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헬골란트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골란트섬은 독일 해안에서 46km 떨어진 북해에 위치한 섬으로, 1231년 덴마크의 지배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의 지배를 거쳐 1890년 독일 제국에 귀속되었다. 영국령 시기에는 휴양지로 발전했으며, 20세기 초 양자역학 연구의 중요한 무대가 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사적 요충지로 이용되었으며, 전쟁 후 영국군의 폭격 훈련장으로 사용되다 1952년 서독에 반환되었다. 현재는 관광, 면세 쇼핑, 해상 풍력 발전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며, 자동차와 자전거 사용이 금지된 곳으로, 헬골란트 방언인 할룬더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인 프리슬란트인이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프리슬란트 - 북프리슬란트어
    북프리슬란트어는 독일 북부 노르트프리슬란트 지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슬란트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영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섬과 본토 방언으로 나뉘어 10개의 방언이 존재하나 현재는 유네스코에 의해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된다.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의 지형 - 킬 운하
    킬 운하는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를 가로지르며 북해와 발트해를 연결하는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인공 수로 중 하나로, 과거 "빌헬름 황제 운하"로 불렸으며 현재 독일의 행정하에 관리되고 있다.
헬골란트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헬골란트 항공 사진
헬골란트 항공 사진
면적1.7 km²
위치북해
구성2개의 섬
행정 구역
국가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핀네베르크군
시장토르스텐 폴만
지리
해발 고도61 m
위치독일 본토로부터 떨어진 곳에 위치
인구
인구알려진 정보 없음
언어북프리지아어(헬골란트 방언)
기타 정보
차량 번호판 코드PI, AG
우편 번호27498
지역 전화 코드04725
공식 웹사이트헬골란트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헬골란트에서 출토된 선사 시대 묘곽, 현재 베를린 신 박물관 소장


헬골란트섬과 주변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곳으로 추정된다. 섬 주변 해저에서 부싯돌 도구가 발견되었고, 섬의 '오버란트' 지역에서는 19세기 후반까지 선사 시대의 고분이 존재했으며 발굴을 통해 유골과 유물이 확인되었다. 또한 섬 근처 수중에서 발견된 선사 시대 구리판은 섬에서 구리가 제련되었음을 시사한다.[7][8]

697년, 프랑크족에게 패배한 프리지아인의 마지막 왕 라드보드가 이곳으로 후퇴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1231년에는 덴마크발데마르 2세의 소유로 공식 기록되었다.[8] 이후 여러 세기에 걸쳐 덴마크 왕가와 슐레스비히 공작령, 함부르크 등 여러 세력 사이에서 소유권이 오갔다. 주요 경제 활동은 어업, 조류 및 물개 사냥, 난파선 구조 및 인양, 그리고 한자동맹 도시로 향하는 선박을 안내하는 일이었다. 특히 특정 시기에는 청어 어업의 중요한 기지 역할을 했다.[11]

섬의 이름인 '헬골란트'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성스러운 땅'을 의미한다는 해석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현대 독일어 ''heilig''와 비교),[9] 이는 고대 게르만족이 이곳을 종교적 성지로 여겼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른 이론으로는 섬 주민들의 프리슬란트어 자칭인 ''Halunder''에 근거하여 '높은 땅'을 의미한다는 주장,[2] 또는 전설적인 영웅 헬기와 연관 짓는 학설 등이 있다.[4][5]

1714년 대북방 전쟁 중 덴마크-노르웨이가 섬을 정복하여 1807년까지 지배했다.[11] 나폴레옹 전쟁 중이던 1807년 영국이 섬을 점령했고, 1814년 킬 조약을 통해 공식적으로 영국령이 되었다. 영국은 이곳을 해군 기지보다는 해변 휴양지로 개발하여 19세기 유럽 상류층에게 인기 있는 관광지가 되었다.

1890년, 독일 제국영국과의 헬골란트-잔지바르 조약을 통해 아프리카의 잔지바르 섬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는 대가로 헬골란트섬을 얻었다. 독일 제국은 이곳을 주요 해군 기지로 개발하여 요새화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최전선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

나치 독일 시대에 해군 기지는 다시 확장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U보트 기지와 방공 시설을 갖춘 중요한 군사 요새로 기능했다. 전쟁 말기인 1945년 4월 18일, 연합군은 1,000대가 넘는 폭격기를 동원하여 섬을 대대적으로 폭격했고, 이로 인해 섬은 크게 파괴되고 모든 주민이 본토로 대피했다.

전쟁 후 섬은 영국군 점령 하에 놓였으며, 1952년까지 폭격 훈련장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1947년 4월 18일에는 영국 해군이 약 6,700톤의 폭발물을 터뜨려 섬의 군사 시설을 파괴하는 작전을 실행했다. 이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비핵 폭발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37][38] 이후 서독 정부와 시민들의 반환 운동 끝에 1952년 3월 1일, 헬골란트섬은 서독(독일 연방 공화국)으로 반환되어 재건을 거쳐 주민들의 귀환이 이루어졌다.[40]

2. 1. 덴마크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국의 지배

1231년, 이 섬은 덴마크 왕 발데마르 2세의 소유로 기록되었다.[8] 1402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국이 섬을 영유하게 되었다. 이후 1714년까지 소유권은 덴마크-노르웨이와 슐레스비히 공작령 사이에서 여러 차례 바뀌었으며, 함부르크가 통제하던 시기도 있었다.[11]

1714년 8월, 대북방 전쟁덴마크-노르웨이가 섬을 정복하였고, 이후 1807년까지 덴마크령으로 남게 되었다.[11] 1720년에는 큰 폭풍으로 인해 섬을 연결하던 사주가 파괴되어, 본섬과 동쪽의 '듄'(Düne)이라는 작은 섬으로 분리되었다.

2. 2. 영국의 지배

나폴레옹 전쟁 중이던 1807년 9월 11일, 영국 군함 캐리어(HMS Carrier) 호는 헬골란트가 영국에 항복했다는 소식을 해군성에 전달했다.[12] 당시 헬골란트는 나폴레옹에 대한 저항과 정보 활동의 중심지로 기능했다. 이후 덴마크1814년 1월 14일 체결된 킬 조약을 통해 헬골란트를 영국 국왕 조지 3세에게 공식적으로 양도했다.[11] 이 양도는 같은 해 5월 30일 서명된 파리 조약에서 나폴레옹 퇴위 이후 유럽 영토 재편의 일환으로 최종 비준되었다. 이 시기 수천 명의 독일인들이 영국으로 건너가 헬골란트를 통해 국왕의 독일 군단에 합류하기도 했다.

영국이 섬을 확보한 주된 이유는 스칸디나비아나 독일 국가에 대한 프랑스의 잠재적 해군 공격을 견제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 때문이었다.[13] 그러나 실제로는 재정 문제와 더불어, 영국 해군이 헬골란트를 전진 기지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노출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군사적 활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14]

1826년, 헬골란트는 해변 휴양지로 개발되어 유럽 상류층에게 인기 있는 관광 명소로 부상했다. 섬의 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는 많은 예술가와 작가들을 끌어들였는데, 특히 독일과 오스트리아 출신의 하인리히 하이네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1830년대와 1848년 독일 혁명 시기에는 혁명가들의 피난처 역할을 하기도 했다.

루돌프 요르단의 1843년 작품 ''헬골란트의 결혼 제안''


당시 영국의 잡지 ''The Leisure Hour''는 이곳을 "은행가, 변호사, 범죄가 없고, 모든 팁이 금지되며, 여관 주인은 정직하고, 뱃사공은 팁을 받지 않는 땅"으로 묘사했고,[15] ''The English Illustrated Magazine''은 "밝은 빛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대기, 번잡한 인구의 불편함이 없는 곳"이라며 섬의 매력을 강조했다.[16]

영국 통치 기간 동안 헬골란트에서는 자체 우표가 발행되었다. 초기에는 빅토리아 여왕의 초상이 그려지고 함부르크 쉴링으로 액면가가 표시되었으나, 1875년부터는 파운드 스털링과 금 마르크로 변경되었다.

빅토리아 여왕을 보여주고 함부르크 쉴링으로 액면가가 표시된 헬골란트 우표. 1875년부터는 파운드 스털링금 마르크로 액면가가 표시되었다.


1890년 헬골란트-잔지바르 조약을 통해 영국은 헬골란트를 독일 제국에 양도했다. 이는 당시 건설 중이던 킬 운하의 서쪽 입구를 통제하는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하려는 독일의 의도와, 아프리카에서의 식민 이익을 우선시한 영국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였다. 이 조약에는 섬 주민들이 지위 변화로 인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는 선택권자 조항이 포함되었다.

2. 3. 독일 제국의 지배

1890년 8월 10일, 독일 제국영국과의 헬골란트-잔지바르 조약을 통해 헬골란트섬을 넘겨받았다. 이는 독일 제국 해군력 증강의 발판을 마련하고, 당시 건설 중이던 킬 운하의 서쪽 입구를 확보하려는 목적이었다. 영국은 이 섬을 내주는 대가로 동아프리카의 잔지바르 섬에 대한 권리를 얻었다. 이 조약에는 섬 주민들이 강제적인 국적 변경으로 인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는 조항이 포함되었다.

1890–1900년경 헬골란트, 조감도


독일 제국은 헬골란트를 주요 해군 기지로 개발하였다. 섬은 지브롤터 암벽과 유사하게 절벽을 따라 콘크리트 포대 요새로 강화되었다. 섬의 방어 시설에는 42cm 사라지는 포 142문을 포함하여 총 364문의 포가 설치되었고, 해상 접근로는 10열의 기뢰로 방어되었다.[19]

1919년의 새로운 요새를 보여주는 항공 사진


1929-1930년경의 헬골란트섬


이 시기 헬골란트는 과학 연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하인리히 게트케는 섬에서 관찰한 다양한 철새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1890년 독일어, 1895년 영어로 ''헬골란트, 조류 관측소''(Heligoland as an Ornithological Observatory영어)를 출판하여 이후 조류 이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17] 1892년에는 해조류 학자 파울 쿠쿠크가 헬골란트 생물학 연구소(Biologische Anstalt Helgolandde)를 설립했다.[18]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헬골란트는 최전선 기지가 되었고, 섬의 민간인들은 독일 본토로 대피해야 했다. 전쟁 초기인 1914년 8월, 섬 근해에서 영국 해군과 독일 제국 해군 사이에 헬골란트 만 해전이 벌어졌다. 전쟁이 끝난 후인 1918년에야 섬 주민들은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한편,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인 1925년 여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심한 건초열을 피해 나무와 꽃가루가 없는 헬골란트섬에서 요양하며 양자 역학의 기초가 되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구상했다.[20][21]

2. 4. 나치 독일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 시대에 해군 기지가 다시 활성화되었다. 베르너 하이젠베르크(1901–1976)는 1925년 여름, 심한 건초열을 피해 나무와 꽃가루가 없는 헬골란트섬으로 요양하며 양자 역학의 기초를 구상했다.[20][21]

1937년, 기존 해군 시설을 확장하고 섬을 1629년 이전 크기로 복원하기 위한 대규모 간척 사업(Project Hummerschere|프로젝트 후머셰레de)이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바다 침식으로 잃어버린 넓은 지역을 되찾으려는 목적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대부분 중단되어 완료되지 못했다.

1939년, 섬은 영국 공군이 독일 해군 군함을 폭격하면서 발발한 공중전인 헬골란트 만 해전의 무대가 되었다. 1939년 12월 3일, 영국 공군 제38, 115, 149 비행대의 비커스 웰링턴 폭격기 24대가 섬을 처음으로 직접 폭격했지만, 정박 중이던 독일 군함을 파괴하는 데는 실패했다. 섬 주변 해역에는 연합군 항공기가 자주 기뢰를 부설했다. 1940년 초, 영국 해군은 헬골란트 근해에서 사흘 동안 잠수함 세 척(HMS Undine, HMS Seahorse, HMS Starfish)을 잃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헬골란트는 해상 요새로서 중요한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다. 섬에는 잠수함 벙커 Nordsee III|노르트제 IIIde, 해안 포대, 광범위한 터널로 이루어진 방공호 체계, 독일 공군 비행장 등이 완비되었다. 이러한 군사 시설 건설에는 소련 시민을 포함한 강제 노동이 동원되었다.

전쟁 초기에는 섬이 폭격의 직접적인 영향을 덜 받았고, 독일 공군의 제공권 장악으로 전략적 중요성이 다소 감소했다. 섬 방어를 위해 한때 야크트슈타펠 헬골란트가 주둔했으며, 이 부대는 항공모함용으로 개발된 희귀 기종인 메서슈미트 Bf 109T 전투기를 운용했다.

1945년 전쟁 막바지에 게오르그 브라운과 에리히 프리드리히스 등이 저항 단체를 결성했으나, 계획 실행 직전 내부 배신으로 발각되었다. 1945년 4월 18일, 약 20명이 체포되어 그중 14명이 쿠스하펜으로 이송되었고, 짧은 재판 끝에 5명의 저항군(에리히 P. J. 프리드리히스, 게오르그 E. 브라운, 카를 프누카, 쿠르트 A. 페스터, 마틴 O. 바흐텔)이 1945년 4월 21일 독일 당국에 의해 쿠스하펜-잘렌부르크에서 총살되었다. 훗날 이들을 기리기 위해 2010년 4월, 헬골란트 박물관 주도로 헬골란트 도로에 6개의 걸림돌이 설치되었다 (하인리히 프뤼스 포함).

1945년 4월 18일과 19일, 연합군은 1,000대가 넘는 항공기를 동원하여 약 7,000발의 폭탄을 투하하는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 주민들은 방공호로 피신했지만, 섬의 시설과 독일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폭격으로 섬 전체가 극도로 위험해지자 모든 주민이 섬을 떠나 대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헬골란트 폭격 및 기뢰 매설 작전
날짜/표적결과
1944년 3월 11일8월 24일왕립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제466 비행대 기뢰 매설 작전 수행.
1944년 4월 18일왕립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제466 비행대 폭격 작전 수행.
1944년 8월 29일임무 584: B-17 플라잉 포트리스 11대와 B-24 리버레이터 34대가 헬골란트 섬 폭격. B-24 3대 손상. P-38 라이트닝 및 P-51 머스탱 169대가 호위 제공. P-51 7대 손상.
1944년 9월 3일작전 아프로디테 B-17 (63954)가 U보트 펜스를 공격하려 했으나, 미 해군 관제사의 실수로 뒤네 섬으로 유도되어 실패.
1944년 9월 11일작전 아프로디테 B-17 (30180)가 U보트 펜스를 공격하려다 적 대공포에 격추되어 해상 추락.
1944년 9월 2930일아브로 랭커스터 15대가 카테가트 해협과 헬골란트 인근에 기뢰 매설. 항공기 손실 없음.
1944년 10월 56일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10대가 헬골란트 인근에 기뢰 매설. 항공기 손실 없음.
1944년 10월 15일작전 아프로디테 B-17 (30039, *리버티 벨*)과 B-17 (37743)이 U보트 펜스를 공격하여 운터란트의 많은 건물을 파괴.
1944년 10월 2627일제1 그룹 아브로 랭커스터 10대가 헬골란트 인근에 기뢰 매설. 랭커스터 기뢰 매설기 1대 손실. 다음 날 밤 섬 주민 대피.
1944년 11월 2223일아브로 랭커스터 17대가 헬골란트 인근과 엘베강 하구에 기뢰 매설. 손실 없음.
1944년 11월 23일드 하빌랜드 모스키토 4대가 헬골란트 지역에서 레인저 순찰 수행. 항공기 손실 없음.
1944년 12월 31일제8공군 임무 772에서 B-17 1대가 헬골란트 섬 폭격.
1945년 2월 45일아브로 랭커스터 15대와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12대가 헬골란트 인근과 엘베강에 기뢰 매설. 기뢰 매설기 손실 없음.
1945년 3월 1617일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12대와 아브로 랭커스터 12대가 카테가트 해협과 헬골란트 인근에 기뢰 매설. 항공기 손실 없음.
1945년 4월 18일969대의 항공기 (아브로 랭커스터 617대,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332대,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 20대)가 해군 기지, 비행장, 마을을 폭격하여 섬을 분화구 투성이로 만듦. 핼리팩스 3대 손실. 다음 날 섬 주민 대피 완료.
1945년 4월 19일영국 공군 제9 비행대 및 제617 비행대 소속 아브로 랭커스터 36대가 톨보이 폭탄으로 해안 포대 진지를 공격. 손실 없음.


2. 5. 전후 복구와 독일 반환

1945년부터 1952년까지 사람이 살지 않는 이 섬은 영국 점령 지역에 속했으며, 영국은 주민들이 대피한 이 섬을 폭격 훈련장으로 사용했다. 1947년 4월 18일, 영국 해군은 6,700톤의 폭발물을 동시에 터뜨리는 대규모 폭파 작전("빅 뱅 작전" 또는 "영국식 폭발")을 실행했다. 이 작전으로 섬의 주요 군사 시설(잠수함 격납고, 섬 북쪽과 남쪽 끝의 해안 포대, 약 약 13.68km 길이의 주요 저장 터널)은 성공적으로 파괴되었으나, 이미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폭격으로 피해를 입었던 마을은 《가디언》 신문에 인용된 관찰자의 말처럼 "상태가 나아지지 않았다"고 한다.[36] 잠수함 격납고 파괴로 인해 미텔란트 분화구가 생겨났다. 이 폭발은 역사상 가장 큰 단일 비핵 폭발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37][38]

1952년 독일 연방 우체국에서 헬골란트 재건을 기념하여 발행한 20 페니히 기념 우표.


1950년 12월 20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학생 2명(르네 로이데스도르프, 게오르크 폰 하츠펠트)과 교수 1명(후베르투스 추 뢰벤슈타인)이 당시 출입 금지 구역이었던 섬을 점거하고 여러 개의 독일 국기, 유럽 국기, 지역 깃발을 게양했다.[39] 학생들은 현장에 있던 군인들에게 체포되어 독일 본토로 송환되었다. 이 사건은 섬을 서독으로 반환하라는 운동의 시작점이 되었으며, 서독 연방의회의 지지를 받았다. 1952년 3월 1일, 헬골란트섬은 독일의 통제 하에 돌아왔고, 이전 거주민들의 귀환이 허용되었다.[40] 3월 1일은 이 섬의 공식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독일 당국은 시민들의 재정착을 허용하기 전에 섬에 남아있던 상당량의 불발탄을 제거하고 파괴된 주택을 재건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3. 지리

독일에서의 헬골란트섬 위치(빨간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


1910년 헬골란트 지도. 이 지도가 제작된 이후 섬의 해안선은 다소 변화했다.


헬골란트는 독일 해안선에서 약 46km 떨어져 있는 북해의 섬이다. 두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람이 거주하는 삼각형 모양의 본섬(Hauptinselger)과 동쪽의 듄(Düneger, 헬골란트어: de Halemfrr) 섬이다. 보통 '헬골란트'라고 하면 본섬을 가리킨다.

본섬의 면적은 약 1km2이고, 듄 섬은 0.7km2로 더 작고 낮으며 모래 해변으로 둘러싸여 있다. 듄 섬에는 영구 거주민은 없지만 헬골란트 공항이 위치해 있다. 두 섬은 원래 하나로 연결되어 있었으나, 1720년 강력한 폭풍 해일로 인해 분리되었다.

본섬은 지형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해수면 높이에 있는 운터란트(Unterlandger, '하부 지역', 헬골란트어: deät Deelerlunfrr)는 항구가 있는 곳이며, 고원 지대인 오버란트(Oberlandger, '상부 지역', 헬골란트어: deät Boperlunfrr)가 있다. 그 사이에는 미텔란트(Mittellandger, '중간 지역')가 있는데, 이 지역은 1947년 영국 해군이 섬의 군사 시설을 파괴하기 위해 일으킨 대규모 폭발("빅뱅" 참조)로 인해 형성되었다.

본섬의 북쪽과 남쪽에는 작은 해변이 있고, 북쪽, 서쪽, 남서쪽 해안은 높이 약 50m의 붉은색 암반 절벽으로 이루어져 바다로 이어진다. 남서쪽 해안의 지면은 해수면 아래 56m 깊이까지 계속 이어진다. 섬의 최고 지점은 본섬에 있으며, 해발 61m이다.

헬골란트의 가장 유명한 자연물은 섬 북서쪽에 홀로 서 있는 높이 47m의 거대한 암석 기둥인 랑에 안나(Lange Annager, '긴 안나' 또는 '키 큰 안나')이다.

헬골란트는 문화적으로나 지리적으로는 독일의 노르트프리슬란트 지역과 가깝지만, 행정 구역상으로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의 핀네베르크 구에 속한다. 본섬에는 좋은 항구가 있어 요트 이용객들이 자주 찾는다.

4. 지질

헬골란트섬은 지질학적으로 특이한 섬이다. 독일 만 한가운데에 있는 본섬의 특징적인 붉은색 퇴적암은 매우 드문 지질 현상이다. 헬골란트섬은 북해의 대륙 해안선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는 절벽 지형이다. 이 지층은 분트사암(Bunter Sandstein)이라고 불리며, 초기 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되었다. 이 암석층은 헬골란트섬 아래에 있는 흰색 백악 지층보다 오래되었다. 이 백악은 잉글랜드의 도버 백악 절벽이나 발트해에 있는 덴마크독일 섬들의 절벽을 이루는 암석과 같다.

헬골란트섬 서쪽에는 '비트 클리프'(witt Kliff, 흰 절벽)라 불리는 작은 백악 바위가 있었으나,[61] 18세기 초 폭풍 해일로 인한 침식 작용으로 해수면 아래로 사라졌다.

헬골란트섬의 붉은 암석은 섬 동쪽의 빙하기 이후 퇴적물이나 모래보다 훨씬 단단하다. 이러한 암석의 특성 덕분에, 과거 넓은 저지대 습지와 모래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던 섬의 중심부가 북해의 지속적인 침식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남아 있을 수 있었다. 과거 모래 언덕의 일부는 현재 항구 건너편의 작은 모래섬인 뒨(Düne)으로 남아 있다. 2011년 6월, 본섬과 뒨 섬을 간척으로 연결하려는 제안이 주민 투표에서 부결되기도 했다.[62]

헬골란트섬 북서쪽의 해식 기둥 '랑에 안나'

5. 기후

헬골란트섬의 기후는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이며(쾨펜 기후 구분: ''Cfb''; 트레와르타 기후 구분: ''Dolk''), 꽃가루가 거의 없어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에게 이상적이다. 인근에 육지가 없기 때문에 겨울에도 기온이 0°C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가 드물다. 때때로 겨울 기온이 함부르크보다 최대 10°C까지 더 높을 수 있는데, 이는 동쪽의 찬 공기가 북해 상에서 데워지기 때문이다. 봄은 비교적 서늘한 경향이 있지만, 헬골란트섬의 가을은 본토보다 더 길고 따뜻한 경우가 많으며, 통계적으로 기후는 일반적으로 더 화창하다.

온화한 기후로 인해 무화과가 1911년경부터 섬에서 재배되었다고 전해지며,[57] 2005년 기사에서는 일본 바나나, 무화과, 용설란, 야자수 및 헬골란트섬에 심어져 번성하고 있는 기타 이국적인 식물에 대해 언급했다.[58] 아직도 상부 마을에는 오래된 뽕나무가 있다.

헬골란트 기상 관측소는 다음과 같은 극값을 기록했다.[60]


  • 최고 기온: 28.7°C (1994년 7월 25일)
  • 최저 기온: -11.2°C (1956년 2월 15일)
  • 최다 연간 강수량: 1069mm (1998년)
  • 최소 연간 강수량: 394.2mm (1959년)
  • 최다 연간 일조 시간: 2078시간 (1959년)
  • 최소 연간 일조 시간: 1461.3시간 (1985년)

6. 인구

2020년 초 기준으로 헬골란트섬의 인구는 1,399명이다.[53] 2018년 통계에 따르면, 주민의 대다수인 63%가 루터교 신자이며, 18%는 가톨릭 신자이다.[54][55] 섬에는 소수 민족인 프리슬란트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은 헬골란트 고유의 북프리지아어 방언인 할룬더어(Halunder)를 사용한다. 또한, 섬에는 여러 종목의 스포츠 클럽인 VfL Fosite Helgoland가 있으며, 약 500명의 주민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56]

7. 경제 및 산업

2009년 해저 케이블로 본토 전력망과 연결되기 전까지 헬골란트섬의 전력은 지역 디젤 발전소에서 생산되었다. 이 해저 케이블은 길이가 53km이며, 세계에서 가장 긴 교류(AC) 해저 전력 케이블 중 하나이자 독일 내에서는 가장 긴 케이블이다.[45] 북독일 해저 케이블 공장에서 한 번에 제작되어 2009년 바지선 Nostag 10에 의해 설치되었으며, 30kV의 작동 전압으로 설계되어 장크트페터오르딩에서 독일 본토 전력망에 연결된다.

과거 헬골란트섬은 대형 풍력 터빈 시험 프로젝트인 GROWIAN의 시험 장소였으며, 1990년에는 MAN WKA 60형 1.2MW 터빈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기술적인 문제와 더불어 낙뢰 방지 기능이 없고 보험사의 보장 거부 등의 문제로 인해 이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는 섬 주민들에게 실패로 여겨져 중단되었다.[43][44]

2008년에서 2010년 사이에는 매립을 통해 섬의 여러 부분을 연결하는 육교를 다시 확장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46] 지역 사회의 반대 투표로 무산되었다.[47][48]

2013년부터는 남쪽 항구에 새로운 산업 부지가 확장되고 있다. E.ON, RWE 및 WindMW와 같은 기업들은 헬골란트섬에서 대규모 해상 풍력 발전소의 운영 및 서비스를 관리할 계획이며,[49][50][51] 해당 지역의 개발을 위해 남아있던 탄약 제거 작업이 이루어졌다.[52]

현재 헬골란트섬은 관광지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섬의 만에서는 요트가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여행객들은 담배, 알코올 음료, 향수 등을 면세로 구매할 수 있다.

8. 교통 및 도로 제한

헬골란트 경찰차


헬골란트 구급차


확대 가능한, 헬골란트 상세 지도


독일 교통 법규(''Straßenverkehrsordnung'', 약칭 ''StVO'')의 특별 조항인 §50에 따라, 헬골란트섬에서는 자동차와 자전거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65] 하지만 일부 예외는 존재한다.

섬의 경찰은 2006년 1월 17일에 첫 경찰차를 도입하기 전까지는 자전거 금지 규정의 예외를 적용받아 도보나 자전거로 이동했다.[66] 현재 헬골란트에는 일반적으로 5명의 경찰관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전기 자동차와 여러 대의 자전거를 이용한다. 여름철에는 당일 여행객과 숙박 방문객으로 인해 인구가 최대 3배까지 증가할 수 있어, 본토에서 추가 경찰 인력이 파견되어 지원하기도 한다.

구급차 서비스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 구조 서비스(RKiSH)와 협력하여 파라켈수스 북해 클리닉 헬골란트에서 운영한다. 총 3대의 구급차가 있는데, 본섬에 1대, 뒤네 섬에 1대가 배치되고 나머지 1대는 본섬에 예비로 보관된다. 응급 환자는 우선 파라켈수스 북해 클리닉으로 이송된다. 만약 부상이나 질병이 심각할 경우, 환자는 독일 해난 구조 협회(DGzRS)가 운영하는 구조 헬리콥터나 해상 구조 순찰선을 이용해 본토로 이송된다. 뒤네 섬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본섬의 구급대원이 보트를 타고 뒤네로 이동하여 그곳에 있는 구급차로 활동한다.[67]

화재 예방 및 기술 지원은 헬골란트 자원 봉사 소방대가 담당한다. 소방대는 운터란트, 오버란트, 뒤네 세 곳에 소방서를 두고 있다. 또한 헬골란트-뒤네 비행장에서 항공 운항 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비하는 임무도 수행한다. 여름철에는 자원 봉사 소방관들이 가족과 함께 섬에서 휴가를 보내며 14일간 뒤네에 배치되어 비상 상황에 대비한다.

2021년부터는 소방대, 구급차 서비스, 경찰을 위한 공동 서비스 건물인 BOS 센터가 오버란트에 건설 중이다. 이 건물 상층에는 경찰 직원들을 위한 아파트 5채도 들어설 예정이다.[68]

9. 깃발

wikitext

헬골란트섬 깃발


헬골란트섬의 깃발은 문장과 매우 유사하며, 녹색, 빨간색, 흰색의 세 가지 가로 줄무늬로 이루어진 삼색기이다. 각 색상은 섬의 특징을 상징하는데, 녹색은 섬의 자연 또는 땅, 빨간색은 섬의 특징인 붉은 절벽, 흰색은 모래사장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상징적 의미는 다음 모토로 표현된다.[63]

독일어저지 독일어북프리지아어영어
lang="de" |lang="nds" |lang="frr" |style="font-style: normal" |



Sand|모래de(“모래”)라는 단어를 Strand|해변de(“해변”)으로 대체한 다른 버전도 있다.[64]

10. 문화

헬골란트의 조류학적 유산은 재건되었으며, 1991년에 설립된 Ornithologische Arbeitsgemeinschaft Helgoland e.V.|헬골란트 조류학회de가 관리하는 헬골란트 조류 관측소가 있다.

헬골란트섬은 다양한 문화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1956년까지 영국 해운 예보에 등장했으나, 이후 독일 만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70] 셰나 매케이는 2003년 소설 ''헬골란트''의 제목을 예보에서 섬 이름이 사라진 것에서 착안하여 지었다.
  •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는 2020년 양자역학에 관한 대중 과학 서적인 ''헬골란트''를 출간했다. 이는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1920년대 이 섬에 머물며 양자역학에 대한 초기 아이디어를 얻었기 때문이다.[71]
  • 작곡가 안톤 브루크너는 영국이 섬을 독일에 반환한 것을 기념하여 1893년에 남성 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칸타타인 헬골란트를 작곡했다. 이 작품은 브루크너가 마지막으로 완성한 곡이다.
  • 영국의 트립합 그룹 매시브 어택은 섬의 이름을 따서 2010년 스튜디오 앨범 Heligoland를 발매했다.
  • 게임 ''배틀필드 1''에서는 Turning Tides 확장팩의 DLC 맵 중 하나로 헬골란트 만이 등장하며, 영국 해병대에 맞서 독일군이 방어하는 설정이다.

참조

[1] 뉴스 Heligoland: Germany's hidden gem in the North Sea https://www.theguard[...] 2011-04-24
[2] 서적 Helgoland und seine Sprache. Cuxhaven 1909
[3] 간행물 Fositesland und die Bernsteininsel. 1951
[4] 서적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Berlin 1999
[5] 서적 Heiliges Land – Helgoland und seine früheren Namen https://books.google[...] De Gruyter, Berlin 2008
[6] 서적 Roter Flint und Heiliges Land. Helgoland zwischen Vorgeschichte und Mittelalter. Neumünster 2009
[7] 서적 Heligoland, Past and Present Lulu Press
[8] 서적 Schleswig-Holstein in 150 archäologischen Funden Karl Wachholtz
[9] 서적 Heligoland,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10] 백과사전
[11] 백과사전 Encyclopaedia Britannica
[12] 간행물 London Gazette 1807-09-12
[13] 뉴스 History Today 2014-01
[14] 뉴스 History Today 2014-01
[15] 서적 Heligoland: The True Story of German Bight and the Island that Britain Betrayed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16] 논문 Heligoland https://babel.hathit[...] 2020-06-18
[17] 서적 Heligoland, an Ornithological Observatory https://archive.org/[...] David Douglas 1895
[18] 논문 Helgoland and the history of research on marine benthic algae 1988
[19] 서적 History of the World War Funk & Wagnalls Company 1920
[20] 웹사이트 Göttingen and Quantum Mechanics https://www.theorie.[...] University of Göttingen 2023-01-17
[21] 서적 Werner Heisenberg – Die Sprache der Atome. Leben und Wirken Springer 2010
[22] 웹사이트 Jagdstaffel Helgoland http://www.ww2.dk/ai[...] 2010-02-21
[23] 웹사이트 Lager russischer Offiziere und Soldaten, Helgoland Nordost http://www.spurensuc[...] spurensuche-kreis-pinneberg.de
[24] 웹사이트 1939 Dezember http://www.wlb-stutt[...] Württemberg State Library, Stuttgart 2015-07-04
[25] 웹사이트 Unter den Wellen Teil 3 – Britische U-Boote vor Helgoland http://www.bremerhav[...] bremerhaven.de 2013-02
[26] 뉴스 Verräter kam aus den eigenen Reihen. Nordwest Zeitung 2015-04-11
[27] 웹사이트 Im Schutz der roten Felsen – Bunker auf Helgoland http://www.fr-online[...] fr-online.de 2005-04-19
[28] 웹사이트 466 Squadron Missions http://www.halifaxlv[...]
[29] 웹사이트 8th Air Force 1944 Chronicles http://www.airwarweb[...] 2007-05-25
[30] 백과사전 1942 USAAF Serial Numbers (42-57213 to 42-70685) http://home.att.net/[...] Joseph F. Baugher 2007-04-10
[31] 백과사전 1942 USAAF Serial Numbers (42-30032 to 42-39757) http://home.att.net/[...] Joseph F. Baugher 2007-04-10
[32] 웹사이트 Campaign Diary http://www.raf.mod.u[...] UK Crown 2007-05-24
[33] 웹사이트 Combat Chronology of the US Army Air Forces – December 1944 http://www.usaaf.net[...]
[34] 웹사이트 RAF – RAF Homepage http://www.raf.mod.u[...]
[35] 웹사이트 RAF – RAF Homepage http://www.raf.mod.u[...]
[36] 뉴스 Naval installations blown up in Heligoland – archive, 1947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2-04-19
[37] 뉴스 Der Tag, an dem Helgoland der Megabombe trotzte http://www.spiegel.d[...] 2007-04-13
[38] 서적 The Royal Navy and German naval disarmament, 1942–1947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9] 문서 Hubertus Prinz zu Löwenstein-Wertheim-Freudenberg
[40] 웹사이트 1. März 1952: Helgoland ist wieder deutsch http://www.ndr.de/la[...] Norddeutscher Rundfunk 2015-09-17
[41] 간행물 Council Directive 2006/112/EC of 28 November 2006 on the common system of value added tax (consolidated text)
[42] 간행물 Regulation (EU) No 952/201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9 October 2013 laying down the Union Customs Code (consolidated text)
[43] 뉴스 Helgoland Weil der Wind sich dreht http://www.tagesspie[...] Der Tagesspiegel 2012-09-15
[44] 문서 Wind Energy Comes of Age John Wiley & Sons 1995-04-14
[45] 웹사이트 Mit der Zukunft Geschichte schreiben http://www.kreiszeit[...]
[46] 뉴스 Pläne für Landaufschüttung auf Helgoland vom Tisch https://www.welt.de/[...] 2015-09-17
[47] 웹사이트 Informationen zum Bürgerentscheid am 26. Juni 2011 http://www.helgoland[...] Gemeinde Helgoland 2011-06-14
[48] 뉴스 Helgoländer stimmen gegen Inselvergrößerung https://www.faz.net/[...] 2011-06-27
[49] 웹사이트 RWE, E.ON und WindMW stellen Pläne für Betriebsbasis auf Helgoland für Offshore-Windkraftwerke vor http://www.rwe.com/w[...] RWE Innogy 2014-08-08
[50] 간행물 Eine Insel im Wandel – vom 'Fuselfelsen' zum modernen 'Helgoland 3.0'
[51] 간행물 Offshore-Branche ist auf Helgoland angekommen
[52] 간행물 Helgoland erfindet sich grundlegend neu
[53] 웹사이트 Bevölkerung der Gemeinden in Schleswig-Holstein 1. Quartal 2020 https://www.statisti[...] Amt für Hamburg und Schleswig-Holstein 2020-11-19
[54] 웹사이트 Glaubt man auf Helgoland anders, Frau Pastorin? https://www.evangeli[...] Evangelische Zeitung 2020-11-19
[55] 웹사이트 Kleine Insel vor großem Wandel Neue KirchenZeitung 2020-11-19
[56] 웹사이트 Football thriving on windy, Covid-free Heligoland https://www.fifa.com[...] 2023-04-27
[57] 간행물 Neues zur Flora von Helgoland http://rzbl04.biblio[...] 2008-03
[58] 뉴스 Helgoland und Sansibar: Die ungleichen Schwestern http://www.spiegel.d[...] 2005-08-26
[59]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13
[60] 웹사이트 Monatsauswertung http://sklima.de/dat[...] SKlima 2024-10-11
[61] 웹사이트 Nautical chart "Helgoland" http://www.esys.org/[...] Europäisches Segel-Informationssystem 2008-07-27
[62] 뉴스 Helgoländer stimmen gegen Inselvergrößerung http://www.kn-online[...] 2011-06-27
[63] 문서 Helgoland: Schilderungen und Erörterungen https://books.google[...] F. Duncker (W. Besser)
[64] 문서 Die National- und Landesfarben von 150 Staaten der Erde: mit historischen Erläuterungen für belehrende und praktische, namentlich decorative Zwecke https://books.google[...]
[65] 웹사이트 '§ 50 StVO 2013 – Einzelnorm' http://www.gesetze-i[...] 2022-03-21
[66] 뉴스 Schluss mit Autofrei: Polizei auf Helgoland bekommt Streifenwagen https://www.spiegel.[...] 2024-03-01
[67] 웹사이트 Rettungswache Helgoland https://www.rkish.de[...] 2022-02-09
[68] 웹사이트 Neues Zentrum für Feuerwehr, Rettungsdienst und Polizei https://www.sueddeut[...] 2022-03-21
[69] 문서 Mansfield, Richard
[70] 간행물 Fact sheet 8 – The Shipping Forecast https://www.metoffic[...] Met Office 2019-10-26
[71] 서적 Helgoland: Britain, Germany, and the Struggle for the North Sea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72] 간행물 London Gazette 1840-09-29
[73] 간행물 London Gazette 1857-03-10
[74] 웹인용 Météo climat stats for Helgoland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03-21
[75] 웹인용 Langjährige Mittelwerte: 1961–1990 http://www.dwd.de/bv[...] 독일 기상청
[76] 웹인용 WeatherOnline.co.uk CLimate Robot Helgoland/Düne http://www.weather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