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수하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수하강은 신체 하강과 현수하강기를 사용하여 절벽이나 높은 곳에서 안전하게 내려오는 기술로, 1876년 프랑스 등산가 장 샤를레-스트라통이 알프스 산맥의 드뤼 봉에서 처음 사용했다. 등반, 레크리에이션, 캐니언링, 구조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로프, 하네스, 하강기, 카라비너, 헬멧 등 안전 장비를 갖추어 사용한다. 더블 로프, 오스트레일리안 레펠, 시뮬-하강 등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며, 안전을 위해 적절한 장비 사용과 숙련된 기술이 요구된다. 현수하강은 환경 피해, 등반가와의 충돌, 지상 위험 초래 등의 이유로 금지되거나 권장되지 않는 지역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수전 - 공중강습
    공중강습은 헬리콥터 등을 이용하여 전투 병력을 적진에 투입하는 군사 작전으로, 전투 병력 투입과 더불어 근접 항공 지원, 의무 후송, 보급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1930년대부터 발전하여 한국 전쟁, 알제리 전쟁, 베트남 전쟁 등을 거치며 전술과 기술이 발전해왔다.
  • 공수전 - 낙하산병
    낙하산병은 항공기에서 낙하산을 이용하여 적진에 투입되는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대규모로 운용되기 시작하여 전략 목표 장악에 활용되었고, 현대에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각국의 국방 방침에 따라 다양하게 운용된다.
  • 등반 - 볼더링
    볼더링은 맨손과 암벽화만을 사용하여 낮은 높이의 암벽을 오르는 스포츠이며, 19세기 후반 훈련 형태로 시작되어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발전했고, V 스케일 등의 등급으로 난이도를 평가하며, 클라이밍 슈즈와 크래시 패드 등의 장비를 사용한다.
  • 등반 - 빙벽 등반
    빙벽 등반은 얼음 지형을 오르는 스포츠로, 아이스 액스와 아이스 툴의 발명으로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WI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고, 국제등반연맹(UIAA)이 주관하는 대회가 열린다.
현수하강
개요
하강하는 사람
하강하는 사람
유형등반
탐험
장비로프
하네스
하강기
헬멧
관련 활동캐니어닝
동굴 탐험
구조 작업
군사 작전
설명
정의로프를 사용하여 제어된 방식으로 수직 지형을 내려오는 기술
기술로프에 하강기를 연결하고, 로프를 통해 제어된 마찰력을 가하여 천천히 하강
응용등반 중 하강
등반 경로 이탈 시 탈출
캐니어닝, 동굴 탐험 등
구조 작업 시 접근
군사 작전 시 신속한 이동
장비
로프하강을 위한 주된 장비
하네스로프와 하강기를 연결하고 신체를 지지하는 장비
하강기로프에 마찰력을 가하여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장비
헬멧낙하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장비
기타장갑: 손을 보호
보조 로프: 자기 확보 및 비상 상황 대비
슬링: 앵커 연결
기술
일반적인 방법로프를 앵커에 연결
하네스에 하강기 연결
로프를 하강기에 통과
로프를 잡고 마찰력을 조절하며 하강
다양한 기술더치 랩: 로프를 다리에 감아 마찰력 증가
안전
위험 요소장비 결함
부적절한 앵커 설치
로프 손상
낙하물
통신 오류
안전 수칙장비 점검 철저
앵커 견고성 확인
로프 상태 확인
헬멧 착용 필수
하강 전 파트너와 통신
비상 상황 대비
기타
관련 용어앵커
하강기
하네스
로프
확보

2. 역사

현수하강은 신체 하강과 하강기를 모두 사용하여 수세기 동안 존재해 왔으며, 신체 하강은 1400년대 후반에 언급되었고,[8] 하강기는 1600년대 초에 설명되었다.[9]

현수하강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인 '라펠'(rappel프랑스어)의 기원은 산악 저술가 로저 프리송-로슈(Roger Frison-Roche프랑스어)가 1944년경 처음 사용한 것으로 여겨진다.[10] 프리송-로슈는 이 기술이 샤모니의 가이드였던 장 샤를레-스트라통(Jean Charlet-Straton, 1840~1925)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당시 '라펠'이라는 용어는 회수 가능한 두 줄 로프 사용법을 가리켰으며, 반드시 오늘날의 현수하강 기술을 의미하지는 않았다.[11] 프리송-로슈는 두 줄 로프 기술을 사용했을 수 있으나, 샤를레-스트라통이 고안한 현수하강 기술을 사용한 것은 아니었다.[8] 1700년대 후반이나 에드워드 윔퍼(Edward Whymper)가 1860년경 설명한 두 줄 로프 사용법 역시 있었지만, 이들 모두 현대적 의미의 현수하강과는 거리가 있었다.[12]

샤를레-스트라통은 1876년 프티 드뤼 단독 등반 시도 중 '라펠'이라 불리는 두 줄 로프 기술을 사용했으나 실패했다. 그가 사용한 하강 기술은 일반적으로 현수하강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졌으나 부상 위험이 지적된 방식이었다.[8] 그는 여러 차례 시도 끝에 1879년, 다른 두 명의 샤모니 가이드(프로스페 페이요, 프레데릭 폴리게)와 함께 프티 드뤼 등정에 성공했으며,[13] 이 등반에서도 동료들의 도움을 받아 유사한 기술을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현대적인 현수하강은 1876년 7월 13일 장 샤를레-스트라통이 알프스 산맥의 프티 드뤼에서 하강할 때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2][23]

초기에는 제동 기능을 갖춘 현수하강기가 없었기 때문에, 등반가 한스 뒬퍼(Hans Dülfer)가 고안한 '뒬퍼지츠'(Dülfersitzde, S-라펠이라고도 함)처럼 로프를 몸에 직접 감아 마찰력을 이용해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 방식은 '스위스 라펠'(rappel suisse프랑스어), '남아프리카 압자일'(South African Abseil영어) 등으로 발전했으며, 장비가 없거나 비상시에 오늘날에도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몸과의 마찰로 인한 찰과상이나 옷 손상이 심각했기 때문에, 1960년대 이후로는 현수하강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다양한 현수하강기

3. 용어

'''도구'''


  • 등반 로프: 등반이나 하강 시 사용하는 밧줄. '자일'이라고도 부른다.
  • 하네스: 추락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허리와 허벅지를 감싸는 장비이다. 소방 등에서는 로프를 몸에 감는 '좌석 묶기'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전용 하네스를 사용한다. 하네스에 연결하는 카라비너는 반드시 잠금 기능(안전환)이 있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몸에 로프를 직접 감는 '목 감기'나 '어깨 감기' 방식은 마찰로 인한 찰과상 등 신체에 부담이 커 비상시에만 사용되며, 소방에서도 훈련은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하네스를 사용한다.
  • 장갑: 로프와의 마찰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며, 가죽 재질이 주로 사용된다.
  • 카라비너: 로프와 장비, 확보물 등을 연결하는 금속 고리이다. 잠금 기능이 있는 것이 안전하다.
  • 현수하강기: 로프와의 마찰을 이용하여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장비이다. '디센더'(descender영어)라고도 한다.
  • 확보 장치(빌레이 장치): 등반자의 추락을 막거나 하강을 보조하는 장비이다.
  • 초크: 손의 땀을 흡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가루이다.
  • 폐기된 로프: 암벽 등에 버려진 오래된 로프를 의미하며('잔치'라고도 불렸음),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아 사용해서는 안 된다.
  • 크래시 패드(crash pad영어): 주로 볼더링이나 인공암벽 등반 시 추락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바닥에 까는 매트이다.


'''기술'''

  • 더블 로프: 두 가닥의 로프를 사용하는 등반 및 하강 기술이다.
  • 로프 접근 기술: 로프를 이용하여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로 이동하는 기술이다.
  • 싱글 로프 테크닉: 한 가닥의 로프를 사용하는 등반 및 하강 기술이다.
  • 아발라코프: 빙벽 등반 시 확보 지점을 만들기 위해 얼음에 고리 모양으로 구멍을 뚫어 로프나 슬링을 통과시키는 기술이다.

4. 장비

안전한 현수하강을 위해서는 로프와의 마찰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강자는 로프를 몸에 직접 감는 기초적인 방법(예: 뷜퍼지츠)부터 8자 하강기나 랙과 같은 전문 하강기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기술과 장비를 활용한다. 어떤 장비와 기술을 사용할지는 하강 속도, 안전 확보 수준, 장비 무게, 그리고 처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숙련된 판단 하에 결정된다. 구체적인 장비의 종류와 사용법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4. 1. 필수 장비

안전한 현수하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문 장비들이 필요하다.

  • 로프: 하강의 기본이 되는 줄이다. 하중을 받아도 잘 늘어나지 않는 스터틱 로프가 이상적이지만, 등반 중 하강할 때는 등반에 사용했던 다이내믹 로프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하네스: 하강기를 몸에 고정하는 장비이다. 보통 허리와 허벅지를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추락 시 충격을 분산하고 현수 외상을 방지하기 위해 몸에 잘 맞는 것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네스와 다른 장비를 연결할 때는 반드시 안전 잠금 기능이 있는 카라비너를 사용해야 한다. 소방관 등 특수한 상황에서는 로프를 몸에 직접 감아 임시 하네스를 만드는 '좌석 묶기' 같은 기술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현수하강에서는 안전 규격에 맞는 하네스를 사용한다.
  • 하강기: 로프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descender|디센더영어라고도 불리며, 8자 하강기, 튜브형 하강기, 랙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상황과 로프 종류에 맞는 하강기를 선택해야 하며, 숙련자는 마찰 매듭을 이용해 하강하기도 한다.
  • 카라비너: 로프와 각종 장비(하네스, 하강기, 확보물 등)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금속 고리이다. 안전과 직결되는 장비이므로, 반드시 안전 잠금 기능이 있는 카라비너를 사용해야 하며, 특히 하네스와 하강기를 연결하는 메인 카라비너에는 필수적이다.
  • 안전 백업: 하강 중 손을 놓치거나 하강기 조작에 문제가 생겼을 때 추락을 막아주는 보조 안전 시스템이다. 주로 로프에 프루지크 매듭, 클렘하이스트 매듭, 오토블록 매듭과 같은 마찰 매듭을 만들어 하네스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 헬멧: 낙석이나 추락 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등반용 헬멧은 충격 흡수 기능과 통기성을 갖추고 있다.
  • 장갑: 하강 시 로프와의 마찰로 인해 손이 뜨거워지거나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내구성이 좋은 가죽 장갑이 주로 사용된다. 다만, 장갑이 하강기에 끼어 예상치 못한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14]
  • 등산화 또는 암벽화: 발을 보호하고 바위와의 마찰력을 높여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 보호대: 무릎 보호대나 팔꿈치 보호대는 하강 중 바위나 구조물에 부딪혔을 때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확보물 관련 장비: 하강을 시작할 지점(확보물)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장비이다. 튼튼한 나무나 바위 지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슬링(웨빙이나 코르델레트(가는 보조 로프)로 만든 고리), 캠, 너트 등 암벽 등반 장비를 설치하여 인공적인 확보물을 만들기도 한다. 일부 등반 루트에는 볼트나 피톤 같은 고정 확보물이 미리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현장에 남아있는 오래된 로프나 슬링(소위 '잔치')은 상태를 신뢰할 수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 기타: 손의 땀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초크, 등반 파트너 확보에 주로 쓰이지만 하강 시스템에도 활용될 수 있는 빌레이 장치, 인공암벽 등반이나 볼더링에서 추락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바닥에 까는 크래시 패드 등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4. 2. 추가 장비


  • 로프: 스터틱 로프가 이상적이지만, 다이내믹 로프도 자주 사용된다.
  • 확보물: 나무, 바위, 얼음 또는 암벽 구조물에 웨빙/코르델레 또는 암벽 등반 장비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일부 지역에는 볼트나 피톤과 같은 고정 확보물이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 하강기 (디센더, descender|디센더eng): 로프에 마찰을 발생시켜 하강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다양한 형태의 마찰 장치나 마찰 매듭이 사용된다.
  • 안전벨트 (하네스): 하강기를 몸에 고정하는 장비로, 허리형 또는 전신형이 있다. 현수 외상을 예방하기 위해 몸에 잘 맞는 것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충격 흡수를 위해 허벅지 부분까지 감싸는 형태를 주로 사용한다. 소방 등에서는 로프를 몸에 직접 감는 '좌석 묶기'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 안전 백업: 하강 중 제어력을 잃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프루지크 매듭, 클렘하이스트 매듭, 또는 오토블록 매듭과 같은 마찰 매듭을 로프에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한다.
  • 헬멧: 낙석이나 추락 시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한다.
  • 장갑: 하강 시 로프와의 마찰이나 바위와의 충돌로부터 손을 보호한다. 손에 강한 마찰이 생기므로, 가죽 소재가 마찰에 강해 선호된다. 다만, 장갑이 하강기에 끼이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4]
  • 등산화 또는 암벽화: 암벽과의 마찰력을 높여 안정적인 자세 유지에 도움을 준다.
  • 무릎 보호대 및 팔꿈치 보호대: 하강 중 바위 등에 부딪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한다.
  • 카라비너: 로프와 장비, 확보물 등을 연결하는 금속 고리. 안전벨트(하네스)와 하강기를 연결할 때는 반드시 잠금 기능(안전환)이 있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 빌레이 장치: 등반 파트너를 확보(빌레이)할 때 사용하는 장비이지만, 일부 모델은 하강기로도 사용 가능하다.
  • 초크: 손의 땀을 흡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탄산 마그네슘 가루.
  • 잔치: 이전에 다른 등반가들이 설치하고 남겨둔 로프나 확보물. 오래된 것은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크래시 패드 (crash pad|크래시 패드eng): 주로 볼더링이나 인공암벽 등반 시 추락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바닥에 설치하는 매트. 일반적인 현수하강 상황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주의: 하강기나 안전벨트(하네스) 없이 로프를 직접 몸에 감아 마찰을 이용하는 방식("목 감기", "어깨 감기" 등)도 존재하지만, 이는 마찰로 인한 심각한 찰과상 등 신체에 큰 부담을 주므로 응급 상황 외에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된다. 소방 구조대에서도 이러한 기술을 훈련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반드시 안전벨트(하네스)와 하강기를 사용한다.

5. 기술 및 방식

현수하강은 등반, 등산, 동굴 탐험, 협곡 등반, 수색 및 구조 활동, 그리고 로프 접근 기술자들이 보호 장비 없이 내려가기 어려운 가파른 절벽이나 경사면을 내려갈 때 사용하는 기술이다. 많은 등반가들은 기존 확보물의 손상을 막기 위해 이 기술을 활용하기도 하며, 로프 접근 기술자들은 산업 현장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높은 곳에 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한다.[1]

안전한 하강을 위해서는 로프와의 마찰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기술이 사용된다. 뒬퍼시츠처럼 로프를 몸에 직접 감아 마찰을 이용하는 고전적인 방법부터, 랙이나 8자 하강기와 같은 특수 제작된 하강 장비를 사용하는 현대적인 방법까지 다양하다. 숙련된 하강자는 속도, 안전성, 장비 무게 및 기타 상황 요인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기술을 선택한다.

일본의 건물에서 현수 하강 시범


구조용(귀 달린 형태) 8자 하강기와 로프


이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미국에서는 주로 "래펠링(rappelli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2][3] 영국에서는 "앱세일링(abseiling)"이 더 일반적으로 쓰인다.[4][5][6]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등에서는 두 용어가 혼용되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영어 서적에서는 "래펠링"이라는 표현이 더 자주 등장하는 경향이 있다.[7]

기본적인 하강 방식 외에도 특수한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변형 기술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각각의 장단점과 적합한 사용 환경이 있으며, 안전을 위해 정확한 지식과 숙련이 요구된다.

5. 1. 일반적인 기술



이 기술은 등반, 등산, 동굴 탐험, 협곡 등반, 수색 및 구조 활동, 그리고 로프 접근 기술자들이 보호 장비 없이는 내려가기 어려운 가파른 절벽이나 경사면을 내려갈 때 사용된다. 많은 등반가들은 기존의 확보물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 기술을 사용하기도 한다. 로프 접근 기술자들은 유지 보수, 건설, 검사, 용접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높은 곳에 도달하는 방법으로 현수하강을 활용한다.[1]

안전하게 내려가기 위해 현수 하강자는 로프와의 마찰을 편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기술은 뒬퍼시츠처럼 로프를 몸에 감는 방식부터, 랙이나 8자 하강기와 같은 특수 제작된 장비를 사용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클라이밍 로프에 설치된 하강기를 사용하여 로프와 하강기 사이의 마찰을 조절하면서 뒷걸음질 치듯 내려가는 방식으로 하강한다. 오버행이 있는 암벽이나 헬리콥터에서의 강하 등에서는 로프를 잡고 한 번에 미끄러져 내려가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숙련되지 않은 사람에게는 매우 위험하다. 숙련된 사람들은 속도, 안전성, 장비 무게 및 기타 상황적 요인을 고려하여 적절한 기술을 선택한다.

미국에서는 "래펠링(rappelling)"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된다.[2][3] 영국에서는 두 용어 모두 통용되지만,[4] "앱세일링(abseiling)"이 더 일반적으로 쓰인다.[5][6]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에서는 두 용어가 혼용된다. 전 세계적으로 영어로 쓰인 책에서는 "래펠링"이라는 용어가 "앱세일링"보다 더 자주 등장한다.[7]

오스트레일리안 레펠 - 노르웨이의 댐에서 시연


다양한 상황과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현수하강 기술이 사용된다.

기술 이름설명
오스트레일리안 레펠 | 주로 군대에서 사용된다. 하강자가 앞을 향한 (아래를 향한) 자세로 내려가므로 진행 방향을 직접 볼 수 있다.
암벽 등반에서 사용된다. 두 명의 등반가가 같은 확보 장비를 이용하여 함께 하강하는 방식이다. 등반가 중 한 명이 부상 등으로 움직일 수 없거나 신속하게 하강해야 하는 구조 상황에서 유용하다. 일반적인 하강과 유사하게 설치하며, 움직일 수 없는 등반가는 하강기에 매달리고 주 등반가의 하네스에 의해 추가로 확보된다.[15]
등반 및 캐니어닝에서 사용된다. 두 명의 등반가가 같은 길이의 로프 양 끝에서 동시에 하강하며, 서로의 무게로 균형을 맞춘다. 일반적으로 일반 하강보다 안전성이 낮다고 여겨지지만, 비상 상황이나 앵커 지점이 마땅치 않은 침봉(pinnacle)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블랙힐스의 니들스와 같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16]
등반에서 사용되는 구조 기술이다. 주로 선등자가 부상당한 후등자(세컨드)에게 접근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등자는 로프의 한 가닥으로 하강하고, 다른 가닥에 매달린 후등자의 무게를 카운터밸런스로 이용한다.
주로 가이드가 사용하는 안전 기술이다. 경험이 부족한 하강자와 함께 내려갈 때 사용된다. 하강할 길이의 약 두 배 길이 로프를 문터 히치와 뮬 매듭을 결합한 문터 뮬 히치로 앵커에 고정한다. 고객(클라이언트)은 분리된 로프 한 가닥으로 하강한다. 만약 고객이 중간에 멈추거나 문제가 생기면, 가이드는 다른 쪽 로프 가닥을 풀어 뮬 매듭을 해제하고 문터 히치를 확보 장치처럼 사용하여 고객을 안전하게 지면으로 내릴 수 있다. 이는 고객이 당황하거나 옷, 머리카락 등이 하강기에 엉켰을 때 유용하다.
뒬퍼시츠와 같이 비상시에 사용되는 기술이다. 현대적인 하강 장비가 없을 때 로프를 몸에 직접 감아 마찰을 발생시켜 하강하는 방식이다. 기계 장치를 사용하는 현대적인 방법에 비해 위험성이 높으므로 다른 대안이 없을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 하네스와 하강 장비가 개발되기 이전에 사용되던 방식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식 고전 하강 | 비상시에 사용되는 고전적인 하강 방식의 한 종류이다. 이 기술은 하강 중에도 한 손을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안전 확보(백업) 방법 중 하나이다. 하강하는 사람의 파트너가 지상에서 로프 끝을 잡고 있는다. 만약 하강자가 추락하기 시작하면, 아래에 있는 파트너가 로프를 세게 잡아당겨 마찰력을 증가시켜 하강을 멈추게 할 수 있다.[17]


5. 2. 특수 기술


  • 오스트레일리안 레펠 (Australian rappel): 주로 군대에서 사용하는 기술이다. 하강자가 아래를 향해 내려가기 때문에 진행 방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 탠덤 또는 스파이더 하강: 암벽 등반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두 명의 등반가가 같은 확보 장비를 이용하여 함께 하강한다. 등반가 중 한 명이 부상 등으로 움직일 수 없거나 신속하게 하강해야 하는 구조 상황에서 유용하다. 일반적인 하강과 유사하게 설치하며, 움직일 수 없는 등반가는 하강기에 매달리고 주 등반가의 하네스에 의해 추가적으로 확보된다.[15]
  • ''시뮬-하강'' 또는 ''동시 하강'': 등반 및 캐니어닝에서 사용된다. 두 명의 등반가가 같은 길이의 로프 양 끝에서 동시에 하강하며, 서로의 무게를 이용해 균형을 맞춘다. 일반적으로 이 기술은 일반 하강보다 안전성이 낮다고 여겨지지만, 비상 상황이나 확보 지점을 만들기 어려운 핀 또는 첨탑의 반대편에서 하강해야 할 때 유용하다. 미국 사우스다코타주의 블랙힐스에 있는 니들스와 같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16]
  • 카운터밸런스 하강: 등반에서 사용되는 구조 기술이다. 주로 선등자가 부상당한 후등자(세컨드)에게 접근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등자는 로프 한 가닥으로 하강하며, 다른 가닥에 매달린 후등자의 무게를 이용해 균형을 맞춘다.
  • 해제 가능한 하강: 주로 가이드가 사용하는 안전 기술이다. 경험이 부족한 하강자와 함께 내려갈 때 유용하다. 하강할 길이의 약 두 배 길이 로프를 문터 뮬 히치를 이용해 확보 지점에 고정한다. 고객(하강자)은 분리된 로프 한 가닥으로 하강한다. 만약 고객이 중간에 멈추거나 문제가 생기면, 가이드는 다른 로프 가닥을 풀어 확보 장치로 전환하여 고객을 안전하게 지면으로 내릴 수 있다. 이는 고객이 당황하거나 옷, 머리카락 등이 하강기에 엉켰을 때 유용하다.
  • 고전적 (비기계적 방법): 뒬퍼지츠와 같은 기술이 해당된다. 주로 비상 상황에서 사용된다. 현대적인 하강 장비 없이 로프를 몸에 감아 마찰력을 이용해 하강하는 방식으로, 하네스나 전문 하강기가 개발되기 이전에 사용되었다. 현대적인 방법에 비해 위험성이 높으므로 다른 대안이 없을 때만 사용해야 한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식 고전 하강 (이중 로프): 비상시에 사용되는 고전적인 하강 방식의 한 종류이다. 사용자가 한 손을 비교적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소방관 비레이: 안전 확보를 위한 백업 기술이다. 하강자의 파트너가 아래 지면에서 로프 끝을 잡고 있는다. 만약 하강자가 추락하기 시작하면, 아래에 있는 파트너가 로프를 당겨 마찰력을 증가시켜 하강을 멈추게 할 수 있다.[17]

6. 안전

현수하강은 위험할 수 있으며, 특히 감독을 받지 않거나 경험이 없는 현수하강자에게는 더욱 위험하다. 독일 산악인 피트 슈버트에 따르면, 등반 사망자의 약 25%가 현수하강 중에 발생하며, 가장 흔한 원인은 확보물(앵커) 고장이다.[18] 미국 알파인 클럽의 사고 보고서 분석에 따르면, 부적절한 안전 확보(백업)와 로프 끝에서 추락하는 경우가 그 뒤를 잇는다.[19]

7. 활용 분야

2008년 이라크 훈련 중 헬기에서 하강하는 미국 공군 패러레스큐 대원


현수하강 기술은 등반, 등산, 동굴 탐험, 협곡 등반(캐니어닝), 수색 및 구조 활동, 로프 접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주로 보호 장비 없이 내려가기에는 너무 가파르거나 위험한 절벽 또는 경사면을 안전하게 내려가기 위한 목적으로 쓰인다.[1] 많은 등반가는 기존의 확보물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이 기술을 선택하기도 한다.[1] 또한 로프 접근 기술자들은 유지 보수, 건설, 검사, 용접 등 산업 현장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높은 곳에 도달하는 방법으로 현수하강을 이용한다.[1]

현수하강이 활용되는 구체적인 분야는 다음과 같다.

  • 등반: 등반 시작 지점으로 돌아가거나 새로운 루트를 개척할 때 사용된다.
  • 레크리에이션: 익스트림 스포츠나 여가 활동의 일환으로 행해진다.
  • 캐니언링: 높은 폭포나 절벽을 내려갈 때 필수적인 기술로 활용된다.
  • 등산: 하산 시 위험 구간을 통과하거나, 등반 경로 중 수직 하강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 동굴 탐험 및 동굴학: 지하의 수직 공간(피치)으로 이동해야 할 때 쓰인다.
  • 어드벤처 레이싱: 경주 코스 중 장애물 통과를 위해 활용된다.
  • 산업/상업적 활용 (로프 접근): 건물이나 교량 같은 구조물의 특정 부분에 접근하여 유지보수, 청소, 건설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 산불 진압 접근: 소방대원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산악 지형의 화재 현장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 밀폐 공간 접근: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나 맨홀처럼 좁고 깊은 공간으로 진입할 때 이용된다.
  • 구조 활동: 절벽이나 고립된 장소에서 부상자를 구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군사 작전: 특수 부대를 포함한 군인들이 헬리콥터를 이용한 공중 강습 시, 적절한 착륙 지점이 없을 때 목표 지점에 신속하게 침투하기 위한 전술적 수단으로 사용된다.

8. 환경 문제

일부 지역에서는 현수하강이 금지되거나 권장되지 않는데, 이는 환경 피해를 유발하고, 위로 이동하는 등반가들과의 충돌을 일으키며, 지상에 있는 사람들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20][21]

참조

[1]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Climbing and Mountaineering David&Charles 2008
[2] 웹사이트 11 English Words the British Know that Americans Don't https://11points.com[...] 2012-02-01
[3] 웹사이트 Google Ngram viewer: American English comparison of abseil, abseiling, rappel and rappelling https://books.google[...] 2019-02-01
[4] 웹사이트 Oxford British & World English definition of rappel https://en.oxforddic[...] 2018-02-01
[5] 웹사이트 rappel https://www.collinsd[...] Collins Dictionary 2018-02-24
[6] 웹사이트 Google Ngram viewer: comparison of British English usage of rappel, rappelling, abseil and abseiling https://books.google[...] 2019-02-01
[7] 웹사이트 Google Ngram viewer: English comparison of abseil, abseiling, rappel and rappelling https://books.google[...] 2019-02-01
[8] 웹사이트 Body abseil history https://www.cavinguk[...] 2024-01-23
[9] 웹사이트 Descender history https://www.cavinguk[...] 2024-01-23
[10] 서적 A History of Mountain Climbing Flammarion 1996
[11] 웹사이트 Abseiling history https://www.cavinguk[...] 2024-01-23
[12] 웹사이트 Pull-through history https://www.cavinguk[...] 2024-01-23
[13] 웹사이트 Jean-Esteril Charlet and Mary Isabella Straton: A Fairy Tale http://www.alpinist.[...] 2015-06-16
[14] 웹인용 A Complete List of Abseiling Equipment http://www.3dropeacc[...] 3D Rope Access 2016-05-13
[15] 웹사이트 Spider Abseiling https://studyrockcli[...]
[16] 간행물 How to Simul-Rappel http://www.climbing.[...] 2013-08-12
[17] 웹사이트 Backing Up An Abseil http://www.chockston[...] Chockstone Climbing in Australia
[18] 서적 Sicherheit und Risiko in Fels und Eis München 2009
[19] 웹사이트 Know the Ropes: Rappelling – Fundamentals to save your life http://aac-publicati[...] American Alpine Club 2018-02-24
[20] 웹사이트 Adventurous to be roped off from more of mountains http://www.smh.com.a[...] Sydney Morning Herald 2018-02-24
[21] 웹사이트 Arch Swinging Banned in Moab https://www.outsideo[...] Outside 2018-02-24
[22] 웹사이트 Jean-Esteril Charlet and Mary Isabella Straton: A Fairy Tale http://www.alpinist.[...] 2019-02-01
[23] 서적 Histoire de l'alpinisme Flammarion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