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곶 등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미곶 등대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호미곶에 위치한 등대이다. 1903년 12월에 건립되었으며, 프랑스 건축가가 설계하고 중국 계약자가 건설했다. 높이 26.4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등대이며, 8각형의 탑 형식으로 벽돌만 사용하여 지어졌다. 내부는 6층으로, 각 층 천장에는 오얏꽃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1908년에 건립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로 건축사적, 문화재적으로 가치가 높으며, 현재 해양수산부에서 관리하고 있다. 국립지리원 고시에 따라 장기곶에서 호미곶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등대 - 국립등대박물관
경상북도 포항시 호미곶면에 있는 국립등대박물관은 1985년 개관하여 등대 관련 유물 전시 및 교육을 통해 등대 문화 보존과 확산에 기여하며, 관람료는 무료이고 매주 월요일, 설날과 추석 당일은 휴관한다. - 대한민국의 등대 - 울기항로표지관리소
울기항로표지관리소는 울산 동구 일산동에 위치하여 울기등대를 포함한 항로표지시설을 관리하며 선박의 안전 운항을 지원하고, 특히 구 등탑은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보호받는 랜드마크이다. - 포항시의 문화유산 - 장기읍성
장기읍성은 동해안 방어를 위해 고려 시대에 토성으로 축조되어 조선 시대에 석성으로 개축되었으며, 타원형의 성곽과 방어 시설을 갖춘 사적 제386호 읍성이다. - 포항시의 문화유산 -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는 포항 분지 내 현무암에서 용암이 흐르면서 형성된 경사진 주상절리로, 화산 활동 특성 및 냉각 과정 연구에 중요한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다. - 1908년 완공된 건축물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설립되어 1987년까지 사용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으로,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광복 후에는 서울구치소로 이름이 바뀌어 사용되다가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조성되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여 현재는 역사 교육의 장이자 과거사 반성의 공간이다. - 1908년 완공된 건축물 - 청주교도소
호미곶 등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형태 | 6층 원뿔형 타워, 발코니 및 등롱 포함 |
높이 | 26.4 m |
종류 | 기념물 |
지정 번호 | 39 |
지정일 | 1982년 8월 4일 |
주소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길 99 (호미곶면) |
면적 | 13,527m² |
문화재청 ID | 23,00390000,37 |
공식 웹사이트 | 호미곶 등대 - 한국관광공사 |
2. 역사
1908년에 건립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 중 하나로, 건축사적·문화재적으로 커다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높이 26.4m, 둘레는 밑부분이 24m, 윗부분이 17m로 전국 최대 규모이다. 겉모습은 8각형의 탑 형식으로 근대식 건축 양식을 사용하여 지었는데,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벽돌로만 쌓아올려 오늘날의 건축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내부는 6층으로 되어 있으며, 각 층 천장마다 대한제국의 상징 무늬인 오얏꽃 모양의 문장(紋章)이 조각되어 있다. 이 등대는 여전히 운영 중이며 해양수산부에서 관리한다.[3]
2. 1. 건립 배경
호미곶 등대는 대한민국 지도상 호랑이 꼬리 부분에 해당하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호미곶' 혹은 '동외곶'이라고도 하며, 서쪽으로는 영일만, 동쪽으로는 동해와 만나고 있어 '''대보등대'''(大甫燈臺)라고도 한다.[3]1901년 인근에서 일본 선박이 침몰한 후, 1903년 12월에 프랑스 건축가가 설계하고 중국인 계약자가 건설하여 건립되었다.[3]
2. 2. 건립 과정
호미곶 등대는 1901년 인근에서 일본 선박이 침몰한 후 1903년에 건립되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등대인 이 등대는 프랑스 건축가가 설계하고 중국인 건설업자가 건설했으며, 1903년 12월에 완공되었다.[3] 높은 높이에도 불구하고 철근 없이 벽돌로 지어졌다. 내부는 6개 층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천장은 조선을 기리기 위해 배꽃으로 장식되어 있다.[3]3. 건축 특징
호미곶 등대는 1901년 인근에서 일본 선박이 침몰한 후 1903년에 건립되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등대이며 프랑스 건축가가 설계하고 중국 계약자가 건설했다. 높은 높이에도 불구하고 철근 없이 벽돌로 지어졌으며, 해양수산부에서 관리한다.[3]
3. 1. 구조
호미곶 등대는 높이 26.4m, 둘레는 밑부분이 24m, 윗부분이 17m로 전국 최대 규모이다. 겉모습은 8각형 탑 형식으로 근대식 건축 양식을 사용하여 지어졌는데,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벽돌로만 쌓아 올려 오늘날의 건축 관계자들도 감탄을 금치 못한다고 한다. 내부는 6층으로 되어 있으며, 각 층 천장마다 대한제국의 상징 무늬인 오얏꽃 모양의 문장(紋章)이 조각되어 있다. 1903년 12월에 완공되었다.[3]3. 2. 건축 양식
호미곶 등대는 높이 26.4m, 둘레는 밑부분이 24m, 윗부분이 17m로 전국 최대 규모이다. 8각형 탑 형식으로 근대식 건축 양식을 사용하여 지어졌는데,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벽돌로만 쌓아 올려졌다. 이러한 건축 방식은 오늘날의 건축 관계자들도 감탄할 정도이다.[3]내부는 6층으로 되어 있으며, 각 층 천장마다 대한제국의 상징 무늬인 오얏꽃 모양의 문장이 조각되어 있다.[3]
4. 명칭 변경
2002년 1월 5일 국립지리원 고시(제2001-355호)에 따라 장기곶이 호미곶으로 지명이 변경되면서 "장기곶등대"도 "호미곶등대"로 변경되었다.[4]
4. 1. 장기곶에서 호미곶으로
2002년 1월 5일 국립지리원 고시(제2001-355호)에 따라 포항시 남구 대보면 대보리에 있는 장기곶이 호미곶으로 지명이 변경되면서, 지정문화재인 "장기곶등대"도 지도 표기와 동일한 명칭인 "호미곶등대"로 변경되었다.[5][4]5. 관리 주체
참조
[1]
Rowlett
2016-03-23
[2]
웹사이트
Homigot Lighthouse
http://english.visit[...]
visitkorea
2015-07-30
[3]
웹사이트
lifein korea.com
http://www.lifeinkor[...]
[4]
고시
경상북도 고시 제2002- 92호,《지정명칭변경고시》
http://www.gb.go.kr/[...]
경상북도지사
2002-04-18
[5]
관보
국립지리원고시제2001-355호(지명제정,변경및폐지)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02-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