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봉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봉고는 기아가 25년 이상 생산해 온 소형 및 대형 트럭으로, 1980년에 마쓰다 봉고를 기반으로 처음 출시되었다. 1980년부터 현재까지 여러 차례 모델 변경을 거쳤으며, 봉고 프론티어, 봉고 III 등 다양한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봉고는 트럭, 밴, 미니버스 등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었으며, 유럽, 남아메리카 등 해외 시장에도 수출되었다. 현재는 4세대 모델이 판매 중이며, 2020년부터는 전기 트럭 모델인 봉고 III EV도 판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도입된 자동차 - 피아트 판다
피아트 판다는 이탈리아의 피아트가 생산하는 소형차로, 1980년 1세대 출시 이후 2024년 4세대 모델까지 공개되었으며, 유럽 올해의 차를 수상하기도 했다. - 1980년 도입된 자동차 - 토요타 크레스타
토요타 크레스타는 1980년부터 2001년까지 토요타 자동차에서 생산한 고급 세단으로, 고급스러움을 강조하며 토요타 비스타 스토어에서 판매되었고, 후륜구동 터보 모델은 튜닝 마니아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 화물자동차 차종 - 현대 마이티
현대 마이티는 1987년부터 생산된 현대자동차의 소형 트럭으로, 미쓰비시 후소 캔터 기반의 1세대부터 현대자동차 독자 개발 모델인 2세대, 유로 6 기준을 충족하는 3세대 모델까지 발전해 왔으며, e-마이티, 마이티 Qt 등의 파생 모델과 마이티 일렉트릭 전기트럭 모델이 개발되어 국내외 시장에 판매되고 있다. - 화물자동차 차종 - 현대 리베로
현대 리베로는 현대자동차가 스타렉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포터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개발한 1톤급 소형 트럭이었으나, 경제성과 기동성 문제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단종되었으며, 특장차 용도로 활용, 국산 트럭 최초 운전석 에어백을 적용했고, 2024년에는 ST1으로 대체되었다. - 승합차 - 기아 타우너
기아 타우너는 다이하쓰 하이젯을 기반으로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 판매된 경상용차로, 트럭과 코치 모델이 있었으며 배기가스 규제 미달로 단종 후 재출시되어 현재는 전기차 모델 개발도 진행 중이다. - 승합차 - 기아 베스타
기아 베스타는 기아 봉고 코치를 기반으로 1986년 출시되어 2.0/2.2리터 디젤 엔진을 탑재한 소형 승합차로, 뉴 베스타와 하이 베스타를 거쳐 1997년 단종될 때까지 현대 그레이스, 대우 바네트와 경쟁하였다.
기아 봉고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기아 |
별칭 | 기아 프론티어 기아 빅-업 (픽업 트럭, 인도네시아) 기아 프레지오/봉고 III 코치 (밴) 기아 트라벨로 (밴, 인도네시아, 2004–2018) 기아 카온 (타이완) 포랜드 K1 THACO 기아 뉴 프론티어 (베트남) 기아 KC2700 기아 K2400 기아 K2500 기아 K2500 카르가 (필리핀, 2019–현재) 기아 K2700 기아 K3000S 기아 K4000G 기아 점보 (픽업 트럭, 타이, 2004–2011) 기아 타우너 K2500 피플 랜드/세르비아 기아 피티판 |
생산 기간 | 1980년–현재 |
차종 | 소형 상용차 |
차체 형태 | 밴 픽업 트럭 |
전방 엔진/구동 방식 | 전방 엔진 |
구동 방식 | 뒷바퀴 구동 네바퀴 구동 |
조립 공장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주 공장) 에콰도르: 키토 (AYMESA)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Nordex) 알제리: 바트나 (GLOVIZ) 파키스탄: 카라치 (기아 럭키 모터스) 필리핀: 파라냐케 (1990년대–2006년), 비냐 (라구나 주) (2006년–2019년); 콜롬비안 오토카 코퍼레이션 (CAC); 산타로사 (라구나 주) (2019년–현재); (기아 필리핀) 베트남: 추라이 (THACO) |
후속 차종 | 기아 프레지오 (베스타 한정) |
파생 차종 | |
관련 차종 | 기아 트라벨로 기아 프레지오 기아 베스타 아시아 토픽 현대 포터 |
변속기 | |
변속기 종류 | 5단 MT 6단 MT 4단 AT 5단 AT |
엔진 | |
엔진 종류 | CRDI LPI |
최고 출력 | 133/159 |
최대 토크 | 26.5/23.0 |
연료 | LPG 디젤 전기 |
2. 역사
기아는 25년 이상 대한민국 시장을 위해 소형 및 대형 트럭을 생산해 왔다. 후륜구동 방식의 봉고 트럭은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 시장에 출시되었으며, 4기통 디젤 엔진을 장착했다. 봉고 프론티어는 원래 RV 또는 픽업 트럭으로 출시되었다. 2004년 기아 봉고 III로 대체되었다. 봉고 프론티어는 유럽과 남아메리카로 수출된 최초의 기아 자동차 중 하나였다.
유럽, 호주, 남아메리카와 같은 일부 시장에서 봉고는 '''기아 K-시리즈''' 또는 '''기아 프론티어'''로 판매되며, K2400 및 K2700을 포함한다. 대만에서는 '''기아 카온'''으로 알려져 있으며, 베트남에서는 THACO에서 라이선스 생산하여 '''THACO 기아 뉴 프론티어'''로 판매된다.[1]
2. 1. 1세대 (BA2, 1980년 7월 ~ 1993년 12월)
1980년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 합리화 조치로 인해 승용차 생산이 불가능했던 기아산업(현 기아)은 틈새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일본 마쓰다 봉고 2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한 1톤 트럭 '봉고'를 출시했다.초기 봉고는 둥근 헤드라이트를 사용했지만, 1981년에 사각형으로 변경되었다. 최초의 봉고는 "기아" 대신 "기아마스터" 로고를 사용했으나, 1986년 2월에 "KIA MOTORS"로 변경되었다. 봉고는 원래 70PS을 생산하는 퍼킨스(Perkins)사의 2.2리터 "S2" 디젤 엔진을 장착했다. 1985년에는 1.4리터 "UC" 가솔린 엔진이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1987년 '와이드 봉고' 생산이 시작되었고, 1987년부터 1990년까지는 80PS의 2.4리터 "SF" 디젤 엔진으로 업그레이드된 "파워 봉고"가 판매되었다. 파워 봉고는 넓은 직사각형 헤드라이트를 갖추고 있었다. 1세대 봉고는 1994년 12월에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농업용으로 더 튼튼하게 만든 세레스 버전은 1995년 이후로도 7년 더 생산되었다.


기아 세레스는 기아 타이탄과 약간 더 긴 전면부를 공유하는 1톤 트럭으로, 특별한 농업용 버전이었다. 1987년부터는 사륜구동 모델도 출시되었으며, 결국 대한민국 내수 시장에서는 후륜구동 모델이 단종되었다. 필리핀, 라틴아메리카, 호주, 터키와 같이 더 험한 환경의 일부 수출 시장에서는 봉고 대신 세레스 모델이 판매되었다(어떤 곳에서는 두 모델 모두 판매). 세레스는 독특한 전면부를 제외하고는 원래의 BA2 캐빈을 사용했다. 1995년에는 둥근 헤드라이트와 당시 새로운 기아 로고가 적용된 새로운 전면부 디자인을 받으며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일부 시장에서 봉고는 '''기아 K-시리즈''' 또는 '''기아 프론티어'''로 판매되었으며, K2400 및 K2700을 포함한다. 대만에서는 '''기아 카온''', 베트남에서는 THACO에서 라이선스 생산하여 '''THACO 기아 뉴 프론티어'''로 판매된다.
2. 1. 1. 봉고 트럭 (1980년 7월 ~ 1987년 8월)
1980년 7월 기아산업(훗날 기아)이 마쓰다 봉고를 도입하여 1세대 모델로 처음 출시하였다. 당초에는 2,200cc 70마력 S2 엔진을 탑재하였다. 1톤 트럭 최초로 전륜 현가장치를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으로 채택하였다. 1984년 8월에 공간이 넓어진 킹캡(KING CAB), 이듬해인 1985년 10월에 픽업 모델이 출시되었다. 1986년 2월 앞뒷면에 기아 영문엠블럼이 '''KIAMASTER'''에서 '''KIA MOTORS'''로 변경되었다.[1]1981년 8월에 헤드램프가 2등식 원형에서 2등식 직사각형으로 변경되었다.[1]

2. 1. 2. 봉고 미니버스 (1981년 8월 ~ 1987년 2월)
1980년 1톤 트럭이 출시되고 1년 후인 1981년 8월, 승합차인 봉고 코치와 봉고 나인(9인승)이 출시되었다.[1] 당시 전두환 정부의 자동차 산업 합리화 조치로 인해 기아산업에서 승용차를 생산할 수 없게 되자, 틈새 시장을 노려 출시한 봉고 코치는 큰 인기를 얻었다. 이로 인해 '봉고차'라는 단어가 승합차를 지칭하는 대명사가 되었고, 기아산업의 회생을 '봉고 신화'라고 부르기도 한다.[1] 3인승, 6인승 밴 모델도 함께 출시되었다.[1]1981년 8월에는 헤드램프가 원형 2등식에서 직사각형 2등식으로 변경되었다.[1] 1985년 3월에는 1.4L 가솔린 엔진을 탑재하고 전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채용한 저가형 모델인 봉고 타운이 출시되었다. 봉고 타운은 후륜에 싱글 타이어를 장착했다.[1]
1986년 3월, 봉고의 후속 모델인 기아 베스타가 출시되었으나, 봉고는 1987년까지 병행 생산되었다.[1]
2. 1. 3. 파워 봉고 (1987년 8월 ~ 1993년 12월)
1987년 8월에 트럭 모델은 마이너 체인지와 함께 엔진 출력을 향상시킨(2,400cc 80마력 SF형 엔진) '파워 봉고'로 변경되었다.[1] 이와 함께 전면 및 후면에 부착되는 기아의 영문 엠블럼이 'KIA MOTORS'에서 'kia'(상단 깃발 표시)로 변경되었다.[1] 1989년 1월에 후속 차종인 2세대 봉고(정식 명칭: '와이드 봉고')가 출시되었지만, 파워 봉고는 한동안 병행 생산되었다.[1] 1993년 12월에 초대 왜건 및 트럭 모델의 생산이 종료되었다.[1]2. 2. 2세대 (SR, 1989년 1월 ~ 1997년 4월)
1989년 1월에 2세대 모델인 '''와이드 봉고'''가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먼저 출시된 베스타와 동일하게 마쓰다 봉고 3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1992년 11월에는 2,700cc 80마력 JS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고, 1994년 3월에는 초장축 사양이 추가되었다. 1994년 10월에는 기아자동차의 엠블럼이 타원형으로 변경되었고, 도어 데칼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하이베스타의 휠 커버를 적용한 1995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1995년에는 엔진이 변경되고 약간의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봉고 J2"가 등장했다. 2세대 봉고의 승객용 모델은 기아 "'''베스타'''"로 명명되었으며, 베스타는 로망스어군에서 "짐승"을 의미하지만, 브라질 시장에서 즉시 가장 많이 팔리는 미니밴이 되었다.[5]
2. 2. 1. 와이드 봉고 (1989년 1월 ~ 1995년 5월)
1989년 1월, 기아자동차는 2세대 모델인 '''와이드 봉고'''를 출시했다. 이 모델은 미니버스인 베스타와 동일하게 마쓰다 봉고 3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5] 1992년 11월에는 2,700cc 80마력 JS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다.[5] 1994년 3월에는 초장축 사양이 추가되었다. 1994년 10월에는 기아자동차의 엠블럼이 타원형으로 변경되었고, 도어의 데칼이 변경되었으며, 하이베스타의 휠커버를 적용한 1995년형이 출시되었다.
2. 2. 2. 봉고 J2 (1995년 5월 ~ 1997년 4월)
1995년 5월 마이너 체인지와 동시에 83마력의 J2형 엔진을 탑재한 '''봉고 J2'''를 출시했다. 1996년 10월 동급 클래스에서 처음으로 ABS를 채용했다.2. 3. 3세대 (W3(트럭)/CT(왜건&밴), 1997년 4월 ~ 2005년 5월)
1997년 4월 3세대 봉고 프런티어가 출시되었다.[1] 2000년에 페이스리프트된 봉고가 출시되었고, 트럭 모델은 2003년 말에 단종되었다. 밴 및 코치 모델은 2005년 5월까지 생산되었다. 2006년 대한민국에서 더욱 엄격한 배출 가스 규제가 시행됨에 따라 사륜구동 덤프 트럭 모델도 동시에 단종되었다.2. 3. 1. 봉고 프런티어 (1997년 4월 ~ 2000년 12월)
1997년 4월 승용차와 같은 정숙성을 갖춘 3,000cc 90마력의 JT형 엔진을 탑재한 3세대 '''봉고 프런티어'''가 출시되었다.[1]1998년에는 대형 트럭에서만 볼 수 있었던 틸팅캡을 봉고 프런티어에 추가하여 엔진 정비성을 향상시켰다.[1] 점보 타이탄의 생산 종료에 따라 1.4톤, 2.5톤 모델이 추가되었다.[1]
1999년에는 사륜구동 트럭 세레스를 대체하는 형태로 봉고 프런티어에 사륜구동 버전이 추가되어 험로 주파 능력이 강화되었다.[1] 같은 해 봉고 프런티어가 페이스 리프트되었다.[1]
2. 3. 2. 뉴 봉고 프런티어 (2000년 12월 ~ 2003년 12월)
2000년 12월에 봉고 프런티어에서 '''뉴 봉고 프런티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2001년 8월에는 3,000cc 94마력 JT형 디젤 엔진을 탑재하고 외관 디자인을 변경, 소음을 줄인 '''사일런트''' 모델을 출시했다. 적재함 뒷면의 타원형 KIA 로고는 기아자동차의 영문 명칭인 KIA MOTORS로 변경되었다.[4]2. 3. 3. 봉고Ⅲ 미니버스 (2004년 1월 ~ 2005년 5월)
2004년 1월에 프레지오의 마이너체인지 모델인 '''봉고Ⅲ 코치'''(12, 15인승)'''&밴'''(3, 6인승)》가 봉고Ⅲ 트럭과 동시에 출시되었다.[1] 해외 시장에서는 프레지오라는 명칭으로 계속 판매되었으며, 일부 시장에서는 베스타로 판매되었다.[5]
봉고 3 코치는 안전성이 강화되었고, 우수한 연비와 넓은 실내 공간을 갖추었다.[7] 그러나 판매 부진과 그랜드 카니발과의 차종 중복으로[7] 2005년 5월 31일 판매량이 크게 위축되어 생산이 중단되었고, 그 해 7월 14일에 출시된 그랜드 카니발에 통합되었다.[2] 기존에 봉고 3 코치를 생산했던 라인은 뉴 카렌스의 생산 라인으로 변경되었다.[2]
2. 4. 4세대 (PU, 2004년 1월 ~ 현재)
4세대 모델은 '''봉고Ⅲ'''라는 이름으로 2004년 1월에 출시되었다.[6] 엔진은 커먼레일 방식으로 현대화되어 점차 친환경적으로 변화했다.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로 인해 1.2톤 및 1.4톤 모델은 2006년 11월에 단종되었다. 1톤 및 1.3톤 모델을 제외한 코치밴, 밴, 트럭은 수요 감소로 2007년 12월 31일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봉고Ⅲ는 2011년 10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생산이 중단되었다가 유로 V 기준을 충족하는 엔진을 탑재하여 다시 출시되었다.
봉고Ⅲ는 2005년 5월부터 2018년 8월까지 필리핀에서 K2700 모델로 판매되었고, 이후 K2500으로 대체되었다. 2019년에는 필리핀어로 "운반하다"라는 뜻의 '''K2500 카가'''로 대체되었다.[6] 태국에서는 2005년부터 '''기아 점보'''로, 인도네시아에서는 2004년부터 '''기아 빅업'''으로 판매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기아 트라벨로'''라는 코치밴 모델도 출시되었으나 2019년에 단종되었다.
유럽에서는 2007년 말 기아 K 시리즈 판매가 중단되었다( 러시아와 터키 제외).
2. 4. 1. 봉고Ⅲ (2004년 1월 ~ 2019년 9월)
2004년 1월, 4세대 봉고 Ⅲ가 출시되었다. 커먼레일 J3 엔진을 적용하여 123마력을 냈으며, 유로3 환경 기준을 충족했다.[6]2005년에는 기아 엠블럼이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변경되었고, 데칼 디자인도 변경되면서 기존의 연두색은 사라졌다. 2006년에는 환경 규제로 인해 터보 인터쿨러 엔진이 단종되고 커먼레일 엔진으로 통합되면서 출력이 126마력으로 향상되었다.[6]
2009년에는 159마력 세타 2.4리터 LPG 엔진을 장착한 봉고 LPI 모델이 추가되었다.[6] 2010년에는 우드그레인이 적용되었고, 데칼 무늬가 변경되었다.
2012년 1월, 기아의 패밀리룩 디자인이 적용되는 등 외관에 변화를 준 2012년형 봉고Ⅲ가 출시되었다. 포터II와 동일한 유로5 기준을 만족하는 A-2 133마력 커먼레일 엔진과 5단 자동/6단 수동변속기를 탑재했고, 운전석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적용하였다.[6]
2015년 1월에 출시된 2015년형은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4륜구동 전용), 조수석 에어백(옵션),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및 급제동 경보 시스템(ESS) 등 안전 사양이 강화되었다.[6]
2016년 9월 1일에는 유로6 기준을 충족하는 디젤 엔진이 적용된 2017년형이 출시되었고, 실내 디자인 일부가 변경되었다. 휠커버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클러스터 및 버튼 미등 색상이 변경되었으며, 에어컨 및 히터 조절 노브와 판넬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상위 트림에는 새로 디자인된 변속 레버, 실내 베이지 색상, 사이드 미러 리피터, 계기판 트립 컴퓨터가 장착되었다.[6]
2018년 10월 29일에 출시된 2019년형은 후방 주차 보조 시스템이 기본 적용되었고, 4륜구동 모델에 운전석 에어백이 기본 적용되었다.[6]
2. 4. 2. 더 뉴 봉고Ⅲ (2019년 9월 ~ 현재)
- 2019년 9월,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요소수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 2020년에는 긴급제동장치를 선택 사양으로 적용하였다.
- 2021년 기아의 사명 및 로고 변경으로 인해, 2022년형 모델부터 새로운 기아 로고가 장착되었다. 적재함 뒷면에는 기존 'KIA MOTORS' 문구가 삭제되고 새로운 기아 로고가 부착되었다.
- 2022년 10월, 2.4L 자연흡기 LPG 모델이 단산되었다.[14] 이후 2023년 11월에 2.5L LPG 터보 엔진으로 교체되어 다시 출시되었다.
- 2023년 11월, 2.5L 디젤 모델이 단산되고, 1톤 및 1.2톤 모델에 2.5L LPG 터보 엔진이 새롭게 적용되었다. LPG 봄베는 스페어 타이어 자리에 도넛형으로 장착된다.
- 2024년 7월 16일, 연식변경 모델인 The 2025 봉고Ⅲ가 출시되었다. 전동접이 아웃사이드 미러와 크루즈 컨트롤이 하위 트림까지 확대 적용되었고, 상위 트림에는 트위터 스피커, 크롬 인사이드 도어핸들 및 파킹브레이크 레버가 기본 적용되었다. 또한 모든 트림에 소화기가 장착되었으며, 운전교습용 차량에 자동변속기 모델이 추가되었다.[16]
2. 4. 3. 봉고Ⅲ EV (2020년 1월 ~ 현재)
2020년 1월 6일 전기 트럭 모델인 봉고Ⅲ EV가 출시되었다.[18] 충전 인터페이스는 DC콤보-1 방식이다. 2021년 2월 9일 킹캡 기반의 특장차(내장탑차, 윙바디, 파워게이트) 모델이 추가되었다.[19]2021년 기아의 사명 변경으로 구형 기아 로고를 사용하다가 2022년형 모델부터 신형 로고가 적용되었다. 적재함 뒷면에는 기존의 'KIA MOTORS' 문구가 삭제되고, 2022년형부터 신형 기아 로고가 부착되었다.
2022년 7월 4일 봉고Ⅲ EV 특장차 라인업에 냉동탑차가 추가되었다.[20] 봉고Ⅲ EV 초장축 킹캡 기반의 특장 모델로, 저상형과 표준형 두 가지 모델로 구성되었다. 고전압 배터리를 이용하여 냉동기를 가동하며, 보조 배터리 추가 장착으로 1000kg의 적재 중량을 제공한다.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패들 시프트 등 기존 모델의 편의 사양을 계승하고, 풀 오토 에어컨, 운전석 통풍 및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을 기본으로 적용했다.[21]
3. 봉고 트럭의 종류 (2000년대 이후)
종류 |
---|
표준캡 |
킹캡 |
더블캡 |
틸팅캡 |
냉동탑차 |
내장탑차 |
플러스 냉동탑차 |
플러스 내장탑차 |
윙바디 |
파워게이트 |
운전교습용 (공단 면허시험장/운전학원 공급)[24] |
보냉탑차 |
택배탑차 |
2WD 덤프 |
4WD 덤프 |
2WD 이동주유차 |
4WD 이동주유차 |
다목적 탑차 |
워크스루밴 |
청소차(2.5톤) |
활어차 |
구급차 (봉고J2모델부터등장함) |
사다리차 |
2010년식 봉고3 트럭은 위와 같은 종류 외에도 운전교습용(1종보통 운전면허 기능, 도로주행 시험 및 연습에 사용), 응급구조차, 냉온탑차 등이 있다. 2020년 1월 6일에는 전기트럭 봉고 III EV가 공개되었다.[26]
2.5톤 모델은 2005년 4월에 단종되어 현재는 1톤, 1.2톤, 4WD 등만 생산되고 있다. 2019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기아자동차를 제외하고는 1.2톤 화물차를 생산하는 곳이 없기 때문에, 봉고3 트럭이 유일하게 1.2톤 모델을 판매하고 있다.
4. 기타
봉고라는 이름은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영양의 일종에서 유래했다.[22] 오마르 봉고 전 가봉 대통령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은 2007년 방한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오찬 자리에서 나온 발언[23]이 와전된 것으로, 사실과 다르다.[8] 실제로는 1980년 출시 당시 기아의 기술 제휴선이었던 일본 마쓰다의 차종 이름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1981년에는 승합차인 '''봉고 코치'''와 '''봉고 나인'''이 출시되었다. 당시 자동차 산업 합리화 조치로 기아자동차가 승용차를 생산할 수 없게 되자, 봉고 코치는 큰 인기를 얻었다. 이로 인해 '승합차'를 지칭하는 '봉고차'라는 용어가 기아 봉고에서 유래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Four models of the Kia brand in the Batna plant
http://www.eco-alger[...]
Eco-Algeria
2017-04-13
[2]
뉴스
Buy a PH-made car, says DTI. But what's left
https://www.autoindu[...]
AutoIndustriya
2021-01-28
[3]
웹사이트
Kia Motors Taiwan
http://www.kiamotors[...]
2013-06-07
[4]
웹사이트
Kia New Frontier
http://thacotai.vn/s[...]
THACO
2019-08-26
[5]
웹사이트
Saiba mais, tudo sobre a Kia Besta de 1993 a 2005.
http://www.encontrac[...]
2015-12-22
[6]
웹사이트
Kia re-enters competitive business van class with 2019 K2500
https://www.autoindu[...]
2019-08-26
[7]
웹사이트
Kia Bongo als EV: Elektrisch werkpaardje
https://www.autoweek[...]
DPG Media
2020-02-11
[8]
뉴스
国産自動車の名の中に時代の流れがある
http://news.naver.co[...]
ノーカットニュース
2005-09-02
[9]
웹사이트
マツダ公式FAQ「車名のネーミングの由来は?」
http://mazda-faq.cus[...]
[10]
서적
ボクが韓国離れできないわけ
晩聲社
[11]
웹사이트
봉고3트럭 기아자동차 공식 웹
http://www.kia.co.kr[...]
[12]
문서
오텍재팬과 무관한 회사
[13]
웹사이트
봉고승합차 26년만에 단종 자동차신문 웹
http://www.autodaily[...]
[14]
뉴스
서민 손절?…기아 '봉고3 LPG' 생산 중단
http://www.newstomat[...]
뉴스토마토
[15]
뉴스
“현대차 고맙다” 전기차 시대 ‘포터 LPG’는 왜 20년 만에 등장할까요?
https://n.news.naver[...]
헤럴드경제
[16]
웹인용
기아, ‘The 2025 봉고 Ⅲ’ 출시… 연식 변경 모델
https://www.etoday.c[...]
2024-07-16
[17]
웹인용
기아, ‘더 2025 봉고 Ⅲ’ 출시
https://www.edaily.c[...]
2024-07-16
[18]
웹사이트
기아차, 봉고3 EV 출시…포터2 EV보다 살짝 저렴
https://www.motorgra[...]
motorgraph
[19]
뉴스
기아, 봉고 III EV 특장차 판매 시작
https://news.naver.c[...]
조선비즈
[20]
뉴스인용
기아, PBV 접목한 ‘소형 전기트럭’ 출시…실적 ‘고공행진’ 주역 될까
https://www.asiatoda[...]
아시아투데이
2022-07-04
[21]
뉴스인용
기아, '봉고 III EV 냉동탑차' 출시
http://www.m-i.kr/ne[...]
매일일보
2022-07-04
[22]
뉴스
국산 자동차 이름 속에 시대흐름이 있다
http://news.naver.co[...]
노컷뉴스
2005-09-02
[23]
뉴스
밀물 썰물 - 봉고 대통령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09-06-10
[24]
문서
1종 보통 시험용 차량
[25]
웹사이트
봉고3
http://www.kia.co.kr[...]
[26]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s://www.kia.com/[...]
기아자동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