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구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구포역은 수인분당선에 있는 역으로, 1937년 8월 5일 수인선 개통과 함께 논현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가 폐지되었다. 이후 2012년 6월 30일 수인선 오이도 ~ 송도 구간 재개통과 함께 호구포역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CGV 인천논현, 논현포대 근린공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남동구의 전철역 - 간석역
인천 남동구 간석동에 위치한 간석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환승역으로, 1994년 개업 후 수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 기능을 강화했으며, 주변에 여러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인천 남동구의 전철역 - 운연역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종착역인 운연역은 서창이라는 부역명을 가지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반지하역으로, 개통 초기 이용률이 저조했으나 도로 개통 및 버스 노선 확충으로 이용률이 증가했다. - 1974년 폐지된 철도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1974년 폐지된 철도역 - 오송역
오송역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고속철도 환승역이자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충북선이 연결되는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주요 정부기관이 인근에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호구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호구포역 |
한자 표기 | 虎口浦驛 |
로마자 표기 | Hogupo-yeok |
역 번호 | K263 |
주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호구포로 205 (논현동 731-1) |
노선 | 수인·분당선 |
역 종류 | 보통역 |
역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 2면 2선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KORAIL) |
연혁 | |
개업 | 1967년 6월 5일 (구 역사) |
재개업 | 2012년 6월 30일 |
폐지 | 1994년 9월 1일 (구 역사) |
사건 | 수인·분당선 개통 |
통계 | |
승차 인원 (2022년) | 3,612명 |
승강 인원 (2022년) | 7,321명 |
인접역 | |
이전 역 | K262 인천논현 |
역간 거리 | 1.3km |
다음 역 | 남동인더스파크 K264 |
영업 거리 | 청량리 기점 94.2 km |
2. 역사
1937년 8월 5일 수인선 개통과 함께 정류장 등급으로 '''논현역'''(論峴驛) 영업이 개시되었으나[6], 이후 폐지되었다. 1967년 6월 5일 임시승강장 등급으로 '''논현역''' 영업이 재개되었으나[7], 1974년 6월 1일 다시 폐지되었다.[8] 2012년 6월 30일 수인선 오이도~송도 구간 재개통과 함께 '''호구포역'''(虎口浦驛)으로 영업을 재개하였고[9], 2020년 5월 29일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라 기점 및 거리가 수정되었다.[10] 이후 2020년 9월 12일 수인분당선이 개통되며 역번호가 K263으로 변경되었다.
2. 1. 수인선 협궤철도 시절 (1937~1974)
1937년 8월 5일: 수인선이 개통되면서 '''논현역'''(정류장 등급)이 영업을 시작했다. (수원역에서 41.4 km 지점)[6]- 일자 불명: 폐지
1967년 6월 5일: '''논현역'''이 임시승강장 등급으로 다시 영업을 시작했다.[7]
1974년 6월 1일: 폐지[8]
2. 2. 수인선 복선 전철 (2012~현재)
2012년 6월 30일 : 수인선 오이도~송도 구간 재개통과 함께 '''호구포역'''(虎口浦驛)으로 영업을 재개했다.[9]2020년 5월 29일 :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라 기점 및 거리가 수정되었다.[10]
2020년 9월 12일 : 수원~오이도 구간 개통으로 분당선과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고, 수인분당선 개통으로 역번호가 K263으로 변경되었다.
3.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수인선 | 승차 | 1,468 | 2,061 | 2,578 | 2,689 | 3,245 | 3,580 | 3,602 | 3,691 | 2,782 | 3,202 | 3,612 | 3,775 | [11] |
하차 | 1,468 | 2,114 | 2,674 | 2,777 | 3,307 | 3,595 | 3,589 | 3,665 | 2,813 | 3,329 | 3,709 | 3,867 |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2년 6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5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6. 사진
7.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2019-06-14
[2]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35호
1967-06-03
[3]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4호
1974-05-22
[4]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327호
2012-06-22
[5]
웹사이트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6]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37-08-06
[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35호
1967-06-03
[8]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4호
1974-05-22
[9]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327호
2012-06-22
[1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414호
2020-05-29
[11]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