepping down as Party Leader https://web.archive.[...] falkvinge.net
[26] 웹사이트 Free & Social: About https://web.archive.[...]
[27] Webarchive Släpp filerna fria! http://mp.se/templat[...] the Swedish Greens 2008-12-11
[28] Webarchive Larger parties bend to support file-sharing under political pressure http://www.p2pconsor[...] P2P Consortium 2006-10-26
[29] 웹사이트 Nu vänder v och m i piratfrågan https://wayback.arch[...] Expressen
[30] Webarchive Upphovsmän kan få jaga fildelare http://www.dn.se/DNe[...] Dagens Nyheter 2007-02-05
[31] Dead link Piratpartiet har lyckats http://pcforalla.idg[...] PC för Alla 2018-03
[32] Webarchive Bara mp vill ändra lagen http://www.dn.se/DNe[...] Dagens Nyheter 2007-02-05
[33] Webarchive Bodström: "Jag har inte ändrat ståndpunkt" http://www.aftonblad[...] Aftonbladet 2007-06-14
[34] Webarchive Swedish prosecutors dump 4,000 legal docs on The Pirate Bay https://arstechnica.[...] Ars Technica 2008-12-16
[35] 뉴스 EU-valet avgörande för Piratpartiets tillväxt http://www.svd.se/ny[...] 2009-07-14
[36] 웹사이트 PPInternational http://www.pp-intern[...] PPInternational 2010-11-25
[37] 웹사이트 Stallman, Richard "How the Swedish Pirate Party Platform Backfires on Free Software" https://www.gnu.org/[...] Gnu.org 2010-07-27
[38] 뉴스 Voters Keelhaul Pirate Party https://www.wired.co[...] 2007-02-10
[39] 뉴스 Unga väljare kan ge Piratpartiet EU-mandat http://www.dn.se/nyh[...] 2009-06-08
[40] 뉴스 Pressmeddelande: Piratpartiet får 5.1% i EU-valet http://www.piratpart[...] 2009-05-03
[41] 뉴스 Pirate Party Sweden's third-largest: poll http://www.thelocal.[...] 2009-05-25
[42] 뉴스 Piratpartiet får två mandat i ny mätning http://www.dn.se/for[...] 2009-05-30
[43] 웹사이트 Analysis by Member State http://www.predict09[...] 2009-04-10
[44] 뉴스 Pirate Party Wins and Enters The European Parliament http://torrentfreak.[...] 2009-06-08
[45] 웹사이트 European election results 2009 for Sweden http://www.elections[...] 2009-06-11
[46] 웹사이트 Piratpartiet tar plats i gröna gruppen http://rickfalkvinge[...] Rick Falkvinge 2009-06-25
[47] 뉴스 Piratpartiets framgång internationell nyhet http://www.dn.se/for[...] 2009-06-09
[48] 웹사이트 EU Parliament Elections 2009 poll results for Germany http://www.elections[...] 2009-06-08
[49] 웹사이트 http://www.bundeswah[...] 2009-06-11
[50] 웹사이트 PPSE Becomes Pirate Bays New Host http://torrentfreak.[...] TorrentFreak 2010-05-19
[51] 뉴스 Pirate Party wins surprise Euro seat, calls for Web freedom https://edition.cnn.[...]
[52] 문서 「ロシア、海賊党を認可せず」の日本語訳 http://peer2peer.blo[...]
[53] 웹사이트 The Pirate Party | Piratpartiet http://www.piratpart[...] Piratpartiet.se null
[54] 웹사이트 Vågmästarställning http://www.piratpart[...]
[55] 문서 Result of Verdict, for the Pirate Party Blog Pirate 2009-04-17
[56] 웹사이트 Röster - Val 2009 http://www.val.se/va[...] Val.se 2010-11-25
[57] 웹사이트 Piraterna in i EU-parlamentet | Inrikes | SvD http://www.svd.se/ny[...] Svd.se 2009-06-08
[58] 문서 Släpp filerna fria! http://mp.se/templat[...] the Swedish Greens
[59] 문서 Larger parties bend to support file-sharing under political pressure http://www.p2pconsor[...] P2P Consortium
[60] 문서 Nu vänder v och m i piratfrågan http://www.expressen[...] Expressen
[61] 뉴스 "Upphovsmän kan få jaga fildelare" http://www.dn.se/DNe[...] Dagens Nyheter 2007-02-04
[62] 뉴스 "Piratpartiet har lyckats" http://pcforalla.idg[...] PC för Alla
[63] 뉴스 "Bara mp vill ändra lagen" http://www.dn.se/DNe[...] Dagens Nyheter 2007-02-04
[64] 문서 Bodström: "Jag har inte ändrat ståndpunkt" http://www.aftonblad[...] Aftonbladet
[65] 뉴스 “EU-valet avgörande för Piratpartiets tillväxt” http://www.svd.se/ny[...] 2009-07-15
[66] 웹사이트 PPInternational http://www.pp-intern[...] PPInternational 2010-11-25
[67] 웹인용 Pirate Party Declaration of Principles 3.2 http://docs.piratpar[...] 2010-11-25
[68] 뉴스 "Upphovsmän kan få jaga fildelare" http://www.dn.se/DNe[...] 2007-02-04
[69] 뉴스 "Piratpartiet har lyckats" http://pcforalla.idg[...] PC för Alla
[70] 뉴스 "Bara mp vill ändra lagen" http://www.dn.se/DNe[...] Dagens Nyheter 2007-02-04
[71] 뉴스 Bodström: "Jag har inte ändrat ståndpunkt" http://www.aftonblad[...] 2006-06-09
[72] 뉴스 Swedish prosecutors dump 4,000 legal docs on The Pirate Bay http://arstechnica.c[...] Ars Technica 2008-08-05
[73] 웹인용 Stallman, Richard “How the Swedish Pirate Party Platform Backfires on Free Software” http://www.gnu.org/p[...] Gnu.org 2010-07-27
[74] 웹인용 Val till Europaparlamentet - Röster https://archive.toda[...] Valmyndigheten 2014-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