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조 도키무네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조 도키무네》는 가마쿠라 시대 중기의 싯켄 호조 도키무네를 주인공으로 한 2004년 NHK 대하드라마이다. 막부 내부 항쟁과 몽골의 일본 원정을 배경으로, 원작 소설을 각색하여 제작되었다. 이즈미 모토야가 도키무네 역을, 와타나베 켄이 도키요리 역을 맡았으며, 중국, 몽골 등지에서 로케이션 촬영을 진행했다. 평균 시청률 18.5%를 기록했으며, 몽골 민요를 활용한 오프닝과 3DCG를 활용한 영상미로 호평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 제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신조협려
신조협려는 김용의 무협 소설로, 양강의 아들 양과가 스승 소용녀와의 사랑을 지키며 성장하고 몽골 제국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다룬다. - 몽골 제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칭기즈 칸 (드라마)
칭기즈 칸은 2004년 중국에서 제작된 텔레비전 드라마로, 몽골 제국의 초대 황제 칭기즈 칸의 일대기를 그리며, 12세기 몽골 고원의 역사적 사건들을 배경으로 한다. - 원나라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신돈 (드라마)
드라마 《신돈》은 박종화의 소설 《다정불심》을 원작으로, 고려 말 신돈의 개혁 정치를 다루며, 손창민, 정보석, 서지혜, 오만석 등이 출연하여 2005년부터 2006년까지 MBC에서 방영되었다. - 원나라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기황후 (드라마)
《기황후》는 고려 여인이 원나라 황후가 되는 과정을 그린 2013년 드라마로, 권력 투쟁, 사랑, 복수를 다루며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호조 도키무네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 채널 | NHK |
장르 | 텔레비전 드라마 |
방송 시간 | 일요일 밤 8시 ~ 8시 45분 |
방송 기간 | 2001년 1월 7일 ~ 12월 9일 |
방송 횟수 | 45회 |
방송 분량 | 45분 |
제작 정보 | |
제작 | NHK |
총감독 | 아베 야스히코 |
연출 | 요시무라 요시유키 외 |
원작 | 타카하시 카츠히코 |
각본 | 이노우에 유미코 |
출연진 | |
주연 | 이즈미 모토야 |
조연 | 와타베 아츠로 와타나베 켄 아사노 아츠코 야나기바 토시로 기무라 요시노 니시다 히카루 이케하타 신노스케 토모사카 리에 시노하라 료코 마키세 리호 니시오카 토쿠마 키타무라 카즈키 와타나베 토오루 카와노 타로 우지키 츠요시 후키코시 미츠루 하쿠류 파삼찰포 에바라 신지로 하라다 미에코 무로타 히데오 키요카와 니지코 이시바시 렌지 후지 타츠야 오쿠다 에이지 히라 미키지로 이토 시로 후지 스미코 키타오오지 킨야 |
음악 | |
여는 곡 | 쿠리야마 카즈키 |
기타 정보 | |
관련 작품 | 타카하시 카츠히코의 소설 『時宗』(도키무네) |
2. 작품 내용과 반향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중기를 배경으로, 호조씨(北条氏)의 적류(嫡流)인 도쿠소케(得宗家)에서 태어난 젊은 싯켄(執権) 호조 도키무네(北条時宗)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다.[4] 호지 전투(宝治合戦), 2월 소동(二月騒動) 등 막부 내부 항쟁과 고려 · 몽골 연합군의 일본원정을 국제적 스케일로 그려냈다.[4]
원작은 다카하시 가쓰히코(高橋克彦)의 소설 『도키무네』(時宗)로, 각본과 병행하여 집필되었다. 주연 배우 이즈미 모토야(和泉元彌)와 각본가 이노우에 유미코(井上由美子)는 이 작품이 첫 대하드라마 참여였다.[4] 가마쿠라 시대 중기를 배경으로 한 최초의 대하드라마이다.[4]
마르코 폴로 등 서양 인물, 반부 등 고려 사신, 쿠빌라이 칸 등 몽골 인물까지 등장하는 국제적인 구성을 보여주며, 중국이나 몽골로의 현지 로케도 이루어졌다. 24화 「고려에서 온 글」에서는 삼별초(三別抄) 항쟁 등 고려 관련 내용도 등장한다.
후쿠오카시(福岡市) 사와라구(早良区)의 시사이드모모치 공원 안에는 샤 고쿠메이(謝国明)의 저택 ・ 쇼니 씨(少弐氏) 저택 ・ 당인 거리(唐人街) 등 중세 일본의 하카타(博多)를 재현한 중세 하카타 전시회장(中世博多展示会場)이 설치되고, 오픈 로케가 이루어졌다. 가마쿠라(鎌倉) 시가지는 요코하마시(横浜市) 아오바구(青葉区)의 미도리야마 스튜디오 시티(緑山スタジオ・シティ) 옥외 스튜디오에서 재현되었다.
호조 도키요리(北条時頼)역의 와타나베 켄(渡辺謙)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장기요양을 거쳐 복귀 이후에 맡게 된 첫 번째 작품이었다. 첫 방송 「가마쿠라 대격진」(鎌倉大激震)에서의 몽골 대선단, 후반부 방송의 「몽고습래」, 「고안의 역」(弘安の役)에서의 몽골의 대규모 상륙 장면 등 디지털 합성이나 컴퓨터그래픽을 구사했다.[5]
평균시청률은 18.5%, 최고 시청률은 21.2%였다.(시청률은 간토 지방 ・ 비디오리서치 조사)[6]
2. 1. 영상 제작
2. 2. 평가 및 영향
몽골 민요를 활용한 오프닝 테마곡과 3DCG를 활용한 영상미는 호평을 받았다. 오프닝 테마로 흐르는 몽골 민요인 우르틴드 가수 남질린 노롭반자드의 목소리와 방송 말미의 기행 코너에 나온 곡 「창풍(蒼風)」은 일본의 재즈 피아니스크 겸 작곡가 야마시타 요스케(山下洋輔)가 연주하였다. 전편에 걸쳐 3DCG로 그려낸 오프닝은 몽골 초원에서 바다로, 그리고 우주로까지 이어지는 장대한 스토리로 그려져, 일본의 역대 대하드라마 오프닝 가운데 가장 다이나믹한 구성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7] 타이틀 화면에 등장하는 「호조 도키무네」(北条時宗)라는 글자와 함께 등장하는 수많은 문자들은 쿠빌라이 칸이 생전에 전투를 벌였던 많은 국가들의 이름들이며, 「北条時宗」라는 타이틀 역시 몽골 문자풍의 글자체로 디자인되었다.[7] 드라마 내용을 소개하는 영상의 미세한 부분을 매회마다 변화시킨 것도 당시까지의 대하드라마의 오프닝으로써는 드문 시도였다.평균 시청률은 18.5%를 기록했다(간토 지구, 비디오서치 조사).[6]
3. 오프닝
오프닝 테마로 흐르는 몽골 민요인 우르틴드 가수 남질린 노롭반자드의 목소리와 방송 말미의 기행 코너에 나온 곡 「창풍(蒼風)」(정식 버전과 TV 방송용 버전이 있었다)은 일본의 재즈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야마시타 요스케가 연주하였다.[7][3] 전편에 걸쳐 3DCG로 그려낸 오프닝은 몽골 초원에서 바다로, 그리고 우주로까지 이어지는 장대한 스토리로 그려져, 일본의 역대 대하드라마 오프닝 가운데 가장 다이나믹한 구성을 갖추고 있다. 이는 주인공 도키무네가 꿈에서도 본 적이 없는 광활한 대륙을 향해 자신의 의식을 좇고 있다는 아이디어에서 나온 것이다. 타이틀 화면으로 등장하는 「호조 도키무네」(北条時宗)라는 글자와 함께 등장하는 수많은 문자들은 쿠빌라이 칸이 생전에 전투를 벌였던 많은 국가들의 이름들이며, 「北条時宗」라는 타이틀 역시 몽골 문자풍의 글자체로 디자인되었다.[7][3] 드라마 내용을 소개하는 영상의 미세한 부분을 매회마다 변화시킨 것도 당시까지의 대하드라마의 오프닝으로써는 드문 시도였다.
4. 줄거리
가마쿠라 막부 제5대 싯켄 호조 도키요리의 적자로 태어난 도키무네는 어린 시절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하카타의 중국인 상인 샤 코쿠메이나 수군 마쓰라토(松浦党)의 딸 도코(桐子) 등과의 만남을 통해 국제적 시야를 넓혀갔지만, 이복형 도키스케와는 갈등을 겪었다.
도키무네는 8대 싯켄으로 취임한 뒤, 이복 형 도키스케나 막부 내부의 반(反) 도쿠소케 세력과의 항쟁 등 잇따른 고난에 직면한다.
바다 너머 대제국 원(元)의 황제 쿠빌라이 칸은 세계 정복의 야심을 품고 일본으로까지 손길을 뻗쳐왔다. 젊은 싯켄 도키무네는 몽골습래(원구)라는 일본사 초유의 국난에 직면하게 되고, 세상의 평화를 모색한다.
5. 등장인물
5. 1. 호조 도쿠소케(得宗家)와 그 가신
호조 도키무네(北条時宗)는 주인공으로, 가마쿠라 막부 8대 싯켄이다. 다소 고지식한 성격으로 정해진 운명에 고뇌하면서도 싯켄으로 성장해 간다. 호조 도키스케(北条時輔)는 도키무네의 이복형으로, 로쿠하라 단다이 난보(六波羅探題南方)를 역임했다. 어린 시절에는 동생을 아꼈으나, 측실의 아들이었기에 아버지 호조 도키요리(北条時頼)에게 냉대받아 복잡한 감정을 품게 된다. 도키무네의 명령에 의해 2월 소동에서 살해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중상을 입고 일본을 탈출, 몽골군에 협력하는 등 알 수 없는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이는 일본과 몽골의 화해를 위한 행동이었고, 마지막화에서 도키무네와 화해하고 그의 최후를 지켜본 뒤 세계를 여행한다.호조 도키요리는 도키무네의 아버지이자 가마쿠라 막부 5대 싯켄이다. 총명하고 비상한 인물이었으나, 측실 소생인 도키스케를 냉대했다. 이는 도키무네를 도쿠소케의 정당한 후사로 공표하고 도키스케를 옹립하려는 자를 막기 위함이었다. 병으로 출가한 후에도 막부의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나, 누군가에 의해 음독으로 죽음을 맞는다.
료코(涼子)는 료젠니(涼泉尼)로 불리며, 도키무네의 어머니이다. 아버지의 죽음이 도키요리 때문이라 생각해 원한을 품었으나, 도키요리의 본심을 알고 화해한다. 훗날 도키무네가 도키스케를 죽이려는 것에 반발해 출가하고 도키무네와 연을 끊는다. 노리코(祝子)는 가쿠산니(覚山尼)로, 도키무네의 아내이다. 호조 사다토키(北条貞時)는 도키무네의 아들로 훗날 9대 싯켄이 된다. 쇼카노젠니(松下禅尼)는 도키스케의 어머니이자 도키무네의 할머니이다.
다이라노 요리쓰나(平頼綱)는 도키무네의 가신이다. 아다치 야스모리(安達泰盛)의 명으로 호조 나가토키(北条長時)를 암살하는 등 도키무네를 섬겼다. 난폭하고 권모술수를 마다하지 않는 성격이었으나, 도키무네에게만은 충성을 맹세하고 열렬히 숭배했다.
5. 2. 호조 씨 일문(一門)
호조 시게토키(北条重時)는 히라 미키지로(平幹二朗)가 연기한 고쿠라쿠지류(極楽寺流) 호조 씨 당주로, 나가토키(長時) ・ 요시무라(義政) ・ 도시코(梨子)의 아버지이자 마사무라의 형이다. 일족의 중진으로서 도키요리의 부름에 응해 교토에서 가마쿠라로 왔으며, 료코의 양아버지가 되어 도키요리와의 혼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했다. 나가토키가 자신을 희롱한 민중을 벤 사건에서는 나가토키를 옹호하면서 한바탕 소동을 일으켰다. 그 뒤 병으로 쓰러져 죽음을 앞두고 마사무라에게 「나가토키에게 재앙을 가져온다면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는 유언을 남긴다.호조 나가토키(北条長時)는 가와사키 마요(川崎麻世)가 연기한 시게토키의 아들로, 가마쿠라 막부 제6대 싯켄(執権)이다. 도키요리가 병으로 쓰러지면서 그에게서 싯켄 자리를 넘겨받았으나, 도키요리가 회복되고 나서는 허수아비나 다름없는 처지가 되었고 민중의 조롱을 받았다. 이로 인해 무네타카 친왕(宗尊親王)에게 접근해 반(反)도쿠소케로 기울도록 한다. 때문에 도키요리로부터 위험인물로 지목되어 도키요리는 도키무네에게 나가토키를 죽이라는 유언을 남긴다. 도키무네는 고뇌 끝에 아다치 야스모리에게 유언 내용을 밝히고 나가토키는 야스모리의 명을 받은 다이라노 요리쓰나에게 암살된다. 그 뒤 요시마사에게서 나가토키 암살의 진상을 듣게 된 도키무네는 모두의 앞에서 「반(反) 호조 세력과 결탁한 나가토키를 암살할 것을 내가 지시했다」고 밝힌다.
호조 요시무네(北条義宗)는 미야사코 히로유키(宮迫博之)가 연기한 나가토키의 아들로 로쿠하라 단다이 호쿠보(北方)이다. 아키토키와 함께 도키무네에게 중용되었지만 아버지 나가토키의 죽음에 의문을 품고 도키무네에게 진위를 추궁하기도 했다. 그러나 도키무네로부터 나가토키 암살의 주모자는 자신이라는 말을 듣고 난 이후로도 그를 계속해 따른다. 훗날 야스모리와 요리쓰나의 파벌 싸움에 끼어 고민하다 비운의 죽음을 맞는다.
호조 도키모치(北条時茂)는 하카 켄지(羽賀研二)가 연기한 나가토키의 동생으로, 로쿠하라 단다이 호쿠보(北方)이다. 난보로써 부임해 온 도키스케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호조 요시마사(北条義政)는 와타나베 토오루(渡辺徹)가 연기한 나가토키의 동생이다. 호조 도쿠소케와 거리를 두고 있지만 도키무네의 요청에 응해 렌쇼(連署)가 된다. 조카 요시무네 사후 가마쿠라를 떠난다. 슈코(秀子)는 하나부사 유카(英由佳)가 연기한 요시마사의 아내로 마사무라의 딸이다.
호조 마사무라(北条政村)는 이토 시로(伊東四朗)가 연기한 시게토키의 동생으로 가마쿠라 막부 제7대 싯켄이다. 나가토키 사후에 싯켄이 되었을 무렵 이미 노년의 나이였기에 몹시 기뻐하였다. 도키무네가 싯켄이 된 뒤에는 렌쇼(連署)로서 도키무네를 보좌했다. 노회한 듯 보이는 사람으로 때로는 꾀병을 부리기도 하는 등 빈둥거리는 태도를 보이나 본인은 도키무네 등에게 「의견이 둘로 나뉜 상태에서 예전 싯켄이었던 내가 어느 한쪽의 편을 들면 반드시 다른 한쪽이 반발하게 되고 떠들썩하게 된다」며 스스로를 변호한다. 훗날 병으로 쓰러졌을 때조차 도키무네 등은 처음에는 그가 또 꾀병을 부리는 것은 아닌가 생각하기도 한다.
호조 사네토키(北条実時)는 이케하타 신노스케(池畑慎之介)가 연기한 가나자와류(金沢流) 호조 씨의 당주이다. 호지 전투(宝治合戦)에서는 모리 스에미쓰와 교섭해 미우라측에 가세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 도키요리의 두터운 신임을 얻어 도키요리 사후에도 도쿠소케의 브레인으로서 정치 합의에도 참가해 병사하기 직전까지도 호조 집안의 장래를 걱정하며 도키무네에게 앞으로의 구상을 보인다. 독서를 즐겨 가나자와 문고(金沢文庫)를 창시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사후 가마쿠라에서는 호조 일문을 중심으로 독재 체제를 강화하는 도키무네를 지지하는 요리쓰나와 고케닌(御家人)으로서의 입장을 내세워 이를 반대하는 야스모리파의 대립이 표면으로 드러나게 된다.
호조 아키토키(北条顕時)는 야마구치 마키야(山口馬木也)가 연기한 사네토키의 아들이다. 아버지 사네토키와는 호조 일족의 균형을 잡기 위해서라고는 하지만 친어머니와 이혼한 것에 대해 불만을 품어 사이가 벌어졌고, 한때는 술에 빠져 살기도 했다. 그러나 그 뒤 다시 재기하여 요리쓰나 ・ 요시무네와 함께 도키무네에게 중용, 이후 아버지를 능가하는 현자로서의 실력을 발휘하게 된다. 아버지 사네토키의 임종 직전에 극적으로 아버지와 화해한다. 슈코(周子)는 마스다 케이코(増田恵子)가 연기한 사네토키의 전처로 아키토키의 어머니다. 교코(享子)는 기무라 타에(木村多江)가 연기한 사네토키의 후처로 마사무라의 딸이다. 류코(滝子)는 하마나 아야카(浜名彩香) → 오토미야 유메(乙宮ゆめ)가 연기한 아키토키의 아내다.
호조 도키히로(北条時広)는 이시바시 렌지(石橋蓮司)가 연기한 호조 도키후사의 손자로 양자이다. 도키무네의 부름에 응해 막부 정치에 참여하게 된다. 실제 역사에서는 분에이의 역(제1차 일본원정) 1년 전에 사망했지만, 본작에서는 고안의 역(제2차 일본원정) 때 병상에 누운 도키무네를 간병하는 장면이 나온다.
호조 도키아키라(北条時章)는 하쿠류(白竜)가 연기한 나고시류 호조 씨의 당주이다. 자신들이야말로 호조 집안의 적류라는 생각을 강하게 품고 도쿠소케와 적대한다. 쇼군에 접근해 모반 기회를 노리고 있다. 노리토키의 세이쥬마루(幸寿丸) 습격이 원인이 되어 저택이 습격당하고 요리쓰나가 보는 앞에서 자결한다.
호조 노리토키(北条教時)는 스즈키 유우지(鈴木祐二)가 연기한 도키아키라의 이복 동생이다. 도키아키라와는 달리 혈기왕성한 성격으로 「도쿠소케를 무너뜨리려면 그 적자를 무너뜨리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라는 판단으로 부하를 시켜 세이쥬마루가 탄 수레를 습격하지만 실패하고 오히려 부하 중 한 명이 요리쓰나의 화살에 맞아 붙잡히면서 세이쥬마루를 습격한 것이 자신이라는 것이 탄로나고 말았고, 저택이 공격당해 전사했다.
5. 3. 고케닌(御家人)
아다치 야스모리(安達泰盛)는 유력 고케닌(御家人)으로, 아다치 요시카게의 아들이자 마쓰시타 젠니의 조카이다. 호지 전투(宝治合戦)에서 미우라 야스무라(三浦泰村)가 이끄는 미우라 가문을 토벌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분에이의 역(文永の役)에서는 아다치 가문을 대표하여 규슈(九州)로 내려가기도 했다.쇼니 가게스케(少弐景資)는 진제이부교(鎮西奉行)인 쇼니 스케요시의 아들로, 몽골 침공 당시 하카타(博多)에서 막부군의 대장으로 활약했다. 그는 전사한 몽골 병사의 사체를 훼손하는 다이라 요리쓰나를 "무사의 정신을 잊지 말라"며 만류하고, 몽골군 좌부원수 유복형(劉復亨)을 활로 쏘아 맞히는 등의 공을 세웠다.
미우라 야스무라(三浦泰村)는 미우라 가문의 당주로, 호지 전투(宝治合戦)에서 패배하여 가문이 멸망하였다. 그는 도키요리를 신뢰하여 전쟁을 피하려 했지만, 결과적으로 호조 가문에게 배신당했다. 그의 동생 미우라 미쓰무라(三浦光村)는 호조 가문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품고 있었으나, 화평책을 받아들인 야스무라에게 제지당했다.
다케자키 스에나가(竹崎季長)는 히고국(肥後国)의 고케닌으로, 몽골 침공 당시 큰 공을 세웠음에도 제대로 된 은상을 받지 못하자, 규슈(九州) 고케닌들의 궁핍한 상황을 호소하기 위해 가마쿠라(鎌倉)로 가서 도키무네와 아다치 야스모리를 만났다.
히다 나가모토(日田永基)는 분고국(豊後国)의 고케닌으로, 몽골 침공 당시 전통적인 일기토 방식으로 적에게 도전했지만, 자신의 조상과 무훈을 늘어놓다가 적의 공격을 받고 사망했다. 이는 일본의 전투 방식이 몽골군에게는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5. 4. 쇼군(将軍) · 조정(朝廷) · 구게(公家)
구조 요리쓰네(九条頼経)는 가마쿠라 막부 4대 쇼군이었다. 쇼군에서 퇴위한 뒤에도 막부 타도를 계획하다 아들 구조 요리쓰구(九条頼嗣)와 함께 도키요리가 보낸 자객에게 암살당한다. 구조 요리쓰구는 가마쿠라 막부 5대 쇼군이었다. 히와다히메(檜皮姫)는 요리쓰구의 미다이도코로(御台所)로 도키요리의 누나였는데, 호조 씨의 세력 확대를 꺼리는 누군가에 의해 독살당한다.무네타카 친왕(宗尊親王)은 가마쿠라 막부 6대 쇼군으로, 고사가 상황(後嵯峨上皇)의 황자이자 가메야마 천황(亀山天皇)의 형이다. 나고시류 호조 씨나 아시카가 씨와 결탁해 도쿠소케를 멸망시키려 계획한다. 쇼군직에서 물러난 뒤 교토로 돌아온 뒤에도 음모를 꾸몄다. 고노에 사이시(近衛宰子)는 무네타카 친왕의 미다이도코로로 도키요리의 양녀였다. 고레야스 친왕(惟康親王)은 가마쿠라 막부 7대 쇼군이다.
고사가 상황은 제88대 천황으로, 무네타카 친왕과 가메야마 천황의 아버지이다. 가메야마 천황은 제90대 천황으로, 고사가 상황의 황자이자 무네타카 친왕의 동생이다.
이치조 사네쓰네(一条実経)는 셋쇼(摂政) ・ 간파쿠(関白)였다. 사이온지 사네우지(西園寺実氏)는 태정대신(太政大臣)이었다. 고노에 모토히라(近衛基平)는 간파쿠로, 로쿠하라(六波羅)로 온 도키스케와 교류한다. 몽골에서 보내온 국서에 답을 보내서는 안 된다고 호소하며 자결했는데, 그 영향으로 도키스케는 몽골이나 외국의 사정을 알고 반몽골적 태도를 갖게 된다.
5. 5. 대원(大元) 및 고려
쿠빌라이 칸(쿠빌라이 칸)은 몽골 제국 제5대 대칸이자 대원(大元)의 초대 황제였다.[8] 그는 단순한 악역이 아니라, 형(몽케/蒙哥중국어)이나 아들과 대립하며 고뇌하는 인간적인 모습으로 그려진다. 또한, 능력이 있는 자는 출신이나 민족을 가리지 않고 등용하는 개명적인 인물이었다. 형인 몽케 칸과는 달리 "남송과의 전쟁을 제압하기 위해서는, 남송과 교역하는 국가들을 공격하여 약화시킨다"라는 전략을 몽케 시대부터 주장했지만, 이 전략이 남송과 교역하는 일본 침략으로 이어지게 된다.[8] 작중 마지막화에서 도키무네의 죽음에 대해 "한 번 만나보고 싶었던 사람"이라고 마르코 폴로에게 털어놓는다.몽케 칸은 쿠빌라이의 형이자 몽골 제국의 제4대 황제였다. 처음에는 쿠빌라이와 대립하며 "대칸이 될 수 없다"고 과소평가했지만, 결국에는 화해한다. 남송과의 전쟁에 대해서는 직접 공격해서 이기는 것에 집착했지만, 그 과정에서 병사한다.
차부이는 쿠빌라이의 아내이자 대원의 황후로, 친킴의 어머니였다. 쿠빌라이와 친킴의 다툼에 마음을 썼다. 친킴은 쿠빌라이의 적자이자 대원의 황태자였으며, 쿠빌라이의 강압적인 대외 정책에 마음 아파했다.
아흐마드는 대원의 재상이었으며, 요추는 쿠빌라이의 한족 고문이자 유학자였다. 마르코 폴로는 베네치아의 상인으로 쿠빌라이에게 측근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일본어를 잘하여 도키스케 등과 정보 교환을 했다. 니콜로 폴로는 마르코 폴로의 아버지였고, Maffeo Polo영어는 마르코의 백부였다.
반부(藩阜)는 대원(大元)의 사신으로 일본에 온 고려의 관리였다.[8] 그는 사시 유우로부터 "같은 고려인이면서 몽골에 따르는 배신자"라며 살해 위협을 받았지만, 미사키에게 보호받아 목숨을 건진다. 그 후, 방에 붙잡혀 온 유우에게 자신의 생각과 고려의 고통을 이야기하며 화해한다.[8] 흑적과 은홍 역시 대원의 사신으로 일본에 온 고려의 관리였다.
조양필은 대원의 사신이자 쿠빌라이의 중신이었다.[8] 민족이나 출신에 관계없이 능력 있는 자를 등용하는 쿠빌라이에게 감사하며, 심취해 있었다. 두세충은 분에이의 역 후에 보내진 대원의 사신이었다.[8] 다자이후에서 민중에게 습격당하지만 도키스케에게 보호받는다. 도키스케와의 교류를 깊게 하고 도키무네와의 회견에 임했지만, 항복을 촉구하러 온 사자라는 이유로 참수당한다.
훈둔(忻都)은 분에이 ・ 고안의 역에서 대원군 사령관을 맡은 몽골인이었다. 고안의 역에서는 정전과 하카타로의 피난을 호소하는 도키스케(時輔)의 의견을 무시한다. 이후 신풍(神風)에 의해 군은 괴멸하게 된다. 홍다구는 분에이 ・ 고안의 역에서 대원군 부사령관을 맡은 고려인이었다.
김방경(金方慶)은 분에이 ・ 고안의 역에서 고려군 사령관을 맡은 고려인이었다. 유복형은 분에이의 역에서 원나라군 부사령관을 맡은 한인이었다. 그는 분에이의 역에서 쇼니 가게스케가 쏜 화살에 맞고 후송된다.
5. 6. 그 외
샤 코쿠메이(謝国明)는 남송 출신의 하카타 상인으로, 여러 나라를 돌아보던 도키요리 · 도키무네 부자와 만나 어린 도키무네에게 넓은 세계에 대해 가르쳐 주었다. 몽골 침공 때에는 일관되게 화평을 주장했고, 태풍에 휘말린 몽골병을 구조해야 한다고 외치기도 했다.도코(桐子)는 마쓰라토(松浦党)의 딸로, 수군의 일원으로써 자랐기에 여성이면서도 남자들과 다를 바 없는 말투와 행동거지를 지니고 있다. 어린 도키무네와 만난 적이 있으며 후에 다시 재회한다. 몽골 침공 때 자신의 몸을 지키려다 몽골 병사를 살해하기도 했으며, 형제를 잃고 나서는 그 때보다 훨씬 더 전쟁을 혐오하게 된다.
니치렌(日蓮)은 니치렌종(日蓮宗)의 개조(開祖)로 입정안국론(立正安国論)을 지어 다른 불교 종파나 막부를 비판한다.
6. 몽골의 침략과 도키무네의 대응
6. 1. 1차 침입 (분에이의 역)
1274년, 몽골 제국과 고려의 연합군이 일본을 침공하였다. 일본군은 규슈를 중심으로 몽골군에 맞서 싸웠다. 몽골군은 폭풍우로 인해 철수하였다. 옹화영이 연기한 홍다구는 대원군 부사령관이며 고려인이었다. 대서화가 연기한 김방경은 고려군 사령관이었다. 박굉이 연기한 유복형은 대원군 부사령관으로, 쇼니 카게스케(少弐景資)의 화살을 맞고 부상당했다.6. 2. 2차 침입 (고안의 역)
1281년, 몽골 제국은 다시 일본을 침공하였다. 일본군은 방루를 쌓고 수군을 동원하여 몽골군에 저항하였다. 몽골군은 다시 폭풍우(신풍, 神風)를 만나 큰 피해를 입고 철수하였다.신도는 분에이・고안 역의 대원(大元) 군 사령관으로 몽골인이었다. 홍다구는 분에이・고안 역의 대원군 부사령관으로 고려인이었다. 김방경은 분에이・고안 역의 고려군 사령관으로 고려인이었다. 유복형은 분에이 역의 대원군 부사령관으로 한인이었다.
6. 3. 도키무네의 외교적 노력
7. 한국 관련 내용
7. 1. 고려와의 관계
7. 2. 한국 배우 및 한국어 대사
8. 평가 및 의의
8. 1. 긍정적 평가
8. 2. 비판적 평가
8. 3. 역사적 의의
참조
[1]
서적
大河ドラマの50年
中央公論新社
2011
[2]
웹사이트
ビデオリサーチ NHK大河ドラマ 過去の視聴率データ
http://www.videor.co[...]
[3]
웹사이트
참고・NHKオンデマンド
https://www.nhk-onde[...]
[4]
문서
1979년에 방송되었던 『불놀이』(草燃える)는 가마쿠라 시대 초기를, 1991년에 방송된 『태평기』는 가마쿠라 시대 후기를 다루고 있다.
[5]
서적
大河ドラマの50年
中央公論新社
2011
[6]
웹인용
ビデオリサーチ NHK大河ドラマ 過去の視聴率データ
https://web.archive.[...]
2016-03-30
[7]
웹사이트
참고 ・ NHKオンデマンド(일본어)
https://www.nhk-onde[...]
[8]
문서
몽골 왕조 전문배우
[9]
문서
해당 화에서 고려에서의 삼별초와 함께 진도에 자리잡은 삼별초 정부가 가마쿠라 막부에 구원을 요청했던 사실이 소개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