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형주 공방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형주 공방전은 219년 손권과 유비 세력 간에 벌어진 형주 지역을 둘러싼 일련의 전투를 의미한다. 유비는 손권에게 형주를 "빌려" 동맹을 맺었으나, 유비가 익주를 점령하는 동안 손권은 형주 남부 세 군을 요구하며 갈등이 시작되었다. 손권은 여몽과 육손의 계략으로 형주를 침공하여 관우를 사로잡아 처형했다. 이로 인해 유비는 손권에게 복수하기 위해 샤오팅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19년 중국 - 한중 전투
    한중 전투는 후한 말 조조와 유비 세력 간의 한중 지역을 차지하기 위한 군사적 충돌로, 유비가 승리하여 한중왕에 즉위하고 촉한 건국의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 219년 중국 - 번성 전투
    219년 관우가 형주군을 이끌고 위나라 번성을 포위 공격했으나, 손권의 배신과 여몽의 기습으로 패배하고 전사하며 삼국시대 판도를 바꾸는 전환점이 된 전투이다.
  • 삼국지와 관련된 한나라 전투 - 황건적의 난
    황건적의 난은 184년 장각이 이끄는 태평도가 탐관오리의 부정부패와 가혹한 세금에 저항하여 일으킨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후한 왕조의 쇠퇴를 가속화하고 군웅할거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되었으며 사회 불평등에 대한 저항이라는 점에서 현대 사회에도 의미를 가지는 역사적 사건이다.
  • 삼국지와 관련된 한나라 전투 - 양주의 난
    양주의 난은 184년 부패한 한나라에 저항하여 강족 세력이 양주에서 일으킨 반란으로, 한나라의 통치력 약화와 삼국 시대 도래의 계기가 되었다.
형주 공방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후한
시기219년 ~ 220년 2월 (추정)
장소형주, 후한
원인손권의 배신
여몽의 계략
결과손권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 대상 1유비
교전 대상 2손권
지휘관 및 지도자 (유비)
지휘관관우 (처형)
주요 인물관평 (처형)
요화 (POW)
조루 (POW)
미방 (항복)
부사인 (항복)
반준 (항복)
지휘관 및 지도자 (손권)
지휘관여몽
주요 인물육손
주연
반장
영향
여파유비의 오나라 공격의 원인
촉한의 국력 약화
관련 전투
전개번성 전투 이후 발생

2. 역사적 배경

2. 1. 손권의 형주 "대여"

210년, 유비손권을 만나 형주의 지배권을 요청하기 위해 형(京; 현재의 장쑤성 전장시)으로 갔다. 노숙은 손권에게 손-유 동맹이 공통의 적 조조에 대항하도록 남형군(南郡; 현재의 후베이성 징저우시 부근)을 유비에게 "빌려주어" 형주의 남부 행정 중심지를 강화하라고 조언했다.[1] 그는 손권의 군대가 강릉 전투 이후 남형군을 점령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조조의 군대가 공격할 경우 방어할 수 없을 것이므로, 유비에게 "빌려주어" 조조에 대한 "완충지대"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했다. 손권은 이후 남형군을 유비에게 "빌려주는" 것에 동의했다. 손권은 또한 자신의 여동생 손부인을 유비와 결혼시켜 두 왕국 간의 동맹을 더욱 강화하기로 결정했다.[2]

2. 2. 손-유 영토 분쟁

212년부터 214년까지, 유비가 익주(오늘날의 쓰촨성과 충칭시)를 점령하는 동안, 형주에서 손권과 유비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3] 215년 7월경, 손권은 유비에게 형주 남부의 장사, 영릉, 계양 세 군을 "반환"해 줄 것을 요청했다.[3] 유비가 거절하자, 손권은 무력으로 세 군을 점령하기로 결정했다. 여몽은 계략으로 영릉을 점령하고 장사와 계양의 관리들을 설득하여 항복시켰다.[3]

이 소식을 들은 유비는 공안현으로 돌아와 관우에게 군대를 이끌고 여몽을 막도록 명령했다.[3] 감녕은 1,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여울을 지켰고, 관우는 감히 여울을 건너지 못하고 대신 야영지를 지었다. 그리하여 여울은 '관우의 여울'(關羽瀨)로 불리게 되었다.[4]

노숙과 관우는 회담을 열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5] 215년 8월 말, 조조한중 한중군을 공격하자 유비는 양보하기로 결정했다.[3] 한중은 익주로 들어가는 "북쪽 관문"이었으므로, 조조가 한중을 정복하면 유비의 익주 기지에 더 큰 위협이 될 것이었다. 유비와 손권은 남형주를 상강을 따라 분할하기로 합의한 후 군대를 철수했다.[3]

2. 3. 번성 전투

219년 8월, 유비가 한중 공방전에서 조조에게 승리한 후, 관우조인이 지키고 있던 조조의 요새 번성(현재의 샹양 후베이)을 공격했다.[6] 당시 폭우로 한수가 범람하여 우금이 이끌던 증원군은 파괴되었다. 우금은 관우에게 항복했지만, 방덕은 항복을 거부하고 처형되었다.[6]

우금이 패배하자 조조는 수도를 허에서 허베이 북쪽으로 옮기는 것을 고려했으나, 사마의장제손권과의 동맹을 통해 관우를 견제하도록 조언했다. 조조는 이들의 조언을 따랐고,[7] 서황에게 증원군을 이끌고 조인을 돕게 했다. 서황은 관우의 포위를 뚫고 번성의 포위를 풀었다.[8] 관우는 번성을 함락할 수 없음을 알고 군대를 철수시켰다.[9]

2. 4. 손권에 대한 관우의 경멸

손권은 사자를 보내 관우에게 자신의 아들과 관우의 딸의 혼인을 제안했다. 그러나 관우는 혼인 제안을 거절하고 사자를 꾸짖고 모욕하여 손권을 분노하게 했다.[10]

번성 전투에서 우금이 항복한 후, 관우는 군량 보급에 어려움을 겪자 손권의 상관(湘關)에 있는 양곡 창고의 곡식을 탈취했다.[11]

3. 여몽과 육손의 계략

여몽은 관우가 번성을 공격할 때 많은 예비 병력을 남겨둔 것을 알고, 병을 핑계로 건예로 돌아가겠다고 요청했다.[12][13] 손권은 이를 승인하는 척하며 여몽의 계획에 동의했다.[14] 여몽은 건예로 돌아간 후, 육손을 후임으로 추천했다. 그는 육손이 당시에는 잘 알려지지 않아 관우가 경계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15]

육손은 육구에서 관우에게 아첨하는 편지를 보내 관우의 경계를 풀었다.[16] 우금이 항복한 후에도 육손은 다시 편지를 보내 관우의 업적을 칭송하며, 조조의 의도를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17] 관우는 이 계략에 넘어가 육손에 대한 경계를 풀었다.

4. 형주 침공

219년 11월, 손권은 이미 몰래 조조와 동맹을 맺어 유비를 칠 계획을 세웠다. 그는 여몽 등에게 군대를 이끌고 형주에 있는 유비의 영토를 침공하라고 명령했고, 자신은 지원군을 이끌고 뒤따랐다. 순양(현재의 후베이성 황매현)에서 여몽은 부하들에게 민간인과 상인의 배로 위장한 배에 숨어 남군의 수도인 강릉으로 향하도록 명령했다. 여몽은 침투 전술을 사용하여 강을 따라 설치된 감시탑을 무력화시켜 관우가 침공을 알아차리지 못하게 했다.[18] 이 사건은 14세기 역사 소설인 ''삼국지연의''에서 "백의도강"(白衣渡江)이라고 불린다.[19]

4. 1. 미방과 사신의 항복

관우번성 전투를 시작했을 때, 그는 형주의 주요 거점인 남군(오늘날의 징저우, 후베이)과 공안을 지키도록 부하인 미방사신을 남겨두었다. 관우는 평소 미방과 사신을 얕잡아 보았는데, 번성 전투 중에 미방과 사신이 최전선에 있는 관우의 군대에 충분한 물자를 공급하지 못하자, "내가 돌아가면 그들을 처리하겠다"라고 말했고, 미방과 사신은 매우 불안감을 느꼈다.[20]

형주 침공 동안, 여몽은 미방을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를 설득하여 남군을 항복시키는 데 성공했다. 유엽은 또한 사신을 설득하여 저항을 포기하고 공안을 항복하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미방과 사신의 항복 이후, 유비의 형주 영토는 대부분 손권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21]

4. 2. 관우의 생포와 처형

관우는 번성에서 철수할 무렵, 손권의 군대가 남군과 공안현을 점령하고 관우 군대의 가족들을 포로로 잡았다는 소식을 들었다. 여몽은 부하들에게 민간인을 잘 대우하고 해를 입히지 않도록 명령했고, 이로 인해 관우의 병사들 대부분은 싸울 의지를 잃고 이탈하여 형주로 돌아가 가족과 재회했다.[22]

고립된 것을 안 관우는 맥성(현재의 후베이성 당양시 양하진 맥성촌)으로 물러났고, 이후 서쪽 장향으로 향했다. 그러나 장향에서 남은 병사들마저 그를 버리고 손권의 군대에 항복했다. 손권은 주연반장을 보내 관우가 서쪽 익주로 후퇴하는 것을 막았다. 관우는 아들 관평, 부하 조루(趙累)와 함께 반장의 부관 마충에게 매복당해 생포되었다. 관우와 관평은 이후 린쥐(현재의 후베이성 난장현)에서 손권의 군대에 의해 처형되었다.[23][24][25]

5. 결과

5. 1. 육손의 형주 남부 안정화

육손은 이이와 사정에게 병사 3,000명을 이끌고 참언과 진봉이 이끄는 유비의 세력을 공격하도록 지시했다. 이이와 사정은 참언과 진봉을 격파한 후, 각각 방릉군과 남향현을 공격하여 이 지역들을 점령했다.[26] 자귀현의 유력 인사였던 문포와 등개는 수천 명의 현지인들을 규합하여 군대를 조직했으나, 육손에게 패배하고 익주로 달아났다. 이후 육손은 문포를 설득하여 그의 병사들을 이끌고 손권에게 귀순하게 했다.[27]

5. 2. 샤오팅 전투

221년, 유비는 형주를 되찾고 관우의 복수를 위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손권을 공격했다. 이로 인해 221년부터 222년까지 샤오팅 전투가 벌어졌고, 결국 육손의 지휘를 받은 손권의 군대가 유비의 군대를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6. 전투 참여 인물

;손권 군


  • 호위장군(虎威將軍) '''여몽'''
  • 편장군(偏將軍) '''육손'''
  • 이이(李異)
  • 사정(謝旌)
  • 편장군(偏將軍) '''주연'''
  • 편장군(偏將軍) '''반장'''
  • 사마(司馬) '''마충'''(馬忠)
  • 충의교위(忠義校尉) '''사의'''
  • 중사마(中司馬) '''제갈근'''


;유비 군

  • 전장군(前將軍) '''관우'''
  • '''관평'''
  • 포로 도독(都督) '''조루'''(趙累)
  • |14px|항복 (군사)]] 치중종사(治中從事) '''반준'''
  • 포로 '''요화'''
  • 남군태수(南郡太守) '''미방'''
  • '''사임'''
  • 무릉부종사(武陵部從事) '''번주'''(樊伷)
  • 전사 의도군수(宜都郡守) '''번우'''(樊友)
  • '''점안'''(詹晏)
  • 포로 '''진봉'''(陳鳳)
  • 방릉태수(房陵太守) '''등보'''(鄧輔)
  • 남향태수(南鄉太守) '''곽목'''(郭睦)
  • '''문포'''(文布)
  • '''등개'''(鄧凱)

6. 1. 손권군

여몽은 호위장군(虎威將軍)으로, 육손은 편장군(偏將軍)으로 참전했다. 이이(李異)와 사정(謝旌)도 참전하였다. 주연과 반장은 편장군(偏將軍)으로 참전했다. 반장의 사마(司馬) 마충도 참전했다. 충의교위(忠義校尉) 사의와 중사마(中司馬) 제갈근도 참전했다.

6. 2. 유비군

관우는 전장군(前將軍)으로 형주 공방전에 참전했다. 관평도 참전하였으나, 관우와 함께 사형당했다. 도독(都督) 조루와 요화는 포로로 잡혔다. 치중종사(治中從事) 반준, 남군태수(南郡太守) 미방, 사임, 문포는 항복했다. 무릉부종사(武陵部從事) 번주, 의도군수(宜都郡守) 번우, 점안, 진봉, 방릉태수(房陵太守) 등보, 남향태수(南鄉太守) 곽목, 등개도 참전했다. 이중 번우는 전사했다.

7. 대중문화에서의 형주 공방전

코에이의 비디오 게임 시리즈인 ''진 삼국무쌍''의 일부 작품에서 형주 공방전은 "맥성 전투"라는 이름으로 플레이 가능한 스테이지로 등장한다. 일부 작품에서는 이 전투가 번성 전투와 합쳐져 하나의 스테이지로 묘사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던 정보감녕과 같은 손권의 장수들이 이 스테이지에 등장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Han Jin Chunqiu annotation in Sanguozhi
[3] 서적 Sanguozhi
[4] 서적 Sanguozhi
[5] 서적 Sanguozhi
[6] 서적 Sanguozhi
[7] 서적 Sanguozhi
[8] 서적 Sanguozhi
[9] 서적 Sanguozhi
[10] 서적 Sanguozhi
[11] 서적 Sanguozhi
[12] 서적 Sanguozhi
[13] 서적 Sanguozhi
[14] 서적 Sanguozhi
[15] 서적 Sanguozhi
[16] 서적 Sanguozhi
[17] 서적 Sanguozhi
[18] 서적 Sanguozhi
[19] 서적 Sanguo Yanyi
[20] 서적 Sanguozhi
[21] 서적 Sanguozhi
[22] 서적 Sanguozhi
[23] 서적 Sanguozhi
[24] 서적 Sanguozhi
[25] 서적 Sanguozhi
[26] 서적 Sanguozhi
[27] 서적 Sanguoz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