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곶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미곶면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속하는 면으로, 삼한 시대에는 근기국, 삼국 시대에는 신라의 영토였다. 조선 시대에는 풍수지리학자 남사고가 한반도를 호랑이에 비유하여 꼬리에 해당한다고 언급하며 호미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1903년 호미곶 등대가 설립되었고, 201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어업과 관광업이 발달했으며, 교육 시설로는 대보초등학교와 대보중학교가 있고, 국립등대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또한, 지방도 제929호선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시 남구 -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는 포스코의 지원으로 1986년 설립되어 과학기술 분야 교육 및 연구에 집중하며 우수한 연구 시설을 보유한 대한민국의 연구중심대학이다. - 포항시 남구 - 오천도서관
오천도서관은 1999년 오천공공도서관으로 개관하여 포항시 시립도서관으로 편입된 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강당, 자료실, 열람실 등을 갖추고 운영한다. - 2010년 설치 - 창원시
창원시는 기원전 10세기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가야 연맹의 일원이었고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980년 창원시로 승격 후 2010년 마산시, 진해시와 통합하여 인구 110만이 넘는 경상남도의 특례시이다. - 2010년 설치 - 송악읍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송악읍은 조선시대 여러 면과 홍주목 일부 지역이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진군 송악면으로 통합된 후 201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지시줄다리기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과 연결된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영일군
영일군은 경상북도에 있던 군으로,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고 삼한시대에는 진한의 근기국, 신라시대에는 근오지현, 고려시대에는 영일현 또는 연일현으로 불리다 1914년에 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이 통합되어 설치되었으나 1995년에 포항시와 통합되어 현재의 포항시 북구와 남구가 되었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용흥동
용흥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고려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으며, 현재는 상업 시설, 교육 기관, 공공 기관, 의료 기관 등 다양한 시설과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호미곶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호미곶면(虎尾串面) |
로마자 표기 | Homigot-myeon |
MR 표기 | Homigot-myŏn |
일본어 표기 | 호미곤미ョン |
위치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
면사무소 주소 | 남구 호미곶면 해맞이로 242 |
행정 구역 | |
법정리 수 | 4 |
행정리 수 | 10 |
반 수 | 64 |
통계 (2012년 기준) | |
면적 | 20.37 km² |
인구 | 3315명 |
세대 수 (2012.6.1. 기준) | 1,261 |
기타 | |
우편 번호 | 790-810 |
웹사이트 | 호미곶면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삼한시대 진한 12국 중 하나인 근기국의 영역이었다.[6] 삼국 시대 신라의 근오지현 또는 오량우현이었다.[6] 통일 신라 경덕왕 16년(757년) 의창군의 영현 임정현·기립현이었다.[6]
고려 현종 9년(1018년) 경주부에 내속하여 영일현 또는 연일현·장기현으로 개칭하였다.[6] 조선 시대 1789년에는 영일현 부산면의 대동배·포천·정족리 및 장기현 북면의 명월·포천·대천·사지·강금리였다.[6] 1832년에 영일현 부산면의 대동배·포천리 및 장기현 북면의 사지·포천리로 재편성하고, 1871년에 영일현 부산면의 정족·쟁천·구만·포천리가 되었다.[6] 1895년 영일군 동해면의 대동배·쟁천·구만·정족리 및 장기군 북면의 사지·대천리가 되었다.[6]
명종조의 풍수지리학자 남사고는 『고산수비록』에서 이 지역이 한반도를 호랑이 형상에 비유하여 그 꼬리에 해당한다고 하여 호미등(虎尾嶝)이라고 칭했다.[7] 1901년 9월 9일, 실습생과 교사 30명을 태운 도쿄수산강습소(현 도쿄해양대학)의 실습선 '쾌응환'이 조난되었고, 이를 계기로 1903년 12월에 호미곶 등대가 설립되었다.[8][9]
1910년 10월 1일, 연일군 동해면 대동배(大冬背)·정천(浄川)·구만(九萬)·포천(浦川)동 및 장기군 외북면 명월(明月)·강금(江今)·사지(沙只)·대천(大川)·포천(浦川)리가 되었다.[6] 1914년 3월 1일, 연일군 창주면 강사리(외북면의 명월·강금·사지리를 통합), 대보리(외북면의 대천·포천을 통합), 연일군 동해면 대동배리(동해면의 대동배·정천을 통합)가 되었다.[6]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의해 영일군 창주면 강사리, 대보리, 동해면 대동배동, 구만동이 되었다.[13] 1942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243호에 의해 창주면이 구룡포읍으로 승격, 동해면의 구만리가 구룡포읍에 편입되었다.[14]
1986년 4월 1일 구룡포읍 강사·대보·구만리, 동해면 대동배리에서 대보면이 신설되었고(4개 법정리, 10개 행정리 관할)[6], 1995년 1월 1일 영일군과 포항시가 통합하고 구제를 실시하면서 포항시 남구 대보면으로 개편되었다.[15] 2010년 1월 1일 포항시 조례에 따라 호미곶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6]
2. 1. 고대
삼한 시대 진한 12국 중 하나인 근기국의 영역이었다.[6]삼국 시대 신라의 근오지현 또는 오량우현이었다.[6]
통일 신라 경덕왕 16년(757년) 의창군의 영현 임정현·기립현이었다.[6]
2. 2. 중·근세
고려 현종 9년(1018년) 경주부에 내속하여 영일현 또는 연일현·장기현으로 개칭하였다.[6]조선 시대 1789년에는 영일현 부산면의 대동배·포천·정족리 및 장기현 북면의 명월·포천·대천·사지·강금리였다.[6] 1832년에 영일현 부산면의 대동배·포천리 및 장기현 북면의 사지·포천리로 재편성하고, 1871년에 영일현 부산면의 정족·쟁천·구만·포천리가 되었다.[6] 1895년 영일군 동해면의 대동배·쟁천·구만·정족리 및 장기군 북면의 사지·대천리가 되었다.[6]
명종조의 풍수지리학자 남사고의 『고산수비록』에서 이 지역이 언급되었으며, 한반도를 호랑이의 형상에 비유하여 그 꼬리에 해당한다고 하여 호미등(虎尾嶝)이라고 칭했다.[7]
1901년 9월 9일, 실습생과 교사 30명을 태운 도쿄수산강습소(현 도쿄해양대학)의 실습선 '쾌응환'이 조난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1903년 12월에 호미곶 등대가 설립되었다.[8][9]
2. 3. 일제강점기
1910년 10월 1일, 연일군 동해면 대동배(大冬背)·정천(浄川)·구만(九萬)·포천(浦川)동 및 장기군 외북면 명월(明月)·강금(江今)·사지(沙只)·대천(大川)·포천(浦川)리가 되었다.[6]1914년 3월 1일, 연일군 창주면 강사리(외북면의 명월·강금·사지리를 통합), 대보리(외북면의 대천·포천을 통합), 연일군 동해면 대동배리(동해면의 대동배·정천을 통합)가 되었다.[6]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의해 연일군 창주면 강사리·대보리, 동해면 대동배동·구만동이 되었다.
1942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243호에 의해 창주면이 구룡포읍으로 승격, 동해면의 구만리가 구룡포읍에 편입되었다.[6]
2. 4. 대한민국
- 1914년 4월 1일: 영일군 창주면 강사리, 대보리, 동해면 대동배동, 구만동[13]
- 1942년 10월 1일: 영일군 구룡포읍 강사리, 대보리, 구만동[14]
- 1976년 10월 4일: 대보출장소를 대보2리 859-14번지로 이전[6]
- 1986년 4월 1일: 구룡포읍 강사·대보·구만리, 동해면 대동배리에서 대보면 신설 (4개 법정리, 10개 행정리 관할)[6]
- 1988년 4월 1일: 대보면 사무소를 구만1리 47-6번지로 이전[6]
- 1995년 1월 1일: 영일군, 포항시가 통합하고 구제를 실시하여, 포항시 남구 대보면으로 개편.[15] 법률 제4796호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에 따른 행정특례 등에 관한 법률」[10]에 따라 시행.
- 2010년 1월 1일: 포항시 조례 제972호 「읍·면·동의 명칭과 관할 구역에 관한 조례」에 의거, 호미곶면으로 명칭 변경.[16]
3. 지리
영일만 끝부분(포항에서 38km)인 호미곶 앞바다는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해역으로 각종 물고기가 많이 모여든다. 따라서 정치망 어업이 활발하고, 오징어, 꽁치, 고등어, 김, 미역, 전복, 성게 등 각종 수산자원이 풍부하다. 또한 이곳은 군사적인 요충지로 중요한 군사시설들이 자리잡고 있다. 바닷바람이 강한 호미곶은 2001년 경북 지역에서 최초로 풍력발전기를 세우고 시험 가동을 하고 있다. 2020년에 만든 국내 최대 규모의 등대와 1985년 준공한 국내 최초의 등대박물관이 있는 이곳은 전국에서 일출을 가장 빨리 볼 수 있는 곳이다. 차후 국가적인 관광휴양지로 개발될 예정이다. 해맞이를 보기 위해 전국에서 관광객들이 매년 늘어나고 있다.[12]
4. 행정 구역
1914년 4월 1일 영일군 창주면 강사리, 대보리, 동해면 대동배동, 구만동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었다.[13] 1942년 10월 1일 영일군 구룡포읍 강사리, 대보리, 구만동[14], 1986년 4월 1일 대보출장소를 대보면으로 승격, 1995년 1월 1일 영일군, 포항시가 통합하고 구제를 실시하여, 포항시 남구 대보면으로 개편하였다.[15] 2010년 1월 1일 호미곶면으로 개칭하였다.[16]
4개의 법정리, 10개의 행정리, 18개의 자연 부락, 64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11]
법정리 | 행정리 |
---|---|
강사리 | 강사1리, 강사2리, 강사3리 |
대보리 | 대보1리, 대보2리, 대보3리 |
구만리 | 구만1리, 구만2리 |
대동배리 | 대동배1리, 대동배2리 |
5. 산업
영일만 끝부분에 있는 호미곶 앞바다는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해역으로, 다양한 어종이 풍부하여 정치망 어업이 활발하다. 오징어, 꽁치, 고등어, 김, 미역, 전복, 성게 등 각종 수산 자원이 풍부하며, 수산 가공업도 발달하였다.[12] 호미곶 등대와 국립등대박물관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여 관광 산업도 발전하고 있다. 또한, 군사적 요충지로서 중요한 군사 시설이 자리 잡고 있으며, 2001년에는 경북 지역 최초로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어 시험 가동 중이다.[1][2]
5. 1. 어업
영일만 끝부분(포항에서 38km)인 호미곶 앞바다는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해역으로 각종 물고기가 많이 모여든다. 따라서 정치망 어업이 활발하고, 오징어, 꽁치, 고등어, 김, 미역, 전복, 성게 등 각종 수산 자원이 풍부하다.[12] 정치망 어업이 활발하다.주요 어획 품종으로는 꽁치, 오징어, 대구, 방어, 고등어, 성게 등이 있으며, 다시마, 우뭇가사리, 전복 등의 양식과 통조림·냉동 등의 수산 가공업이 발달하였다.[1][2]
5. 2. 관광 산업
호미곶 앞바다는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해역으로 각종 물고기의 회유지이다. 따라서 정치망 어업이 활발하고, 오징어, 꽁치, 고등어, 김, 미역, 전복, 성게 등 각종 수산자원이 풍부하다. 2001년 경북 지역에선 최초로 풍력발전기를 세우고 시험 가동을 하고 있다.[12] 주요 어획 품종으로는 꽁치, 오징어, 대구, 방어, 고등어, 성게 등이 있으며, 다시마, 우뭇가사리, 전복 등의 양식과 통조림·냉동 등의 수산 가공업이 성행한다.[1][2]호미곶은 한반도에서 두 번째로 해돋이를 빨리 볼 수 있는 곳이며 (울산광역시의 간절곶이 1분 더 빠르다[3][4]), 최남선이 《조선상식지리편》에서 대한 10경 중 하나로 꼽았으며[7], 국립등대박물관과 해맞이 축제 등 관광지로 개발되었다. 호미곶 등대는 1903년에 세워진 국내 최대 규모의 등대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39호로 지정되어 있다. 해풍이 강한 이 지역에는 2001년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어 시험 가동 중이다.[1][2]
5. 3. 기타 산업
영일만 끝부분(포항에서 38km)인 호미곶 앞바다는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해역으로 각종 물고기의 회유지이다. 따라서 정치망 어업이 활발하고, 오징어, 꽁치, 고등어, 김, 미역, 전복, 성게 등 각종 수산자원이 풍부하다.[12] 주요 어획 품종으로는 꽁치, 오징어, 대구, 방어, 고등어, 성게 등이 있으며, 다시마, 우뭇가사리, 전복 등의 양식과 통조림·냉동 등의 수산 가공업이 발달하였다.[1][2]바닷바람이 강한 호미곶은 2001년 경북 지역에선 최초로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어 시험 가동 중이다.[1][2]
6. 교육 및 공공 시설
호미곶면에는 대보초등학교, 대보중학교, 국립등대박물관, 대보파출소, 구룡포농협 호미곶지점, 구룡포수협 호미곶지점, 호미곶우체국, 구평보건진료소, 대동배보건진료소, 호미곶보건지소가 있다.[1]
6. 1. 교육 기관
대보초등학교는 호미곶면 보천길 15에 있고,[1] 대보중학교는 호미곶면 해맞이로 122에 있다.[1]6. 2. 박물관
국립등대박물관이 호미곶면 해맞이로150번길 20에 있다.6. 3. 공공 기관
기관명 | 소재지 | 비고 |
---|---|---|
대보파출소 | 호미곶면 해맞이로 160 |
6. 4. 금융 기관
기관명 | 소재지 |
---|---|
구룡포농협 호미곶지점 | 호미곶면 해맞이로 155 |
구룡포수협 호미곶지점 | 호미곶면 해맞이로 200 |
호미곶우체국 | 호미곶면 해맞이로 195-1 |
6. 5. 의료 기관
기관명 | 소재지 | 비고 |
---|---|---|
구평보건진료소 | 남구 호미곶면 해맞이로 200-1 | |
대동배보건진료소 | 남구 호미곶면 호미로 1871 | |
호미곶보건지소 | 남구 호미곶면 해맞이로 200-1 |
7. 교통
동해면에서 해안을 따라 구룡포읍까지 이어지는 지방도 제929호선(영일만 환상 도로의 일부)이 통과하고 있다. 호미곶면의 도로는 다음과 같다.
구분 | 도로 이름 |
---|---|
로 | 일출로, 해맞이로, 호미로 (지방도 제929호선) |
길 | 고래마을길, 관암일출길, 구만길, 대천길, 명월길, 보천길, 송림촌길, 호미곶길 |
참조
[1]
웹사이트
포항시 호미곶면 :: 지역소개 - 지역특성 N:1479 C:1488
http://homi-got.ipoh[...]
2012-09-26
[2]
웹사이트
doopedia
http://doopedia.co.k[...]
斗山
2012-09-26
[3]
웹사이트
エリア検索 : 韓国観光公社公式サイト
http://japanese.visi[...]
한국관광공사
2012-09-26
[4]
웹사이트
doopedia
http://doopedia.co.k[...]
斗山
2012-09-26
[5]
웹사이트
일간대구경북입니다...
http://www.dkilbo.co[...]
대경일보
2012-09-26
[6]
웹사이트
포항시 호미곶면 :: 지역소개 - 연혁 N:1479 C:1486
http://homi-got.ipoh[...]
2012-09-26
[7]
웹사이트
Invil - インビル村
http://www.invil.org[...]
(사)정보화마을중앙협회
2012-09-26
[8]
웹사이트
doopedia
http://www.doopedia.[...]
斗山
2012-09-26
[9]
웹사이트
포항시 호미곶면 :: 면소개 - 지명유래 N:1458 C:1491
http://homi-got.ipoh[...]
2012-09-26
[10]
웹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 법령 > 본문 - 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에따른행정특례등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法制処
2012-09-26
[11]
웹사이트
포항시 호미곶면 :: 지역소개 - 일반현황 N:1479 C:1487
http://homi-got.ipoh[...]
2012-09-26
[12]
웹사이트
호미곶면 지역특성
http://homi-got.ipoh[...]
2011-06-12
[1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09-30
[15]
법령
법률 제4796호 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에따른행정특례등에관한법률
1994-12-22
[16]
법령
포항시 조례 제972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9-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