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 뉴 파워트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뉴 파워트럭은 현대자동차가 베링 트럭과 함께 디자인하여 2004년 6월에 출시된 대형 상용 트럭이다. 기존 현대 슈퍼트럭의 차체를 기반으로 전면 디자인을 변경하고, 파워텍 엔진을 유로 3 기준에 맞게 개선하여 출시되었다. 2006년 11월 마이너체인지 모델인 현대 트라고가 출시되었으나, 저급 모델은 뉴 파워트럭과 병행 판매되었다. 2013년 9월 엑시언트 출시 이후에도 병행 생산되다가, 유로 6 배기가스 규제로 잠시 단종되었다가 2015년 10월 유로 6 기준을 충족하여 재출시되었다. 2019년 파비스 출시와 함께 단종될 예정이었으나, 2020년형 모델이 출시되어 현재까지 판매 중이다. 카고, 트랙터, 덤프, 믹서 등 다양한 라인업과 엔진, 변속기 옵션을 제공하며, 타타대우, 볼보, 스카니아 등과 경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물자동차 차종 - 현대 마이티
    현대 마이티는 1987년부터 생산된 현대자동차의 소형 트럭으로, 미쓰비시 후소 캔터 기반의 1세대부터 현대자동차 독자 개발 모델인 2세대, 유로 6 기준을 충족하는 3세대 모델까지 발전해 왔으며, e-마이티, 마이티 Qt 등의 파생 모델과 마이티 일렉트릭 전기트럭 모델이 개발되어 국내외 시장에 판매되고 있다.
  • 화물자동차 차종 - 기아 봉고
    기아 봉고는 1980년 기아에서 마쓰다 봉고를 기반으로 출시한 소형 상용차로, 1톤 트럭 최초로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채택했으며 현대 포터와 함께 대한민국 소형 상용차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 2004년 도입된 자동차 - 포드 GT
    포드 GT는 포드가 제작한 고성능 스포츠카로, 1세대와 2세대 모델이 있으며, 각 세대는 기념적인 배경과 특징적인 엔진, 한정 생산, 레이싱 활약 등을 통해 포드의 기술력을 보여준다.
  • 2004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모닝
    기아 모닝은 2004년 기아 비스토의 후속으로 출시되어 대한민국을 포함한 해외 시장에서 판매되는 경차로, 모델 체인지를 거치며 디자인, 안전성, 편의성이 개선되었고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현대 뉴 파워트럭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현대 뉴 파워트럭
이름현대 뉴 파워트럭
제조사현대자동차
별칭현대 슈퍼 트럭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중동, 라틴 아메리카)
생산 기간2004년~현재
조립 장소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전주공장)
선행 차량현대 슈퍼트럭
후속 차량현대 트라고
현대 파비스
차종준대형 트럭
차체 형식8톤~25톤급 준대형트럭
구동 방식4x2, 6x4, 10x4
차대프레임
설계자현대자동차 디자인 센터
베링 트럭
관련 차량베링 HD
베링 HDMX
엔진
종류현대 K-엔진
현대 파워텍 엔진
최고 출력440/1,800
최대 토크206/1,400
연료디젤
변속기
종류현대 (수동)
ZF (자동)
단수6단 수동/10단 수동/16단 수동/12단 오토매틱(ZF-Astronic)

2. 제 1세대 (TRA)

'''현대 뉴 파워트럭'''은 현대자동차 주식회사에서 생산하는 상용 트럭 모델이다. 현대자동차와 베링 트럭이 공동으로 디자인하였으며, 대한민국 전주의 상용차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생산은 2004년부터 시작되었다.

2. 1. 뉴 파워트럭 (2004년 6월~현재)

현대 슈퍼트럭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으로, 2004년 6월에 출시되었다. 차체는 기존 현대 슈퍼트럭과 동일하지만 앞부분 디자인과 일부 세부 사항을 개선하였다. 대시보드는 기존 현대 슈퍼트럭과 같다. 그래듀얼 파킹브레이크가 처음으로 적용되었고, 신형 HD0460 2-Din 오디오 데크와 차량 도난 방지를 위한 이모빌라이저 기능이 추가되었다. 파워트레인은 기존 현대 슈퍼트럭에 사용되던 파워텍 엔진을 기반으로 유로 3 배출가스 기준을 만족하도록 개선되었으며, 엔진 분사 방식을 완전 전자제어식으로 변경하여 엔진 토크를 향상시켰다.

2005년 8월에는 연식변경 모델인 2006년형이 출시되었다. 2006년형 모델에는 러버 플로어 매트와 운전석 사이드 선바이저가 적용되었고, 슬리핑 베드는 기존 직물 소재에서 가죽으로, 시트 커버 역시 천연가죽으로 변경되었다. 카고 버전의 경우, 적재함 오른쪽에 알루미늄 측면 보호대와 알루미늄 후부 안전판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높였다. 또한, 4x2 굴림 방식의 8톤 및 8.5톤 모델이 추가되면서 Q-DOC(D6AB) 290마력 유로 3 디젤 엔진 라인업이 보강되었다.

2006년 11월, 상위 모델인 현대 트라고가 출시되면서 뉴 파워트럭은 4x2와 6x4 일부 모델을 제외하고 단종되었다. 그러나 수입 트럭과의 경쟁 및 저가형 모델 수요를 고려하여, 4x2(8톤, 8.5톤, 9.5톤) 및 6x4(17톤 단축/중축, 16톤 단축/초장축/중축, 14.5톤 장축, 14톤 장축, 11.5톤 장축) 모델은 현대 트라고와 함께 병행 판매하기로 결정되었다.

2007년형 모델부터는 차폭등 일체형 루프바이저와 대용량 에어탱크가 적용되었다. 6단 수동변속기 노브는 현대 유니버스와 동일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고, 배터리 커버는 MF 배터리 및 신형 원터치 타입 밀폐형 배터리 커버로 개선되었다. 2008년식 모델부터는 스티어링 휠, 계기판, 오디오 부분이 변경되었으며, 2011년식 모델부터는 표준형 디지털 타코그라프, USB 단자, 12V 컨버터가 적용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13년 9월, 뉴 파워트럭과 현대 트라고 1세대 모델의 통합 후속 차종인 현대 엑시언트 1세대 모델이 출시된 이후에도 뉴 파워트럭은 병행 생산되었다. 2015년 1월, 배기가스 규정이 유로 6으로 강화되면서 잠시 생산이 중단되었으나, 같은 해 10월 유로 6 기준을 충족하는 모델로 다시 생산이 재개되었다. 이 모델에는 멀티 디스플레이 계기판이 기본 사양으로 적용되었고, 요소수 탱크가 추가되었다. 15톤 덤프트럭과 6루베 믹서트럭에는 H410(410PS) 엔진이, 8톤 카고트럭에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페이스리프트 디젤 모델에 탑재된 유로 6 H310(310PS) 엔진이 적용되었다.

2018년부터는 도어 윈도우의 쪽창이 제거된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2019년 8월 현대 파비스가 출시되면서 단종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변경되어 단종되지 않고 2020년형 모델이 출시되어 2021년 이후에도 계속 판매되고 있다.

3. 모델

'''현대 뉴 파워트럭'''은 현대자동차의 상용 트럭 모델 이름으로, 두 가지 관련 모델에 사용된다. 현대자동차와 베링 트럭이 공동으로 디자인했으며, 대한민국 전주에 위치한 상용차 공장에서 2004년부터 생산되었다.

3. 1. 라인업

톤수구동 방식축 길이/타입
8톤4x2장축/초장축/특장축
7톤4x2단축, 섀시캡
8.5톤4x2단축/중축
9.5톤4x2단축/중축
9.5톤 로우6x4장축/초장축
11.5톤6x4장축
14톤6x4장축
15톤6x4중축/장축
16톤6x4단축/중축/초장축
16.5톤6x4초단축
17톤6x4단축/중축
19M 풀 카고6x411.5톤 트럭 기반
20.5톤후3축 8x4단축
23.5톤후3축 8x4단축
22톤후3축 8x4이코노미/하이파워
19톤8x4이코노미/하이파워
19.5톤8x4이코노미/하이파워
20.5톤8x4초단축
25톤8x4초단축
25톤10x4단축/초장축



구동 방식마력/용도
4x2380
6x2410/440
6x4380/410/440
6x4 덤프 & BCT420/440



톤수/용량구동 방식축 길이/타입
8톤4x2단축 (덤프)
15톤6x4단축 (덤프)
23톤8x4단축 (덤프)
25톤8x4단축 (덤프)
15톤 믹서 (6m3)6x4단축 (믹서)


3. 2. 세부 모델명 (대한민국)

wikitext

등급적용 차종
골드전 차종
프로전 차종
디럭스8톤 및 15톤 덤프, 믹서


4. 기술

현대 뉴 파워트럭은 기존 현대 슈퍼트럭에 사용된 파워텍 엔진을 기반으로 기술적인 개선을 이루었다. 초기 모델은 엔진 분사 방식을 전자제어식으로 변경하고 유로 3 기준을 만족시켜 토크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후 연식 변경을 통해 특정 모델 라인업에는 새로운 엔진이 추가되기도 했으며, 2015년에는 유로 6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하는 H 엔진과 요소수 시스템을 적용한 친환경 모델이 출시되었다.

변속기는 주로 현대 자체 제작 변속기와 독일 ZF사의 수동 변속기가 모델별로 다르게 적용되었다. 2007년형 모델부터는 일부 부품이 현대 유니버스와 공유되는 등 소소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4. 1. 엔진

파워트레인은 기존 현대 슈퍼트럭에 탑재되었던 파워텍 엔진을 기반으로 하되, 유로 3 기준을 만족하도록 개선되었다. 엔진 분사 방식을 완전 전자제어식으로 변경하여 기존보다 엔진 토크를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2005년 8월에 출시된 2006년형 모델부터는 4x2 굴림 방식의 8톤 및 8.5톤 카고 트럭 라인업이 추가되면서, 이 모델들에는 Q-DOC (D6AB) 290마력 유로 3 디젤 엔진이 새롭게 탑재되었다.

이후 2015년 10월, 유로 6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하는 모델이 다시 출시되었다. 이 모델에는 요소수 탱크가 추가되었으며, 15톤 덤프트럭과 6루베 믹서트럭에는 H410(410PS) 엔진이, 8톤 카고트럭에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페이스리프트 디젤 모델에 사용되는 H310(310PS) 엔진이 각각 적용되었다.

주요 모델별 엔진 제원은 다음과 같다.

모델 유형엔진 제원 (마력/토크)
4x2 카고290 마력 / 110 kg·m, 235 마력 / 70 kg·m, H310 (310 마력)유로 6
6x4 카고 로우290 마력 / 110 kg·m
6x4 카고380 마력 / 160 kg·m (파워텍), 410 마력 / 188 kg·m (파워텍)
후륜 3축 8x4 카고380 마력 / 160 kg·m (파워텍), 410 마력 / 188 kg·m (파워텍)
8x4 카고380 마력 / 160 kg·m (파워텍), 410 마력 / 188 kg·m (파워텍), 440 마력 / 206 kg·m (파워텍)
10x4 카고440 마력 / 206 kg·m (파워텍)
4x2 트랙터380 마력 / 148 kg·m
6x2 트랙터410 마력 / 188 kg·m (파워텍), 440 마력 / 206 kg·m (파워텍)
6x4 트랙터380 마력 / 160 kg·m (파워텍), 410 마력 / 188 kg·m (파워텍), 440 마력 / 206 kg·m (파워텍)
6x4 덤프 & BCT 트랙터410 마력 / 188 kg·m (파워텍), 440 마력 / 206 kg·m (파워텍), H410 (410 마력)유로 6
4x2 덤프290 마력 / 110 kg·m
6x4 덤프380 마력 / 160 kg·m
8x4 덤프380 마력 / 160 kg·m, 440 마력 / 206 kg·m (파워텍)
6x4 믹서380 마력 / 160 kg·m, H410 (410 마력)유로 6


4. 2. 변속기

2007년형부터 기존 6단 수동변속기 노브가 유니버스의 것으로 변경되었다. 모델별 변속기 사양은 다음과 같다.

모델변속기 제조사변속기 사양
4x2 카고현대전진 6단 / 후진 1단
6x4 카고현대전진 6단 / 후진 1단
ZF전진 16단 / 후진 2단
후륜 3축 8x4 카고ZF (전용)전진 16단 / 후진 2단
8x4 카고현대전진 10단 / 후진 2단
ZF전진 16단 / 후진 2단
10x4 카고ZF (전용)전진 16단 / 후진 2단
4x2 트랙터현대전진 10단 / 후진 2단
6x2 트랙터현대전진 10단 / 후진 2단
6x4 트랙터ZF (전용)전진 16단 / 후진 2단
6x4 덤프 & BCT 트랙터ZF (전용)전진 16단 / 후진 2단
4x2 덤프현대전진 6단 / 후진 1단
6x4 덤프현대전진 6단 / 후진 1단
8x4 덤프ZF (전용)전진 16단 / 후진 2단
6x4 믹서현대전진 6단 / 후진 1단


5. 경쟁 차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