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조는 간무 천황의 아들인 요시미네노 야스요의 아들로, 궁정 관리로 시작하여 닌묘 천황 치하에서 관직을 역임했다. 이후 출가하여 덴다이종 승려가 되었으며, 877년 간교지를 창건하고 우린인을 관리하는 등 승려로서 활동했다. 885년에는 승정이 되어 '가잔 소조'로 불렸으며, 와카 시인으로도 활동하여 35수의 와카가 칙선집에 수록되었다. 그는 오노노 고마치와의 염문설로도 유명하며, 그의 아들 소세이 또한 와카 시인이자 승려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시미네씨 - 소세이
소세이는 헤이안 시대의 승려이자 와카 시인으로, 궁정에서 와카 창작 활동을 했고, 칙찬와카집에 다수의 작품이 수록되었으며, 개인 가집인 『소세이슈』를 남기는 등 와카를 통해 일본 문화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816년 출생 - 교황 포르모소
교황 포르모소는 9세기 후반에 재임한 교황으로, 교황 특사 활동, 정치적 암투 속 파문과 복권, 그리고 사후 시체 시노드라는 재판을 통해 파면 및 시신 훼손 후 복권이라는 파란만장한 생애를 겪었다. - 890년 사망 - 라눌푸스 2세
라눌푸스 2세는 9세기 후반 아키텐 공국의 공작이자 푸아투 백작으로, 비만왕 카를 3세 사망 후 아키텐의 왕을 칭하며 자립을 시도했고 바이킹족 침략에 대비하여 토우루스 자작령을 설치했으며, 후계 문제로 외드와 샤를 3세 생쁠 사이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을 겪었다. - 890년 사망 - 기리크 막 둥갈
기리크 막 둥갈은 9세기에 스코틀랜드의 왕으로 추정되며, 에오카이드와 공동 통치하거나 그의 후견인이었으며, 픽트족 억압에서 스코틀랜드 교회를 해방시켰다는 전설이 있다.
헨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법명 | 헨조 |
속명 | 요시미네노 무네사다 |
직업 | 수도승 시인 |
칭호 | 승정 |
출생일 | 816년 |
출생지 | 교토 |
입적일 | 890년 2월 12일 |
입적지 | 교토 |
아버지 | 요시미네노 야스요 |
2. 생애
헨조는 닌묘 천황이 850년에 사망하자 승려가 되어, 법명으로 '보편적으로 빛나는 자'라는 뜻의 헨조(遍照)라는 이름을 받았다. 그는 덴다이종의 승려였다.[1] 가쇼 3년(850년) 정월에 종5위상으로 승진했지만, 같은 해 3월에 총애를 받던 닌묘 천황이 붕어하자 출가했다. 엔닌과 엔친에게 가르침을 받았다.[8]
877년, 헨조는 교토 남동부 야마시나에 간교지를 창건했지만, 궁정 정치에도 계속 관여했다.[2] 869년에는 교토 북쪽에 있는 우린인(운린인)이라는 또 다른 사찰을 관리하게 되었고, 두 사찰을 모두 관리했다. 885년에는 대승정의 반열에 올라 가잔 소조(화산 승정)라고 불렸다. 닌나 원년(885년)에 승정이 되어 하나야마 승정이라 불리게 되었다. 같은 해 12월 18일에 닌주덴에서 고코 천황 주최로 헨조의 70세 축하가 열려[5], 고코 천황과의 와카에서의 사제 관계가 추정된다.
그는 유명한 여성 시인 오노노 고마치와 염문이 있었다는 소문이 있었다. 그의 와카 35수가 고킨와카슈를 포함한 칙선집에 수록되었다. 기노 쓰라유키는 서문에서 그를 "와카를 짓는 방법을 알지만, 진정한 감정은 부족하다. 마치 여인의 그림을 보고 마음이 움직이는 것과 같다"라고 비판했다. 그의 아들 소세이도 와카 시인이자 승려였다.
간페이 2년(890년) 1월 19일 졸거했다. 향년 75세. 교토시 야마시나구 기타하나야마나카미치정에 묘가 있다.
2. 1. 출가 전
간무 천황의 아들인 요시미네노 야스요의 여덟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1] 아버지 야스요는 일반 신분으로 강등되었다.[1] 헨조는 궁정 관리로 경력을 시작하여 닌묘 천황의 蔵人|쿠로도일본어 직책에 임명되었다. 849년에는 蔵人頭|쿠로도노 토일본어로 승진했다. 850년 닌묘 천황이 사망한 후, 슬픔으로 인해 승려가 되었고, 법명은 ''헨조'' (문자 그대로 “보편적으로 빛나는 자”)였다. 그는 덴다이종의 승려였다.출가 전 헨조의 관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관직 |
---|---|
조와 11년(844년) 정월 | 구로도[8] |
조와 12년(845년) 정월 7일 | 종5위 하 |
조와 12년(845년) 정월 11일 | 좌병위좌 |
조와 13년(846년) 정월 13일 | 좌근위소장 겸 비젠노스케 |
가쇼 2년(849년) 정월 | 구로도노가미[9] |
가쇼 3년(850년) 정월 7일 | 종5위 상 |
가쇼 3년(850년) 3월 22일 | 장속사(닌묘 천황 붕어) |
가쇼 3년(850년) 3월 | 출가 |
출가 전 최종 관위는 좌근위소장 종5위상이다.
2. 2. 출가
닌묘 천황이 850년에 사망하자, 슬픔을 느낀 무네사다는 승려가 되었고, 법명은 ''헨조''(遍照, 보편적으로 빛나는 자)였다. 그는 덴다이종의 승려였다.[1] 가쇼 3년(850년) 정월에 종5위상으로 승진했지만, 같은 해 3월에 총애를 받던 닌묘 천황이 붕어하자 출가한다. 최종 관위는 좌근위소장 종5위상이었으며, 엔닌·엔친에게 가르침을 받았다.[8]2. 3. 승려로서의 활동
닌묘 천황이 850년에 사망한 후, 무네사다는 슬픔으로 인해 승려가 되었고, 법명은 ''헨조''(문자 그대로 “보편적으로 빛나는 자”)였다. 그는 덴다이종의 승려였다.[1]877년, 무네사다는 교토 남동부에 있는 야마시나에 간교지를 창건했지만, 궁정 정치에도 계속 관여했다.[2] 869년에는 교토 북쪽에 있는 우린인(운린인)이라는 또 다른 사찰을 받았고 두 사찰을 모두 관리했다. 885년에는 대승정의 반열에 올랐고, 가잔 소조(화산 승정)라고 불렸다.
그는 유명한 여성 시인 오노노 고마치와 염문이 있었다고 소문이 돌았다.
엔닌·엔친에게 사사했다. 하나야마의 간교지를 건립했고, 조간 11년(869년) 무라사키노의 운린인의 벳토를 겸임했다. 닌나 원년(885년)에 승정이 되어 하나야마 승정이라 불리게 되었다.
간페이 2년(890년) 1월 19일 졸거. 향년 75세. 교토시야마시나구 기타하나야마나카미치정에 묘가 있다.
- 가쇼 3년(850년) 3월 22일: 장속사(닌묘 천황붕어). 3월: 출가
- 간교 3년(879년) 날짜 불명: 권승정[8]
- 닌나 원년(885년) 10월 23일: 승정[8]
- 간페이 2년(890년) 정월 19일: 졸거
3. 와카
원문 | 天つ風 雲のかよひ路 吹きとぢよ をとめの姿 しばしとどめむ |
---|---|
독음 | 아마 츠 카제 쿠모 노 카요이지 후키-토지 요 오토메 노 스가타 시바시 토도메무 |
번역 | 하늘의 바람아, 구름 속 길을 불어 막아라. 이 하늘의 무희들이 잠시만 더 머물도록. |
4. 평가 및 일화
헨조는 백인일수에 실린 다음 시로 유명하다.
```waka
|天つ風雲の通ひ路吹き閉ぢよ|をとめの姿しばしとどめむ
|reading = 아마 츠 카제 쿠모 노 카요이지 후키-토지 요
오토메 노 스가타 시바시 토도메무
|translation = 하늘의 바람아, 구름 속 길을 불어 막아라. 이 하늘의 무희들이 잠시만 더 머물도록.
|source = ''고킨와카집'' 17:872
```
고킨와카집(16수) 이하 칙찬와카집에 35수가 수록[6]되어 있다. 가집 『변조집』은 삼대집에서 헨조의 노래를 뽑아 편집한 것으로, 헨조의 독자성은 없다.
- 스에노 쓰유 모토노 시즈쿠야 요노나카노 오쿠레 사키다츠 타메시나루란
- 하늘 바람 구름의 통로를 불어 막아라 아가씨의 모습을 잠시라도 머물게 하리 (오구라 백인일수 12번)
4. 1. 오노노 고마치와의 염문설
오노노 고마치와 염문이 있었다는 소문이 돌았다.[1]4. 2. 설화 속의 헨조
遍昭|헨조일본어는 키노 쓰라유키가 '고금와카집 가명서'에서 "근세에 그 이름이 알려진 사람"으로 꼽은 육가선 중 한 명이다. 쓰라유키는 遍昭|헨조일본어에 대해 "노래의 모습은 뛰어나지만 진실함이 적다"고 평가했다.[6]遍昭|헨조일본어의 가풍은 출가 전과 후로 변화했는데, 출가 후에는 사물을 지적으로 파악하여 객관적으로 묘사하는 노래를 많이 지었지만, 출가 전에는 정감이 넘치는 노래도 읊었다. 특히 '백인일수'에 실린 "하늘 바람 구름의 통로를 불어 막아라 아가씨의 모습을 잠시라도 머물게 하리"에는 遍昭|헨조일본어의 진정이 나타나 있다고 할 수 있다.
간무 천황의 손자라는 고귀한 출생에도 불구하고 출가하여 천태종의 승려가 되어 승정의 직위까지 오른 점, 가승의 선구자 중 한 명이라는 점 등은 遍昭|헨조일본어가 설화의 주인공으로서 안성맞춤인 성격을 갖추게 하였다. 재속 시대에 여색을 밝힌 일화나, 출가할 때 그 뜻을 아내에게도 알리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야마토 이야기를 비롯해 고금저술집, 보물집, 십훈초 등에 보이며, 영험한 승려였다는 이야기도 고금저술집, 속본조왕생전에 기록되어 있다. 에도 시대에 제작된 가부키 무용 적련설관문에서는 요미네노 무네사다(良岑宗貞)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5. 계보
순서 | 이름 | 비고 |
---|---|---|
장남 | 고엔 | 권율사 |
차남 | 유쇼 | |
삼남 | 소세이 | |
사남 | 구라하시 겐리[7] | (자손에 요시미네 다카나리) |
오남 | 타노부 |
6. 요시미네 씨 계도
동성왕 | 무령왕 | 성명왕 | 왕씨 | 와노 오토쓰구 | 고닌 천황 | 다카노노 니가사 | 간무 천황 | 백제 영계 | 요시미네노 야스요 |
---|---|---|---|---|---|---|---|---|---|
순타태자 | 화씨 | 아스카베씨 | 노토 내친왕 | 사와라 친왕 | |||||
목련 | 량송 | 헨조 | 청풍 | 고행 | 원시 | 신직 | 신성 | 신무 | 행진 |
항세 | 수숭 | 성세 | 현리 | 소세이 | 중수 | 선수 | 다이라노 구니카 | 여 | 후지와라노 히데사토 |
항측 | 의방 | 다이라노 사다모리 | |||||||
미남 | 다이라노 고레히라 | ||||||||
뢰리 | 다이라노 마사노리 | ||||||||
유뢰 | 다이라노 마사히라 | ||||||||
계광 | 유광 | 다치바나노 다메토오 | 다이라노 마사모리 | ||||||
유계 | |||||||||
계고 | |||||||||
고성 | |||||||||
고장 | 고의 | 여 | 다이라노 다다모리 | 시라카와 원뇨보 | |||||
고광 | 충도 | 청성 | |||||||
고중 | |||||||||
고강 | |||||||||
충고 | |||||||||
고린 | |||||||||
충린 |
참조
[1]
서적
The Religious Traditions of Japan 500-1600
2005
[2]
서적
Heian Japan: Centers and Peripheries
2007
[3]
서적
One Hundred Poets, One Poem Each: A Treasury of Classical Japanese Verse
Penguin UK
2018
[4]
간행물
日本文徳天皇実録
null
[5]
간행물
日本三代実録
null
[6]
간행물
勅撰作者部類
null
[7]
간행물
良峰氏系図
null
[8]
간행물
三十六人歌仙伝
null
[9]
간행물
蔵人補任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