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호미곶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호미곶은 한반도 최동단에 위치한 곶으로, '호랑이 꼬리'를 의미하며, 매년 새해 첫 일출을 보기 위해 많은 방문객이 찾는 명소이다. 조선 시대 풍수지리학자 남사고는 호미곶을 한반도의 지형을 묘사하며 호랑이 꼬리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지질학적으로 신생대 고제3기의 강사리 각력암 해안단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호미곶 등대, 국립등대박물관, 상생의 손과 같은 시설과 함께 해맞이 축제, 문어 축제, 캠핑 축제 등 다양한 관광 콘텐츠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곶 - 간절곶
    간절곶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곶으로, 간짓대처럼 보이는 지형적 특징과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해맞이 명소로 알려져 해맞이공원과 축제가 있는 관광지이다.
  • 동물 이름이 붙은 지명 - 토산군
    토산군은 황해북도에 위치하며 금천군, 장풍군, 신계군, 철원군, 이천군에 접하고 임진강과 예성강의 지류가 흐르는 지역으로, 과거 금천군에 편입되었다가 1952년 재설치되었으며 김정호의 출생지로도 알려진 1읍 17리로 구성된 군이다.
  • 동해의 곶 - 간절곶
    간절곶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곶으로, 간짓대처럼 보이는 지형적 특징과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해맞이 명소로 알려져 해맞이공원과 축제가 있는 관광지이다.
  • 동해의 곶 - 소야곶
    소야곶은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에 위치한 일본 최북단 지점으로, 오호츠크해와 태평양을 잇는 소야 해협에 접해 있으며, 기념비, 입상, 기도의 탑 등 볼거리가 있는 관광 명소이자 러일 전쟁 해군 망루 및 마미야 린조 탐험 관련 역사적 장소이다.
호미곶
위치 정보
기본 정보
호미곶 등대 (새천년기념관에서 촬영)
한글호미곶
한자虎尾串
로마자 표기Homigot
지리
위치경상북도 포항시 대보면
별칭기산
역사
옛 이름
관광
주요 관광지호미곶 등대
새천년기념관
해맞이광장
국립등대박물관
행사호미곶 해맞이 축전
기타 정보
관련 링크호미곶 등대 - 한국관광공사
대구 U-TOURPIA
한국의 이벤트 - 한국관광공사
호미곶 해맞이 - 연합뉴스

2. 어원

호미곶은 조선 명종 때 풍수지리학자 남사고가 『산수비경(山水秘境)』에서 한반도는 백두산 호랑이가 앞발로 연해주를 할퀴는 형상으로 기술하였고, 백두산은 호랑이 코, 호미곶은 호랑이 꼬리에 해당한다고 설명하였다. 일명 장기곶(長鬐串), 동외곶(冬外串)이라고도 한다.

호미곶은 "호랑이 꼬리 곶"을 의미한다. 한반도의 모양이 호랑이와 자주 비교되는데, 호미곶은 호랑이 꼬리에 해당하는 곶에 위치해 있어 호미곶으로 명명되었다.

3. 지리

호미곶 해안단구는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의 지질유산으로 약 90만 년 전에 만들어졌다. 원래 파식대였던 해안단구는 지면이 점차 융기하여 현재 농경지로 이용된다. 호미곶 일대 해안에는 바위가 노출되어 있는데 이는 지질학적으로 신생대 고제3기의 강사리 각력암에 해당한다. 이 각력암은 내부에 다른 암석의 조각들을 포함하고 있다.

호미곶은 한반도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곳 중 하나이며, 매년 수천 명이 모여 새해 첫 일출을 맞이하는 장소로 사용된다. 해변에는 '상생의 손' 조형물도 자리하고 있다. 포항의 영일만 끝자락인 호미곶 해안은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곳이다. 이에 따라 고정식 연안 자망어업이 활발하며, 오징어, 꽁치 등 어족 자원이 풍부하다. 또한, 해풍이 강하여 2001년 경상북도에서 처음으로 풍력 발전기를 건설하기 위한 테스트가 진행된 곳이기도 하다.[2]

호미곶은 남쪽을 제외하고 3면이 바다로 돌출된 완만한 구릉 산지로, 해발 120~180미터 사이의 5~6개의 봉우리들이 밀집해 있다. 포항 공항, 국도 및 지방도를 연결하는 기존의 도로망뿐만 아니라 인근 구룡포 및 대보항이 확보되어 있어 추가적인 사회 기반 시설 투자 없이 풍력 발전소 건설이 용이하다.[3]

4. 지질

호미곶 해안단구는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의 지질유산으로 약 90만 년 전에 만들어졌다. 원래 파식대였던 해안단구는 지면이 점차 융기하여 현재 농경지로 이용된다. 호미곶 일대 해안에는 바위가 노출되어 있는데 이는 지질학적으로 신생대 고제3기의 강사리 각력암에 해당한다. 이 각력암은 내부에 다른 암석의 조각들을 포함하고 있다.

5. 역사

조선 명종 때 풍수지리학자 남사고는 '산수비경(山水秘境)'에서 호미곶을 호랑이 꼬리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김정호대동여지도를 제작하면서 호미곶을 일곱 번 측량하여 이곳이 한반도 최동단임을 확인했다. 호미곶은 장기곶(長鬐串)과 동을배곶(冬乙背串)으로도 불린다.[5][6] 최남선은 호미곶의 해돋이를 조선 10경 중 하나로 꼽았다.[6]

호미곶에는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가 전해진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이들 부부는 일본으로 건너가 왕이 되었고, 해와 달을 잃은 신라는 세오녀가 짠 비단을 바쳐 제사를 지냈다. 이는 탈해 이사금계가 혁거세 거서간계에게 밀려 일본으로 건너간다는 내용으로, 설화 해석에 대한 여러 설이 있다.[7]

5. 1. 조선 시대

조선 명종 때 풍수지리학자 남사고는 '산수비경(山水秘境)'에서 호미곶을 호랑이 꼬리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김정호대동여지도를 제작하면서 호미곶을 일곱 번 측량하여 이곳이 한반도 최동단임을 확인했다. 호미곶은 장기곶(長鬐串)과 동을배곶(冬乙背串)으로도 불린다.[5][6] 육당 최남선은 호미곶의 해돋이를 조선 10경 중 하나로 꼽았다.[6]

5. 2.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

호미곶에는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가 전해진다. 주인공 연오랑의 이름은 영일만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삼국유사의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에 따르면, 부부는 일본으로 건너가 왕이 되었고, 해와 달을 잃은 신라는 세오녀가 짠 비단을 바쳤다. 탈해 이사금의 일족이 혁거세 거서간의 일족에게 밀려 일본으로 건너간다는 내용으로, 설화의 해석에 대한 다양한 설이 제기되고 있다.[7]

6. 관광

해돋이 역사 여행 지구는 포항의 호미곶을 포함하여 한국의 해돋이 명소와 신라 문화를 중심으로 한 광역 테마 관광이다. 이 프로젝트는 호미곶의 해돋이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

6. 1. 해맞이 축제

호미곶 해맞이 축제는 매년 1월 1일에 열린다. 해맞이 축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거리 공연(버스킹)과 라디오 DJ존은 시민 참여를 위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한지를 꾸미고, 복을 기원하는 연을 만드는 체험 행사도 있다. 가장 유명한 행사는 새해 떡국 먹기 행사이다. 새해가 되면 1만 명분의 떡국을 끓여 대형 가마솥에 담아 함께 나눈다. 가마솥은 호미곶에 전시되어 있다.[10]

6. 2. 문어 축제

문어 축제는 매년 4월에 열린다.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주요 테마는 맨손으로 문어를 잡는 것과 문어 경매이다.[11]

6. 3. 캠핑 축제

이 축제는 최근 힐링 문화의 중심인 캠핑을 활용하여 도시의 명소와 엔터테인먼트를 홍보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포항시청에 따르면, 이 축제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정규 시즌에 앞서 행사를 보고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12] 축제 참가자들은 캠핑 요리 경연, 러시아 월드컵 경기 관람, 물총 싸움 등을 체험할 수 있었다. 약 2,000명의 관광객이 축제에 참여했다.[12]

7. 교통

포항시 영일만을 따라 위치한 호미곶은 포스코의 철강재, 제품 및 기타 잡화 등을 싣는 대형 선박의 운항과 어선들의 활동이 잦은 곳이다. 특히 호미곶 인근 해역은 항만 선박들이 빈번하게 통과하고 운항하는 구역이다.[9] 포항 공항, 국도 및 지방도를 연결하는 기존 도로망과 인근 구룡포, 대보항이 있어 사회 기반 시설 투자 없이 풍력 발전소 건설이 용이하다.[3]

8. 시설

호미곶은 한반도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곳 중 하나로, 매년 수천 명이 모여 새해 첫 일출을 맞이하는 장소이다. 해변에는 '상생의 손' 조형물이 있다. 포항 영일만한국어 끝자락인 호미곶 해안은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여 오징어, 꽁치 등 어족 자원이 풍부하며, 경상북도에서 처음으로 풍력 발전기 건설을 위한 테스트가 진행된 곳이기도 하다.[2]

호미곶은 3면이 바다로 돌출된 완만한 구릉 산지로, 해발 120~180미터 사이의 봉우리들이 밀집해 있다. 포항 공항, 국도 및 지방도를 연결하는 기존 도로망과 인근 구룡포, 대보항이 있어 풍력 발전소 건설이 용이하다.[3]

8. 1. 호미곶 등대

호미곶 등대


'''호미곶 등대'''(호미곶등대한국어)는 대한민국 포항시에 있는 현존하는 등대이다. 높이는 26.4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등대이다.[13] 1900년대에 건설되었으며,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벽돌만으로 지어졌다. 뒤통수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하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를 넓게, 위로 갈수록 좁게 만들었다.

8. 2. 국립등대박물관

국립등대박물관은 호미곶 등대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국의 모든 등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박물관은 5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 정보 검색 구역: 유물 및 전시 정보를 정보 검색을 통해 소개한다.
  • 항로 표지 역사관: 한국 및 세계 항로 표지 역사를 소개한다.
  • 항로 표지 유물관: 시각, 음향, 전파 항로 표지를 전시한다.
  • 등대지기실: 등대지기의 과거와 현재의 삶을 보여주는 미니어처 및 유물을 전시한다.
  • 등대 자료실: 등대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문서를 전시한다.

8. 3. 상생의 손

'''상생의 손'''은 영남대학교 김승국 교수가 제작하여 1999년 12월 포항시 호미곶에 설치된 조형물이다. 새천년을 맞아 모든 국민이 서로를 도우며 살자는 뜻에서 만들어졌다.[14] 상생의 손은 바다에는 오른손이, 육지인 해맞이 광장에는 왼손이 설치되어 있다.

9. 갤러리

새천년기념관






호미곶의 지진해일 대피 표지판

참조

[1] 웹사이트 Homigot Lighthouse http://english.visit[...] visitkorea 2015-07-30
[2] 웹사이트 소개의글 > 마을안내 > 호미곶알림곶 > 경북포항 호미곶마을 http://homigot.invil[...] 2018-04-13
[3] 논문 풍력발전 단지조성을 위한 바람환경 분석 http://www.dbpia.co.[...] 한국대기환경학회 /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3-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있으므로 01-01로 설정
[4] 논문 풍력발전 단지조성을 위한 바람환경 분석 http://www.dbpia.co.[...] 한국대기환경학회 /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3-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있으므로 01-01로 설정
[5] 웹사이트 호미곶(虎尾串) http://encykorea.aks[...] 2018-04-20
[6] 뉴스 [도시를 읽다](21) 경북 포항 - 굽이굽이 호미곶 둘레길, 걷다보면 절경에 ‘탄성’…여기 철강도시 맞나요? http://news.khan.co.[...] 2018-05-27
[7] 뉴스 연오랑과 세오녀의 고향, 포항 http://www.asiae.co.[...] 2017-11-18
[8] 뉴스 [경상매일신문]道관광공사, 해돋이역사기행 사업 활성화 MOU http://www.ksmnews.c[...] 2018-06-07
[9] 논문 국내연안 추천항로의 법적지위에 관한 고찰 - 호미곶 추천항로를 중심으로 - http://db.koreaschol[...] 한국해사법학회 2018-05-16
[10] 웹사이트 해맞이축제 > 호미곶축제 > 경북포항 호미곶마을 http://homigot.invil[...] 2018-05-25
[11] 웹사이트 지역축제 - 호미곶 돌문어 축제 http://www.mcst.go.k[...] 2018-06-24
[12] 뉴스 포항 호미곶서 22~24일 캠핑 페스티벌 개막…월드컵 응원도 http://news1.kr/arti[...] 2018-06-22
[13] 웹사이트 국립등대박물관 홈페이지 https://www.lighthou[...]
[14] 뉴스 포항 호미곶 ‘상생의 손’, 저작권 다툼 http://news.khan.co.[...] 2018-06-03
[15] 웹사이트 대구 U-TOURPIA http://tour.daegu.go[...] 대구광역시 2012-09-13
[16] 웹사이트 韓国のイベント :韓国観光公社公式サイト http://japanese.visi[...] 한국관광공사 2012-09-13
[17] 웹사이트 日の出の名所に「ねずみ」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9-12-30
[18] 간행물 국립지리원고시제2001-355호(지명제정,변경및폐지) http://gwanbo.mois.g[...] 관보 2002-01-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